KR100919812B1 -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 Google Patents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812B1
KR100919812B1 KR1020080026606A KR20080026606A KR100919812B1 KR 100919812 B1 KR100919812 B1 KR 100919812B1 KR 1020080026606 A KR1020080026606 A KR 1020080026606A KR 20080026606 A KR20080026606 A KR 20080026606A KR 100919812 B1 KR100919812 B1 KR 100919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harge
cell block
signal
bit line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014A (ko
Inventor
김승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80026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812B1/ko
Priority to US12/215,800 priority patent/US7729187B2/en
Priority to TW097128590A priority patent/TWI379308B/zh
Priority to JP2008301592A priority patent/JP2009230848A/ja
Publication of KR2009010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4Power supply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s, e.g. bias voltage generators, substrate voltage generators, back-up power, powe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2Bit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equalising circuits, for bit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4Bit-line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제1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1 프리차지소자; 제2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제2 및 제3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프리차지부; 및 제3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제4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2 프리차지소자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Bit Line Precharge Circui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 라인 프리차지 회로는 프리차지 동작시에 비트 라인쌍들을 전원전압(VCC)의 절반 레벨로 프리차지한다. 프리차지 동작시에 비트 라인쌍의 프리차지 전압 레벨을 전원전압(VCC)의 절반 레벨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에 있어서 중요하다.
만일 비트 라인쌍의 프리차지 전압 레벨이 전원전압(VCC)의 절반 레벨보다 높아지게 되면 하이레벨의 데이터 마진(margin)이 나빠지게 되고, 전원전압(VCC)의 절반 레벨보다 낮아지게 되면 로우레벨의 데이터 마진이 나빠지게 된다. 즉, 비트 라인쌍이 전원전압(VCC)의 절반 레벨로 프리차지된 상태에서, 액티브 동작시에 워드 라인이 선택되면 선택된 워드 라인에 연결된 메모리 셀과 비트 라인쌍 사이에 전하 공유(charge sharing) 동작이 수행된다. 이때, 프리차지 전압 레벨이 전원전압(VCC)의 절반 레벨보다 높은 상태에서 비트라인 센스앰프(Bit Line Sense amplifier)가 비트 라인쌍의 하이레벨의 데이터를 증폭하게 되면 비트 라인쌍의 하이레벨의 데이터를 전원전압(VCC) 레벨로 충분하게 증폭할 수 없거나, 증폭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없다. 마찬가지로, 프리차지 전압 레벨이 전원전압(VCC)의 절반 레벨보다 낮은 상태에서 비트라인 센스앰프가 비트 라인쌍의 로우레벨의 데이터를 증폭하게 되면 비트 라인쌍의 로우레벨의 데이터를 접지전압 레벨로 충분하게 증폭할 수 없거나, 증폭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없다.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데 있어, 비트라인 센스앰프에 포함된 프리차지소자를 이용하여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한다. 그런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트라인의 저항이 증가되어 비트라인 프리차지 특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리차지소자를 포함한 비트라인 센스앰프 외부에 프리차지소자를 추가하여 비트라인 프리차지 특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제1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1 프리차지소자; 제2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제2 및 제3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프리차지부; 및 제3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제4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2 프리차지소자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프리차지신호는 제1 셀블럭 및 상기 제1 셀블럭에 인접한 제2 셀블럭 중 적어도 하나의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에이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프리차지신호는 상기 제1 셀블럭 및 제1 셀블럭에 인접한 제3 셀블럭 중 적어도 하나의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에이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프리차지신호는 상기 제3 셀블럭 및 상기 제3 셀블럭에 인접한 제4 셀블럭 중 적어도 하나의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에이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 비트라인은 상기 제1 셀블럭의 메모리셀이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및 제4 비트라인은 상기 제3 셀블럭의 메모리셀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리차지부는 상기 제1 셀블럭의 비트라인 센스앰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3 프리차지신호를 생성하는 셀프리차지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1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제1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1 프리차지소자; 상기 제2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제2 비트라인 및 상기 제2 비트라인의 상보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1 프리차지부; 상기 제3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제3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2 프리차지소자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리차지신호 생성부는 상기 액티브 명령에 응답하여 제1 셀블럭신호를 생성하는 셀블럭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1 셀블럭신호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3 프리차지신호를 생성하는 프리차지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리차지 제어부는 상기 제1 셀블럭에 인접한 제2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제2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1 셀블럭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프리차지신호를 생성하는 제1 프리차지신호 생성부; 상기 제1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1 셀블럭에 인접한 제3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제3 셀블럭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프리차지신호를 생성하는 제2 프리차지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3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3 셀블럭에 인접한 제4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제4 셀블럭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3 프리차지신호를 생성하는 제3 프리차지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프리차지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2 셀블럭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디스에이블되는 제1 프리차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프리차지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2 셀블럭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논리부; 및 상기 논리부의 출력신호를 레벨시프팅하여 출력하는 레벨시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프리차지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3 셀블럭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디스에이블되는 제2 프리차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프리차지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3 셀블럭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논리부; 및 상기 논리부의 출력신호를 레벨시프팅하여 출력하는 레벨시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프리차지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3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4 셀블럭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디스에이블되는 제3 프리차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프리차지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3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4 셀블럭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논리부; 및 상기 논리부의 출력신호를 레벨시프팅하여 출력하는 레벨시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 비트라인은 상기 제1 셀블럭의 메모리셀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비트라인의 상보비트라인 및 상기 제3 비트라인은 상기 제3 셀블럭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프리차지부는 상기 제1 셀블럭의 비트라인 센스앰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는 상기 제1 프리차지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제1 프리차지소자에 전달하는 제1 인버터; 상기 제2 프리차지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프리차지부에 전달하는 제2 인버터; 및 상기 제3 프리차지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제2 프리차지소자에 전달하는 제3 인버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는 상기 제2 셀블럭에 인접한 제5 셀블럭에 포함되어, 제4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비트라인의 상보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3 프리차지소자; 상기 제2 셀블럭에 포함되어 제5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비트라인 및 상기 제1 비트라인의 상보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2 프리차지부; 상기 제2 셀블럭에 포함되어 제6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4 프리차지소자; 상기 제3 셀블럭에 포함되어 제7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비트라인의 상보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5 프리차지소자; 및 상기 제3 셀블럭에 포함되어 제8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3 프리차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4 내지 제8 프리차지신호는 상기 제1 셀블럭신호의 인에이블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4 비트라인이 형성된 매트; 제1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3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프리차지소자; 및 제2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및 제4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프리차지부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의 상세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n 프리차지 제어부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n 버퍼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n 업프리차지소자, 제n 비트라인 센스앰프 및 제n 다운프리차지소자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에 포함된 매트, 프리차지 소자 및 프리차지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리차지신호 생성부
10, 12, 14: 제1, 제n 및 제 i 셀프리차지신호 생성부
100, 104, 108, 112: 제n-2 내지 제n+1 프리차지 제어부
102, 106, 110: 제n-1 내지 제n+1 셀블럭신호 생성부
2: 셀프리차지부
20, 22, 24: 제1, 제n 및 제 i 셀프리차지부
200, 212, 224, 236: 제n-2 내지 제n+1 버퍼부
208, 220, 232: 제n-1 내지 제n+1 서브워드라인신호 생성부
202, 214, 226, 238: 제n-2 내지 제n+1 업프리차지소자
204, 216, 228, 240: 제n-2 내지 제n+1 비트라인 센스앰프
206, 218, 230, 242: 제n-2 내지 제n+1 다운프리차지소자
210, 222, 234: 제n-1 내지 제n+1 매트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는 셀프리차지신호 생성부(1) 및 셀프리차지부(2)로 구성된다.
셀프리차지신호 생성부(1)는 제1 내지 제i 셀프리차지신호 생성부(PRECHARGE SIGNAL GENERATING UNIT(1:i))로 구성되어, 액티브 명령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i 하이프리차지신호(CHB1-CHBi), 제1 내지 제i 중간프리차지신호(CMB1-CMBi) 및 제1 내지 제i 로우프리차지신호(CLB1-CLBi)를 생성한다.
셀프리차지부(2)는 제1 내지 제i 하이프리차지신호(CHB1-CHBi), 제1 내지 제i 중간프리차지신호(CMB1-CMBi) 및 제1 내지 제i 로우프리차지신호(CLB1-CLBi)를 입력받아 프리차지 되는 제1 내지 제i 셀블럭(CELL BLOCK(1:i))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되, 도2를 참고하여 제n 셀프리차지신호 생성부(12) 및 제n 셀블럭(22)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제 회로에서는 셀블럭들은 다수의 행과 열로 존재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로우(Row) 방향으로 3개, 컬럼(Column) 방향으로 1개로 단순화하여 설명한다.
제n 셀프리차지신호 생성부(12)는 제n 셀블럭신호 생성부(106) 및 제n 프리차지 제어부(108)로 구성된다. 제n 셀블럭신호 생성부(106)는 제n 셀블럭(22)에 대한 액티브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천이된 제n 셀블럭신호(Cn)를 생성한다. 제n 프리차지 제어부(108)는 제n-1 내지 제n+2 셀블럭신호(Cn-1, Cn, Cn+1, Cn+2)를 입력받아 제n 하이프리차지신호(CHn), 제n 중간프리차지신호(CMn) 및 제n 로우프리차지신호(CLn)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n-1 내지 제n+2 셀블럭신호(Cn-1, Cn, Cn+1, Cn+2)는 각각 제n-1 내지 제n+2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신호이다.
제n 프리차지 제어부(10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프리차지신호 생성부(1080, 1084, 1088)로 구성된다.
제1 프리차지신호 생성부(1080)는 제n-1 셀블럭신호(Cn-1) 및 제n 셀블럭신호(Cn)를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부(1081)와, 논리부(108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레벨시프팅하는 레벨시프터(1082) 및 레벨시프터(1082)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버퍼(1083)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프리차지신호 생성부(1080)는 제n-1 셀블럭신호(Cn-1) 또는 제n 셀블럭신호(Cn) 중 적어도 하나가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될 때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제n 하이프리차지신호(CHn)를 생성한다.
제2 프리차지신호 생성부(1084)는 제n 셀블럭신호(Cn) 및 제n+1 셀블럭신호(Cn+1)를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부(1085)와, 논리부(1085)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레벨시프팅하는 레벨시프터(1086) 및 레벨시프터(1086)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버퍼(1087)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 프리차지신호 생성부(1084)는 제n 셀블럭신호(Cn) 또는 제n+1 셀블럭신호(Cn+1) 중 적어도 하나가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될 때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제n 중간프리차지신호(CMn)를 생성한다.
제3 프리차지신호 생성부(1088)는 제n+1 셀블럭신호(Cn+1) 및 제n+2 셀블럭신호(Cn+2)를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부(1089)와, 논리부(1089)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레벨시프팅하는 레벨시프터(1090) 및 레벨시프터(1090)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버퍼(1091)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3 프리차지신호 생성부(1088)는 제n+1 셀블럭신호(Cn+1) 또는 제n+2 셀블럭신호(Cn+2) 중 적어도 하나가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될 때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제n 로우프리차지신호(CLn)를 생성한다.
제n 셀블럭(22)은 제n 서브워드라인 신호 생성부(220), 제n 매트(222), 제n 버퍼부(224), 제n 업프리차지소자(226), 제n 비트라인 센스앰프(228) 및 제n 다운프리차지소자(230)로 구성된다.
제n 서브워드라인 신호 생성부(220)는 제n 셀블럭(22)에 대한 액티브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워드라인신호(WL0~WLj)를 생성한다.
제n 매트(222)는 다수의 메모리셀이 형성된 영역으로 실제 다수의 비트라인이 위치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비트라인(BL0) 및 제2 비트라인(BL1)만 도시한다.
제n 버퍼부(224)는 도 4를 참고하면 제n 하이프리차지신호(CHn), 제n 중간프리차지신호(CMn) 및 제n 로우프리차지신호(CLn)를 입력받아 버퍼링하여 버퍼링된 제n 하이프리차지신호(CHBn), 제n 중간프리차지신호(CMBn) 및 제n 로우프리차지신호(CLBn)를 생성하는 인버터(IV30, IV31, IV32)로 구성된다.
제n 업프리차지소자(226), 제n 비트라인 센스앰프(228) 및 제n 다운프리차지소자(230)의 구성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제n 업프리차지소자(226)는 제1 비트라인(BL0)과 비트라인 프리차지전압(VBLP) 사이에 연결되어 제n 하이프리차지신호(CHBn)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NMOS 트랜지스터(N30)로 구성된다. 제1 비트라인(BL0)의 상보비트라인(BL0B)은 제n-1 매트(210) 상에 위치한다.
제n 비트라인 센스앰프(228)는 센스앰프 래치(2280)와 프리차지부(2282)로 구성된다. 프리차지부(2282)는 제2 비트라인(BL1)과 비트라인 프리차지전압(VBLP) 사이에 연결되어 제n 중간프리차지신호(CMBn)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NMOS 트랜지스터(N31) 및 제2 비트라인(BL1)의 상보비트라인(BL1B)과 비트라인 프리차지전압(VBLP) 사이에 연결되어 제n 중간프리차지신호(CMBn)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NMOS 트랜지스터(N32)로 구성된다. 프리차지부(2282)에 포함된 NMOS 트랜지스터(N31) 및 NMOS 트랜지스터(N32)가 하이레벨의 제n 중간프리차지신호(CMBn)에 의해 턴온되어 제2 비트라인(BL1) 및 제2 비트라인(BL1)의 상보비트라인(BL1B)에 비트라인 프리차지전압(VBLP)을 공급할 때 제n 비트라인 센스앰프(228)는 프리차지 상태에 있다고 정의한다. 여기서, 제2 비트라인(BL1)의 상보비트라인(BL1B)은 제n+1 매트(234) 상에 위치한다.
제n 다운프리차지소자(230)는 제3 비트라인(BL2)의 상보비트라인(BL2B)과 비트라인 프리차지전압(VBLP) 사이에 연결되어 제n 로우프리차지신호(CLBn)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NMOS 트랜지스터(N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3 비트라인(BL2)은 제n+2 매트(미도시) 상에 위치하고, 제3 비트라인(BL2)의 상보비트라인(BL2B)은 제n+1 매트(234) 상에 위치한다.
이상, 제n 셀프리차지신호 생성부(12) 및 제n 셀블럭(22)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도 2의 다른 구성들도 제n 셀프리차지신호 생성부(12) 및 제n 셀블럭(22)의 구성으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의 동작을 도2 내지 도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프리차지 상태에서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에 포함된 모든 셀블럭신호 생성부(CBSG(1:i))는 하이레벨의 제1 내지 제i 셀블럭신호(C1-Ci)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i 프리차지 제어부(PCU(1:i))는 로우레벨의 제1 내지 제i 하이프리차지신호(CH1-CHi), 제1 내지 제i 중간프리차지신호(CM1-CMi) 및 제1 내지 제i 로우프리차지신호(CL1-CLi)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i 버퍼부(BUFFER(1:i))에서 생성되는 버퍼링된 제1 내지 제i 하이프리차지신호(CHB1-CHBi), 제1 내지 제i 중간프리차지신호(CMB1-CMBi) 및 제1 내지 제i 로우프리차지신호(CLB1-CLBi)는 하이레벨이 되어 제1 내지 제i 업프리차지소자(UPDP(1:i)), 제1 내지 제i 비트라인 센스앰프(S/A(1:i)) 및 제1 내지 제i 다운프리차지소자(DNDP(1:i))에 포함된 모든 NMOS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셀프리차지부(2)에 포함된 모든 비트라인을 비트라인 프리차지전압(VBLP)으로 프리차지한다. 즉, 프리차지 상태에서 모든 비트라인은 프리차지전압(VBLP)으로 프리차지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은 프리차지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제n 셀블럭(22)에 대한 액티브 명령이 입력되면 제n 셀블럭신호 생성부(106)에서 생성되는 제n 셀블럭신호(Cn)는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천이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로우레벨의 제n 셀블럭신호(Cn)가 입력된 제n 프리차지 제어부(108)는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되는 제n 하이프리차지신호(CHn), 제n 중간프리차지신호(CMn)를 생성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로우레벨의 제n 셀블럭신호(Cn)에 의해 논리부(1081) 및 논리부(1085)는 로우레벨을 출력하고, 이에 따라 NMOS 트랜지스터(N20, N22) 및 PMOS 트랜지스터(P21, P23)가 턴온되어 제n 하이프리차지신호(CHn), 제n 중간프리차지신호(CMn)를 하이레벨로 천이시킨다. 이때, 레벨시프터(1082, 1086, 109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높은 레벨의 전원전압(HVDD)레벨로 레벨시프팅된 신호이다.
하이레벨로 천이된 제n 하이프리차지신호(CHn), 제n 중간프리차지신호(CMn)는 도 4에 도시된 제n 버퍼부(224)를 통해 버퍼링되어 제n 업프리차지소자(226) 및 제n 비트라인 센스앰프(228)의 프리차지 상태를 해제시킨다. 도 5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n 버퍼부(224)를 통해 버퍼링된 제n 하이프리차지신호(CHBn), 제n 중간프리차지신호(CMBn)는 로우레벨이 되어 NMOS 트랜지스터(N30, N31, N32)를 턴오프시키므로 제1 비트라인(BL0), 제2 비트라인(BL1) 및 제2 비트라인(BL1)의 상보비트라인(BL1B)에 공급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전압(VBLP)을 차단한다.
또한, 로우레벨의 제n 셀블럭신호(Cn)를 입력받은 제n-2 프리차지 제어부(100)는 하이레벨로 천이된 제n-2 로우프리차지신호(CLn-2)를 생성한다. 하이레벨로 천이된 제n-2 로우프리차지신호(CLn-2)는 제n-2 버퍼부(200)를 통해 버퍼링되어 제n-2 다운프리차지소자(206)의 프리차지 상태를 해제시킨다. 따라서, 제1 비트라인(BL0)의 상보비트라인(BL0B)에 공급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전압(VBLP)이 차단된다.
또한, 로우레벨의 제n 셀블럭신호(Cn)를 입력받은 제n-1 프리차지 제어부(104)는 하이레벨로 천이된 제n-1 중간프리차지신호(CMn-1) 및 제n-1 로우프리차지신호(CLn-1)를 생성한다. 하이레벨로 천이된 제n-1 중간프리차지신호(CMn-1) 및 제n-1 로우프리차지신호(CLn-1)는 제n-1 버퍼부(212)를 통해 버퍼링되어 제n-1 비트라인 센스앰프(216) 및 제n-1 다운프리차지소자(218)의 프리차지 상태를 해제시킨다. 따라서, 제1 비트라인(BL0), 제1 비트라인(BL0)의 상보비트라인(BL0B) 및 제2 비트라인(BL1)에 공급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전압(VBLP)이 차단된다.
또한, 로우레벨의 제n 셀블럭신호(Cn)를 입력받은 제n+1 프리차지 제어부(112)는 하이레벨로 천이된 제n+1 하이프리차지신호(CHn+1)를 생성한다. 하이레벨로 천이된 제n+1 하이프리차지신호(CHn+1)는 제n+1 버퍼부(236)를 통해 버퍼링되어 제n+1 업프리차지소자(238)의 프리차지 상태를 해제시킨다. 따라서, 제2 비트라인(BL1)의 상보비트라인(BL1B)에 공급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전압(VBLP)이 차단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도 6을 참고하여 정리하면 제n 셀블럭신호(Cn)는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천이하고, 로우레벨의 제n 셀블럭신호(Cn)에 의해 버퍼링된 제n-2 로우프리차지신호(CLBn-2), 제n-1 중간프리차지신호(CMBn-1), 제n-1 로우프리차지신호(CLBn-1), 제n 하이프리차지신호(CHBn), 제n 중간프리차지신호(CMBn) 및 제n+1 하이프리차지신호(CHBn+1)은 로우레벨로 천이된다. 따라서, 제n 매트(222) 상에 형성된 제1 비트라인(BL0) 및 제2 비트라인(BL1)의 프리차지 상태가 해제된다. 아울러, 제n-1 매트(210) 상에 형성된 제1 비트라인(BL0)의 상보비트라인(BL0B)와 제n+1 매트(234) 상에 형성된 제2 비트라인(BL1)의 상보비트라인(BL1B)의 프리차지 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리차지소자는 비트라인 센스앰프와 함께 업프리차지소자 및 다운프리차지소자로 구성된 프리차지 소자를 부가시켜 비트라인 프리차지 동작을 수행하므로, 비트라인 센스앰프에 포함된 프리차지 소자에 의해 비트라인을 프리차지시키는 종래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에 비해 비트라인 프리차지 특성이 향상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에 포함된 매트, 프리차지 소자 및 프리차지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30) 상에 형성된 제1 비트라인(BL0) 및 제3 비트라인(BL2)은 프리차지소자(32)에 연결되고, 제2 비트라인(BL1) 및 제4 비트라인(BL3)은 비트라인 센스앰프에 포함된 프리차지부(34)에 연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매트(30) 상에는 프리차지소자(32) 및 프리차지부(34)에 연결되는 다수의 비트라인이 형성된다.
프리차지소자(32)는 하이프리차지신호(CHB)에 응답하여 제1 비트라인(BL0) 및 제3 비트라인(BL2)을 프리차지하고, 프리차지부(34)는 중간프리차지신호(CMB)에 응답하여 제2 비트라인(BL1) 및 제4 비트라인(BL3)을 프리차지한다. 하이프리차지신호(CHB)는 매트(30)를 포함하는 셀블럭 또는 셀블럭에 인접한 제1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에이블되며, 중간프리차지신호(CMB)는 매트(30)를 포함하는 셀블럭 또는 셀블럭에 인접한 제2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에이블된다.

Claims (26)

  1. 제1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제1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1 프리차지소자;
    제2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제2 및 제3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프리차지부; 및
    제3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제4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2 프리차지소자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차지신호는 제1 셀블럭 및 상기 제1 셀블럭에 인접한 제2 셀블럭 중 적어도 하나의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에이블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리차지신호는 상기 제1 셀블럭 및 제1 셀블럭에 인접한 제3 셀블럭 중 적어도 하나의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에이블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리차지신호는 상기 제3 셀블럭 및 상기 제3 셀블럭에 인접한 제4 셀블럭 중 적어도 하나의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에이블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비트라인은 상기 제1 셀블럭의 메모리셀상에 형성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비트라인은 상기 제3 셀블럭의 메모리셀 상에 형성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부는 상기 제1 셀블럭의 비트라인 센스앰프에 포함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8. 제1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3 프리차지신호를 생성하는 셀프리차지신호 생성부;
    상기 제1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제1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1 프리차지소자;
    상기 제2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제2 비트라인 및 상기 제2 비트라인의 상보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1 프리차지부; 및
    상기 제3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제3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2 프리차지소자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리차지신호 생성부는
    상기 액티브 명령에 응답하여 제1 셀블럭신호를 생성하는 셀블럭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1 셀블럭신호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3 프리차지신호를 생성하는 프리차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 제어부는
    상기 제1 셀블럭에 인접한 제2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제2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1 셀블럭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프리차지신호를 생성하는 제1 프리차지신호 생성부;
    상기 제1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1 셀블럭에 인접한 제3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제3 셀블럭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프리차지신호를 생성하는 제2 프리차지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3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3 셀블럭에 인접한 제4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제4 셀블럭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3 프리차지신호를 생성하는 제3 프리차지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차지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2 셀블럭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디스에이블되는 제1 프리차지신호를 생성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차지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2 셀블럭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논리부; 및
    상기 논리부의 출력신호를 레벨시프팅하여 출력하는 레벨시프터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리차지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3 셀블럭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디스에이블되는 제2 프리차지신호를 생성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리차지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3 셀블럭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논리부; 및
    상기 논리부의 출력신호를 레벨시프팅하여 출력하는 레벨시프터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리차지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3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4 셀블럭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디스에이블되는 제3 프리차지신호를 생성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리차지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3 셀블럭신호 및 상기 제4 셀블럭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논리부; 및
    상기 논리부의 출력신호를 레벨시프팅하여 출력하는 레벨시프터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비트라인은 상기 제1 셀블럭의 메모리셀 상에 형성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트라인의 상보비트라인 및 상기 제3 비트라인은 상기 제3 셀블럭 상에 형성된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1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차지부는 상기 제1 셀블럭의 비트라인 센스앰프에 포함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2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차지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제1 프리차지소자에 전달하는 제1 인버터;
    상기 제2 프리차지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제1 프리차지부에 전달하는 제2 인버터; 및
    상기 제3 프리차지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제2 프리차지소자에 전달하는 제3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2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블럭에 인접한 제5 셀블럭에 포함되어, 제4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비트라인의 상보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3 프리차지소자;
    상기 제2 셀블럭에 포함되어 제5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비트라인 및 상기 제1 비트라인의 상보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2 프리차지부;
    상기 제2 셀블럭에 포함되어 제6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4 프리차지소자;
    상기 제3 셀블럭에 포함되어 제7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비트라인의 상보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5 프리차지소자; 및
    상기 제3 셀블럭에 포함되어 제8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제3 프리차지부를 더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내지 제8 프리차지신호는 상기 제1 셀블럭신호의 인에이블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23. 제1 내지 제4 비트라인이 형성된 매트;
    제1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3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프리차지소자; 및
    제2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및 제4 비트라인을 프리차지하는 프리차지부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차지신호는 상기 매트를 포함하는 제1 셀블럭 및 상기 제1 셀블럭에 인접한 제2 셀블럭 중 적어도 하나의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에이블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리차지신호는 상기 제1 셀블럭 및 상기 제1 셀블럭에 인접한 제3 셀블럭 중 적어도 하나의 셀블럭에 대한 액티브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에이블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부는 상기 매트를 포함하는 제1 셀블럭의 비트라인 센스앰프에 포함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KR1020080026606A 2008-03-21 2008-03-21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KR100919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606A KR100919812B1 (ko) 2008-03-21 2008-03-21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US12/215,800 US7729187B2 (en) 2008-03-21 2008-06-30 Bit line precharge circuit having precharge elements outside sense amplifier
TW097128590A TWI379308B (en) 2008-03-21 2008-07-29 Bit line precharge circuit having precharge elements outside sense amplifier
JP2008301592A JP2009230848A (ja) 2008-03-21 2008-11-26 ビットラインプリチャージ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606A KR100919812B1 (ko) 2008-03-21 2008-03-21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014A KR20090101014A (ko) 2009-09-24
KR100919812B1 true KR100919812B1 (ko) 2009-10-01

Family

ID=4108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606A KR100919812B1 (ko) 2008-03-21 2008-03-21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29187B2 (ko)
JP (1) JP2009230848A (ko)
KR (1) KR100919812B1 (ko)
TW (1) TWI3793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4918B2 (en) * 2010-09-23 2012-05-08 Apple Inc. Passgate for dynamic circuitry
US8339884B2 (en) 2011-01-14 2012-12-2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Inc. Low power and high speed sense amplifier
US10373665B2 (en) 2016-03-10 2019-08-06 Micron Technology, Inc. Parallel access techniques within memory sections through section independe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462A (ko) * 2001-09-18 2003-03-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30086679A (ko) * 2002-05-06 2003-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프리차지 방법
KR100429889B1 (ko) * 2002-07-18 200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접지선과 비트선을 별개로 프리차지시키는 롬집적회로 장치
KR20070035940A (ko) * 2005-09-28 2007-04-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프리차지(Pre-Chare)를제어하는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6385A (en) 1994-06-07 1995-06-20 National Science Council Double positive feedback loop precharge CMOS single-ended sense amplifier
JP3609512B2 (ja) * 1994-12-15 2005-01-12 株式会社東芝 演算器
JPH09288888A (ja) * 1996-04-22 1997-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100772686B1 (ko) * 2004-10-30 2007-11-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저전압용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673898B1 (ko) * 2004-10-30 2007-01-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저 전압용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685532B1 (ko) * 2005-03-15 2007-0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독출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버퍼 메모리를 갖는 불휘발성메모리 장치
KR100604946B1 (ko) * 2005-08-08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비트라인 제어방법
KR100838363B1 (ko) * 2005-10-20 2008-06-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센스앰프 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462A (ko) * 2001-09-18 2003-03-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30086679A (ko) * 2002-05-06 2003-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프리차지 방법
KR100429889B1 (ko) * 2002-07-18 200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접지선과 비트선을 별개로 프리차지시키는 롬집적회로 장치
KR20070035940A (ko) * 2005-09-28 2007-04-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프리차지(Pre-Chare)를제어하는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79308B (en) 2012-12-11
US20090238019A1 (en) 2009-09-24
US7729187B2 (en) 2010-06-01
TW200941494A (en) 2009-10-01
KR20090101014A (ko) 2009-09-24
JP2009230848A (ja)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405B1 (ko) 계층구조의 데이터 입출력 라인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및 그 프리차지방법
US742086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ata read and write method thereof
KR100571648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오버 드라이버 제어신호 생성회로
KR2010013423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883077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8130153A (ja) ダイナミック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20160124582A (ko) 센스앰프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0847314B1 (ko) 메모리 장치 및 메모리 장치의 프리차지 방법
KR100881197B1 (ko) 프리차지 시간을 감소시키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60494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비트라인 제어방법
KR20040100714A (ko) 감지증폭수단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감지증폭수단을 오버드라이브 하는 방법
US766017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821325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744657B1 (ko) 공유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구조를 가진 반도체 메모리 소자및 그 구동방법
KR100919812B1 (ko)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KR20010001739A (ko) 반도체 메모리의 비트 라인 균등화 신호 제어회로
US901391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10009808A (ko) 입출력 라인쌍 등화회로 및 이를 구비한 메모리 장치
KR2011002548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780633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오버 드라이버 제어신호 생성회로
KR100862314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US20090219768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shared bit line sense amplifier sche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668842B1 (ko)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 회로
KR10069101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용 로컬입출력라인 프리차지 제어회로및 그 제어방법
KR100780641B1 (ko) 이중 오버 드라이버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