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465Y1 - 육류절단기 - Google Patents

육류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465Y1
KR200418465Y1 KR2020060001402U KR20060001402U KR200418465Y1 KR 200418465 Y1 KR200418465 Y1 KR 200418465Y1 KR 2020060001402 U KR2020060001402 U KR 2020060001402U KR 20060001402 U KR20060001402 U KR 20060001402U KR 200418465 Y1 KR200418465 Y1 KR 200418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cutting
unit
cutter
cu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식
Original Assignee
임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식 filed Critical 임창식
Priority to KR2020060001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4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4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93Handling, transporting or packaging pieces of m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 따른 육류절단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본 고안자에 의해 기등록된 "갈비용 육류절단기"를 개량 및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육류를 지그재그로 절단하기 위한 육류절단장치로서, 복수개의 칼날이 엇갈리게 적층되어 육류를 지그재그로 커팅하기 위한 절단유닛; 절단유닛에 의한 육류 커팅작업, 이송작업을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절단유닛에 장착된 칼날간격의 조절 및 이동을 위한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육류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절단유닛에 장착되는 칼날에 보조칼날부를 형성시킴에 따라 육류를 지그재그 커팅시킴과 동시에 추가로 칼집을 낼 수 있고, 절단유닛에 장착되는 벨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후방으로 요철부를 형성시키고, 육류를 미끄러지지 않게 이동시키키기 위해 전방으로 돌출부를 형성시켜 보다 효율적인 절단이 가능하고, 절단유닛에 브레이크부재를 장착하여 커팅되는 육류의 효율적이 이송 및 배출을 구현함에 따라 효율적인 절단이 가능한 육류절단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육류절단기, 육류절단칼날, 육절기, 갈비용 육류절단기

Description

육류절단기 {Apparatus for cutting rib meat}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육류절단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본체 커버를 제거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3은 절단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3의 (a)는 육류투입부의 부분사시도이고, 도3의 (b)는 육류 투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4는 도3에 나타낸 절단모듈의 커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도4의 커팅부에 장착된 칼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단면도.
도6은 도4의 커팅부에 장착된 이송벨트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6의 (a)는 평면도이고, 도6의 (b)는 부분단면도.
도7은 도4의 커팅부에 장착된 브레이크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7의 (a)는 평면도이고, 도7의 (b)는 배면도.
도8은 도3에 나타낸 절단유닛의 커팅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로서, 도8의 (a)는 간격이 벌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8의 (b)는 간격이 좁혀진 상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8의 (c)는 고정부의 고정전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고, 도8의 (d)는 고정부의 고정후 상태 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9a은 도7에 나타낸 간격조절유닛의 구동기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9b는 도9a에서 구동기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육류절단기 100: 절단유닛
110: 이송부 120: 커팅부
121: 원형칼날 122: 이송벨트
123: 브레이크부재 200 : 간격조절유닛
210: 조작부재
본 고안은 육류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육류절단기의 절단유닛에 장작되는 칼날의 일면에 보조칼날을 형성시키고, 이송벨트에 요철을 형성시켜 벨트가 롤러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브레이크부재를 장착하여 육류커팅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하고, 간격조절유닛을 통해 커팅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편리하게 조작가능한 육류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절단기는 육질을 지그재그로 얇게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고, 이는 숙련공의 수작업에 의할 경우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요구되며, 대량생산이 불가능함에 따라 개발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자는 "갈비용 육류절단기"로 기출원(특허출원 제2003-0027065)하고,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기등록된 "갈비용 육류절단기"을 개량 및 보완한 것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다양한 커팅이 가능하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육류절단기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 따른 육류절단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본 고안자에 의해 기등록된 "갈비용 육류절단기"를 개량 및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절단유닛에 장착되는 칼날에 보조칼날부를 형성시킴에 따라 육류를 지그재그 커팅시킴과 동시에 추가로 칼집을 낼 수 있는 육류절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절단유닛에 장착되는 이송벨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요철부를 형성시키고, 육류를 미끄러지지 않게 이동시키키기 위해 전방으로 돌출부를 형성시켜 보다 효율적인 절단이 가능한 육류절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절단유닛에 브레이크부재를 장착하여 커팅되는 육류의 효율적이 이송 및 배출을 구현함에 따라 효율적인 절단이 가능한 육류절단기 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육류를 지그재그로 절단하기 위한 육류절단장치로서, 복수개의 칼날이 엇갈리게 적층되어 육류를 지그재그로 커팅하기 위한 절단유닛; 절단유닛에 의한 육류 커팅작업, 이송작업을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절단유닛에 장착된 칼날간격의 조절 및 이동을 위한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육류절단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육류절단기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한 구성, 기능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육류절단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서 본체 커버를 제거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육류절단기(1)는 절단유닛(100), 구동유닛(미도시) 및 간격조절유닛(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절단유닛(100)은 삽입되는 육류를 지그재그로 커팅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구동유닛은 본 고안의 절단작업, 이송작업 등을 구현하기 위해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유닛(200)은 커팅하는 칼날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효율적인 커팅작업을 구현하고, 절단기의 조작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각각의 구성요소 및 이들의 유기적결합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3은 절단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3의 (a)는 육류투입부의 부분사시도이고, 도3의 (b)는 육류 투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단유닛(100)은 이송부(110), 커팅부(120), 및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110)는 삽입되는 육류를 이송시켜 커팅부(120)에 통해 커팅작업을 구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육류지지부(111)의 하부로 탄성부재가 장착됨에 따라, 상기 육류지지부(111)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육류삽입부(112)에 육류를 삽입시 설정크기보다 큰 뼈가 삽입될 경우, 육류지지부가 하강됨에 따라,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육류를 커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육류가 육류삽입부(112)에 끼워질 경우, 이송부(110)에 의해 커팅부(120)를 지나도록 이송되고, 상기 커팅부에 의해 지그재그로 커팅된다. 상기 이송부의 기술구성 및 작동관계는 본 고안자에 의해 기출원된 상기 "갈비용 육류절단기"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도4는 도3에 나타낸 절단모듈의 커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팅부(120)는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육류를 커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되고, 칼날이 엇갈리게 배치되며 간격조절유닛에 의해 대칭되는 칼날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팅부(120)는 적층되는 복수개의 원형칼날(121) 및 이송벨트(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원형칼날(121)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기를 자르면서 동시에 칼집을 만들기 위한 보조칼날(121a)이 칼날의 상면, 하면, 또는 상하면에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보조칼날은 삼각형, 마름모,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6은 도4의 커팅부에 장착된 이송벨트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6의 (a)는 평면도이고, 도6의 (b)는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팅부에 장착되는 이송벨트(122)는 이송되는 고기를 가압하며 이송을 원활히 이송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돌출부(122a)가 형성되고, 장착되는 롤러에 미끄러짐 없이 타이밍 벨트 방식으로 구현되도록 후방으로 요철부(12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22a)는 사각뿔 또는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122a)는 도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대측에 장착되는 원형칼날(121)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양쪽으로 나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7은 도4의 커팅부에 장착된 브레이크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7의 (a)는 평면도이고, 도7의 (b)는 배면도이다.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부재(123)는 이송벨트가 지나가는 자리의 뒷부분 약30mm 간격은 두께를 약 0.5mm 더 크게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고기가 부하를 받을 경우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B에 나타낸 바와같이, 고기투입구에서 이송벨트에 박힌 고기를 배출구에서 벨트와 불리되도록 돌출편이 형성된다.
도8은 도3에 나타낸 절단유닛의 커팅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로서, 도8은 (a)는 간격이 벌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8의 (b)는 간격이 좁혀진 상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8의 (c)는 고정부의 고정전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고, 도8의 (d)는 고정부의 고정후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간격조절유닛(200)은 제1/2조작부재(210,220), 상기 조작부재에 의해 연동되는 제1 및 제2구동부바디(211,221), 및 제1 및 제2지지부바디(212,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바디(211,221)는 내부로 회전축 및 기어부각 장착되고, 구동유닛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되어 이송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구동부바디(211)는 제1조작부재(210)에 의해 이동되고, 제2구동부바디(221)는 제2조작부재(220)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제1/2지지부바디(212,222)는 상부로 장착되는 커팅부(120)를 지지하고 커팅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지지부바디(212)는 제1조작부재(210)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제2지지부바디(222)는 제2조작부재(220)에 의해 이동된다. 그리고 도8의 (c)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지지부바디(212)에 형성된 고정부재(213)가 제2조작부재(220)에 형성된 고정홈(224)에 삽입될 경우, 제2조작부재(220)에 의해 제1/2구동부바디(211,221) 및 제1/2지지부바디(212,222)가 모두 이동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이탈돌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이탈돌기(225)의 조작에 의해 고정부재(213)는 고정홈(224)으로 부터 이탈되고, 제1 및 제2조작부재(210,220)에 의해 제1 및 제2구동부바디와 제1 및 제2지지부바디가 각각 이동된다.
도9은 도8에 나타낸 간격조절유닛의 구동기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9a는 사시도이고, 도9b는 기어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부(226)는 회전운동 및 축방향이동이 원활하도록 기어 내경에 홈을 형성시키고, 회전축에 상기 홈에 대응되는 돌기를 형성시킨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부(226)를 통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회전운동에 의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육류절단기가 완성되고, 본 고안의 커팅하고자 하는 대상은 육류에 국한되지 않고, 지그재그로 절단하기 위한 모든 물품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절단유닛에 장착되는 칼날에 보조칼날부를 형성시킴에 따라 육류를 지그재그 커팅시킴과 동시에 추가로 칼집을 낼 수 있고, 절단유닛에 장착되는 벨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후방으로 요철부를 형성시키고, 고기를 찔러서 미끄러지지 않게 이동시키키기 위해 전방으로 돌출부를 형성시켜 보다 효율적인 절단이 가능하고, 절단유닛에 브레이크부재를 장착하여 커팅되는 육류의 효율적이 이송 및 배출을 구현함에 따라 효율적인 절단이 가능한 육류절단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육류를 지그재그로 절단하기 위한 육류절단장치로서,
    복수개의 칼날이 엇갈리게 적층되어 육류를 지그재그로 커팅하기 위한 절단유닛;
    절단유닛에 의한 육류 커팅작업, 이송작업을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절단유닛에 장착된 칼날간격의 조절 및 이동을 위한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육류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유닛은
    삽입되는 육류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 및
    복수개의 칼날이 지그재그로 적층되고, 삽입되는 육류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벨트가 장착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육류절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삽입되는 육류의 이송 및 방출을 위해 돌출부 및 돌출편이 형성된 브레이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육류절단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은
    육류의 지그재그 커팅과 동시에 칼집을 형성시키기 위한 보조칼날이 칼날의 상면, 하면, 및 상하면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육류절단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는
    육류를 미끄러지지 않게 이동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후방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육류절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조작부재;
    상기 제1 및 제2조작부재에 의해 각각 이동되는 제1 및 제2구동부바디; 및
    상부로 장착되는 커팅부를 지지하며 커팅부의 간격을 조절하고, 고정부재가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지지부바디를 포함하고,
    제1구동부바디는 제1조작부재에 의해 이동되고, 제2구동부바디는 제2조작부재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제1지지부바디는 제1조작부재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제2지지부바디는 제2조작부재에 의해 이동되고,
    지지부바디에 형성된 고정부재가 조작부재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될 경우, 제1 또는 제2조작부재에 의해 제1 및 제2구동부바디와 제1 및 제2지지부바디가 모두 이동되는
    육류절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이탈돌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이탈돌기의 조작에 의해 고정부재는 고정홈으로 부터 이탈되고, 제1 및 제2 조작부재에 의해 제1 및 제2구동부바디와 제1 및 제2지지부바디가 각각 이동되는
    육류절단기.
  8. 삽입되는 물체를 지그재그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장치로서,
    복수개의 칼날이 엇갈리게 적층되어 물체를 지그재그로 커팅하기 위한 절단유닛;
    절단유닛에 의한 커팅작업, 이송작업을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절단유닛에 장착된 칼날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절단기.
KR2020060001402U 2006-01-17 2006-01-17 육류절단기 KR2004184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402U KR200418465Y1 (ko) 2006-01-17 2006-01-17 육류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402U KR200418465Y1 (ko) 2006-01-17 2006-01-17 육류절단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873A Division KR20070075997A (ko) 2006-01-17 2006-01-17 육류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465Y1 true KR200418465Y1 (ko) 2006-06-09

Family

ID=41767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402U KR200418465Y1 (ko) 2006-01-17 2006-01-17 육류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46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965B1 (ko) 2017-11-10 2018-01-31 농업회사법인 리베로인터내셔날 주식회사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KR101929714B1 (ko) 2018-07-04 2019-03-12 (주) 한라육가공 육류 계량절단장치
KR20190063613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세종하이텍 슬라이스 두께 조절이 가능한 세절기용 컨트롤장치
KR20190063612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세종하이텍 세절기용 슬라이스 두께 조절장치
KR20200015386A (ko) 2018-08-02 2020-02-12 정운조 세척기능을 갖는 육류절단장치
CN111844222A (zh) * 2020-06-23 2020-10-30 杨思国 一种食品加工用骨肉切块设备
KR20210029044A (ko) 2019-09-05 2021-03-15 정운조 칼날세척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965B1 (ko) 2017-11-10 2018-01-31 농업회사법인 리베로인터내셔날 주식회사 갈비 포뜨기 작업용 지그
KR20190063613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세종하이텍 슬라이스 두께 조절이 가능한 세절기용 컨트롤장치
KR20190063612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세종하이텍 세절기용 슬라이스 두께 조절장치
KR101929714B1 (ko) 2018-07-04 2019-03-12 (주) 한라육가공 육류 계량절단장치
KR20200015386A (ko) 2018-08-02 2020-02-12 정운조 세척기능을 갖는 육류절단장치
KR20210029044A (ko) 2019-09-05 2021-03-15 정운조 칼날세척장치
CN111844222A (zh) * 2020-06-23 2020-10-30 杨思国 一种食品加工用骨肉切块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8465Y1 (ko) 육류절단기
EP3215325B1 (en) Trim removal system
US6494452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celerate printed product in a stacking process
WO2007022142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mproved timing conveyor
ES2764284T3 (es) Sección de proceso de una máquina de embalaje
EP2505532A3 (en) Device and system for sheet transportation
US7722027B2 (en) Vacuum belt conveyor
KR101103380B1 (ko) 김 계수장치
KR101066126B1 (ko)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EP3212511B1 (en) Method of processing a plurality of articles through a processing section of a packaging machine
US20120012440A1 (en) Negative-pressure conveyor
KR20070075997A (ko) 육류절단기
KR200402072Y1 (ko) 견과류 박피장치
ATE358053T1 (de) Verpackungsmaschine
EP253003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layer of products from a pallet
JP2001198539A (ja) 紙器の塵埃除去装置
JP2005029360A5 (ko)
JP2005053702A (ja) 印刷物からなる鱗状列流を心合せする装置
KR20070115226A (ko) 육고기 양면칼집 성형기용 육고기 이송자세 변환장치
KR20180000045A (ko) 다공성 용지가 적용되는 옵쇄 인쇄장치
US6149377A (en) Conveyor apparatus for conveying stacks of articles
EP1829805A2 (de)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Schachtelzuschnitten
JP2004216478A (ja) 紙製打抜き製品の紙粉・打抜き屑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182473A (ja) 綴付けられた印刷製品を製造する装置
KR102093381B1 (ko)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