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049B1 - 고기, 고기제조장치 및 고기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기, 고기제조장치 및 고기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049B1
KR100919049B1 KR1020090020408A KR20090020408A KR100919049B1 KR 100919049 B1 KR100919049 B1 KR 100919049B1 KR 1020090020408 A KR1020090020408 A KR 1020090020408A KR 20090020408 A KR20090020408 A KR 20090020408A KR 100919049 B1 KR100919049 B1 KR 100919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groove
slider
slid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덕형
Original Assignee
윤덕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덕형 filed Critical 윤덕형
Priority to KR1020090020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6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with gravy or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8Addition of flavours, spices, colours, amino acids or their salts, peptides, vitamin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nucleic acid or derivatives, organic acidifying agents or their salts or acidogens, sweeteners, e.g. sugars or sugar alcohols; Addition of alcohol-containing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6Implements for introducing fat, bacon or the like into meat; Larding-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기제조장치는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슬라이드부, 슬라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고기를 고정하는 고정부, 홈에 가이드 되어 고정된 고기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절단부 및 홈에 가이드 되어 형성된 내부공간에 부재료를 삽입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구이용 고기, 김치 삼겹살, 삼겹살 제조장치, 고기제조장치

Description

고기, 고기제조장치 및 고기제조방법{MEAT, MEAT MANUFACTUREING EQUIP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EAT}
본 발명은 고기, 고기제조장치 및 고기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 내부에 부재료를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는 고기, 고기제조장치 및 고기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다양한 종류의 고기를 숯불을 이용하여 구워 먹는 것을 즐겨왔다. 그 중에서도 돼지고기는 대부분 구이용 판 또는 그릴 등에 직접 구워먹는 경우가 많다. 또한, 돼지고기의 경우 고기를 구울 때 김치, 마늘 등의 다른 부재료를 같이 구워 먹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고기의 특유의 느끼한 맛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김치와 같이 다른 양념이 들어간 부재료를 구이용 판에 동시에 올려서 굽는 경우에는 양념이 타서 판을 자주 갈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부재료가 고기와 완전히 따로 익게 되므로, 고기의 육즙이 부재료에 전혀 배어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편하게 부재료를 고기에 삽입할 수 있는 고기제조장치 및 고기제조방법과 그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제조장치는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슬라이드부, 슬라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고기를 고정하는 고정부, 홈에 가이드 되어 고정된 고기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절단부 및 홈에 가이드 되어 형성된 내부공간에 부재료를 삽입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절단부는 슬라이드부에 형성된 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절단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삽입부는 슬라이드부에 형성된 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슬라이더 및 제2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타단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제조장치는 슬라이드부 및 고정부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멈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제조방법은, 고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만드는 단계, 삽입부재의 고리에 부재료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부재료가 결합된 상기 고리를 상기 홈에 삽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를 상기 홈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제조장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부재료가 내부에 포함된 고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제조장치는 절단부 및 삽입부를 구비하여, 고기를 용이하게 절단하고, 부재료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절단부 및 삽입부를 가이드 할 수 있는 홈을 구비하여, 숙련된 기술이 없어도 부재료가 삽입된 고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멈춤부를 포함하여, 절단부 및 삽입부가 적당한 깊이로 고기를 자르고, 부재료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기의 잘려지는 정도를 하나하나 확인할 필요가 없어 간편하고, 작업 도중에 손을 다칠 염려가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제조장치 또는 고기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기는 부재료가 고기의 내부에 위치하여, 부재료의 양념 등이 타지 않는다. 또한, 고기를 구울 때 내부에 위치한 부재료에 고기의 육즙이 잘 스며들 수 있으므로, 고기의 맛이 보다 풍부해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제조장치(1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제조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고기제조장치(10)는 슬라이드부(100), 고정부(200), 멈춤부(300), 절단부(400), 삽입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드부(100)는 한 방향이 다른 방향에 비해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즉 막대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드부(100)는 절단부(400) 및 삽입부(500)가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홈(G1)이 형성된다. 홈(G1)은 절단부(400) 및 삽입부(500)가 전부 또는 일부 홈(G1)에 삽입 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된다. 그러나 슬라이드부(100)는 반드시 막대형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절단부(400) 및 삽입부(500)가 슬라이딩 가능한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작업 대상이 되는 고기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 멈춤부(300)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드부(100)와 길이방향으로 연결된다. 고정부(200)는 고기를 고정하기 위한 격벽(201), 고정부재(203) 및 덮개(50)를 포함한다. 격벽(201) 및 고정부재(203)는 멈춤부(300)와 함께 작업대상인 고기가 고정될 수 있는 공간(G2)을 형성한다. 사용되는 고기의 크기에 따라 고정부재(203)을 움직여 공간(G2)의 크기를 고기의 크기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고기가 정확히 고정될 수 있어,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라도 손쉽게 작업할 수 있다. 공간(G2)과 접하고 있는 고정부(203)의 일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으로 절단부재(403) 또는 삽입부재(503)의 끝 부분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절단부재(403) 및 삽입부재(503)의 날을 보호한다. 공간(G2)에 고기가 놓여지면 덮개(50)가 고기를 덮어 고기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200)에는 반드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고기를 고정하는 공간(G2)을 형성하여 고기를 고정할 필요는 없으며, 공간(G2)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덮개(50)로 누르는 방법, 고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 등 고기를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면 다양한 다른 방법을 적용될 수 있다.
멈춤부(300)는 절단부(400) 및 삽입부(500)가 일정한 정도 이상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멈춤부(300)는 슬라이드부(10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일부 도출되어 절단부(400) 및 삽입부(500)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며, 멈춤부(300)는 슬라이드부(100) 및 고정부(200)의 사이에 위치한다. 멈춤부(300)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측벽(301)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301)은 절단부(400)의 절단부재(403) 또는 삽입부(500)의 삽입부재(503)의 움직임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아울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멈춤부(300)가 슬라이드부(100)와 고정부(20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반드시 별도의 블록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고정부(200)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멈춤부(300)는 반드시 슬라이드부(100)와 고정부(200)의 사이에 위치할 필요는 없으며, 슬라이드 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슬라이드부(100)상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400)는 고기의 일부를 절단하여 부자재를 넣기 위한 내부공간을 형성 하는 역할을 한다. 절단부(400)는 제1 슬라이더(401) 및 절단부재(40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 슬라이더(401)는 슬라이드부(100)의 홈(G1)에 일부가 삽입되고, 홈(G1)에 의해 가이드 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홈(G1)에 삽입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재(403)는 끝이 뾰족한 칼날로 구성되며,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된다. 절단부재(403)의 뾰족하지 않은 단부는 제1 슬라이더(401)에 연결된다.
삽입부(500)는 절단부(400)에 의해서 형성된 고기의 내부공간에 부재료를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삽입부(500)는 제2 슬라이더(501) 및 삽입부재(50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2 슬라이더(501)는 제1 슬라이더(401)와 동일하게 슬라이드부(100)의 홈(G1)에 삽입되어 삽입부(500)가 홈(G1)에 의해서 가이드 되어 부재료를 고기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슬라이더(501)는 홈(G1)에 일부가 삽입되고, 홈(G1)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으로 형성된다. 삽입부재(503)는 끝부분(A)이 뾰족하게 형성된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고기의 내부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부식에 강한 재질로 제조된다. 삽입부재(503)의 위에는 고리(504)가 형성되어 있다. 고리(504)는 부자재와 결합되어 고기의 내부공간에 부자재를 용이하게 삽입시킨다. 한편, 부자재가 떨어지지 않고 내부공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외곽에 격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기의 내부공간에 부자재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끝부분(A)이 일부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제조장치(10)는 절단부(400), 삽입 부(500) 및 멈춤부(300)를 구비하여, 단순히 고기를 고정부(200)에 올려놓고 절단부(400) 및 삽입부(500)을 멈춤부(300)에 의해 멈출 때까지 밀어주기만 하면 부자재가 내장된 고기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라도 부자재가 내장된 고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삽입하는 부자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고기요리를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을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제조장치(10)의 사용순서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절단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4는 삽입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고정부(200)에 격벽(201)으로 형성된 공간(G2)에 작업대상인 고기를 위치시킨다. 일반적으로 부자재와 함께 구이용으로 이용되는 고기는 삼겹살인 경우가 많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고기로는 삼겹살, 부자재로는 김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고기는 삽겹살 외에도 쇠고기, 닭고기 따위가 사용될 수 있으며, 부자재로는 야채, 콩나물, 버섯 따위가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덮개(50)로 고기를 눌러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3과 같이, 절단부(400)을 슬라이드부(100)의 홈(G1)에 삽입하여 멈춤부(300)에 의해 멈추어지는 위치까지 밀어 삼겹살의 일부를 절단하여 고기의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4와 같이, 삽입부(500)을 슬라이드부(100)의 홈(G1)에 삽입하고, 삽입부재(503)의 끝부분(A)에 삽입될 부자재인 김치를 위치시키고, 멈춤 부(300)에 의해 멈추어지는 위치까지 밀어 앞서 형성된 내부공간에 김치를 삽입한다.
절단부(400) 및 삽입부(5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람이 직접 조작할 수 있으나,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는 기계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자동으로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제조장치(10)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김치가 내부에 포함된 삼겹살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 도 6이다. 먼저 고기(61)를 고정부(200)의 공간(G2)에 위치시키고 덮개(50)로 덮어 고기(61)를 고정한다(a 단계). 다음으로 절단부(400)를 슬라이드부(100)의 홈(G1)에 위치시킨후 고정부(200)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절단부재(403)를 고기(61)의 중앙부분에 삽입시킨다(b 단계). 이후 위 절단부재(403)을 고기로부터 이탈시켜 제거하면 도면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고기(61)의 중앙부분에는 부자재(63)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생성된다(c 단계). 다음으로, 삽입부(500)의 삽입부재(503)의 상부에 부자재(63)을 위치시키고(d 단계), 위 삽입부재(503)을 미리 만들어진 고기 중앙부분의 홈에 삽입시켜 부자재(63)을 고기의 중앙부분의 홈에 삽입시킨다(e 단계). 부자재(63)를 삽입할 때에는 덮개(61)로 고기를 덮은 상태에서 진행할 수도 있고, 덮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삽입부재(503)의 상부에 고리(504)가 형성되어 있어 부자재(63)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제작된 부자재가 포함된 고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고기(60)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조된 고기는 고기(61)의 내부에 부자재(63)가 있어 전체적으로 고기(61)가 부자재(63)을 감싸고 있는 형상이 된다. 따라서 단순히 얇은 고기 두 장 사이에 부자재를 끼워 넣은 고기와는 다르며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먼저, 부자재가 고기의 내부에 완전히 위치한다. 따라서 부자재가 구이용 판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부자재가 고기보다 먼저 타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부자재가 김치와 같이 양념이 되어 있는 경우 양념이 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구이용 판을 자주 교체하지 않아도 되고, 탄 양념을 먹지 않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기의 육즙이 내부에 위치하는 부자재에 흡수되기 쉬워 고기 및 부자재의 맛이 보다 풍부해진다. 또한 고기의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는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생 삼겹살과 같이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도 열전달을 용이하게 하여 신속하게 표면이 타지 않도록 익힐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제조장치(10)을 이용하면 고기와 잘 어울리는 오징어, 낚지 등의 다양한 부재를 내부에 넣은 다양한 고기메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절단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삽입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A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의 제조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고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기제조장치 50: 덮개
100: 슬라이드부 200: 고정부
300: 멈춤부 400: 절단부
500: 삽입부 504: 고리
201: 격벽 203: 고정부재
401: 제1 슬라이더 403: 절단부재
501: 제2 슬라이더 503: 삽입부재
61 : 고기 63 : 부자재

Claims (7)

  1.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슬라이드부,
    상기 슬라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고기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홈에 가이드 되어 상기 고정된 고기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절단부재를 포함하는 절단부,
    상기 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홈에 가이드 되어 상기 형성된 내부공간에 부재료를 삽입하는 삽입부,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 또는 상기 고정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측벽을 포함하는 고기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 슬라이더에 고정되고,타단이 뾰족하게 형성된 고기제조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의 상면에는 고리가 형성되는 고기제조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090020408A 2009-03-10 2009-03-10 고기, 고기제조장치 및 고기제조방법 KR100919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408A KR100919049B1 (ko) 2009-03-10 2009-03-10 고기, 고기제조장치 및 고기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408A KR100919049B1 (ko) 2009-03-10 2009-03-10 고기, 고기제조장치 및 고기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049B1 true KR100919049B1 (ko) 2009-09-24

Family

ID=4135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408A KR100919049B1 (ko) 2009-03-10 2009-03-10 고기, 고기제조장치 및 고기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5592A (zh) * 2015-05-14 2017-02-22 姜永春 食材穿孔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6489U (ko) 1976-10-18 1978-05-15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6489U (ko) 1976-10-18 1978-05-1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5592A (zh) * 2015-05-14 2017-02-22 姜永春 食材穿孔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12781A (en) Variable cut dicer-slicer
US4711029A (en) Cookery implement
US2815530A (en) Apparatus for mounting food
KR100919049B1 (ko) 고기, 고기제조장치 및 고기제조방법
KR200397013Y1 (ko) 꼬치용 스틱
KR100912397B1 (ko) 꼬치요리 자동 제조장치용 꼬치 트레이
GB2442871A (en) Device for making kebabs
US20090260526A1 (en) Grill rack and drip pan
US20040187701A1 (en) Device for skewering food
US2046118A (en) Tendered steak and method of tendering the same
KR101954518B1 (ko) 꼬치구이용 꼬챙이 고정 장치
KR101587417B1 (ko) 식재료 천공장치
CN210850357U (zh) 一种烧烤切肉刀
RU2152723C2 (ru) Способ поджаривания шашлы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KR101822965B1 (ko)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JP2010057825A (ja) 串揚げ用てんぷら鍋
CN215777474U (zh) 一种具有穿串功能的煎烤机
US20110229612A1 (en) Seafood preparation method and product
CN1087923C (zh) 用于烤肉或烤面包的改进型烤具
KR102466088B1 (ko) 가공식품 배가름 절단장치
KR102478732B1 (ko) 대파 삼겹살의 제조 방법
KR101391558B1 (ko) 가공식품에 대한 반자동 칼집 성형장치
JP7070892B2 (ja) 薄状食材用串刺装置および薄状食材串の製造方法
KR101610039B1 (ko) 꼬치 구이 장치
KR200434883Y1 (ko) 채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