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153B1 - 고기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고기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153B1
KR100603153B1 KR1020050046220A KR20050046220A KR100603153B1 KR 100603153 B1 KR100603153 B1 KR 100603153B1 KR 1020050046220 A KR1020050046220 A KR 1020050046220A KR 20050046220 A KR20050046220 A KR 20050046220A KR 100603153 B1 KR100603153 B1 KR 100603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kewer
meat
oven
col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덕
Original Assignee
박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덕 filed Critical 박상덕
Priority to KR102005004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 구이장치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숯불등이 화력에 꼬치에 끼운 고기를 굽도록 하되, 그 꼬치의 회전 상태를 자유로이 조작하여 고기의 구석 구석 부분이 모두 잘 익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구이장치의 사방 아랫부분에 냉동기를 이용한 찬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구이 작업자가 구이 작업이 편리하도록 배려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수단은 임의의 장방형 크기로 이루어진 화덕부(11)와, 그 내부의 연료받침부(12)와, 상기 화덕부의 둘레로부터 사방으로 이격거리(13)를 둔체 고정된 화덕 보호부(14)와, 상기 화덕 보호부(14)의 둘레에 설치하되, 사방으로 공기 배출용 그릴구멍(15a)들을 가진 배기박스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 유니트(10), 그리고 상기 본체 유니트의 상부에서 지지기둥(21)으로 고정시키되, 배기연통(22)을 포함하는 지붕 유니트(20), 그리고 상기 본체 유니트의 상기 화덕부(11)에 입설하되, 받침홈(32)들을 가진 꼬치 수납대(31)를 포함하는 꼬치용 적재 유니트(30), 그리고 상기 본체 유니트(10)의 배기 박스부(15)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 유니트(40)로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기 구이장치{ROASTER FOR MEAT}
도 1은 본 발명의 고기 구이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기 구이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꼬치 수납대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꼬치용 받침홈을 보인 일 실시예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냉각기 유니트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본체 유니트 11 : 화덕부
12 : 연료 받침부 13 : 이격거리
14 : 화덕 보호부 15 : 배기박스부
15a : 배출용 그릴구멍 20 : 지붕 유니트
21 : 지지기둥 22 : 배기연통
30 : 꼬치용 적재 유니트 31 : 꼬치 수납대
32 : 받침홈 32a : 도입부홈
32b : 수평홈부 32c : V홈부
40 : 냉각기 유니트 41 : 냉동기
41a : 압축기 41b : 응축기
41c : 증발기 41d : 송풍팬
41e : 팽창밸브 42 : 냉풍덕트
43 : 방열덕트
본 발명은 고기 구이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종 육류를 숯불 등의 화력으로써 바베큐 형태로 굽도록 하되, 화력을 향한 부위를 수시로 바꾸어서 신속하면서도 골고루 익힐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에 함유된 지방질은 고기맛을 느끼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종의 성인병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육류로부터 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조리법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바베큐 구이나 숯불구이 등은 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대표적인 조리법들로서, 이 조리법들은 대상 구이물로부터 기름기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린내를 없애는 탈취효과도 있기 때문에 특히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과 같이 지방 함유량이 많고 비린향이 나는 육류를 조리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숯불구이는 열원으로 사용되는 숯의 특유한 향으로 입맛을 돋굴수 있기 때문에 더욱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조리의 편의를 위하여 구이의 대상이 되는 구이물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구울 수 있는 바베큐 구이기나 숯불 구이기 등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용되는 종래의 바베큐 구이기나 숯불 구이기는 구이물을 꼬치에 끼워 가열실에 다단계로 배열고정한 후 이 꼬치들을 전동모터로 가열실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공전시키면서 전기 또는 숯불로 열을 가함으로써, 구이물들로부터 기름이 아래로 흘러내려 제거되게 하면서 구이물들을 구워 조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이장치들은 동력기구를 이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설비 비용이 높아지고, 장기간 사용시 고장율이 높기 때문에 그 수명이 짧다.
특히, 종래의 구이장치들이 갖는 단점은 화력에 접근된 부분이 모두 다른데도 불구하고 자동적으로 회전하거나 뒤집거나 하기 때문에 부분 부분별로 익는 정도가 달라서 맛이 일정치 못하고 설 익는 부분이 있으며, 설 익는 부분이 없도록 시간을 오래 주면 일부 타는 부분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구워내는 속도가 빠르지 못하여 영업소에서는 수익에 불리하다.
한편, 종래의 일부 구이장치들은 육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밀폐된 케비넷 형태의 구이장치를 구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에서는 육 류를 넣고 꺼내기가 불편하여 사용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반대로 화력이 있는 부분을 노출되게 설치한 구이장치에서는 고기를 굽는 작업자가 화력에 근접되어 있기 때문에 땀을 많이 흘리는 등 그 열로인해 구이 작업을 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숯불등이 화력에 꼬치에 끼운 육류를 굽도록 하되, 동력장비를 사용치 않으면서도 그 꼬치의 회전 상태를 자유로이 조작하여 고기의 구석 구석 부분이 모두 잘 익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력이 준비되는 부분을 밀폐시키지 않음으로 해서 고기 굽는 작업이 구이장치의 사방 둘레에서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구이장치의 사방 아랫부분에 냉동기를 이용한 찬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구이 작업자가 구이 작업이 편리하도록 배려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수단은 임의의 장방형 크기로 이루어진 화덕부와, 그 내부의 연료받침부와, 상기 화덕부의 둘레로부터 사방으로 이격거리를 둔체 고정된 화덕 보호부와, 상기 화덕 보호부의 둘레에 설치하되, 사방으로 공기 배출용 그릴구멍들을 가진 배기박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 유니트, 그리고 상기 본체 유니트의 상부에서 지지기둥으로 고정시키되, 배기연통을 포함하는 지붕 유니트, 그리고 상기 본체 유니트의 상기 화덕부에 입설하되, 받침홈들을 가진 꼬치 수납대를 포함하는 꼬치용 적재 유니트, 그리고 상기 본체 유니트의 배기 박스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 유니트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꼬치용 적재 유니트는 상기 화덕부의 양쪽에 다수의 꼬치 수납대를 입설하되, 서로 대향되는 한 쌍씩을 등간격으로 설치한다.
또, 상기한 꼬치 수납대는 단면이 사각형인 꼬치를 걸치기 위한 꼬치 받침홈들을 상, 하로 다수개를 형성하되, 그 각각의 꼬치 받침홈들은 도입홈부와, 수평홈부와, V홈부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냉각기 유니트는 상기한 배기박스부 속으로 냉풍을 공급하기 위한 냉풍덕트와, 상기 냉풍덕트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압축기와, 응축기와, 증발기와, 송풍팬을 포함하는 냉동기, 그리고 상기한 냉동기로부터 발생하는 압축열을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방열덕트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기 구이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고기 구이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화덕부를 포함하는 본체 유니트(10)와, 그 위의 지붕 유니트(20)와, 그 화덕부 위의 고치용 적재 유니트(30)와, 냉각기 유니트(4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본체 유니트(10)는 임의의 장방형 크기로 이루어진 화덕부(11)와, 그 내부의 연료받침부(12)와, 상기 화덕부의 둘레로부터 사방으로 이격거리(13)를 둔체 고정된 화덕 보호부(14)와, 상기 화덕 보호부(14)의 둘레에 설치하되, 사방으로 공기 배출용 그릴구멍(15a)들을 가진 배기박스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한 이격거리(13) 속에는 단열이 가능한 유리섬유재를 채워 넣을 수도 있다.
그리고 또 상기한 지붕 유니트(20)는 상기 본체 유니트의 상부에서 지지기둥(21)으로 고정시키되, 배기연통(22)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화덕부(11)와 화덕 보호부(14)의 사이에 이격거리(13)를 두는 것은 화덕부(11)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직접 화덕 보호부(14)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에 설명할 냉각기 유니트(40)의 열 손실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또 한, 꼬치용 적재 유니트(30)는 상기 본체 유니트의 상기 화덕부(11)에 입설하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홈(32)들을 가진 꼬치 수납대(31)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할 꼬치(50)의 모양은 역시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각 단면을 갖는 것이 특징이며, 그 선단에는 뾰족하면서 창과 같이 확장부(51)가 있고, 후단에는 손잡이(52)가 마련된 것이며, 그 길이는 양측 꼬치 수납대(31)의 간격보다 길게하여 적재가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꼬치용 적재 유니트(30)는 상기 화덕부(11)의 양쪽에 다수의 꼬치 수납대(31)를 입설하되, 서로 대향되는 한 쌍씩을 등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며, 아울러 상기한 각각의 꼬치 수납대(31)는 단면이 사각형인 꼬치를 걸치기 위한 꼬치 받침홈(32)들을 상, 하로 다수개를 형성하되 그 각각의 꼬치 받침홈(32)들은 도입홈부(32a)와, 수평홈부(32b)와, V홈부(32c) 및 고정용 V홈부(d)로 이루어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한 냉각기 유니트(40)는 통상적인 냉동기(41)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41a)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41b)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41e)와, 팽창된 냉매를 이용하여 주위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41c), 그리고 증발기(41c) 주위의 열을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팬(41d)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송풍팬(41d)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 냉기는 상기한 배기박스부(15)를 향하여 연결 설치한 냉풍덕트(42)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한 냉동기(41)로부터 발생하는 압축열을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방열덕트(43)를 구비하되, 상기한 지붕 유니트(20)의 지지기둥(21)을 따라 배기연통(22)에 이르도록 방열덕트(43)를 구비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준비된 연료(예컨대 숯 등)를 착화시켜 화덕부(11)의 연료 받침부(12) 위로 공급한다.
화력이 충분할 때, 미리 고기를 끼워둔 꼬치(50)들을 상기한 꼬치용 적재 유니트(30)의 꼬치 수납대(31)를 이용하여 걸어 준다.
즉, 화덕부(11) 위에서 전, 후 또는 좌, 우로 한 쌍씩 입설된 꼬치 수납대(31)에서 양측 받침홈(32)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꼬치(50)를 걸어준다.
이와 같이 꼬치(50)를 걸어주면 그 꼬치(50)에 끼워진 고기는 아래의 화력으로 인해 익혀지게 되는 바, 가능한 골고루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업자는 수시로 그 방향을 돌려 준다.
본 발명의 꼬치 수납대(31)는 상기와 같이 꼬치(50)에 끼워진 고기의 방향을 돌려주기에 적합하다.
예컨대, 상기한 꼬치 수납대(31)의 수평홈부(32b)에서는 꼬치(50)의 사각 단면중 어느 한 쪽을 위로 하여 거기에 끼워진 고기가 엎어지거나 눕혀지게, 또는 좌측으로 세워지거나 우측으로 세워지게 하여 구울 수 있고, V홈부(32c)에서는 약 45°의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어 좋다.
특히 고정용 V홈부(32d)에서는 중심이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도록 끼워진 고기의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부분을 효과적으로 굽기 위하여 약 45°의 기울기로 기울어진 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서 좋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의 받침홈(32)은 본 발명의 도면에서 표현된 모양 외에도 꼬치(50)를 걸어 주기에 적당한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기를 굽는데 있어서 작업자는 화덕부(11)에 가까이 붙어서 고기를 굽게 되는 바, 화력에 근접된 이유로 더워서 땀을 많이 흘리게 될 때, 본 발명의 냉각기 유니트(40)를 사용한다.
즉, 냉동기(41)를 구동시키게 되면 압축기(41a)가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41b)로 보내고 응축기로부터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41e)를 지나면서 떨어지는 압력만큼 증발기(41c)에서 주위 열을 흡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송풍팬(41d)이 가동되면 냉풍덕트(42)를 통해 그 냉기를 배기박스부(15) 속으로 공급하게 되고, 배기 박스부(15)에서는 냉기 배출용 그릴구멍(15a)으로 시원한 냉풍이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기를 굽는 작업자는 물론 굽고있는 고기를 갖다 먹기 위한 사용자들도 화덕 가까이에 접근해도 쾌적함을 느끼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숯불등이 화력에 꼬치에 끼운 육류를 굽도록 하되, 수평홈부, V홈부 등으로 이루어진 받침홈을 가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그 꼬치의 회전 상태를 자유로이 조작하여 화력을 향한 부위를 세밀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고기의 구석 구석 부분을 모두 잘 익은 상태로 구워낼 수 있어 좋은 것이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화력이 준비되는 부분을 밀폐시키지 않음으로 해서 고기 굽는 작업이 구이장치의 사방 둘레에서 모두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구이장치의 화덕부 사방 아랫부분에 냉동기를 이용한 찬바람을 수시로 공급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구이 작업자 및 시식자 등 사용자가 쾌적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임의의 장방형 크기로 이루어진 화덕부(11)와, 그 내부의 연료받침부(12)와, 상기 화덕부의 둘레로부터 사방으로 이격거리(13)를 둔체 고정된 화덕 보호부(14)와, 상기 화덕 보호부(14)의 둘레에 설치하되, 사방으로 공기 배출용 그릴구멍(15a)들을 가진 배기박스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 유니트(10);
    상기 본체 유니트의 상부에서 지지기둥(21)으로 고정시키되, 배기연통(22)을 포함하는 지붕 유니트(20);
    상기 본체 유니트의 상기 화덕부(11)에 입설하되, 받침홈(32)들을 가진 꼬치 수납대(31)를 포함하는 꼬치용 적재 유니트(30);
    상기 본체 유니트(10)의 배기 박스부(15)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 유니트(40)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꼬치용 적재 유니트(30)는 상기 화덕부(11)의 양쪽에 다수의 꼬치 수납대(31)를 입설하되, 서로 대향되는 한 쌍씩을 등간격으로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꼬치 수납대(31)는 단면이 사각형인 꼬치를 걸치기 위한 꼬치 받침홈(32)들을 상, 하로 다수개를 형성하되, 그 각각의 꼬치 받침홈(32)들은 도입홈부(32a)와, 수평홈부(32b)와, V홈부(32c), 고정용 V홈부(32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냉각기 유니트(40)는 상기한 배기박스부(15) 속으로 냉풍을 공급하기 위한 냉풍덕트(42)와, 상기 냉풍덕트(42)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압축기(41a)와, 응축기(41b)와, 증발기(41c)와, 송풍팬(41d)을 포함하는 냉동기(41), 그리고 상기한 냉동기로부터 발생하는 압축열을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방열덕트(43)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KR1020050046220A 2005-05-31 2005-05-31 고기 구이장치 KR100603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220A KR100603153B1 (ko) 2005-05-31 2005-05-31 고기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220A KR100603153B1 (ko) 2005-05-31 2005-05-31 고기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3153B1 true KR100603153B1 (ko) 2006-07-24

Family

ID=3718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220A KR100603153B1 (ko) 2005-05-31 2005-05-31 고기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15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039B1 (ko) * 2015-12-01 2016-04-07 박승현 꼬치 구이 장치
CN107744343A (zh) * 2017-11-16 2018-03-02 张荣斌 一种快冷式烧烤炉
CN107912988A (zh) * 2018-01-09 2018-04-17 罗宏祥 自助式木炭无烟烧烤机
KR200486990Y1 (ko) 2017-08-22 2018-08-16 최감식 꼬치구이장치
CN108720645A (zh) * 2018-06-05 2018-11-02 佛山市顺德区唯点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烟气余热二次利用的节能环保型烧烤炉
CN108852035A (zh) * 2018-09-26 2018-11-23 刘艳萍 一种自动电加热烧烤炉
KR102241545B1 (ko) * 2019-12-18 2021-04-19 조태중 다각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241544B1 (ko) * 2019-12-18 2021-04-19 조태중 직사각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583A (ko) * 1993-08-27 1995-03-20 야스오 아오키 철 구
KR200359493Y1 (ko) 2004-06-01 2004-08-18 오세권 숯불구이장치
KR200362258Y1 (ko) 2004-07-02 2004-09-16 조영석 훈제 겸용 바비큐 구이장치.
KR20050030391A (ko) * 2003-09-26 2005-03-30 (주)오앤씨 글로벌 화덕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583A (ko) * 1993-08-27 1995-03-20 야스오 아오키 철 구
KR20050030391A (ko) * 2003-09-26 2005-03-30 (주)오앤씨 글로벌 화덕 구조
KR200359493Y1 (ko) 2004-06-01 2004-08-18 오세권 숯불구이장치
KR200362258Y1 (ko) 2004-07-02 2004-09-16 조영석 훈제 겸용 바비큐 구이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039B1 (ko) * 2015-12-01 2016-04-07 박승현 꼬치 구이 장치
KR200486990Y1 (ko) 2017-08-22 2018-08-16 최감식 꼬치구이장치
CN107744343A (zh) * 2017-11-16 2018-03-02 张荣斌 一种快冷式烧烤炉
CN107912988A (zh) * 2018-01-09 2018-04-17 罗宏祥 自助式木炭无烟烧烤机
CN108720645A (zh) * 2018-06-05 2018-11-02 佛山市顺德区唯点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烟气余热二次利用的节能环保型烧烤炉
CN108852035A (zh) * 2018-09-26 2018-11-23 刘艳萍 一种自动电加热烧烤炉
KR102241545B1 (ko) * 2019-12-18 2021-04-19 조태중 다각형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102241544B1 (ko) * 2019-12-18 2021-04-19 조태중 직사각 모양의 대형 철판구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3153B1 (ko) 고기 구이장치
US5429110A (en) Mobile pellet stove with thermal barrier and ventilated firepot
US20050034716A1 (en) Portable compact cooking appliance
AU2015255207B2 (en) Smoker oven with improved air flow
US6841759B2 (en) Indoor barbecue
US3121424A (en) Outdoor cooking apparatus
US5485816A (en) Charcoal burning cooking device
US6213004B1 (en) Portable broiling device
KR101738891B1 (ko) 가스 직화 구이기
KR200166404Y1 (ko) 고기 구이기
KR100673592B1 (ko) 바비큐 구이기
KR101449555B1 (ko)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US201402202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Food Using Fire Searing
CN207979542U (zh) 一种便于操作的烧烤架
KR100459268B1 (ko) 숯불 바베큐장치
KR200403197Y1 (ko) 고기구이기
KR200380144Y1 (ko) 숯불 구이기
KR19980073219A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200324762Y1 (ko) 구이기
WO2004008927A1 (en) Smoke-free meat roaster with internal heat isolation structure
KR101965705B1 (ko) 구이장치
CN220045672U (zh) 一种多功能烧烤炉
KR102505906B1 (ko) 육류 초벌구이기
CN215016271U (zh) 一种节能烧烤炉
KR101985539B1 (ko) 훈제 바베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