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965B1 -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 Google Patents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965B1
KR101822965B1 KR1020170149115A KR20170149115A KR101822965B1 KR 101822965 B1 KR101822965 B1 KR 101822965B1 KR 1020170149115 A KR1020170149115 A KR 1020170149115A KR 20170149115 A KR20170149115 A KR 20170149115A KR 101822965 B1 KR101822965 B1 KR 10182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ribs
knife
jig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필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리베로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리베로인터내셔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리베로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9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33Cutting slices out of a piece of me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초보자들도 용이하게 갈비의 포뜨기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판형상의 하부판부재와, 상기 하부판부재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칼진입슬롯이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측면판부재와, 상기 측면판부재의 상부면에 고정되어지는 판형상의 상부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판부재 및 상,하부판부재로 형성된 공간부에 갈비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칼진입슬롯에 작업자가 칼을 진입시켜 갈비 포뜨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상부판부재와 측면판부재의 칼진입슬롯 사이에 이동판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이동판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도록 이중관 형태의 지지부로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의 외측에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판부재에 형성된 장공에 상기 이동판부재에 연결된 안내봉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A JIG FOR SLICE MEAT THIN}
본 발명은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보자들도 용이하게 갈비의 포뜨기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를 제공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갈비는 소나 돼지의 갈비뼈 부분을 길이방향으로 7㎝ 정도의 크기로 절단한 후 얇은 두께로 포를 떠서 편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소갈비나 돼지갈비의 경우 맛이 뛰어나 한국인은 물론 외국인들도 즐겨 먹고 있는 음식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갈비는 갈비찜, 갈비탕 또는 갈비구이를 하게 되는데 갈비구이를 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편평하게 절단하는 포뜨기 작업을 수행하고, 갈비표면에 칼집을 내어 양념 등이 잘 배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갈비의 제조방법의 종래의 일예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97254호의 "갈비의 제조방법"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선행문헌을 살펴보면, 갈비뼈들이 늑간살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갈비본살 표면의 기름과 외부근막을 제거하는 표면손질단계와, 늑간살이 갈비뼈에 붙어 있는 부분이 갈비뼈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두께가 얇은 쪽이 되도록 상기 갈비뼈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두꺼운 쪽에 칼을 밀착시켜 한 대의 갈비뼈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늑간살과 갈비본살이 있는 갈비뼈로 분리하는 갈비뼈분리단계와, 상기 갈비뼈분리단계 후에 상기 갈비뼈의 외면에 노출된 외부근막을 제거하는 외부근막제거단계와, 상기 갈비뼈를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면서 상기 갈비뼈에 붙은 늑간살의 일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도록 하는 갈비뼈절단단계와, 상기 일부 연결된 늑간살 부분의 연결을 분리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갈비뼈에 붙은 갈비본살을 늑간살이 있는 반대쪽의 갈비뼈 부분에서 갈비본살과 내부근막 사이로 칼을 삽입하여 늑간살 근처까지 칼을 진행하고 상기 칼의 진행방향 반대쪽에서 갈비본살에 칼을 삽입하여 갈비본살 반대쪽 단부 근처까지 진행하여 갈비본살의 폭방향 양측에 교대로 연결된 부분이 남도록 일부만 절단하는 방식으로 반복하여 갈비본살을 포로 뜨는 포뜨기단계와, 상기 갈비본살을 갈비뼈에서 분리하여 포를 뜸에 의해 노출된 내부근막을 제거하는데 상기 늑간살이 갈비뼈에 붙어 있는 부분에서 칼질을 시작하여 내부근막을 갈비뼈에서 제거하는 내부근막제거단계와, 포로 만들어진 상기 갈비본살의 표면에는 살결방향과 교차하게 다수의 표면칼집을 형성하고 갈비본살의 이면에도 살결방향과 교차하게 이면칼집을 형성하며 상기 표면칼집과 이면칼집이 서로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깊이방향으로 일부 겹치게 됨에 의해 상기 갈비본살을 관통하여 다이아몬드 형상의 칼집통공이 형성되게 하는 칼집형성단계와, 상기 칼집통공을 형성한 후에 소정 시간동안 냉장상태로 보관하는 숙성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갈비의 제조방법에서 포뜨기 작업은 숙련된 사람만이 가능하며 초보자 등은 포뜨기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1697254호등록일자 2017년 01월 11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보자들도 용이하게 갈비의 포뜨기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는, 판형상의 하부판부재와, 상기 하부판부재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칼진입슬롯이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측면판부재와, 상기 측면판부재의 상부면에 고정되어지는 판형상의 상부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판부재 및 상,하부판부재로 형성된 공간부에 갈비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칼진입슬롯에 작업자가 칼을 진입시켜 갈비 포뜨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상부판부재와 측면판부재의 칼진입슬롯 사이에 이동판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이동판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도록 이중관 형태의 지지부로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의 외측에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판부재에 형성된 장공에 상기 이동판부재에 연결된 안내봉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칼진입슬롯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형성하되, 상,하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판부재는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측면판부재의 상부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고정부재로 상기 상부판부재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판부재의 일면에는 돌출부를 더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칼진입슬롯의 상하측에는 칼을 눌러주는 누름수단이 각각 설치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누름수단은 슬롯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과 측면판부재 사이에 결합되어진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는, 측면판부재 및 상,하부판부재로 형성된 공간부에 갈비를 위치시키게 시키고, 상기 측면판부재에 형성된 칼진입슬롯에 작업자가 칼을 진입시켜 갈비 포뜨기 작업을 수행하돌고 함으로서, 초보자들도 용이하게 포뜨기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의 제1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를 이용하여 갈비뼈가 붙은 갈비의 포를 뜨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를 이용하여 냉동된 갈비의 포들 뜨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의 제1실시예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를 이용하여 갈비뼈가 붙은 갈비의 포를 뜨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를 이용하여 냉동된 갈비의 포들 뜨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100)의 제1실시예는, 하부판부재(10), 측면판부재(20) 및 상부판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판부재(1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판부재(10)의 일면에는 돌출부(11)를 더 형성하도록 하여 갈비뼈가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측면판부재(20)는, 상기 하부판부재(10)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칼진입슬롯(21)이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칼진입슬롯(21)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형성하되, 상,하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판부재(30)는, 상기 측면판부재(2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지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측면판부재(20) 및 상,하부판부재(10)(30)로 형성된 공간부(A)에 갈비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칼진입슬롯(21)에 작업자가 칼을 진입시켜 갈비 포뜨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판부재(30)와 측면판부재(20)의 칼진입슬롯(21) 사이에 이동판부재(40)를 설치하되, 상기 이동판부재(40)는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도록 이중관 형태의 지지부(41)로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41)의 외측에 탄성부재(42)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판부재(20)에 형성된 장공()에 상기 이동판부재(40)에 연결된 안내봉(43)이 위치되도록 하여, 공간부(A) 위치되어진 갈비에 칼진입슬롯(21)을 통해 칼이 진입되더라도 상부측으로 부피가 팽창되는 고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이동판부재(40)가 상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100)를 사용하기 전 갈비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소나 돼지를 도축하고, 각 부위를 발골 및 정형하며, 갈비 부위를 취출하게 된다.
갈비 부위를 취출한 후 갈비부위를 사각형상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갈비를 본 발명의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100)에 투입시게 되며, 이는 측면판부재(20) 및 상,하부판부재(10)(30)로 형성된 공간부(A)에 갈비를 위치시키게 되며, 더 자세히는 상부판부재(30)와 칼진입슬롯(21) 사이에 설치된 이동판부재(40)에 위치되어진다.
그리고, 칼(200)을 이용하여 칼진입슬롯(21)에 칼(200)을 진입시키게 되면 이동판부재(40)가 지지부(41), 탄성부재(42) 및 안내봉(43)에 의해 고기의 부피가 팽창된 만큼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포 뜨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지그재그로 형태로 형성된 칼진입슬롯(21)으로 칼(200)을 진입시켜 포뜨기 작업을 한 후 지그(100)에서 갈비를 꺼내 편평하게 펼치게 되면 갈비 포뜨기 작업이 완성되고, 그 후에 고기의 표면에 칼집을 형성한 후 생갈비 또는 양념을 한 후 생갈비 또는 양념갈비를 제조한 후 숯불 등에서 구이용으로 시식하게 된다.
한편, 갈비뼈가 부착되어진 갈비의 갈비뼈는 하부판부재(10)의 돌출부(11)에 위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도 5참고), 갈비뼈가 없는 냉동육(도 6참고)등은 사각형태로 절단하여 본 발명의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를 이용하여 포뜨기 작업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를 이용하여 갈비뼈가 붙은 갈비의 포를 뜨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를 이용하여 냉동된 갈비의 포를 뜨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100)는, 하부판부재(10), 측면판부재(20) 및 상부판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판부재(1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판부재(10)의 일면에는 돌출부(11)를 더 형성하도록 하여 갈비뼈가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측면판부재(20)는, 상기 하부판부재(10)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칼진입슬롯(21)이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칼진입슬롯(21)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형성하되, 상,하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칼진입슬롯(21)의 상하측에는 칼(200)을 눌러주는 누름수단(50)이 각각 설치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누름수단(50)은 슬롯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누름판(51)과, 상기 누름판(51)과 측면판부재(20) 사이에 결합되어진 스프링(52)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상부판부재(30)는, 상기 측면판부재(2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지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판부재(30)는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측면부재(20)의 상부에는 장공(22)이 형성되고, 고정부재(23)로 상기 상부판부재(30)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판부재(20) 및 상,하부판부재(10)(30)로 형성된 공간부(A)에 갈비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칼진입슬롯(21)에 작업자가 칼을 진입시켜 갈비 포뜨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100)를 사용하기 전 갈비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소나 돼지를 도축하고, 각 부위를 발골 및 정형하며, 갈비 부위를 취출하게 된다.
갈비 부위를 취출한 후 갈비부위를 사각형상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갈비를 본 발명의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100)에 투입시게 되며, 이는 측면판부재(20) 및 상,하부판부재(10)(30)로 형성된 공간부(A)에 갈비를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부판부재(30)를 갈비에 압착시킨 후 측면판부재(20)의 장공(22)을 통해 고정부재(23)로 상부판부재(30)를 측면판부재(20)에 고정하게 된다.
다음, 칼(200)을 이용하여 칼진입슬롯(21)에 칼(200)을 진입시키게 되면 상하측으로 누름판(51)이 스프링(52)에 의해 상승함과 아울러 칼(200)을 누르게 되면서 전단력을 향상시켜 포뜨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지그재그로 형태로 형성된 칼진입슬롯(21)으로 칼(200)을 진입시켜 포뜨기 작업을 한 후 지그(100)에서 갈비를 꺼내 편평하게 펼치게 되면 갈비 포뜨기 작업이 완성되고, 그 후에 고기의 표면에 칼집을 형성한 후 생갈비 또는 양념을 한 후 생갈비 또는 양념갈비를 제조한 후 숯불 등에서 구이용으로 시식하게 된다.
한편, 갈비뼈가 부착되어진 갈비의 갈비뼈는 하부판부재(10)의 돌출부(11)에 위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도 5참고), 갈비뼈가 없는 냉동육(도 6참고)등은 사각형태로 절단하여 본 발명의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를 이용하여 포뜨기 작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0: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10: 하부판부재 11: 돌출부
20: 측면판부재 21: 칼진입슬롯
22: 장공 23: 고정부재
30: 상부판부재 40: 이동판부재
41: 지지부 42: 탄성부재
43: 안내봉 50: 누름수단
51: 누름판 52: 스프링
200: 칼 A: 공간부

Claims (7)

  1. 판형상의 하부판부재와,
    상기 하부판부재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칼진입슬롯이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측면판부재와,
    상기 측면판부재의 상부면에 고정되어지는 판형상의 상부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판부재 및 상,하부판부재로 형성된 공간부에 갈비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칼진입슬롯에 작업자가 칼을 진입시켜 갈비 포뜨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상부판부재와 측면판부재의 칼진입슬롯 사이에 이동판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이동판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도록 이중관 형태의 지지부로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의 외측에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판부재에 형성된 장공에 상기 이동판부재에 연결된 안내봉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진입슬롯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형성하되, 상,하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부재의 일면에는 돌출부를 더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부재는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측면판부재의 상부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고정부재로 상기 상부판부재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진입슬롯의 상하측에는 칼을 눌러주는 누름수단이 각각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수단은 슬롯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과 측면판부재 사이에 결합되어진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KR1020170149115A 2017-11-10 2017-11-10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KR10182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115A KR101822965B1 (ko) 2017-11-10 2017-11-10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115A KR101822965B1 (ko) 2017-11-10 2017-11-10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965B1 true KR101822965B1 (ko) 2018-01-31

Family

ID=6108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115A KR101822965B1 (ko) 2017-11-10 2017-11-10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9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870A (ja) 1999-08-23 2001-03-06 Takai Kogyo Kk 焼肉用骨付カルビ肉の段違い切れ目入れ装置
KR100475430B1 (ko) * 2002-09-11 2005-03-10 임창식 갈비용 육류절단기
KR200418465Y1 (ko) 2006-01-17 2006-06-09 임창식 육류절단기
KR100888125B1 (ko) 2008-03-26 2009-03-11 전선례 식품 절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870A (ja) 1999-08-23 2001-03-06 Takai Kogyo Kk 焼肉用骨付カルビ肉の段違い切れ目入れ装置
KR100475430B1 (ko) * 2002-09-11 2005-03-10 임창식 갈비용 육류절단기
KR200418465Y1 (ko) 2006-01-17 2006-06-09 임창식 육류절단기
KR100888125B1 (ko) 2008-03-26 2009-03-11 전선례 식품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3384A (en) Dicing device for sliced food articles
US2836212A (en) Vegetable cutter
US43562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controlled-volume meat portions from a segment of fresh whole-muscle meat
US2679274A (en) Bread cutter
KR101822965B1 (ko)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KR20190056149A (ko) 고기 꼬치 제조장치
KR20130088437A (ko) 식재료 세절장치
KR20140113897A (ko) 두부 커팅기
KR101480998B1 (ko) 쌈무 제조장치
KR101421068B1 (ko) 소시지 칼집성형기
KR20170014485A (ko) 다기능 식품절단장치
KR100919049B1 (ko) 고기, 고기제조장치 및 고기제조방법
KR101698450B1 (ko) 꼬치전 제조용 도구
KR101822418B1 (ko) 통조림 햄 절단 장치
KR101395782B1 (ko) 마늘 절단기
KR101954518B1 (ko) 꼬치구이용 꼬챙이 고정 장치
US20090047886A1 (en) Cutlet cutter
US20200171690A1 (en) Cutting Jig
KR20120004748A (ko) 닭 절단시 스킨 밀림 방지장치
KR200418555Y1 (ko) 과채류 절단기
US10899025B2 (en) Food slotting device and method
KR20000051345A (ko) 계육의 절단방법 및 그 장치
KR101391558B1 (ko) 가공식품에 대한 반자동 칼집 성형장치
JPH11169065A (ja) 肉裁断装置
CN212763664U (zh) 一种简易香肠切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