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489B1 -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489B1
KR100919489B1 KR1020070135041A KR20070135041A KR100919489B1 KR 100919489 B1 KR100919489 B1 KR 100919489B1 KR 1020070135041 A KR1020070135041 A KR 1020070135041A KR 20070135041 A KR20070135041 A KR 20070135041A KR 100919489 B1 KR100919489 B1 KR 100919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aggregate
container
stirr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3001A (ko
Inventor
나남열
Original Assignee
삼서공업 주식회사
삼서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서공업 주식회사, 삼서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서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2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12Supplying or proportioning liquid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4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the plant being mobile, e.g. mounted on a carriage or a set of carria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아스팔트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혼합함에 있어 정해진 혼합비율로 정확하게 혼합하고, 아스팔트콘크리트의 재료인 표층용 골재를 미리 예열하여 아스팔트용액과의 원활한 혼합은 물론 혼합성을 증진시키며, 혼합되는 아스팔트용액을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원활한 보수작업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한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의 구조는, 프리 코팅되어 일정량 단위로 포장된 골재를 설정된 온도로 예열하면서 보관하는 골재보관함과; 상기 골재보관함의 일측에 설치되어 아스팔트용액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결합재가열용기와; 공간이 형성되게 내,외벽으로 구성하면서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어 아스팔트용액과 골재를 혼합 교반한 뒤 배출되게 하는 교반용기와; 결합재가열용기내의 아스팔트용액을 일정량 단위로 유입하여 교반용기로 분사되게 하는 아스팔트용액공급부와; 골재보관함, 결합재가열용기 및 교반용기를 각각 가열하여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게 하는 가열부와; 교반용기내에 교반날개를 설치하여 아스팔트용액과 골재가 교반되도록 구동시켜 주는 교반구동부와; 상기 가열부의 가열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열이 전도되도록 상기 골재보관함과 결합재가열용기의 내부 바닥면에 각각 설치된 간접열판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Vehicle with asphalt concrete stirring device}
본 발명은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아스팔트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혼합함에 있어 정해진 혼합비율로 정확하게 혼합하고, 아스팔트콘크리트의 재료인 표층용 골재를 미리 예열하여 아스팔트용액과의 원활한 혼합은 물론 혼합성을 증진시키며, 혼합되는 아스팔트용액을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원활한 보수작업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한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및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의 패인부분 즉, 각종 공사 후 복구 등의 방법에 대해서는 복구범위와 파손의 크기, 상태를 고려해서 기존의 도로상태대로 원상복구를 해야 한다.
또한, 차도 및 보도 등의 긴급 및 응급보수시 수분 내에 처리하여 긴급 복구 후 즉시 차량 및 사람의 통행을 하도록 하여야 된다.
그런데 종래의 보수재료는 고온 아스팔트와 시멘트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있다.
아스팔트는 석유 속에 들어 있는 고체 또는 반고체의 탄화수소를 주원료로 하는데, 아스팔트용액을 쇄석(碎石)이나 모래, 돌가루 등 골재에 혼합하여 다지면 단단하고 끈질기게 되는 성질이 있다. 또한, 아스팔트는 가소성, 방수성,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며 화학적으로도 안정화된 특징이 있기 때문에 도로포장재료로써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아스팔트는 온도변화 특성에 매우 민감하다. 즉, 혼합 온도를 135℃이상 유지한 상태에서 보수 시공시에는 125℃이상 유지를 준수하여야 하며, 보수시공시 기후의 조건 즉, 대기온도 영상 10℃이상과 눈, 비 등의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아스팔트는 고온에서 액화되고 저온에서 쉽게 경화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이 아스팔트를 도로포장에 사용하는 경우, 먼저 아스팔트를 고온에서 녹여서 사용해야만 한다.
그러나 도로의 보수는 국부적으로써 소량임에도 불구하고 한번 운반되는 고온 아스팔트는 대량으로 이동하고 있는 실정으로 그 손실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아스팔트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현장에서 버너가 장착된 큰 탱크 안에 아스팔트 용액을 가열하여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킨 후, 이것을 골재와 교반하여 혼합된 아스팔트콘크리트를 원하는 장소에 도포하는 작업이 실시되고 있었다.
이러한 경우, 아스팔트용액을 작업자가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야 되고, 또한 쇄석, 모래, 돌가루 등과 교반하는 작업도 수작업으로 일일이 하여야 되므로 노동력의 사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의 저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게다가 동절기에 골재는 냉각된 상태이므로 고온의 아스팔트와 혼합되어 포장하기 좋은 설정된 온도까지 교반하는 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자의 피로감이 누적됨은 물론 혼합된 아스팔트를 작업자가 일일이 퍼내어 운반하여야 되므로 작업능률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시멘트 콘크리트 보수시공은 충격에도 약하여 쉽게 균열이 일어나서 파손이 많으며, 또한 동절기에는 양생이 되기 전에 보수된 도로가 얼어서 시공 후 균열이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수된 도로가 굳어질 때까지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교통 관계자 및 보수관계자로 하여금 항시 주의를 갖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온 아스팔트의 시공에 따르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차량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교반 및 배출시켜 보수시공하도록 하는 등록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412664호)이 제안되어 있다.
즉, 선등록된 이동용 아스팔트 교반장치는, 차량의 소정부위에 안착 되고, 내부에는 아스팔트가 수용되며, 내벽과 외벽사이에는 나선형의 유로가 형성된 교반 몸통부와; 교반 몸통부에 수용된 아스팔트가 교반되도록, 교반 몸통부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교반날개와; 교반날개가 회동하도록 교반 몸통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유닛과; 교반 몸통부 하측에 구비되어, 아스팔트가 용해될 수 있도록 열을 공급하는 가열유닛; 및 교반 몸통부 일측에 구비되어, 교반된 아스팔트를 외부로 배출하는 아스팔트 배출로를 구비한 것으로, 이는 이동하는 차량에 아스팔트 교반장치가 탑재됨으로써, 교반된 아스팔트를 원하는 위치에서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용 아스팔트 교반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아스팔트의 교반시 아스팔트용액과 골재의 혼합비율을 맞추지 않을 경우, 예컨데 아스팔트용액이 부족한 경우 점착력이 떨어져 도로보수 후 이탈되거나 균열되며, 아스팔트용액이 지나친 경우 너무 지나친 점착력에 의하여 시공 후 굳는 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통행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묻어나서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므로 흙이나 모래를 뿌려야만 되는 데, 제안된 이동용 아스팔트 교반장치의 경우 아스팔트용액과 골재의 혼합비율을 작업자의 눈짐작으로 혼합하고 있어 상술한 문제점이 야기되었고,
둘째, 고체 또는 반고체의 탄화수소를 가열하여 아스팔트용액이 되도록 하는 데 있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적당량의 고체 또는 반고체의 탄화수소를 가열용기 즉, 교반몸통부에 퍼 넣어야 되는 작업상의 문제점과, 아스팔트의 재료인 골재도 작업자가 일일이 퍼 넣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셋째, 상온을 유지하고 있는 봄, 여름, 가을에는 교반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지만, 동절기에는 골재가 영하의 온도로 냉각된 상태이므로 고온으로 가열된 아스팔트용액과의 혼합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아스팔트용액의 온도에 의하여 골재에 열전도되어 아스팔트용액의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현장에서의 보수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넷째, 골재는 기층용 골재와 표층용 골재로 분리되어 항상 기층용 골재를 투입하여 포장한 뒤 표층용 골재를 마무리 포장을 하도록 되어 있는데, 기층용 골재와 표층용 골재의 혼합을 위한 별개의 교반장치가 각각 필요하게 되어 작업현장의 여건에 따른 각 교반장치 설치의 어려움과, 항상 같이 이동하여야 되는 부가적인 비용 이중 지출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스팔트를 현장에서 혼합함에 있어 정해진 혼합비율로 정확하게 혼합하고, 아스팔트의 재료인 표층용 골재를 미리 예열하여 아스팔트용액과의 원활한 혼합은 물론 혼합성능을 증진시키며, 혼합되는 아스팔트용액을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원활한 보수작업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자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의 구조는, 프리 코팅되어 일정량 단위로 포장된 골재를 아스팔트용액과 교반하기 적당한 설정된 온도로 예열하면서 보관하는 골재보관함과; 상기 골재보관함의 일측에 설치되어 아스팔트용액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결합재가열용기와; 공간이 형성되게 내,외벽으로 구성하면서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어 아스팔트용액과 골재를 혼합 교반한 뒤 배출되게 하는 교반용기와; 결합재가열용기내의 아스팔트용액을 일정량 단위로 유입하여 교반용기로 분사되게 하는 아스팔트용액공급부와; 골재보관함, 결합재가열용기 및 교반용기를 각각 가열하여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게 하는 가열부와; 교반용기내에 교반날개를 설치하여 아스팔트용액과 골재가 교반되도록 구동시켜 주는 교반구동부와; 상기 가열부의 가열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열이 전도되도록 상기 골재보관함과 결합재가열용기의 내부 바닥면에 각각 설치된 간접열판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이다.
상기 골재보관함은 불연성보온판넬로 제작하여 내,외부간의 열교환을 방지하도록 하며, 골재의 보온을 위해 실내온도가 50-80°C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재가열용기는 골재보관함과 일체형으로 형성하면서 기층용 및 표층용 아스팔트용액을 설정된 온도로 각각 가열하도록 기층용 및 표층용가열용기로 분리되며, 필요에 따라서 예컨데 봄, 여름, 가을 등 외부의 온도가 상온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표층용 가열용기만 사용하거나 또는 표층용 가열용기만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재가열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금속재의 외부용기에 불연성 보온 판넬의 내화재가 배치되어 있고, 내부 바닥면에는 아스팔트용액이 110-150°C로 유지되도록 간접열판을 설치하여 가열부에 의하여 가열되며, 이는 골재표면과 접착력을 증진시켜 혼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동시에 교반용기내로 분사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알 맞는 온도이기 때문이다.
상기 아스팔트용액공급부는 결합재가열용기의 바닥면과 연결되어 일방향으로만 아스팔트용액을 유도되게 하는 첵크밸브와,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축봉의 출몰시 첵크밸브를 개폐시키면서 피스톤의 행정거리만큼 일정량의 아스팔트용액을 유입 및 배출시키도록 하는 유압출입부와, 유압출입부에 의하여 배출되는 아스팔트용액을 교반용기 내로 분사시켜 아스팔트용액과 골재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분사노즐로 구성한다.
상기 유압출입부는 실린더몸체 내에서 유압에 의하여 출몰되는 축봉과, 실린더몸체의 선단에 일체로 조립되어 일정량의 아스팔트용액이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용액출입몸체와, 상기 축봉의 선단에 일체로 조립되어 용액출입몸체 내를 왕복 직선운동하면서 아스팔트용액을 유입 및 배출시키도록 하는 피스톤으로 구성한다.
상기 교반용기는 가열부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어 아스팔트용액과 골재를 혼합 교반한 뒤 배출되게 하며, 또한 기층용 및 표층용 골재를 각각 별도로 교반하도록 기층용 및 표층용 교반용기로 분리한다.
상기 표층용 교반용기는 외부에 불연성 보온 판넬의 내화재를 배치하여 혼합 교반되어 배출되는 아스팔트가 50-80°C의 저온으로 유지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각 골재보관함, 결합재가열용기 및 교반용기에는 각각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게 가열부를 제어하도록 제어부에 연결된다.
상기 가열부는 가스버너를 사용하며, 각 골재보관함, 결합재가열용기 및 교반용기를 각각 가열하도록 각각 별개로 설치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점화 및 소화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는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차량에 탑재하여 사용하거나 운반 후 별도의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첫째, 아스팔트의 교반시 단위량으로 포장된 기층용 및 표층용 골재와 일정량씩 배출되는 아스팔트용액의 혼합비율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가 있어 도로 보수작업의 편리함과 신속성을 도모할 수가 있고,
둘째, 고온으로 가열된 아스팔트용액을 반자동으로 공급(분사)하여 기층용 및 표층용 골재와 혼합 교반하도록 되어 있어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가 있으며, 또한 골재도 단위량만큼 포장되어 있어 운반하기 편리하고,
셋째, 고온의 아스팔트용액과 혼합하기 용이하도록 접착력의 증대를 위해 기층용 및 표층용 골재를 단위량별로 포장하여 설정된 온도로 유지 보관하여 줄 수가 있어 혼합된 아스팔트를 생산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어 현장에서의 보수작업을 단시간에 이룰 수가 있으며,
넷째, 기층용 골재와 표층용 골재의 혼합을 하나의 일체형 교반장치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현장의 여건에 따른 각 교반장치 설치의 편리함과, 부가적인 비용 절감 등의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를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골재보관함 20;결합재가열용기
30;교반용기 40;아스팔트용액공급부
41;첵크밸브 42;유압출입부
43;분사노즐 421;실린더몸체
422;축봉 423;용액출입몸체
424;피스톤 50;가열부
60;교반구동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는, 골재보관함(10), 결합재가열용기(20), 교반용기(30), 아스팔트용액공급부(40), 가열부(50), 교반구동부(60), 간접열판(11)으로 구성된다.
상기 골재보관함(10)은 프리 코팅되어 일정량 단위로 포장된 표층용 골재를 아스팔트용액과 교반하기 적당한 설정된 온도로 예열하면서 보관하는 것으로, 상기 골재보관함(10)은 불연성보온판넬로 제작하여 내,외부간의 열교환을 방지하도록 하며, 내부 바닥면에 간접열판(11)을 설치하여 골재의 보온을 위해 실내온도가 50-80°C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일정량 단위로 포장된 표층용 프리 코팅 골재는 쇄석, 돌가루에 아스팔트용액을 공장에서 미리 혼합하여 코팅하는 것으로, 이는 도로 보수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고 현장에서 설정된 비율로 혼합 교반시 먼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혼합한 것을 말하며, 도로에 직접적으로 포장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골재보관함(10)은 프리 코팅되어 일정량 단위로 포장된 표층용골재를 아스팔트용액과 교반하기 적당한 설정된 온도로 예열하면서 보관하도록 하며, 기층용골재는 굵은 골재 최대 13mm의 쇄석과 골재 최대 8mm의 선별모래를 중량비 40:60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고, 표층용골재는 최대 8mm의 선별골재를 사용한다.
상기 결합재가열용기(20)는 상기 골재보관함(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아스팔트용액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재가열용기(20)는 골재보관함(10)과 일체형으로 형성하면서 기층용 및 표층용 아스팔트용액을 설정된 온도로 각각 가열하도록 기층용 및 표층용 가열용기(20a)(20b)로 분리되며, 필요에 따라서 예컨데 봄, 여름, 가을 등 외부의 온도가 상온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표층용 가열용기만 사용하거나 또는 표층용 가열용기만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표층용 결합재가열용기(20b)는 상부가 개방된 금속재의 외부용기에 불연성 보온 판넬의 내화재(22)가 배치되어 있고, 내부 바닥면에는 간접열판(21)이 배열되어 아스팔트용액이 110-150°C로 유지되도록 가열한다.
상기 교반용기(30)는 가열부(50)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어 아스팔트용액과 골재를 혼합 교반한 뒤 배출되게 하며, 또한 기층용 및 표층용 골재를 각각 별도로 교반하도록 기층용 및 표층용 교반용기(30a)(30b)로 분리한다.
상기 표층용 교반용기(30)는 외부에 불연성 보온 판넬의 내화재(32)를 배치하여 혼합 교반되어 배출되는 아스팔트가 50-80°C의 저온으로 유지되게 한다.
이는 아스팔트가 45°C이하로 되는 경우 작업성이 떨어져서 도로 보수작업을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교반용기(30)의 하부에는 혼합된 아스팔트가 배출되도록 배출구(31)를 형성하여 필요시 수동 또는 반자동으로 개폐되게 하는 것으로, 그 개폐수단은 슬라이드 또는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 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아스팔트용액공급부(40)는 기층용 및 표층용 결합재가열용기(20a)(20b)의 아스팔트용액을 각 기층용 및 표층용 교반용기(30a)(30b)로 공급되도록 각각 별개로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를 받도록 한다.
상기 아스팔트용액공급부(40)는 결합재가열용기(20)의 바닥면과 연결되어 일방향으로만 아스팔트용액을 유도되게 하는 첵크밸브(41)와,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축봉의 출몰시 첵크밸브(41)를 개폐시키면서 피스톤의 행정거리만큼 일정량의 아스팔트용액을 유입 및 배출시키도록 하는 유압출입부(42)와, 유압출입부(42)에 의하여 배출되는 아스팔트용액을 교반용기(30) 내로 분사시켜 아스팔트용액과 골재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분사노즐(43)로 구성한다.
상기 유압출입부(42)는 실린더몸체(421) 내에서 유압에 의하여 출몰되는 축봉(422)과, 실린더몸체(421)의 선단에 일체로 조립되어 일정량의 아스팔트용액이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용액출입몸체(423)와, 상기 축봉(422)의 선단에 일체로 조립되어 용액출입몸체(423) 내를 왕복 직선운동하면서 아스팔트용액을 유입 및 배출시키도록 하는 피스톤(424)으로 구성한다.
상기 실린더몸체(421)는 작업자의 수동에 의하여 구동되는 반자동 유압구동부에 의하여 작동되며, 이는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서 작동된다.
상기 아스팔트용액공급부(40), 첵크밸브(41) 및 유압출입몸체(423)는 상호 유입관(44)과 유출관(45)으로 연결되며, 유압출입몸체(423)와 분사노즐(43)은 분사관(46)으로 연결한다.
상기 첵크밸브(41)는 아스팔트용액이 교반용기(30)로 배출될 때 역방향 즉, 결합재가열용기(20)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며, 이와 반대로 유압출입몸체(423)내로 아스팔트용액을 유입시키고자 피스톤(424)이 도면상 하강하게 되면 흡입력에 의하여 첵크밸브(41)가 열려서 결합재가열용기(20) 내의 아스팔트용액을 유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용액출입몸체(423)를 통해서 1회 배출되는 아스팔트용액의 양을 기준으로 골재와의 혼합비율을 조절하는 것으로, 예컨데 포장된 골재 한포대에 아스팔트용액의 배출량이 2회라고 가정한다면 그 골재 포대수량에 따라서 배출되는 아스팔트용액의 배출횟수를 결정하면 되므로 아스팔트용액과 골재의 혼합비율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가열부(50)는 가스버너를 사용하며, 골재보관함(10), 결합재가열용기(20) 및 교반용기(30)를 각각 가열하도록 각각 별개로 설치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점화 및 소화되도록 한다.
상기 교반구동부(60)는 교반용기(30)내에 설치되는 교반날개(61)와, 전원의 공급시 구동되는 구동모타(62)와, 교반날개(61)와 구동모타(62)를 연결하여 아스팔트용액과 골재가 교반되도록 하는 벨트(63)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각 골재보관함(10), 결합재가열용기(20) 및 교반용기(30)에는 각각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들은 모두 제어부에 연결되어 온도의 감지와 각 가열부(50)의 점화 또는 소화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스팔트의 교반시 단위량으로 포장된 기층용 및 표층용 골재와 일정량씩 배출되는 아스팔트용액의 혼합비율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가 있어 도로 보수작업의 편리함과 신속성을 도모할 수가 있고, 고온으로 가열된 아스팔트용액을 반자동으로 공급(분사)하여 기층용 및 표층용 골재와 혼합 교반하도록 되어 있어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가 있으며, 고온의 아스팔트용액과 혼합하기 용이하도록 접착력의 증대를 위해 기층용 및 표층용 골재를 단위량 별로 포장하여 설정된 온도로 유지 보관하여 줄 수가 있어 혼합된 아스팔트를 생산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어 현장에서의 보수작업을 단시간에 이룰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기층용 골재와 표층용 골재의 혼합을 하나의 일체형 교반장치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작업현장의 여건에 따른 각 교반장치 설치의 편리함과, 부가적인 비용 절감 등의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프리 코팅되어 일정량 단위로 포장된 골재를 아스팔트용액과 교반하기 적당한 설정된 온도로 예열하면서 보관하는 골재보관함과; 상기 골재보관함의 일측에 설치되어 아스팔트용액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결합재가열용기와; 공간이 형성되게 내,외벽으로 구성하면서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어 아스팔트용액과 골재를 혼합 교반한 뒤 배출되게 하는 교반용기와; 결합재가열용기내의 아스팔트용액을 일정량 단위로 유입하여 교반용기로 분사되게 하는 아스팔트용액공급부와; 골재보관함, 결합재가열용기 및 교반용기를 각각 가열하여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게 하는 가열부와; 교반용기내에 교반날개를 설치하여 아스팔트용액과 골재가 교반되도록 구동시켜 주는 교반구동부와; 상기 가열부의 가열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열이 전도되도록 상기 골재보관함과 결합재가열용기의 내부 바닥면에 각각 설치된 간접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
  2. 삭제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가열용기는 골재보관함과 일체형으로 형성하면서 기층용 및 표층용 아스팔트용액을 설정된 온도로 각각 가열하도록 기층용 및 표층용가열용기로 분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용액공급부는 결합재가열용기의 바닥면과 연결되어 일방향으로만 아스팔트용액을 유도되게 하는 첵크밸브와,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축봉의 출몰시 첵크밸브를 개폐시키면서 피스톤의 행정거리만큼 일정량의 아스팔트용액을 유입 및 배출시키도록 하는 유압출입부와, 유압출입부에 의하여 배출되는 아스팔트용액을 교반용기 내로 분사시켜 아스팔트용액과 골재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분사노즐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압출입부는 실린더몸체 내에서 유압에 의하여 출몰되는 축봉과, 실린더몸체의 선단에 일체로 조립되어 일정량의 아스팔트용액이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용액출입몸체와, 상기 축봉의 선단에 일체로 조립되어 용액출입몸체 내를 왕복 직선운동하면서 아스팔트용액을 유입 및 배출시키도록 하는 피스톤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용기는 기층용 및 표층용 골재를 각각 별도로 교반하도록 기층용 및 표층용 교반용기로 분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골재보관함, 표층용 결합재가열용기 및 표층용 교반용기는 외부에 불연성 보온 판넬의 내화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각 골재보관함, 결합재가열용기 및 교반용기에는 각각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게 가열부를 제어하도록 제어부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각 골재보관함, 결합재가열용기 및 교반용기를 각각 가열하도록 각각 가스버너를 별개로 설치하여 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점화 및 소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는 차량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
KR1020070135041A 2007-08-29 2007-12-21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 KR100919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296 2007-08-29
KR20070014296 2007-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001A KR20090023001A (ko) 2009-03-04
KR100919489B1 true KR100919489B1 (ko) 2009-09-28

Family

ID=4069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041A KR100919489B1 (ko) 2007-08-29 2007-12-21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4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459B1 (ko) 2012-10-23 2013-08-29 황익현 직간접 가열방식 혼합믹서 및 이를 이용한 현장가열 아스팔트 표층 재생 시스템
CN108330038A (zh) * 2017-12-27 2018-07-27 孝感麻糖米酒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一体化的米处理装置
CN112223536A (zh) * 2020-09-03 2021-01-15 特尼格日 一种具有定量功能的混凝土搅拌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2893B (zh) * 2012-11-15 2015-05-13 中铁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带电加热的气浮式混凝土搅拌设备
CN110409260A (zh) * 2019-08-16 2019-11-05 绍兴上虞元彬自动化有限公司 一种公路用沥青自动添加混匀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6816A (ja) * 1994-01-27 1995-08-15 Kitagawa Hewtec Kk アスファルト・コンクリートの生産装置
JPH1018216A (ja) * 1996-07-04 1998-01-20 Oobayashi Doro Kk 移動式アスファルト混合機
KR20020066009A (ko) * 2001-02-08 2002-08-14 성산건설산업 주식회사 아스팔트모르타르 제조설비의 아스팔트 가열방법 및가열장치
KR100351677B1 (ko) * 2001-12-12 2002-09-05 죽정산업 주식회사 유리 캐럿을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재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6816A (ja) * 1994-01-27 1995-08-15 Kitagawa Hewtec Kk アスファルト・コンクリートの生産装置
JPH1018216A (ja) * 1996-07-04 1998-01-20 Oobayashi Doro Kk 移動式アスファルト混合機
KR20020066009A (ko) * 2001-02-08 2002-08-14 성산건설산업 주식회사 아스팔트모르타르 제조설비의 아스팔트 가열방법 및가열장치
KR100351677B1 (ko) * 2001-12-12 2002-09-05 죽정산업 주식회사 유리 캐럿을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재의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459B1 (ko) 2012-10-23 2013-08-29 황익현 직간접 가열방식 혼합믹서 및 이를 이용한 현장가열 아스팔트 표층 재생 시스템
CN108330038A (zh) * 2017-12-27 2018-07-27 孝感麻糖米酒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一体化的米处理装置
CN112223536A (zh) * 2020-09-03 2021-01-15 特尼格日 一种具有定量功能的混凝土搅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001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489B1 (ko) 이동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장치
US7458746B1 (en) Mobile asphalt production machine
KR101655083B1 (ko) 유화 아스팔트를 이용한 아스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파손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CN107075819B (zh) 坑洼修复车辆
US6439806B1 (en) Pavement repair material cart
US4695186A (en) Asphalt handling apparatus
CA2793350A1 (en) Pothole repair product and mobil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sphalt patch
KR101254955B1 (ko) 현장 가열 아스팔트 도로 보수장비
KR101254956B1 (ko) 현장 가열 아스팔트 도로 보수 시공방법
KR101651936B1 (ko) 아스콘 포장도로 보수용 차량
JP2014151320A (ja) 骨材およびシーラントミキサー
KR101924007B1 (ko) 폼드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파손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KR101313150B1 (ko) 아스콘 제조장치
KR200425256Y1 (ko)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현장 혼합장치
KR100727457B1 (ko) 도로보수용 실링재 주입장치
CN101240522A (zh) 摊铺机输料系统
KR101692715B1 (ko) 덤프형 이동식 아스콘 보온차량
CN103449759A (zh) 沥青混凝土路面坑槽快速修补材料的制备方法和施工方法
KR200412664Y1 (ko) 이동용 아스팔트 교반장치
KR101353046B1 (ko) 아스콘 제조장치를 이용한 도로 보수공법
CN105507105A (zh) 一种彩色微表处的施工方法
KR102246077B1 (ko) 도막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구조물 방수 시공방법
KR101523287B1 (ko) 아스콘 포장도로 보수용 차량
CN205636451U (zh) 沥青道路热再生机的搅拌装置
US11346064B2 (en) Pothole patcher with emulsion oil rejuven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