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738B1 - 복합사 - Google Patents

복합사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738B1
KR100915738B1 KR1020067027219A KR20067027219A KR100915738B1 KR 100915738 B1 KR100915738 B1 KR 100915738B1 KR 1020067027219 A KR1020067027219 A KR 1020067027219A KR 20067027219 A KR20067027219 A KR 20067027219A KR 100915738 B1 KR100915738 B1 KR 100915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fur
yarn
composite yarn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4558A (ko
Inventor
코지 가와이
유이치 오노
Original Assignee
코지 가와이
유이치 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지 가와이, 유이치 오노 filed Critical 코지 가와이
Priority to KR102006702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738B1/ko
Publication of KR2007006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4Yarns or threads having slubs, knops, spirals, loops, tufts, or other irregular or decorative effects, i.e. effect yar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6Threads formed from strip material other than pape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깃털과 테이프형 모피로 이루어지고 볼륨감, 촉감, 보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외관과 패션감도 우수한 복합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사{COMPOSITE YARN}
본 발명은 복합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실과 깃털, 실과 모피(부드러운 모피의 털을 포함), 또는 실과 모피와 깃털로 이루어져 볼륨감, 촉감, 보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외관과 패션감도 우수한 복합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분야의 기술에서는, 모피를 가늘게 절단한 다음 트위스트 가공을 한 모피사가 알려져 있고, 이런 모피사는 코트나 케이프(소매가 없이 어깨·등·팔만 가리게 만든 외투)의 겉지나 속지, 코트나 상의 등의 깃(칼라), 커프스, 장식테, 모자, 핸드백, 구두, 장갑, 숄, 스톨(여성의 어깨에 걸치는 긴 숄), 귀마개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모피사의 경우 가죽의 한쪽면에만 털이 있기 때문에, 트위스트 가공을 하면 가죽 표면이 겉으로 드러나게 되어 미감이나 패션감을 현저히 저하시킴은 물론, 모피 특유의 부드러운 촉감을 해치게 되어 상품가치를 해칠 염려가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수분을 함유한 모피생지를 털이 눕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잡아늘려 건조시킨 뒤, 털이 눕는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재단한 다음 가늘게 자르고, 이렇게 자른 모피에 수분을 함유시킨 다음 길이방향으로 잡아 늘이면서 털이 겉으로 들어나도록 트위스트 가공한 뒤 건조시켜, 종래의 모피사에 비해 가볍고 유연성이 우수하고 가는 모피사를 제조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이 제조방법으로 얻은 모피사는 종래의 모피사보다 가늘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점은 어느정도 해소하기는 해도 충분하게 만족스럽다고 하기는 어렵다.
또, 종래의 모피사는 1종류의 모피를 사용하기 때문에 털의 방향이 일정하고, 따라서 트위스트 가공을 해도 털의 방향이 일정한 방향으로 되는 것을 바꿀 수 없어서, 털이 일정 방향으로 누워 볼륨감이 부족함은 물론, 촉감이나 보온성도 떨어지고 미감이나 패션성에도 제약을 주는 원인이 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3028193호 특허공보
도 1은 실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실의 측면도;
도 2는 심사에 고정된 깃털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로서, (a)는 심사에 깃털을 나란하게 재봉질하여 고정한 상태를 심사면에서 본 개략도, (b)는 측면에서 본 개략도;
도 3은 모피 원피를 이면(표면)에서 본 개략도;
도 4는 모피 원피를 잡아늘인 상태의 개략도;
도 5는 잡아늘인 모피 원피의 주변부를 절단하여 장방형 모피판을 얻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6은 모피판을 여러개 재봉선을 따라 봉합하여 얻은 기다란 모피판의 개략도;
도 7은 기다란 모피판을 세단하여 테이프형 모피를 얻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8은 테이프형 모피를 보여주되, (a)는 테이프형 모피를 이면(표면)에서 본 개략도이고 (b)는 X-X축 단면도;
도 9는 실과 심사에 고정된 깃털을 접합하여 복합물로 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0은 복합물에 트위스트 가공을 하여 복합사로 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복합사로서, (a)는 길이방향의 개략도이고 (b)는 측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12는 실과 테이프형 모피털을 접합하여 복합물로 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본 발명은 이런 사정을 감안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볼륨감, 촉감 및 보온성이 우수하면서도, 흥취감과 미감과 패션성도 우수한 복합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 여러가지 실과 모피 및/또는 깃털을 복합화함으로써, 적은 재료로도 볼륨감을 도출하도록 하고, 그 결과 종래의 모피사보다 가죽 표면이 보이지 않도록 하고, 일정 방향으로 눕지 않도록 하며, 부드러운 촉감이 우수하면서도 보온성도 우수하며, 또한 여러가지 실과 모피털 및/또는 깃털의 조합에 의해 미감과 패션감도 대폭 개선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련된 발명은, 테이프형 기재에 직각으로 실을 나란히 고정한 빗모양 실과 심사(芯絲; core yarn)에 고정된 깃털을 접합한 것을 트위스트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를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련된 발명은, 테이프형 기재에 직각으로 실을 나란히 고정한 빗모양 실과 모피를 세단한 테이프형 모피를 접합한 것을 트위스트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를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련된 발명은, 테이프형 기재에 직각으로 실을 나란히 고정한 빗모양 실과, 모피를 세단한 테이프형 모피와, 심사(芯絲; core yarn)에 고정된 깃털을 접합한 것을 트위스트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를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련된 발명은, 테이프형 기재에 직각으로 실을 나란히 고정한 빗모양 실과 모피를 세단한 테이프형 모피가 양면접착 테이프에 의해 미리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를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련된 발명은, 실이 천연섬유나 인조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를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련된 발명은, 실이 의장사(意匠絲)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를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관련된 발명은, 깃털이 칠면조, 백조, 타조 또는 꿩의 깃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를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관련된 발명은, 모피가 밍크, 여우, 토끼, 친칠라, 검은담비 또는 무똥의 모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를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관련된 발명은, 양면접착 테이프의 한면에 테이프에 직각으로 실을 나란히 붙이고, 상기 테이프의 다른 면에 심사에 고정된 깃털의 심사면(芯絲面)을 고정한 다음 재봉질로 접합한 뒤, 트위스트 가공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의 제조방법을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관련된 발명은, 양면접착 테이프의 한면에 테이프에 직각으로 실을 나란히 붙이고, 상기 테이프의 다른 면에 모피를 세단한 테이프형 모피의 표피를 고정한 다음 재봉질로 접합한 뒤, 트위스트 가공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의 제조방법을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관련된 발명은, 양면접착 테이프의 한면에 테이프에 직각으로 실을 나란히 붙이고, 상기 테이프의 다른 면에 모피를 세단한 테이프형 모피의 표피를 고정한 다음, 심사에 고정된 깃털의 심사면(芯絲面)이 밑으로 향하게 모피 위에 배치한 뒤, 이들을 재봉질로 접합하과 나서, 트위스트 가공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의 제조방법을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관련된 발명은, 실의 길이가 20~1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의 제조방법을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관련된 발명은, 기다란 물체에 간격을 두고 실을 감고, 이 물체의 길이방향으로 접착테이프를 붙인 뒤, 테이프가 접착되지 않은 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빗모양 실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의 제조방법을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4에 관련된 발명은, 접착테이프가 양면접착 테이프이고, 실이 접착되지 않은 면에는 이형지를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의 제조방법을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사는 테이프형 기재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실을 나란히 고정한 빗모양 실, 모피를 세단한 테이프형 모피 및/또는 심사(芯絲; core yarn)에 고정된 깃털을 접합한 다음 트위스트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빗모양 실은 테이프형 기재에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실을 나란히 배치해 고정한 빗 모양을 갖는 것이다.
실로는 천연섬유, 인조(화학)섬유 등을 사용한다.
천연섬유로는 캐시미어, 울, 실크, 앙골라, 알파카 등의 동물섬유와, 면, 마, 야시 등의 식물섬유를 들 수 있다.
인조(화학)섬유로는 레이온 등의 재생섬유,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섬유, 폴리아미드(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알코올(비닐론), 폴리염화비닐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섬유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지만 필요에 따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또, 의장사(意匠絲; fancy yarn, 장식사라고도 하며, 실의 종류나 색상, 굵기 등이 서로 다른 실을 2-3올씩 합연(合撚)하거나 특수한 기계를 이용해 부분적으로 굵은 실(slub yarn)을 만들거나 섬유의 작은 뭉치를 함께 넣어 꼬는 등 (nep yarn) 색상이나 꼬임 수를 고의적으로 불균일하게 만듦으로써 장식적인 외관을 갖도록 한 실)를 사용하기도 한다.
테이프형 기재로는 종이, 합성수지 필름, 금속호일, 포 등을 사용하고, 폭은 약 0.5~3mm로 하며, 한쪽면이나 양면에 접착제를 바른 접착테이프가 바람직하다. 양면접착의 경우, 실을 접착하지 않은 면에 이형지(박리지)를 접착하고 사용할 때 이형지를 벗기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빗 모양의 실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홈(4)을 형성한 봉이나 통형의 본체(3) 주위에 임의의 간격으로 실(2)을 감고, 감긴 실(2) 위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테이프형 기재(1; 접착테이프)를 접착하고(도 1a 참조), 이어서 상기 홈(4)에 커터(5)를 대고 눌러 실(2)을 절단하면(도 1b 참조), 테이프형 기재(1)에 실이 나란히 고정된 빗 모양의 실(6)을 얻을 수 있다(도 1c 참조). 이 경우 도 1(c)와 같은 빗모양 실이 2개 얻어진다.
테이프형 기재(1)에 나란히 고정된 실(2)의 길이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사용 목적이나 선호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대개 20~150mm 정도가 바람직하다. 20mm 미만으로 하면 실의 효과가 충분치 않고, 150mm를 넘으면 깃털이나 모피털보다 크게 길어져 촉감이나 외관이 좋지 않은 경향이 있다. 나란히 고정하는 간격도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사용목적이나 선호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테이프형 기재(1)의 양측에 실(2)을 동일한 길이로 길게 돌출시키되 등간격으로 나란히 고정한 것을 예로 들었지만, 양측에 길게 돌출한 실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해도 좋고, 기재(1)의 한쪽에만 실(2)을 나란히 고정한 것도 좋다. 또, 나란히 고정한 간격도 다르게 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사용되는 깃털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칠면조, 타조, 백조, 꿩 등이 바람직하다. 폭 3~8cm 정도, 길이 5~15cm 정도의 깃털이 바람직하다. 깃털을 한가지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2가지 이상 조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깃털을 고정하기 위한 심사(芯絲; core yarn)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너무 굵으면 복합사의 촉감이 손상되고, 또 너무 가늘면 깃털의 고정과 양면접착 테이프 등에 의한 테이프형 모피와의 접합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5~10개 정도의 실을 가지런히 당겨두거나 꼬아서 직경 1.0~1.5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사에 깃털을 고정할 때, 깃털(7) 폭이 일정하게 되도록 깃축을 일부 중첩되게 심사에 나란히 놓고 깃털(7)의 깃축과 심사(8)를 재봉질하여 재봉선(9)에 고정하고, 심사에 고정된 깃털(10)을 얻는다(도 2a-b 참조). 이 경우, 재봉질 대신 접착제 등을 이용하면 접착제가 건조되면서 굳어지고 접착제에 의해 깃털이 굳어지면서 촉감이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테이프형 모피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여우(은여우, 흑여우, 백여우, 붉은여우 등), 밍크, 토끼, 친칠라, 검은담비, 무똥(mouton; 양의 모피를 가공한 것) 등의 모피가 바람직하다. 이들 모피를 한가지만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2가지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테이프형 모피는 모피를 폭 1~3mm 정도의 테이프형태로 절단한 것을 이용한다. 테이프형 모피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면, 모피 원피(11)를 종방향과 횡방향의 일방향이나 양방향으로 크게 잡아늘인다(도 3, 4 참조). 잡아늘인 모피 원피(11a)를 장방형이나 정방형으로 재단하고, 가장자리의 부정형 부분을 제거한 모피판(11b)을 얻는다(도 5 참조). 이렇게 얻은 모피판(11b) 여러개를 재봉선(9)을 따라 봉합하여 기다란 모피판(11c)을 얻는다(도 6 참조).
이어서, 기다란 모피판(11c)을 폭 1~3mm 정도의 테이프 형태로 세단하여 테이프형 모피(12)를 얻는다(도 7 참조). 도 8은 테이프형 모피(11)의 이면(표면)에서 본 개략도와 X-X선 단면도로서, 12a는 표피부, 12b는 모피의 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빗 모양 실은 심사에 고정된 깃털이나 테이프형 모피, 또는 심사에 고정된 깃털 및 테이프형 모피와 접합복합화한 뒤 트위스트 가공을 실시한 복합사이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형 기재(1)의 실(2)이 접착하지 않은 면에 심사에 고정된 깃털(10)의 심사(8) 표면을 접합하면, 빗모양 실과 심사에 고정된 깃털로 된 복합사가 형성된다. 접착제를 사용해 접합하는 것이 좋지만, 테이프형 기재(1)가 양면접착 테이프일 경우에는 접착면에 심사(8)를 접착하면 된다. 이어서, 빗모양 실(6)과 심사에 고정된 깃털(10)을 재봉선(9)에 일체화하여 복합물(13)로 만든다.
또, 접합수단으로 접착제를 사용하면, 접착제가 건조되면서 굳어지고 또 튀어나온 접착제에 의해 모피털이나 실이 굳어지게 되어 촉감이 나빠질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다음, 빗모양 실(6)과 심사에 고정된 깃털(10)로 이루어진 복합물을 트위스트 가공한다. 트위스트 가공은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장치가 이용된다. 즉, 케이스(14)의 내부 아랫쪽에 증기공(15)을 뚫은 증기공급 파이프(16)를 여러개 배치하고, 윗쪽에는 비틀림스프링(17)을 배치한다. 복합물(13)의 양단부에 비틀림 스프링(17)을 설치하고, 증기공급 파이프(16)에 증기를 공급하여 증기공(15)에서 증기를 분출시키면서 비틀림스프링(17)을 회전시킴으로써 복합물(13)을 트위스트 가공하여 본 발명의 복합사(18)를 얻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모양 실(6)과 심사에 고정된 깃털(10)로 된 복합사(18)는 접합된 심사(8)와 테이프형 기재(1) 주위에 깃털(7)의 털과 실(2)을 균일하게 결합되고, 또 깃털(7)이 일정 방향으로 누워 실(2)과 서로 엉기는 것을 방지하므로 볼륨감이 풍부하고 깃털과 모피 특유의 푹신한 느낌이나 촉감을 가지며, 보온성이 우수함은 물론, 미감과 패션감이 우수하게 된다.
또, 도 10~11에서는 실(2)을 깃털(7)과 구별하기 위해 좀더 길고 두껍게 표현하였는데, 다른 도면에서도 마찬가지다.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2)을 붙이지 않은 테이프형 기재(1) 표면에 테이프형 모피(12)의 표피(12a)를 접합하면 빗모양 실과 테이프형 모피로 된 복합사가 이루어진다. 접합수단과 방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어서, 빗모양 실(6)과 테이프형 모피(12)를 재봉선(9)을 따라 일체화 한 복합물(19)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트위스트 가공하면 본 발명의 복합사(20)가 된다(도 11 참조).
이렇게 얻은 복합사(20)는 도 11과 마찬가지로 종래의 한쪽면에만 털이 달린 모피사와는 달리 한쪽면에는 모피털(12b)이, 다른 면에는 실(2)이 달린 것으로서, 트위스트 가공한 경우에도 표피(12a)가 드러나지 않아 외관적으로 우수하고, 미적 감각이나 패션감이 비약적으로 높아진다. 또, 서로 다른 종류의 실과 모피를 조합하게 되므로, 시각적 다양성이 풍부하며, 촉감과 외관이 우수해진다.
또, 빗모양 실(6), 테이프형 모피(12) 및 심사에 고정된 깃털(10)로 된 도 13의 복합사에서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빗모양 실(6)을 이루는 테이프형 기재(1)중의 실(2)이 붙지 않은 면에 테이프형 모피(12)를 접합한다. 이어서, 심사에 고정된 깃털(10)의 심사(8) 표면을 테이프형 모피(12)의 털(12b)에 일부 겹쳐지게 배치하고, 3가지를 재봉선(9)을 따라 일체화하여 복합물(21)로 만든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트위스트 가공을 하면 본 발명의 복합사(22)가 얻어진다(도 11 참조).
이렇게 얻은 복합사(22)는, 도 11과 마찬가지로(도면에서는 깃털(7)과 모피털(12b)을 구별하지 않음), 서로 다른 실(2)과 모피털(12b)과 깃털(7)을 서로 결합하되 모피 표면이 드러나지 않으며, 모피털과 깃털을 서로 결합한 것에 실을 더 결합함으로써 모피털이나 깃털이 일정 방향으로 눕는 것을 저지하게 되어, 볼륨감이 풍부해지고, 촉감, 보온성, 미감 및 패션감이 우수하게 된다.
또, 실, 깃털, 테이프형 모피중의 적어도 하나에 예컨대 실로는 캐시미어와 실크를, 깃털로는 칠면조와 백조의 깃털을, 모피로는 여우와 토끼 모피를 사용하는 등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면 이들을 한 종류만 사용한 경우에 비해 한층 보기가 좋으며 촉감과 외관도 우수하고, 미감이나 패션감도 우수한 복합사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를 들어 다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제조예 1: 빗모양 실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해 테이프형 기재(1)로서 사용되는 폭 0.5mm의 양면접착테이프의 한쪽 면에 길이 20mm의 캐시미어 실(2)의 중앙을 붙이되 1mm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해 도 1c와 같은 빗모양 실(6)을 얻는다. 단, 양면접착테이프의 다른 면에는 이형지(박리지)를 붙여둔 것을 사용했다.
제조예 2: 심사에 고정된 깃털
6개의 실을 나란히 당긴 직경 약 1.5mm의 심사(8)에 깃털(7; 칠면조의 깃털로서 폭이 약 6~7cm, 길이 약 10~10cm)을 일부 겹쳐지게 깃축을 나란히 하고, 재봉선(8)을 따라 깃축과 심사를 재봉질하여, 깃털(10)을 심사에 고정한다(도 2 참조).
제조예 3: 테이프형 모피
여우모피를 약 3mm의 폭으로 세단해 도 8과 같은 테이프형 모피(12)를 얻었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얻은 빗모양 실(6)에서 실(2)이 접착되지 않은 기재(1)의 표면의 이형지를 벗겨낸 접착면에 제조예 2에서 얻은 깃털(10)의 심사(8) 표면을 접착한 다음, 재봉선(9)을 따라 재봉하여 복합물(13)을 얻었다(도 9 참조).
다음, 도 10의 장치를 이용해, 복합물(130의 양단을 스프링(17)을 통해 고정하고, 증기공급 파이프(16)에 증기를 공급해 증기공(15)을 통해 증기를 분출시키면서 비틀림스프링(17)을 회전시키면, 복합물(13)을 트위스트 가공하여 본 발명의 복합사(18)를 얻었다(도 11 참조).
이렇게 얻은 빗모양 실(6)과 심사에 고정된 깃털(10)로 된 복합사(18)는 접합된 심사(8)와 테이프형 기재(1) 둘레에 깃털(7)과 실(2)이 균일하게 결합되며, 또 깃털(7)이 일정 방향으로 누우면서 실(2)이 서로 엉기는 것을 방지하므로, 결과적으로 볼륨감이 풍부하고 깃털과 실 특유의 푹신한 느낌이나 촉감을 가지며, 보온성이 우수함은 물론, 미감과 패션감이 우수하다.
실시예 2
제조예 1에서 얻은 빗모양 실(6)과 테이프형 기재(1)의 양면접착테이프의 실(2)을 접착하지 않은 면의 이형지를 벗겨낸 접착면에, 제조예 3에서 얻은 테이프형 모피(12)의 표피(12a)를 접합하고, 재봉선(9)을 따라 재봉질해 얻은 복합물(19) 동일한 방법으로 트위스트 가공한 복합사(20)를 얻었다(도 12, 11 참조).
이렇게 얻은 복합사(20)는 종래의 한쪽에만 털이 달린 모피사와는 달리, 한쪽 면에는 모피털(12b)이, 다른 면에는 실(2)이 달린 것으로서, 트위스트 가공을 한 경우에도 표피(12a)가 드러나지 않아 외관상으로도 우수하고, 미적인 감각이나 패션감이 아주 높아지며, 또 서로 다른 실과 모피를 조합하여서 보기에 좋으며 풍부한 촉감과 외관을 얻게 된다.
실시예 3
제조예 1에서 얻은 빗모양 실(6)과 테이프형 기재(1)의 양면접착테이프의 실(2)을 접착하지 않은 면의 이형지를 벗겨낸 접착면에, 제조예 3에서 얻은 테이프형 모피(12)의 표피(12a)를 동일한 방식으로 접합했다. 다음, 제조예 2에서 얻은 심사에 고정된 깃털(10)의 심사(8) 표면을 테이프형 모피(12)의 모피털(12b)의 면에 겹쳐지게 배치하고, 3개를 재봉선(9)을 따라 일체화한 복합물(21)을 동일한 방식으로 트위스트 가공하여 본 발명의 복합사(22)를 얻었다(도 13, 11 참조).
이렇게 얻은 복합사(22)는 서로 다른 실(2)과 모피털(12b)과 깃털(7)이 서로 결합되어 모피 표피가 드러나지 않으며, 모피털과 깃털에 실을 더 결합함으로써 이들 3가지의 결합에 의해 모피털이나 깃털이 일정 방향으로 눕는 것을 저지하게 되어, 볼륨감이 풍부해지고, 촉감, 보온성, 미감 및 패션감이 우수하게 된다.
실시예 4
깃털로 칠면조와 백조 깃털을 교대로 심사에 고정하고, 모피로 여우와 토끼 모피를 교대로 봉합한 테이프형 모피를 사용해 실시예 3과 동일한 방식으로 복합사를 제조했다.
이렇게 얻은 복합사는 실시예 3의 복합사와는 다른 감각의 볼륨감과 촉감을 보이며, 실시예 3의 복합사와는 달리 한층 흥취감이 풍부한 미감과 패션감을 갖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사는 여러가지 털, 즉 실과 깃털, 실과 모피털, 실과 모피털과 깃털의 각각의 특징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면서도, 여러가지 실과 털을 조합하여 각각이 일정 방향으로 누우면서 서로 엉기는 것을 방지하고, 그 결과 적은 재료로도 볼륨감이 풍부하고 독특한 촉감을 내면서, 보온성이 우수하며, 미감과 패션감이 우수함은 물론 실용성도 우수하다.

Claims (14)

  1. 테이프형 기재에 직각으로 실을 나란히 고정한 빗모양 실과 심사(芯絲; core yarn)에 고정된 깃털을 접합한 것을 트위스트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2. 테이프형 기재에 직각으로 실을 나란히 고정한 빗모양 실과 모피를 세단한 테이프형 모피를 접합한 것을 트위스트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3. 테이프형 기재에 직각으로 실을 나란히 고정한 빗모양 실과, 모피를 세단한 테이프형 모피와, 심사(芯絲; core yarn)에 고정된 깃털을 접합한 것을 트위스트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테이프형 기재에 직각으로 실을 나란히 고정한 빗모양 실과 모피를 세단한 테이프형 모피가 양면접착 테이프에 의해 미리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이 천연섬유나 인조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이 의장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깃털이 칠면조, 백조, 타조 또는 꿩의 깃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피가 밍크, 여우, 토끼, 친칠라, 검은담비 또는 무똥의 모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9. 양면접착 테이프의 한면에 테이프에 직각으로 실을 나란히 붙이고, 상기 테이프의 다른 면에 심사에 고정된 깃털의 심사면(芯絲面)을 고정한 다음 재봉질로 접합한 뒤, 트위스트 가공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복합사의 제조방법.
  10. 양면접착 테이프의 한면에 테이프에 직각으로 실을 나란히 붙이고, 상기 테이프의 다른 면에 모피를 세단한 테이프형 모피의 표피를 고정한 다음 재봉질로 접합한 뒤, 트위스트 가공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항의 복합사의 제조방법.
  11. 양면접착 테이프의 한면에 테이프에 직각으로 실을 나란히 붙이고, 상기 테이프의 다른 면에 모피를 세단한 테이프형 모피의 표피를 고정한 다음, 심사에 고정된 깃털의 심사면(芯絲面)이 밑으로 향하게 모피 위에 배치한 뒤, 이들을 재봉질로 접합하과 나서, 트위스트 가공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의 복합사의 제조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실의 길이가 20~1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의 제조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기다란 물체에 간격을 두고 실을 감고, 이 물체의 길이방향으로 접착테이프를 붙인 뒤, 테이프가 접착되지 않은 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빗모양 실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테이프가 양면접착 테이프이고, 실이 접착되지 않은 면에는 이형지를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20067027219A 2004-08-31 2004-08-31 복합사 KR100915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7219A KR100915738B1 (ko) 2004-08-31 2004-08-31 복합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7219A KR100915738B1 (ko) 2004-08-31 2004-08-31 복합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558A KR20070064558A (ko) 2007-06-21
KR100915738B1 true KR100915738B1 (ko) 2009-09-04

Family

ID=3836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219A KR100915738B1 (ko) 2004-08-31 2004-08-31 복합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7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776B1 (ko) 2011-05-31 201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형광 검출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다채널 형광 검출 장치
CN108660572B (zh) * 2018-05-23 2020-06-19 中原工学院 一种自滤式负离子纱线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6247A (en) * 1976-02-03 1977-08-12 Yoshinobu Tamur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eather yarns
JPH0299629A (ja) * 1988-10-05 1990-04-11 Kamiya Nenshi:Kk 羽毛糸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6247A (en) * 1976-02-03 1977-08-12 Yoshinobu Tamur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eather yarns
JPH0299629A (ja) * 1988-10-05 1990-04-11 Kamiya Nenshi:Kk 羽毛糸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558A (ko)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84031B (zh) 假发用透湿性材料及具有该透湿性材料的假发或假发用基底帽
US20010037813A1 (en) Attachable hair extension
KR20080092987A (ko) 가발
KR100915738B1 (ko) 복합사
CN109098004A (zh) 基于人造粒面层形成的皮革材料、人造粒面层及加工方法
JPH0681000A (ja) 毛皮プレートの製造方法
JPWO2006025100A1 (ja) 複合ヤーン
KR100773610B1 (ko) 복합사
KR100585313B1 (ko) 인조 또는 천연모피로 이루어진 모피 레이스를 이용한 모피 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피 제품
KR101171376B1 (ko) 모피실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모피실과 이 모피실을 이용한 편물
JP2004068196A (ja) 部分かつら
KR200281095Y1 (ko) 모피 원피를 소폭으로 재단하고 봉합 연장하여 형성한 띠형상의 결합 모피소재
JP2518562B2 (ja) 衣 料
JP3843309B2 (ja) 複合ヤーン
US5682655A (en) Method for producing furred threads
CN219099197U (zh) 一种皮革缝制圆条
JP2019094582A (ja) 編紐地
CN217242846U (zh) 一种蚕丝接发片
CN212266892U (zh) 双面羊绒面料
CN212590522U (zh) 抑菌防辐射丝巾
JPH101833A (ja) 伸縮性ある意匠糸
JPS58180666A (ja) 通風性シ−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143497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хового полотна
KR100355005B1 (ko) 모피사
CN117770561A (zh) 一种发帘及其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