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716Y1 -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716Y1
KR200279716Y1 KR2020020008630U KR20020008630U KR200279716Y1 KR 200279716 Y1 KR200279716 Y1 KR 200279716Y1 KR 2020020008630 U KR2020020008630 U KR 2020020008630U KR 20020008630 U KR20020008630 U KR 20020008630U KR 200279716 Y1 KR200279716 Y1 KR 200279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video display
video
rotat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세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세아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세아정밀
Priority to KR2020020008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7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716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는 영상 표시 기기가 결합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과 힌지 결합되며 배면이 소정의 지지대에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내측면에 상하로 상하측이 고정 형성되는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와 동심으로 형성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하측과 상기 회동판의 소정 위치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회동각 조절 링크가 포함되는 영상 기기 거치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영상 표시 기기의 설치 작업시에 장착된 구조의 변경없이 작은 외력으로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각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좋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시청자가 원하는 화면각을 직접 손으로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시청자는 보다 편리하게 화면각 조정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Moun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영상 표시 기기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PDP(Plasma Display Panel, 이하 "피디피"라 한다.) 또는 LCD(이하 "엘씨디"라 한다.)등의 평면 영상 표시 기기가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거치되어, 시청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영상 표시 기기는 음극선관이 이용되는 큰 부피의 영상 기기가 바닥에 놓여지는 스탠드 형의 많이 이용되어 왔다.
또한, 이와 같은 음극선관은 제조 상의 문제로 인하여 화면의 크기를 크기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피디피, 엘씨디, 전계 방출 소자가 이용되는 평면 영상 표시 기기가 많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평면 영상 표시 기기는 화면의 크기를 비교적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어, 시청자들이 많이 선호하고 있으며, 또한, 평판의 형상으로 공간상의 제약없이 벽면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평면 영상 표시 기기는 화면의 크기를 자유로이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대 화면의 구현이 가능함으로써, 기차역이나 관공서등의 공공장소에서의 사용이 늘고 있다.
종래에 영상 표시 기기가 설치되는 수단으로는 평면 영상 표시 기기의 배면에 볼트와 같은 소정의 체결부재가 형성된 뒤에, 벽면에 형성되는 소정의 지지대에 상기 볼트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화면이 정면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체용되어 왔다.
한편,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영상 표시 기기는 많은 사람들이 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청자의 키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시청자의 키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영상 표시 기기를 시청자가 불편없이 시청하기 위해서는,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은 약간 정도 하측으로 기울어져 시청자의 시선과 정확히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에 제시된 방법은 단순히 영상 표시 기기가 고정되도록 만 함으로써, 시청자의 시선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화면이 형성되어 영상 기기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반사로 인하여 시청자가 시청하는 데 있어 불편함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종래에 제시된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출원번호 20-2000-0023855 "PDP 텔레비전의 벽걸이 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또한 시청자가 위치하는 곳으로 영상 표시 기기가 놓이도록 하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영상 표시 기기 전체를 들어 다시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각을 조정해야 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시청자가 위치하는 곳의 각도로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각을 맞출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곳으로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각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보다 편리하게 맞출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 표시 기기가 본 고안에 따른 고정 장치에 설치되는 단계에 힘이 가하여지면, 그 뒤로는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각이 조정되는 중에는 영상 표시 기기의 자중에 의하여 보다 간편하게 화면각이 조정될 수 있도록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 기기 거치부의 일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 기기 거치부의 타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 기기 거치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 기기 거치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로대 15 : 세로대 20 : 로울러
100 : 영상 표시 기기 거치부 110 : 고정판
120 : 회동판 130 : 회동각 조절 링크 140 : 상기 가이드 바
145 : 스프링 150 : 영상 표시 기기 160 : 가스 스프링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평면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는 영상 표시 기기가 결합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과 힌지 결합되며 배면이 소정의 지지대에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내측면에 상하로 상하측이 고정 형성되는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와 동심으로 형성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하측과 상기 회동판의 소정 위치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회동각 조절 링크가 포함되는 영상 기기 거치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해서, 영상 표시 기기, 보다 상세히는 평면 영상 표시 기기를 보다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일단 설치된 영상 표시 기기는 영상 표시 기기의 자중이 이용되어 보다 편리하게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각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지면에 닿는 로울러(20)와, 로울러(20)의 상측에 형성되는 한개 이상의 세로대(15)와, 상기 세로대(15)를 가로 질러 형성되는 한개 이상의 가로대(10)와, 상기 가로대(10)에 형성되는 최소한 두개 이상의 영상 기기 거치부(100)가 포함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로울러(20)는 영상 표시 기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세로대(15)는 영상 표시 기기의 자중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로울러(20)의 상측에 양단부 또는 중앙부에 최소한 두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가로대(10)는 상기 영상 표시 기기 거치부(100)가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최소한 한쌍이 이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상기 영상 기기 거치부(100)는 상기 가로대(10)에 최소한 두개 이상이 형성되며, 최소한 두개 이상의 영상 기기 거치부(100)가 하나의 영상 표시 기기의 좌우 측에 결합됨으로써 영상 표시 기기의 자중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영상 표시 기기의 자중이 무거워 두개의 영상 기기 거치부(100)만으로는 영상 표시 기기의 자중이 지지될 수 없는 경우에는 적절히 영상 기기 거치부(100)의 수를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영상 표시 기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고 일정의 장소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는 소정의 벽면에 상기 영상 기기 거치부(100) 만이 고정결합되는것 만으로도 영상 표시 기기는 안정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 기기 거치부의 일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기기 거치부(100)는 상기 가로대(도 1의 10참조)에 고정되는 고정판(110)과, 영상 표시 기기가 결합되어 화면각이 조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판(110)과 소정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는 회동판(120)과, 상기 고정판(1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소정의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 일단이 닿으며 타단은 상기 회동판(120)에 닿아 회동판(120)의 회동각이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회동각 조절 링크(130)가 포함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탄성부는 고정판(1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상측 지지구(111) 및 하측 지지구(112)와, 상기 상,하측 지지구(111)(112)에 양단이 고정되는 가이드 바(140)와, 상기 가이드 바(140)의 외주에 삽입형성되는 스프링(145)과, 상기 스프링(145)의 하단이 접하며 회동각 조절 링크(130)의 하측단이 힌지 결합되는 스프링 지지구(135)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지지구(135)의 내부는 상기 가이드 바(140)가 삽입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지지구(135)가 상기 가이드 바(140)를 따라서만 움직임으로써 상기 회동판 조정 링크(130)의 하단이 상기 가이드 바(140)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움직이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판(110)이 가로대(도 1의 10참조)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최소한 한 쌍의 고정판 지지부(114)와, 영상 표시 기기가 상기 회동판(120)에 놓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회동판(120) 하측에 형성되는 영상 기기 걸림바(121)와, 회동판(12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영상 기기 걸림홈(122)이 포함된다.
또한, 회동판(120)의 회동에 마찰력아 가하여져 회동판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하여, 회동각 조절 링크(130)의 하단이 고정판(110)측에 힌지 결합되는 하측 링크 힌지(136)과, 회동 조절 링크(130)의 상단이 회동판(120)에 힌지 결합되는 상측 링크 힌지(131)와, 고정판(110)의 하단에서 앞쪽으로 연장형성되는 회동판 고정구(113)와 상기 회동판(120)이 힌지 결합되는 하측 회동판 힌지(125)가 포함된다.
상기 하측 링크 힌지(136)와, 상측 링크 힌지(131)와, 하측 회동판 힌지(125)는 힌지로 결합되는 양 부재 및 중심축에 더하여, 다수의 와셔가 중심축에 삽입되어, 양 부재간의 회동 동작에 마찰력이 인가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 기기 거치부의 타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회동각 조절 링크(13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 링크 힌지(131)가 타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살필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10)에는 회동각 조절 링크(130) 하측단의 동작이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판(1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링크 가이드(115)가 더 형성된다. 상기 링크 가이드(115)는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각이 조절될 수 있는 한계가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되게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영상 표시 기기의 배면에 형성되는 소정의 돌기가 상기 영상 기기 걸림바(121)와, 영상 기기 걸림홈(122)에 걸림으로써, 회동판(120)에 결합된다. 영상 표시 기기가 결합된 회동판(120)은 영상 표시 기기의 자중으로 인하여 하측으로 힘이 발생되어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토크와 하중이 발생되며, 상기 토크 및 하중은 세개의 힌지점의 마찰력과 회동판 고정구(113)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영상 표시 기기와 시청자의 상대적인 위치 차이로 인하여,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각이 조절되는 경우에는 시청자 또는 작업자가 영상 표시 기기의 상단을 잡고 하측 회동판 힌지(125)를 중심으로 영상 표시 기기를 당긴다.
이러한 힘으로 인하여 회동판(120)과 고정판(110)이 연결되는 회동각 조절링크(130)가 변위되는데, 그 변위는 스프링(145)이 압축 변위되어 스프링(145)에서는 반발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힘의 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영상 표시 기기와 시청자와의 위치를 고려하여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각이 기울어지도록 해야되는 경우(영상 표시 기기가 눕혀지는 경우)에는, 영상 표시 기기의 자중과 작업자가 가하는 힘은 화면각이 커지는 방향의 힘으로 작용되고, 스프링(145)의 복원력 및 힌지(131)(136)(125)의 마찰력은 화면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작용되어, 작업자가 가하는 힘에 따라 영상 표시 기기의 움직임이 조정된다.
그리고, 적정의 위치의 화면각으로 영상 표시 기기가 놓였을 때에는 작업자가 가하는 힘을 제거하여 스프링(145)의 복원력과 영상 표시 기기의 자중이 균형을 이루고, 그에 더하여 힌지(131)(136)(125)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강하게 작용되어 영상 표시 기기가 정지할 수 있다.
반면에, 외력에 의하여 화면각이 작아지도록 하는 경우(영상 표시 기기를 직립화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가하는 외력 및 스프링(145)의 복원력과, 영상 표시 기기의 자중 및 힌지(131)(136)(125)의 마찰력이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하여지며 영상 표시 기기의 위치가 조정된다.
그리고, 적정의 위치의 화면각으로 영상 표시 기기가 놓였을 때에는 작업자가 가하는 힘을 제거하여 스프링(145)의 복원력과 영상 표시 기기의 자중이 균형을 이루고, 그에 더하여 힌지(131)(136)(125)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강하게 작용되어 영상 표시 기기가 정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 기기 거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기기 거치부는 가로대(도 1의 10참조)에 독립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영상 기기 거치부(100)또한 상호 간의 작용없이 독립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다만, 영상 표시 기기는 그 자체가 강성이 강한 물품으로서, 일측에 형성되는 영상 기기 거치부(100)로 힘을 가하면, 타측의 영상 기기 거치부(100) 또한 동일하게 움직이게 되므로, 한 사람의 작업자가 힘을 가하여도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 기기 거치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50)의 배면에는 영상 표시 기기가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측 영상 기기 걸림 돌기(152) 및 하측 영상 기기 걸림 돌기(151)가 형성된다.
상기 하측 영상 기기 걸림 돌기(151)는 영상 기기 걸림바(도 4의 121참조)에 걸리며, 상측 영상 기기 걸림 돌기(152)는 영상 기기 걸림홈(도 4의 122참조)에 걸리게 되어 영상 표시 기기는 상기 회동판(1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영상 표시 기기가 상기 회동판(120)에 걸리는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하측 영상 기기 걸림 돌기(151)가 영상 기기 걸림바(121)에 걸려 그 위치가 지지되도록 한 뒤에, 영상 표시 기기(150)를 약간 정도 들어 상측 영상 기기 걸림 돌기(152)가 영상 기기 걸림홈(122)에 삽입되어 자중으로 인하여 하측으로 밀려 내려와, 안정되게 영상 표시 기기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영상 표시 기기가 안정되게 회동판(120)에 결합된 후에는 시청자와 영상 표시 기기 사이의 거리 및 각도에 따라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각(A)을 조정한다. 이때,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작업자가 가하는 힘, 스프링의 복원력, 힌지의 마찰력 및 영상 표시 기기의 자중의 역학 관계에 의하여 작업자가 지시하는 위치로 안정되게 영상 표시 기기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특히, 회동각 조절 링크(130)는 하단은 상기 가이드 바(도 2의 140참조)에 가이드되어 상하로만 움직이고, 상단은 상기 회동판(12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만이 가능함으로써, 회동판(120) 및 영상 표시 기기(150)의 움직임이 원활히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한다.
고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많은 부분은 본 고안의 원 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상기 상측 지지구(111) 및 하측 지지구(112)와, 가이드 바(140)와, 스프링(145)과, 스프링 지지구(135)를 대신하여 소정의 탄성이 상기 회동각 조절 링크(130)에 가하여 지기 위하여 상기 고정판(110)의 내측면에 강하게 고정되는 가스 스프링(160)이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히는, 가스 스프링(160)의 몸체는 강하게 고정판(110)에 결합되고, 상기 가스 스프링(160)의 일단에 형성되어 밀고 나는 가동단은 회동각 조절 링크(130)의 하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스 스프링(160)의 가동단과 회동각 조절 링크(130)의 접점에는 하측 링크 힌지(136)가 형성되도록 하여 회동각 조절 링크(130)가 원활히 움직이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스프링의 탄성계수와, 회동판 조절 링크의 길이, 한대의영상 표시 기기의 배면에 형성되는 영상 기기 거치부의 수, 와셔등에 기인한 마찰력의 크기 등이 조절되도록 하여, 고안의 전체적인 변화없이 영상 표시 기기의 크기 및 무게에 합당한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힌지 구조에 적용되는 마찰력과, 스프링의 복원력, 작업자에 의한 적절한 외력의 조합으로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각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또다른 유사한 구조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에 의하여 손쉽게 창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영상 표시 기기의 설치 작업시에 장착된 구조의 변경없이 작은 외력으로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각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좋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시청자가 원하는 화면각을 직접 손으로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시청자는 보다 편리하게 화면각 조정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탄성이 가하여지는 소정의 부재가 채용됨으로써 약간의 힘 만으로도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각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영상 표시 기기가 결합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과 힌지 결합되며 배면이 소정의 지지대에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내측면에 상하로 상하측이 고정 형성되는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와 동심으로 형성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하측과 상기 회동판의 소정 위치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회동각 조절 링크가 포함되는 영상 기기 거치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영상 기기 걸림바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영상 기기 걸림홈과,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영상 기기 걸림바에 걸리는 영상 기기 하측 걸림 돌기와, 상기 영상 기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상측 영상 기기 걸림 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고정판이 결합되는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에서 하측으로 최소한 두 부분이상 하측으로 연장되는 세로대와,
    상기 세로대의 하단에 형성되는 로울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기 거치부는 최소한 두개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하단에 접하고, 상기 가이드 바가 내삽되며, 상기 회동각 조절 링크가 힌지 결합되는 스프링 지지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구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소정의 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회동판의 회동각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링크 가이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7. 영상 표시 기기가 결합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과 힌지 결합되며 배면이 소정의 지지대에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내측면에 고정 형성되는 가스 스프링과, 상기 가스 스프링의 하측과 상기 회동판의 소정 위치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회동각 조절 링크가 포함되는 영상 기기 거치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KR2020020008630U 2002-03-22 2002-03-22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KR200279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630U KR200279716Y1 (ko) 2002-03-22 2002-03-22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630U KR200279716Y1 (ko) 2002-03-22 2002-03-22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716Y1 true KR200279716Y1 (ko) 2002-06-24

Family

ID=7311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630U KR200279716Y1 (ko) 2002-03-22 2002-03-22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71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98B1 (ko) 2005-12-30 200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0916238B1 (ko) * 2002-12-23 2009-09-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
CN107097874A (zh) * 2017-03-29 2017-08-29 浙江爱玛车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单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238B1 (ko) * 2002-12-23 2009-09-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벽체 고정용 보조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
KR100846898B1 (ko) 2005-12-30 200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CN107097874A (zh) * 2017-03-29 2017-08-29 浙江爱玛车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单撑
CN107097874B (zh) * 2017-03-29 2024-04-16 浙江爱玛车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单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8245B2 (en) Adjustable display mount
US7537189B2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KR101253569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099178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거치 장치
US7213792B2 (en) Height adjustable and pivotable monitor assembly
US7874530B2 (en) Supporter usable with display apparatus
US20070205340A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s
US20070064379A1 (en) Display apparatus
KR101949477B1 (ko) 평면 디스플레이용 벽걸이 장치
KR200279716Y1 (ko) 영상 표시 기기의 고정 장치
JP2000112375A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KR20000011034U (ko) Pdp 텔레비젼의 화면각도 조절장치
KR20100012517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100826198B1 (ko) 영상표시장치
JP2003029653A (ja) Lcdの高さ調節装置
KR100672329B1 (ko) 영상 표시 장치의 벽걸이 어셈블리
KR100459205B1 (ko)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받침대 어셈블리
KR100672486B1 (ko) 슬라이드 레일 및 영상기기
KR100829195B1 (ko) 평판형 텔레비젼용 벽부착식 스탠드장치
KR100628118B1 (ko) 평판형 모니터
KR100672593B1 (ko)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KR100736613B1 (ko)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KR100714228B1 (ko) 패널디스플레이 틸팅 월마운트
KR20210121431A (ko) 벽걸이 tv용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형 브라켓
KR20060115172A (ko)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