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039B1 - 꼬치 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꼬치 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039B1
KR101610039B1 KR1020150169632A KR20150169632A KR101610039B1 KR 101610039 B1 KR101610039 B1 KR 101610039B1 KR 1020150169632 A KR1020150169632 A KR 1020150169632A KR 20150169632 A KR20150169632 A KR 20150169632A KR 101610039 B1 KR101610039 B1 KR 101610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button
holder
groove
sk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현
Original Assignee
박승현
주식회사 보현
김윤석
유성호
최승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현, 주식회사 보현, 김윤석, 유성호, 최승혁 filed Critical 박승현
Priority to KR1020150169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꼬치 스틱을 고정하는 홀더 및 홀더와 꼬치 스틱이 안착되도록 서로 마주하는 측벽들에 꼬치 스틱이 거치되는 제1 홈과 홀더가 거치되는 제2 홈이 교대로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되, 홀더는 꼬치 스틱이 삽입되는 중공부가 마련된 하우징, 하우징에 탈착되도록 형성되며, 꼬치 스틱의 타측 끝단이 삽입되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스틱 결합부 및 하우징의 일단에 제1 홈에 거치되어 꼬치 스틱의 회전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꼬치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꼬치 구이 장치{INSTANT SKEWERED FOOD ROASTER}
본 발명은 꼬치 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꼬치 스틱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꼬치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고기나 소고기, 닭고기, 전어 등의 육류 및 어류는 전기나 가스 로스터(roaster) 또는 통상의 그릴식으로 된 구이장치에 구워 익힌 후 섭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 구이장치 중 전기나 가스 등을 열원으로 하는 로스터를 이용하여 육류 등을 굽는 경우에는 로스터의 열원위에 불판을 설치하고 불판 위에 육류를 올려 놓아 불판이 직접적으로 가열되면서 그 가열된 정도에 따라 육류가 구워지도록 되어 있으나,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불판 중 열원에 직접적으로 닿는 고기의 밑부분은 온도가 매우 높아 이 부분에 올려진 육류는 너무 빨리 구워지면서 타버리거나 눌어붙어 불판을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불판 중 열기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는 고기의 윗부분은 온도가 낮아 육류가 잘 구워지지 않으므로 취식자가 수시로 육류의 위치를 바꿔주거나 뒤집어야만 하고 육류가 구어지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불판위에서 구이요리가 이루어져 육류에서 발생되는 기름성분이 불판에 다량 잔류되어 육류에 그대로 묻어나 느끼한 맛이 있고 그 맛과 향이 통상의 그릴식으로 된 구이장치에서 직화식으로 구워진 구이요리보다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그릴식 구이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직육면체형 케이스형상으로 내부에 열원으로 숯불이나 나무 등이 투입되어 연소되는 본체케이싱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부에는 통상의 그릴이 올려지도록 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접철식다리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접철식다리를 펼쳐 지면위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본체케이싱이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그릴 위에 육류를 올려 놓고 숯이나 나무 등의 열원으로부터의 열기에 의해 상부의 육류를 직화식으로 익혀 굽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열원으로 사용되는 숯이나 나무 등의 향이 육류에 스며들어 그 맛과 향이 상기 로스터를 이용한 구이요리보다 뛰어난 장점이 있으나, 상기 본체케이싱 및 접철식다리 등은 그 부피가 매우 클 뿐 아니라 무거워 휴대 및 보관이 매우 불편하여 차량에 싣고 운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고 다니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릴식 또는 로스터식 구이장치의 이외에도 꼬치 스틱을 사용하는 꼬치구이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꼬치구이장치는 스틱에 끼운 육편이나 떡 등의 음식물을 자동으로 원활하게 익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꼬치구이기는 스틱의 양측 단부가 가열수단이 있는 본체의 양측벽에 거치된다. 이때, 음식물을 고루 익히도록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회전을 시켜야 하지만, 스틱에 끼워진 음식물의 무게가 불균형하여 무거운 쪽으로 다시 회전되어 음식물이 타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틱이 가열되어 사용자에 화상을 입히거나, 음식물에 손이 닿아 위생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꼬치 스틱을 고정하는 홀더와, 홀더와 꼬치 스틱이 거치되는 본체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꼬치 스틱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꼬치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꼬치 스틱을 고정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와 상기 꼬치 스틱이 안착되도록 서로 마주하는 측벽들에 상기 꼬치 스틱이 거치되는 제1 홈과 상기 홀더가 거치되는 제2 홈이 교대로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는 상기 꼬치 스틱이 삽입되는 중공부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꼬치 스틱의 타측 끝단이 삽입되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스틱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상기 제1 홈에 거치되어 상기 꼬치 스틱의 회전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1 홈에 거치되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측벽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다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꼬치 스틱이 삽입되도록 하단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중공부; 상기 스틱 결합부가 탈착되도록 상단에서 상기 중공부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스틱결합부 장착홀; 상기 스틱 결합부를 고정시키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도록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버튼 삽입홀을 더 포함하되,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 삽입홀에 삽입되면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는 버튼; 상기 스틱 결합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버튼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스틱 결합부에 밀착되는 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틱 결합부는 상기 결합구와 밀착되는 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버튼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은 상기 스틱 결합부를 상부로 밀어올려 이탈시키도록 상기 버튼고정홈의 하향경사면에 대응되도록 상향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이탈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은 상기 측벽에서 양쪽으로 경사지게 절개되는 경사면; 상기 양쪽 경사면을 따라 수직으로 절개되어 상기 고정부가 안착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에서 절개되는 내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를 회전시키는 홀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회전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조절바; 상기 측벽에서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가이드핀; 상기 조절바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상기 조절바 조작시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조절바의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홀더를 회전시키는 푸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꼬치 구이 장치는 꼬치 스틱을 고정하는 홀더와, 홀더가 안착되도록 본체에 제1 및 제2 홈을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꼬치 구이 장치는 사용자가 꼬치 스틱을 회전 시킬 수 있도록 본체 측면에 홀더 회전부를 구비하여, 동시에 복수의 꼬치 스틱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꼬치 구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꼬치 구이 장치의 홀더 회전부 동작 시 회전된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홀더의 I-I’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홀더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버튼에 의해 스틱결합부가 이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꼬치 구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꼬치 구이 장치의 홀더 회전부 동작 시 회전된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꼬치 구이 장치는 꼬치 스틱(10)을 고정하는 홀더(300) 및 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300)는 꼬치 스틱(10)의 일단에 장착되어, 꼬치 스틱(10)을 고정한다. 이때, 홀더(300)는 본체(100)의 측벽(120)에 형성된 제1 홈(130)에 거치되고, 꼬치 스틱(10)은 본체(100)의 측벽(110)에 형성된 제2 홈(140)에 거치될 수 있다.
본체(100)는 4개의 측벽들이 마련된 4각의 용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는 이를 지지대(2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는 4개의 측벽들 중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측벽(110, 120)에 제1 홈(130)과 제2 홈(14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홈(130)은 홀더(300)에 형성된 고정부(350)가 거치되도록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제1 홈(130)은 경사면(132), 안착면(134) 및 내부홈(136)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32)은 측벽(120)의 상단에서 경사지도록 측벽(120)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때, 경사면(13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면(134)의 양측에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면(134)은 경사면(132)과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경사면(132)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측벽(120)의 하부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안착면(134)은 고정부(350)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안착면(134)은 고정부(350)가 사각형태로 형성되므로 사각형태의 고정부(350)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경사면(132)측이 개방된 사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착면(134)은 ‘U’자 또는 ‘상부가 개방된 ㅁ’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면(134)에는 내부홈(13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내부홈(136)은 안착면(134)의 평탄한 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특히, 고정부(350)가 사각형일 경우 회전시 모서리의 일부가 내부홈(136)에 안착될 수 있도록 내부홈(136)이 뾰족하게 형성된다. 내부홈(136)에는 홀더(300)의 고정부(350)의 모서리가 안착된다.
도 1에서는 홀더(300)의 고정부(350)가 사각형인 경우 제1 홈(130)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홀더(300)의 고정부(350)가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일 경우에 상기 안착면(134)은 고정부(350)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제1 홈(130)의 안착면(134)은 경사면(132)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개되어 다각형태의 고정부(350)가 안착된 후에는 자연적인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홈(140)은 꼬치 스틱(10)의 끝단이 거치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2 홈(140)은 제1 홈(130)의 맞은편 측벽에 형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130)과 제2 홈(140)은 교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맞은편 측벽에는 제2 홈(140)과 제1 홈(130)이 교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00)에 홀더(3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홀더 회전부(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홀더 회전부(150)는 가이드핀(180), 조절바(160), 가이드부(170) 및 푸시돌기(19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바(160)는 긴 막대형상을 가지며,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조절바(160)는 사용자가 이동시키도록 일단이 측벽 전면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핀(180)은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핀(180)은 제1 홈(13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부(170)는 조절바(160)에 형성되며, 가이드핀(180)에 삽입되어 가이드핀(180)을 따라 조절바(16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70)는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조절바(160)가 좌우로 이동할 때, 일정영역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푸시돌기(190)는 조절바(160)의 상단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푸시돌기(190)는 홀더(300)에 형성된 걸림홈(370)에 결착된다. 푸시돌기(190)는 제1 홈(130)이 형성된 영역마다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절바(16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조절바(160)에 형성된 가이드부(170)와 본체(100)에 형성된 가이드핀(180)에 의해 조절바(160)는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소정영역 상승한다. 이때, 푸시돌기(190)는 홀더(300)를 상부로 들어올리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후, 조절바(16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하강하고, 홀더(300)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반복적으로, 조절바(160)를 이동시키면서 꼬치 스틱(10)의 음식물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은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홀더의 I-I’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홀더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홀더(300)에 대한 설명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체(100)와 연관지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홀더(300)는 하우징(310), 고정부(350), 스틱 결합부(320), 이탈방지부(360) 및 버튼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10)은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하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어 꼬치 스틱(10)이 삽입되는 중공부(316)가 마련되며, 스틱 결합부(320)가 삽입되도록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스틱결합부 장착홀(3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중공부(316)와 스틱결합부 장착홀(312)는 연결되며, 중공부(316)는 꼬치 스틱(10)의 직경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스틱결합부 장착홀(312)는 스틱 결합부(320)의 외경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310)은 버튼부(400)가 삽입되도록 측면에 버튼 삽입홀(380)이 구비된다. 버튼 삽입홀(380)은 버튼부(400)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버튼(440)의 모양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스틱결합부 장착홀(312)을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310)은 푸시돌기(190)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홈(3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걸림홈(370)은 고정부(350)측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절개되도록 형성되며, 걸림홈(370)의 내측으로 푸시돌기(19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푸시돌기(190)가 동작하면 하우징(310)이 회전된다.
고정부(350)는 하우징(310)의 끝단에 형성되며, 본체(100)의 제1 홈(130)에 거치되도록 형성된다. 고정부(350)는 제1 홈(130)에 거치되도록 얇은 다각형 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350)는 꼬치 스틱(10)이 삽입되도록 중공부(316)와 연결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350)는 꼬치 스틱(10)이 회전되지 않도록 제1 홈(130)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도 3 내지 5에는 고정부(350)가 사각형태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고정부(35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350)의 형태는 2N(N은 2 이상의 자연수)각형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50)는 하우징(310)과 이탈방지부(360) 사이에 형성된다.
스틱 결합부(320)는 외형이 핀(Pin) 형태로 형성된다. 스틱 결합부(320)는 하우징(310)의 상단에서 스틱결합부 장착홀(312)에 탈착되도록 형성된다. 스틱 결합부(320)는 꼬치 스틱(10)의 일단이 삽입되면 회전되지 않도록 하며, 하우징(310)에 장착된다. 스틱 결합부(320)는 누름부(322), 버튼고정홈(324), 스틱삽입홈(328), 절개부(329) 및 스틱집게부(326)가 구비될 수 있다.
누름부(322)는 못 또는 핀이 머리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누르도록 형성되며, 누름부(322)는 스틱결합부 장착홀(312) 내측에 삽입되지 않도록 스틱결합부 장착홀(312)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버튼고정홈(324)은 버튼부(400)에 포함된 결합구(420)가 결착되도록 주변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스틱집게부(326)는 스틱삽입홈(328)에 의해 내측에 꼬치 스틱(10)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틱삽입홈(328)은 꼬치 스틱(10)의 외경에 비해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부(329)는 스틱삽입홈(328)의 길이방향으로 스틱삽입홈(328)과 연결되도록 스틱집게부(326)의 끝단이 양측으로 분리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다. 절개부(329)는 스틱집게부(326)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집게부(326)는 꼬치 스틱(10)이 삽입되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360)는 고정부(350) 바깥쪽에 설치된다. 이탈방지부(360)는 홀더(300)가 제1 홈(130)에 안착된 후, 제1 홈(130)으로부터 홀더(3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360)는 고정부(350)에 비해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고정부(350)가 제1 홈(130)에 안착되면, 측벽(110, 120)의 내측에 위치하여 홀더(3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360)는 꼬치 스틱(10)이 삽입되도록 하우징(310)에 형성된 중공부(316)와 중첩되는 홀이 형성된다.
이때, 홀더(300)가 측벽(110, 120) 내측 또는 바깥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우징(310) 또한 고정부(350)에 비해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부(400)는 스틱 결합부(320)를 고정시키거나, 이탈시킨다. 이를 위하여, 버튼부(400)는 탄성부재(410), 결합구(420), 걸림바(340) 및 버튼(44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410)는 하우징(310) 일단이 내측에 형성되어 버튼(440)을 하우징(310) 바깥쪽 방향으로 밀어낸다. 결합구(420)는 구 모양으로 형성되며, 버튼(440)에 형성된 결합구 이동홀(446)내에 배치된다. 이때, 결합구(420)는 구형태 이외에 원뿔, 끝단이 둥글게 처리된 원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버튼(440)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스틱 결합부(320)를 고정시킨다. 버튼(440)은 하우징(310)에 형성된 버튼 삽입홀(380)을 따라 하우징(310) 내부에 설치되며, ‘ㄷ’자 형태의 홈 영역에 스틱 결합부(320)가 삽입되면 이를 탄성부재(410)와 결합구(420)를 통해 고정한다. 버튼(440)은 하우징(310)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버튼(440)을 누를 때 탄성부재(410)가 이동하여 스틱 결합부(320)와 버튼(440)을 이격시킬 수 있다.
특히, 결합구(420)는 스틱 결합부(320)에 형성된 버튼고정홈(324)에 안착되어 탄성부재(410)의 탄성력에 의해 스틱 결합부(320)를 고정시킨다. 또한, 버튼(440)을 누르면 결합구(420)가 버튼고정홈(324)에서 이탈되어 스틱 결합부(320)를 하우징(310)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틱 결합부(320)의 이탈 시 버튼(440)이 하우징(310) 내에 위치하도록 버튼(440)에 걸림바가이드홈(444)이 형성된다. 걸림바가이드홈(444)은 하우징(310)의 상부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바삽입홀(314)을 통해 삽입된 걸림바(340)에 의해 일정범위를 움직이도록 하며, 스틱 결합부(320)가 하우징(310)에서 이탈되어도 버튼(440)이 하우징(3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틱 결합부(320)의 이탈 시 버튼(440)에서 결합구(4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버튼(440)에 결합구 이동홀(446)이 형성된다. 결합구 이동홀(446)은 결합구(420)와 탄성부재(410)가 내재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스틱 결합부(320)와 마주하는 측은 반대측에 비해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결합구(4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꼬치 구이 장치는 스틱 결합부(320)의 이탈을 용이하게 하도록 이탈유도부(448)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유도부(448)는 버튼(440)의 끝단에 형성되어 버튼(440)이 눌리면 버튼고정홈(324)의 하향경사면이 이탈유도부(448)의 상향경사면을 따라 상부로 스틱결합부(320)를 밀어올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꼬치 구이 장치는 꼬치 스틱을 고정하는 홀더와, 홀더가 안착되도록 본체에 제1 및 제2 홈을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꼬치 구이 장치는 사용자가 꼬치 스틱을 회전 시킬 수 있도록 본체 측면에 홀더 회전부를 구비하여, 동시에 복수의 꼬치 스틱을 회전시킬 수 있다.
10: 꼬치 스틱
100: 본체
110, 120: 측벽
130: 제1 홈
132: 경사면
134: 안착면
136: 내부홈
140: 제2 홈
150: 홀더 회전부
160: 조절바
170: 가이드부
180: 가이드핀
190: 푸시돌기
200: 지지대
300: 홀더
310: 하우징
312: 스틱결합부 장착홀
314: 걸림바삽입홀
316: 중공부
320: 스틱 결합부;
322: 누름부
324: 버튼고정홈
326: 스틱집게부
328: 스틱삽입홈
329: 절개부
350: 고정부
360: 이탈방지부
370: 걸림홈
380: 버튼 삽입홀
400: 버튼부
410: 탄성부재
420: 결합구
430: 걸림바
440: 버튼
444: 걸림바가이드홈
446: 결합구 이동홀
448: 이탈유도부

Claims (8)

  1. 꼬치 스틱을 고정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와 상기 꼬치 스틱이 안착되도록 서로 마주하는 측벽들에 상기 꼬치 스틱이 거치되는 제1 홈과 상기 홀더가 거치되는 제2 홈이 교대로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는
    상기 꼬치 스틱이 삽입되는 중공부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꼬치 스틱의 타측 끝단이 삽입되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스틱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상기 제1 홈에 거치되어 상기 꼬치 스틱의 회전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꼬치 스틱이 삽입되도록 하단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중공부;
    상기 스틱 결합부가 탈착되도록 상단에서 상기 중공부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스틱결합부 장착홀;
    상기 스틱 결합부를 고정시키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도록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버튼 삽입홀을 더 포함하되,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 삽입홀에 삽입되면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되는 버튼;
    상기 스틱 결합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버튼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스틱 결합부에 밀착되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꼬치 구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1 홈에 거치되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측벽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꼬치 구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다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구이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 결합부는 상기 결합구와 밀착되는 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버튼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은 상기 스틱 결합부를 상부로 밀어올려 이탈시키도록 상기 버튼고정홈의 하향경사면에 대응되도록 상향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이탈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꼬치 구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측벽에서 양쪽으로 경사지게 절개되는 경사면;
    상기 양쪽 경사면을 따라 수직으로 절개되어 상기 고정부가 안착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에서 절개되는 내부홈을 더 포함하는 꼬치 구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를 회전시키는 홀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꼬치 구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회전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조절바;
    상기 측벽에서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가이드핀;
    상기 조절바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상기 조절바 조작시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조절바의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홀더를 회전시키는 푸시돌기를 포함하는 꼬치 구이 장치.
KR1020150169632A 2015-12-01 2015-12-01 꼬치 구이 장치 KR101610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632A KR101610039B1 (ko) 2015-12-01 2015-12-01 꼬치 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632A KR101610039B1 (ko) 2015-12-01 2015-12-01 꼬치 구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039B1 true KR101610039B1 (ko) 2016-04-07

Family

ID=5578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632A KR101610039B1 (ko) 2015-12-01 2015-12-01 꼬치 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0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240Y1 (ko) * 2005-10-24 2006-01-20 김기생 꼬치용 스틱 홀더
KR100603153B1 (ko) * 2005-05-31 2006-07-24 박상덕 고기 구이장치
KR200475816Y1 (ko) * 2013-09-10 2015-01-05 김석원 양면 구이용 자동 꼬치구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153B1 (ko) * 2005-05-31 2006-07-24 박상덕 고기 구이장치
KR200406240Y1 (ko) * 2005-10-24 2006-01-20 김기생 꼬치용 스틱 홀더
KR200475816Y1 (ko) * 2013-09-10 2015-01-05 김석원 양면 구이용 자동 꼬치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0057B1 (en) System and device for grilling foods
EP0707452B1 (en) Barbecue
US20120037639A1 (en) Interchangeable Pan
US20120031918A1 (en) Interchangeable pan
US10750905B2 (en) Barbecue (bar-b-que) grill and smoker
KR100936895B1 (ko) 전기식 로스터
US20090260526A1 (en) Grill rack and drip pan
US20060200994A1 (en)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KR101610039B1 (ko) 꼬치 구이 장치
CN106889904A (zh) 一种烤架
KR101515862B1 (ko) 다목적 구이용 석쇠
CN206120097U (zh) 一种五合一煎烤器
KR20070000744U (ko) 다용도 불고기 구이장치
KR20080102491A (ko) 가마솥 토스트기
KR200386648Y1 (ko) 산적 및 고기 구이 장치
KR200361110Y1 (ko) 다용도 조리기
KR200207275Y1 (ko) 훈제 구이기
US20140070475A1 (en) Kebab de-skewer
KR102115097B1 (ko) 고기구이판
EP2149323B1 (en) Barbecue
TWM565537U (zh) 烤箱裝置及烤盤組合
US20090293738A1 (en) Food Elevator for a Toaster or Grill
US11116225B2 (en) Cooking device
KR200189537Y1 (ko) 휴대용 가스버너
US20180242786A1 (en) Grill pan for loaves of f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