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238B1 -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238B1
KR100916238B1 KR1020020082803A KR20020082803A KR100916238B1 KR 100916238 B1 KR100916238 B1 KR 100916238B1 KR 1020020082803 A KR1020020082803 A KR 1020020082803A KR 20020082803 A KR20020082803 A KR 20020082803A KR 100916238 B1 KR100916238 B1 KR 100916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ixing
clamp
fixture
wal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6230A (ko
Inventor
이관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82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2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56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2Picture members for connection to a conventional wall hook or nail
    • A47G1/1626Picture members for connection to a conventional wall hook or nail and being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7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fixing the picture or backing to the frame, e.g. clips, nails or the like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킬 액자 등의 벽체 고정품을 위한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에 수평 유지 장치를 부가하여, 벽체 고정품의 수평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는, 체결공을 구비한 본체와 다수의 클램프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구 및 상기 클램프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클램프를 구비하여 벽체 고정품을 지지하는 벽체 고정품 지지구로 이루어진 종래의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클램프 체결구멍 하단에는 나사공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공에는 머리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연장되는 제1 나사부와 이 제1 나사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오목홈부 및 이 오목홈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나사부로 이루어진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클램프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므로써, 상기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았더라도 벽체 고정품의 수평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벽체 고정용 보조 장치, 수평 유지 나사, 오목홈, 클램프, 체결공, 고리

Description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Bolt of Making Tilted Wallmount Frame Level}
도 1은 종래의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에 벽체 고정품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를 이루는 나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에 대한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 21 : 본체
21a : 체결공 22 : 고정구
22a : 클램프 체결구멍 23 : 벽체 고정품 지지구
23a : 클램프 25a : 타원형 확장부
25b : 축소부 30 : 벽체 고정품
40 : 나사 42 : 제1 나사부
43 : 오목홈부 44 : 제2 나사부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킬 액자 등의 벽체 고정품을 위한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에 수평 유지 장치를 부가하여, 상기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았더라도 상기 수평 유지 장치에 의하여 벽체 고정품의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20)는 건물의 벽면(10)에 고정시킬 액자 등의 벽체 고정품(30)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벽체 고정품(30) 보다 먼저 건물의 벽면(10)에 고정되고, 이후 상기 건물의 벽면(10)에 고정된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20) 상에 상기 벽체 고정품(30)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20)를 건물의 벽면(10)에 설치할 때에, 먼저 벽면(10)의 어느 부분에 상기 벽체 고정품(30)을 고정할 것인가를 정하게 되고, 이 와 같이 고정부가 정해지게 되면 상기 고정부에 상기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2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20)의 벽면 고정시, 상기 벽면에 드릴링 작업을 행하여 구멍을 뚫은 후, 상기 드릴링 작업으로 형성된 구멍에는 상기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20)의 본체(21)에 형성된 체결공(21a)을 일치시키게 되며, 이어서 상기 구멍과 일치된 체결공(21a)으로 볼트(미도시) 등의 체결부재를 밀어 넣어, 벽면에 상기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20)의 본체(21)를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20)의 본체(21) 양 측면에는 벽체 고정품 지지구(23)를 고정시키는 고정구(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고정구(22)에는 다수의 클램프 체결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22)에 고정되는 벽체 고정품 지지구(23)는 벽체 고정품(3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벽체 고정품(30)이 볼트 등에 의하여 체결되면, 상기 벽체 고정품 지지구(23)에 형성된 다수의 고리 등으로 이루어진 클램프(23a)가 상기 고정구(22)의 클램프 체결구멍(22a)에 체결되어, 상기 벽체 고정품(30)을 지지하고 있는 벽체 고정품 지지구(23)는 상기 고정구(22)에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벽체 고정품(30)을 고정시키기 위한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20)의 설치 작업시, 드릴링 작업을 통하여 벽면에 구멍을 형성하여야 하지만, 상기 드릴링 작업을 할 때, 정확히 맞혀 놓은 수평의 뒤틀림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정확한 수평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벽면에 고정된 상기 벽체 고정용 보조장 치(20)를 조정해 주어야 하지만, 상기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20)는 이미 벽면에 고정된 상태에 있으므로 조정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다시 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에 높이 조절용 나사로 이루어진 수평 유지 장치를 부가하여, 상기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았더라도 상기 수평 유지 장치에 의하여 벽체 고정품의 수평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벽면에 체결되는 체결공을 구비한 본체와 다수의 클램프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본체의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구 및 클램프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클램프를 구비하여 벽체 고정품을 지지하는 벽체 고정품 지지구로 이루어진 종래의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에 있어서, 고정구의 클램프 체결구멍 하단에는 나사공을 형성하고, 나사공에는 머리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연장되는 제1 나사부와 이 제1 나사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오목홈부 및 이 오목홈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나사부로 이루어진 나사를 체결하여, 클램프의 높낮이를 미세하 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를 이루는 나사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의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20)의 본체(21)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22)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2)에는 다수의 클램프 체결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클램프 체결구멍(22a)은 통상 벽체 고정품 지지구(23)(도 1에 도시)에 형성된 다수의 고리 등으로 이루어진 클램프(23a)가 관통되는 타원형 확장부(25a)와 상기 클램프(23a)가 클램핑되는 축소부(25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22)에 형성된 다수의 클램프 체결구멍(22a) 하단, 더 정확하게는 상기 클램프(23a)가 클램핑되는 축소부(25b) 하단에는 측면의 나사공(미도시)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나사공에는 나사(40)를 체결하되, 상기 나사(4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형 또는 "+"자형 홈이 형성된 머리부(41)와, 상기 머리부(41)에 일체로 고정되어 연장되는 제1 나사부(42)와, 상기 제1 나사부(42)와 일체로 형성되는 오목홈부(43) 및 상기 오목홈부(43)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나사부(44)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20)의 본체(21)가 벽면(1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20)의 본체(21)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22)에 벽체 고정품 지지구(23)(도 1에 도시)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벽체 고정품 지지구(23)에 벽체 고정품(30)이 지지되어 있을 때, 만약 상기 벽체 고정품(3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져 있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22)에 형성된 클램프 체결구멍(22a) 하단의 나사공에 삽입된 나사(40)를 돌려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즉, 상기 나사(40)의 오목홈부(43) 중앙의 상단면이 상기 고정구(22)에 형성된 클램프 체결구멍(22a)을 이루는 축소부(25b)의 바로 하단에 위치해 있는 최초의 상태에서, 기울어져 있는 부분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나사(4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나사(40)의 오목홈부(43) 지름이 점점 커지게 되어, 상기 축소부(25b)에 위치한 클램프(23a)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벽체 고정품(30)은 벽면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반대로 지름이 점점 작아지는 상기 오목홈부(43) 쪽에 상기 클램프(23a)를 위치시켜 올라간 부분을 낮추어 수평 상태를 유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나사(40)의 회전에 의하여 수평을 맞출 때 그 차가 미세하게 조정되므로 상기 벽체 고정품 지지구(23)의 하부 말단의 가지부(도면번호 미부여)가 상기 고정구(22)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에 의하여, 벽면에 고정된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았더라도 벽체 고정품의 수평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시공비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Claims (1)

  1. 체결부재에 의하여 벽면에 체결되는 체결공(21a)을 구비한 본체(21)와 다수의 클램프 체결구멍(22a)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21)의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구(22) 및 상기 클램프 체결구멍(22a)에 체결되는 클램프(23a)를 구비하여 벽체 고정품(30)을 지지하는 벽체 고정품 지지구(23)로 이루어진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2)의 클램프 체결구멍(22a) 하단에는 나사공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공에는 머리부(41)에 일체로 고정되어 연장되는 제1 나사부(42)와 상기 제1 나사부(42)와 일체로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는 오목홈부(43) 및 상기 오목홈부(43)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나사부(44)로 이루어진 나사(40)를 체결하여, 상기 클램프(23a)와 상기 만곡형상의 오목홈부(43)와의 접촉위치에 따라 상기 클램프(23a)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
KR1020020082803A 2002-12-23 2002-12-23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 KR100916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803A KR100916238B1 (ko) 2002-12-23 2002-12-23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803A KR100916238B1 (ko) 2002-12-23 2002-12-23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230A KR20040056230A (ko) 2004-06-30
KR100916238B1 true KR100916238B1 (ko) 2009-09-10

Family

ID=3734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803A KR100916238B1 (ko) 2002-12-23 2002-12-23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2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5804A (ko) * 1995-12-30 1997-07-26 한승준 길이 조정 가능한 볼트
KR20000011034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Pdp 텔레비젼의 화면각도 조절장치
KR200279716Y1 (ko) * 2002-03-22 2002-06-24 주식회사세아정밀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KR20020073875A (ko) * 2001-03-16 2002-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걸이용 모니터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5804A (ko) * 1995-12-30 1997-07-26 한승준 길이 조정 가능한 볼트
KR20000011034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Pdp 텔레비젼의 화면각도 조절장치
KR20020073875A (ko) * 2001-03-16 2002-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걸이용 모니터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KR200279716Y1 (ko) * 2002-03-22 2002-06-24 주식회사세아정밀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230A (ko)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2957B2 (en) Panel clamp
US10149558B2 (en) Picture frame wall hanging and leveling assembly
KR100916238B1 (ko)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
JP5399867B2 (ja) 仮設足場用支持装置
JP2009074305A (ja) 振れ止め用下地材の固定金具
JP2005083538A (ja) 機器類支持用ポールのクランプ装置
KR200378378Y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JP3483699B2 (ja) 外壁パネルの支持構造
JP2850292B2 (ja) 角度自在の手摺支柱立設装置
JP3025664B2 (ja) 手摺支柱立設用ブラ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手摺支柱立設装置
KR200281484Y1 (ko) 유로폼용 보조각목 고정구
JP3238376U (ja) 野縁取付装置
JP2003275049A (ja) キャビネット等の架台
JP2002146987A (ja) 後付手摺支柱固定金具及び後付手摺支柱固定方法
JP2009174264A (ja) 軒樋支持具
JP2005264549A (ja) ローパーティションのブラケット取付け構造
JP2006097250A (ja) 天井板吊持装置
KR200229006Y1 (ko) 천정프레임고정용 나비클립(clip)
JP2003239913A (ja) リップ溝形鋼用吊りボルト支持具
KR200228620Y1 (ko) 공작물 고정용 지그
JPH06108568A (ja) 間仕切り壁の支持装置
FI87947C (fi) Justerbart monteringsorgan
JP2006207197A (ja) 軒樋支持具
JP3418856B2 (ja) 間仕切りパネルの支持装置
JP2000067637A (ja) 支柱への照明器具等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