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987A - 가발 - Google Patents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987A
KR20080092987A KR1020087022134A KR20087022134A KR20080092987A KR 20080092987 A KR20080092987 A KR 20080092987A KR 1020087022134 A KR1020087022134 A KR 1020087022134A KR 20087022134 A KR20087022134 A KR 20087022134A KR 20080092987 A KR20080092987 A KR 20080092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 piece
base
wig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사 소토카와
가쓰오 스가이
유타카 시라카시
도시히코 사토
아케미 이리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08009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9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66Planting hair on 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83Filaments for making wig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2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40Modacrylic fibres, i.e. containing 35 to 85% acrylonitril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Woven Fabric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Hair Curl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가발용의 모재에 미리 컬을 부여하여, 그 모재를 가발 베이스에 결착하는 것에 의해, 컬을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모재(10)의 되접어 꺾은 부분(10c)을, 가발 베이스(12)의 아래쪽에서 필라먼트(15)의 한쪽 방향으로부터 다른쪽 방향으로 돌출시켜, 되접어 꺾은 부분(10c)의 안쪽에 제 1 루프부(17)를 형성한다. 만곡부(10d)를 제 1 루프부(17)에 삽입 관통하여, 만곡부(10d)의 안쪽에 제 2 루프부(19)를 형성한다. 제 2 루프부(19)에 모편(10b)을 삽입 관통하고, 모편(10a,10b)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 필라멘트(15)를 매듭(20)으로 묶는 것에 의해, 모재(10)를 필라멘트(15)에 결착한다.

Description

가발{WIG}
본 발명은, 머리부분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가려 장착되는 가발로서, 상세하게는 가발 베이스(wig base)에 컬한(curl) 모재(hair material)를 결착(結着)하는 가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발에 이용되는 모재는 직모가 일반적이었지만, 근년은 헤어 스타일이 여러 가지로 변화하고 있고, 특히 사용자가 여성인 경우에는, 머리카락의 볼륨감에 더하여 우아하고 개성적인 패션성을 구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 자유도가 적은 직모에서는 다양한 변화를 취하기 어렵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64-40606호가 알려져 있다. 이 명세서에 나타나는 기술은, 모재를 두 번 접어, 되접어 꺾은 부분을 가발 베이스의 앞머리 부분쪽에 결착한 후, 모재를 바깥쪽을 향하여 반전시켜 컬을 부여하여, 컬한 모재가 가발 베이스의 앞머리 부분쪽으로부터 뒷머리 부분쪽으로 흐르도록 하여 세트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가발 베이스에 결착한 모재의 전부에, 컬을 후가공으로 부여하는 상술한 구성에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재(1)의 되접어 꺾은 부분(1a)이 이미 가발 베이스(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나머지의 모편(1b)에 컬을 부여하는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이 결과, 로드나 컬러 등의 컬 부여수단(3)에 모편(1b)을 충분히 감아 붙이지 못하여, 루즈 컬이 되기 쉽고, 소정의 컬 지름을 부여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컬의 부여를 가열처리로 실시하는 경우에는, 가발 베이스(2)의 내열성능이 염려되고, 소정의 높은 온도에서 가열 처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컬의 형상을 장기간 유지할 수 없는 우려가 염려된다. 게다가, 컬을 후가공으로 부여하는 작업은, 두발에 퍼머를 하는 작업과 같기 때문에, 시간이 들어 효율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미리 모편에 컬을 부여한 모재를 가발 베이스에 결착하는 대책을 생각할 수 있지만,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재(1)의 되접어 꺾은 부분(1a)을 일반적인 결착구조로 가발 베이스(2)에 결착하면, 모편(1b)의 방향이 정해지지 않고 컬이 여러 가지 방향으로 향해 버린다. 이 때문에, 모재(1)를 빗으로 빗었다고 해도 모편(1b)의 컬을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여 정돈하지 못하여, 볼품이 나쁠 뿐만 아니라 사용의 요망에 따른 헤어 패션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미리 컬을 부여한 모재이더라도, 가발 베이스 부착 후에 컬을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가발을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상기 또 다른 목적으로서, 모편에 부여한 컬을 장기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가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둘로 접힌 한 쌍의 모편으로 이루어지는 모재를, 머리부분에 피착되는 가발 베이스에 다수 결착하여 구성되는 가발에 있어서, 상기 가발 베이스에 결착되기 전의 한 쌍의 모편에 미리 컬을 부여하고, 한 쌍의 모편의 선단측을 가발 베이스에 대해서 소정의 방향을 향하면서, 양 모편 사이의 되접어 꺾은 부분을 가발 베이스에 고착하는 것에 의해, 고착 후의 한 쌍의 모편의 컬을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발 베이스에 모재의 고착에는 결착 또는 심어 설치 등이 있고, 가발 베이스가 네트형상의 경우에는, 양 모편 사이의 되접어 꺾은 부분을 네트의 필라멘트(filament)에 결착하는 것에 의해서 모재가 가발 베이스에 부착되고, 또한 가발 베이스가 시트형상의 경우에는, 양 모편 사이의 되접어 꺾은 부분을 필라멘트에 결착 또는 심어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모재가 가발 베이스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편의 컬은, 상기 모재가 소정의 피치 수 및, 상기 피치중에 소정의 개수가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한 헤어 피스에 콜드 퍼머액의 1제를 도포하여,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재에 물을 함유시키고, 상기 시트재 위에 상기 헤어 피스를 얹고 빗으로 빗는 것에 의해, 상기 모재를 시트재 위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헤어 피스와 시트재를 파이프재에 일체로 감아 붙이고, 이 감아 붙인 상태인 채 봉투체내에 밀봉하여 소정 시간 유지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봉투체로부터 꺼낸 모재에 콜드 퍼머액의 2제를 도포하고, 상기 헤어 피스와 시트재를 파이프재에 일체로 감아 붙이고, 이 감아 붙인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 감아 붙인 상태를 해제한 헤어 피스를 물로 씻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편의 컬은, 상기 모재가 소정의 피치수 및, 상기 피치중에 소정의 개수가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한 헤어 피스에 화학 섬유용 컨디셔너를 도포하고, 상기 헤어 피스를 부직포 또는 종이로 이루어지는 시트재 위에 얹고 빗으로 빗는 것에 의해, 상기 모재를 시트재 위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것과 함께, 헤어 피스와 시트재를 파이프재에 일체로 감아 붙이고, 이 감아 붙인 상태인 채 소정 시간 가열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편의 컬은, 상기 모재가 소정의 피치수 및, 상기 피치중에 소정의 개수가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한 헤어 피스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재에 각각 실리콘 에멀젼 수용액을 함유시키고, 상기 시트재 위에 상기 헤어 피스를 얹고 빗으로 빗는 것에 의해, 상기 모재를 시트재 위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것과 함께, 헤어 피스와 시트재를 파이프재에 일체로 감아 붙여 그 바깥쪽을 알루미늄박으로 덮고, 알루미늄박으로 덮은 헤어 피스와 시트재와 파이프재를 소정 시간 가열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편의 컬은, 상기 모재가 소정의 피치수 및, 상기 피치중에 소정의 개수가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한 헤어 피스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재를 각각 실리콘 에멀젼 수용액에 침지하고, 상기 시트재 위에 상기 헤어 피스를 얹고 빗으로 빗는 것에 의해, 상기 모재를 시트재 위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것과 함께, 헤어 피스와 시트재를 파이프재에 일체로 감아 붙여 이것을 건조시키고, 또한 헤어 피스와 시트재와 파이프재를 소정 시간 가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체로 감아 붙인 상태의 헤어 피스와 시트재와 파이프재를 알루미늄박으로 덮고, 알루미늄박으로 덮은 헤어 피스와 시트재와 파이프재를 소정 시간 가열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모편의 컬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재에는, 인모 외, 아크릴 수지나 모다아크릴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합성수지모가 이용된다. 이 모재를 결착하는 가발 베이스로서는, 합성섬유(화학섬유)나 식물섬유, 동물섬유를 그물코 형상으로 짜서 필라멘트로 하거나, 시트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사용하여, 성능의 안정성이나 내구성, 비용면 등의 관점에서,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이프재에 감아붙임 가이드로서 이용하는 시트형상체로서는, 부직포나 종이가 적당하고, 물에 적셨을 때에 표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미끄러지지 않는 성질을 갖는 레이온이나 폴리에스테르제의 부직포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하는 헤어 피스는, 소정 길이로 절단한 모재를 복수개씩 간격을 두고 나열하여, 이들 모재의 길이방향의 적당 위치를 봉합하고, 복수의 봉합다발을 형성하도록 하면 좋다. 헤어 피스의 가로폭은, 감아 붙임용 파이프재에 감아 붙이는 작업에 있어서, 너무 길면 파이프재에 균일한 텐션을 거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20c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어 피스에 도포되는 컨디셔너는, 컬 부여 후의 화학섬유모는 딱딱해지기 때문에, 감촉의 개선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비이온 또는 양이온 또는 이러한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계면활성제를 20∼30% 함유하고 있는 화학 섬유용의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함유가 30%를 넘으면, 컬 부여 후의 가열처리로 모재(10)의 표면이 끈적거리거나 색조가 변화해 버리고, 또한 계면활성제의 함유가 20% 이하이면, 컬 부여 후의 감촉의 개선 효과가 인정되기 어렵다.
본원의 청구항 1 내지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모재를 가발 베이스에 어떠한 방향으로 결착할 것인지에 따라서 모편의 컬의 방향을 결정되어, 소정의 헤어 디자인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모재를 같은 방향으로 가지런히 하여 가발 베이스에 고착하면, 이들 모재의 모편의 컬이 동일 방향으로 가지런히 되고, 또한 다수의 모재를 일정량마다 다른 방향으로 가발 베이스에 결착하면, 이들 모재의 모편의 컬이 다른 방향으로 배향된다. 따라서, 가발 베이스에 대한 모재의 고착 방향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헤어 디자인의 가발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모재의 모편에 부여된 컬을 장기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가발 베이스에 대한 모재의 방향을 결정하여 고착하는 것에 의해서, 모편의 컬의 방향이 결정되므로, 모재를 가발 베이스에 고착한 후에는, 모편의 컬을 소정의 방향으로 향한 가발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재의 부착에 의해서, 기본적인 헤어 디자인은 물론, 컬의 방향이 뒤섞인 복잡한 헤어 디자인에도 대응이 가능하여, 자유도가 높은 헤어 디자인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모재를 빗으로 빗어도 컬의 방향이 정해지지 않아, 디자인성이 나빴던 종래의 것에 비하면, 제품으로서의 완성율도 높다.
게다가, 한 쌍의 모편의 컬을 같은 방향으로 가지런히 하여 형성해 두는 것에 의해, 모재를 가발 베이스에 결착했을 때에는, 모편의 컬을 소정 방향으로 보다 간편하게 향할 수 있는 한편, 다른 방향으로는 쏠리기 어려워진다. 또한, 모재를 가발 베이스에 결착한 후에 컬을 가공하는 종래의 것과 비교하면, 소정의 컬 사이즈를 부여하기 쉽고, 또한 단시간에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게다가 모재에 부여된 컬의 형상을, 장기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형태예를 나타내는 모재를 가발 베이스에 결착하는 작업 공정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형태예를 나타내는 가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형태예를 나타내는 헤어 피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형태예를 나타내는 모재 단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형태예를 나타내는 가발 베이스에 결착한 모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형태예를 나타내는 모재를 가발 베이스에 결착하는 작업 공정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형태예∼제 7 형태예에 공통으로 이용하는 모재의 블렌드 작업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형태예∼제 7 형태예에 공통으로 이용하는 재봉틀질한 헤어 피스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형태예∼제 7 형태예에 공통으로 이용하는 시트재 위에 얹은 헤어 피스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형태예∼제 7 형태예에 공통으로 이용하는 시트재 위의 헤어 피스를 빗으로 빗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형태예∼제 7 형태예에 공통으로 이용하는 시트재 위의 헤어 피스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형태예∼제 7 형태예에 공통으로 이용하는 헤어 피스와 시트재를 파이프재에 감아 붙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형태예∼제 7 형태예에 공통으로 이용하는 헤어 피스와 시트재를 파이프재에 감아 붙인 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형태예∼제 7 형태예에 공통으로 이용하는 헤어 피스와 시트재를 파이프재에 감아 붙인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형태예∼제 7 형태예에 공통으로 이용하는 모재를 가발 베이스의 필라멘트에 결착한 상태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형태예∼제 7 형태예에 공통으로 이용하는 헤어 피스로부터 뽑아낸 모재의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형태예를 나타내는 직쇄 지방산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모재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형태예에 관한 파이프재의 바깥쪽을 알루미늄박으로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형태예에 관한 심초(
Figure 112008064172192-PCT00001
)구조의 인공모의 모재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형태예에 관한 인공모의 모재의 요철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1은 종래의 모재에 컬을 실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2는 종래의 모재를 가발 베이스에 결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형태예를 도 1∼도 2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면중, 도 1∼도 5는 본 발명의 제 1 형태예를 나타내고, 도 1(a)∼(e)는 모재를 네트로 이루어지는 가발 베이스의 필라멘트에 결착하는 작업 공정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2는 가발의 사시도, 도 3은 헤어 피스의 사시도, 도 4(a)∼(d)는 각각 모재 단품의 사시도, 도 5는 가발 베이스의 필라멘트에 결착한 모재의 정면도이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1 형태예는, 다수의 모재(10)를 모발(11)로서 가발 베이스(12)에 결착하고, 도 2에 나타내는 가발(13)을 구성하고 있다. 모재(10)에는 인모 혹은 합성수지모가 이용되고, 가발 베이스(12)에 결착하기 전의 헤어 피스(14)의 상태에서, 모편(10a,10b)에 미리 컬이 부여되고 있어, 다수의 모재(10)를 가발 베이스(12)에 결착했을 때에는, 중앙으로부터 좌우로 등분한 모발(11)에 대칭 형상의 컬을 갖게 한 헤어 디자인을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발 베이스(12)는, 합성 수지제의 인공 피부나 네트를 머리부분 형상으로 성형하여 형성되어 있고, 본 형태예에서는 가발 베이스(12)로서 네트를 구성하는 필라멘트(15)에 모재(10)가 결착된다. 헤어 피스(14)는, 소정 길이로 절단한 복수의 모재(10)의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를 재봉 실(16)로 봉합하고, 이것을, 도시하지 않는 파이프재 등의 원통체에 감아 돌려 가열 처리하는 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재(10)의 모편(10a,10b)의 각각 컬을 부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모편(10a,10b)에 미리 컬을 부여한 모재(10)를 헤어 피스(14)로부터 뽑아내어, 상기 모재(10)를 둘로 접어, 동일 방향으로 컬하는 한 쌍의 모편(10a,10b)과, 두 모편(10a,10b) 사이에 되접어 꺾어지는 되접어 꺾은 부분(10c)을 형성한다. 둘로 접어진 모편(10)은, 도 2에 나타내는 가발(13)의 중앙 나눔 부분으로부터 오른쪽에 이용하는 오른쪽 컬용과, 마찬가지로 중앙 나눔 부분으로부터 왼쪽에 이용하는 왼쪽 컬용으로 나누어 가발 베이스(12)에 결착된다.
도 4(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른쪽 컬용의 모재(10)는, 모편(10a,10b)의 선단측을 오른쪽으로, 만곡한 되접어 꺾은 부분(10c)을 왼쪽을 향하여 유지되고, 되접어 꺾은 부분(10c)의 근방을 왼쪽 엄지와 왼쪽 집게손가락으로 끼운 경우에는, 쌍방의 모편(10a,10b)이 왼쪽 집게손가락을 감도록 컬한다.
또한, 도 4(c)(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왼쪽 컬용의 모재(10)는, 모편(10a,10b)의 선단측을 왼쪽으로, 만곡한 되접어 꺾은 부분(10c)을 오른쪽으로 향하여 유지되고, 되접어 꺾은 부분(10c)의 근방을 왼쪽 엄지와 왼쪽 집게손가락으로 끼운 경우에는, 쌍방의 모편(10a,10b)이 왼쪽 엄지를 감도록 컬한다. 한편, 도 4(b)(d)에서는, 모편(10a,10b)이 컬하는 방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의적으로 손가락으로 끼우고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기계적인 파지수단을 이용하여 모재(10)를 파지하면서 가발 베이스(12)에 결착한다.
도 1(a)∼(e)의 공정에서는, 도 4의(a)(b)와 같이 유지한 오른쪽 컬용의 모재(10)를, 코바늘(18)의 기계적 조작에 의해서, 가발 베이스(12)로서의 네트를 구성하는 필라멘트(15)에 결착하는 사례를 나타내고 있다.
오른쪽 컬용의 모재(10)를 필라멘트(15)에 결착하는데 있어서, 모재(10)를 도시하지 않는 기계적 파지수단에 의해, 쌍방의 모편(10a,10b)이 가발 베이스(12)에 대해서 오른쪽으로 향하도록 파지하면서, 도 1(a)에서, 모재(10)의 되접어 꺾은 부분(10c)을 필라멘트(15)의 아래쪽(머리부분 피착측)에 위치시키고, 한쪽의 모편(10a)이 다른쪽의 모편(10b)의 위가 되도록 교차시켜, 되접어 꺾은 부분(10c)의 안쪽에 제 1 루프부(17)를 형성한다.
다음의 도 1(b)에서는, 되접어 꺾은 부분(10c)을 필라멘트(15)의 방향으로 갖고 오게 하고, 도 1(c)에서, 제 1 루프부(17)에 한쪽의 모편(10a)의 중간부를 만곡시키면서 통과시킴으로써, 제 1 루프부(17)로부터 끌어낸 한쪽의 모편(10a)의 중간부에 만곡부(10d)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만곡부(10d)의 안쪽에 제 2 루프부(19)를 형성한다.
그리고, 계속되는 도 1(d)에서는, 다른쪽의 모편(10b)을 한쪽의 모편(10a)의 바깥쪽으로부터 말려 들어가도록 하여 제 2 루프부(19)에 통과시켜, 도 1(e)에서, 모편(10a,10b)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필라멘트(15)를 매듭(20)으로 묶는 것에 의해, 모재(10)를 필라멘트(15)에 결착한다.
모편(10a,10b)에 오른쪽 컬을 갖는 본 형태예의 모재(10)는, 이와 같이 필라멘트(15)에 결착하는 것에 의해,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편(10a,10b)이 가발 베이스의 필라멘트(15)에 대해서 컬을 오른쪽방향으로 가지런히 하여 배향된다.
또한, 도 4(c)(d)에 나타내는 왼쪽 컬용의 모재(10)의 결착도, 상기한 오른쪽 컬용의 모재(10)와 마찬지로 같은 공정을 거쳐 필라멘트(15)에 결착 되어, 쌍방의 모편(10a,10b)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컬을 왼쪽방향으로 가지런히 하여 배향된다.
본 형태예는 상술과 같이, 미리 컬을 부여한 모편(10a,10b)의 선단측을, 가발 베이스(12)에 대해서 오른쪽 또는 왼쪽의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별도의 파지수단으로 파지하면서, 코바늘(18)을 기계적으로 조작하여 되접어 꺾은 부분(10c)을 필라멘트(15)에 결착하는 것에 의해, 모편(10a,10b)에 부여한 오른쪽 컬과 왼쪽 컬을, 가발 베이스(12)의 좌우에 정연하게 나눈 디자인의 가발(11)을 간편하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가발 베이스(12)에 결착한 모편(10a,10b)의 컬의 방향이 정해지지 않는다는 등이라 하는 종래와 같은 불량은 없고, 모재(10)를 결착 후에 빗으로 빗어, 모편(10a,10b)의 컬을 정돈하는 등의 후처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성과 생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품으로서의 완성율도 높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형태예를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a)∼(c)는, 미리 컬을 부여한 모재를 가발 베이스에 결착하는 작업 공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며, 모재(10)와 가발 베이스(12) 및 필라멘트(15)와 코바늘(18)에는, 제 1 형태예와 같은 것을 이용하고 있다.
도 6(a)∼(c)에 나타내는 제 2 형태예는, 미리 컬을 부여한 모재(10)를 가발 베이스(12)의 필라멘트(15)에 결착하는 데 있어서, 도 1(a)∼(e)의 제 1 형태예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기계적 파지수단으로 쌍방의 모편(10a,10b)의 컬이 가발 베이스(12)에 대해서 소정의 방향을 향하도록 파지하여, 도 6(a)에서, 모재(10)의 되접어 꺾은 부분(10c)을, 필라멘트(15)의 아래쪽(머리부분 피착측)에 위치시키고, 한쪽의 모편(10a)이 다른쪽의 모편(10b)의 위가 되도록 교차시켜, 되접어 꺾은 부분(10c)의 안쪽에 제 1 루프부(21)를 형성한다.
계속되는 도 6(b)에서는, 되접어 꺾은 부분(10c)을 필라멘트(15)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에 감아 돌리고, 다른쪽의 모편(10b)을 루프부(21)에 삽입 관통하고, 또한 다른쪽의 모편(10b)의 전체를 루프부(21)로부터 끌어내어, 쌍방의 모편(10a,10b)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필라멘트(15)를 매듭(22)으로 묶는 것에 의해, 모재(10)를 필라멘트(15)에 결착한다.
한편, 상술한 제 1, 제 2 형태예에서는, 필라멘트를 이용한 네트형상의 가발 베이스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가발 베이스로서 합성수지를 재료로 한 인공피부 등의 시트형상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시트형상의 가발 베이스에 모재를 결착하기 위해서는, 시트형상체에 다수의 관통구멍을 구멍을 뚫어 형성해 두고, 모재 한개당에 제 1 관통구멍과 제 2 관통구멍과의 2개를 이용하여, 이들 관통구멍을 제 1, 제 2 형태예의 필라멘트의 양측으로 간주함으로써, 모재를 결착할 수 있다. 게다가, 가발 베이스가 시트형상체의 경우에는, 모재의 되접어 꺾은 부분을 시트형상체에 꽂고, 시트형상체의 아래쪽에 돌출한 되접어 꺾은 부분의 선 단에 빠짐방지수단을 마련하는 설치에 의해서도 모재를 고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각 형태예에 이용하는 모재(10)의 모편(10a,10b)에 컬을 부여하는 순서를, 도 7∼도 16에 나타내는 제 3 형태예∼제 6 형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들 제 3 형태예∼제 6 형태예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이미 서술한 도 1∼도 6을 적절히 참작한다.
도면 중, 도 7∼도 16은 제 3 형태예를 나타내고, 도 7은 모재의 블렌드 작업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8은 재봉틀질한 헤어 피스의 평면도, 도 9는 시트재 위에 얹은 헤어 피스의 평면도, 도 10은 시트재 위의 헤어 피스를 빗으로 빗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시트재 위의 헤어 피스의 단면도, 도 12는 헤어 피스와 시트재를 파이프재에 감아 붙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헤어 피스와 시트재를 파이프재에 감아 붙인 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과 마찬가지로 헤어 피스와 시트재를 파이프재에 감아 붙인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모재를 필라멘트에 결착한 상태의 정면도, 도 16은 헤어 피스로부터 뽑아낸 모재의 평면도이다.
도 7∼도 16에 나타내는 제 3 형태예는, 모재(10)로서 인모(가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인모 큐티클(cuticle)의 제거 및 표백, 염색 가공한 인모도 포함한다)에 컬을 부여하는데 적합하고, 우선 도 7(a)(b)에 있어서, 원하는 복수색 인모를 모재(10)로서 복수개 묶은 머리다발(30)을 빗질기(31)에 걸어, 상기 빗질기(31)의 빗살(31a)과 머리다발(30)을 반복하여 빗어, 복수색의 모재(10)를 충분히 블렌드한다. 한편, 모재(10)가 단색의 인모이더라도 빗질기(31)에 거는 것에 의해, 모재(10)가 한 개씩 풀어진다. 다음에, 블렌드한 머리다발(30)을 소정의 길이로 절 단한다. 이 소정 길이가 모재(10)를 가발 베이스(12)에 결착할 때의 기본길이가 된다.
도 8(a)은, 소정 길이로 절단한 모재(10)의 적당 중량을 재봉틀로 모재(10)의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를 봉합하여 제작한 헤어 피스(14)의 평면도이고, 도 8(b)은 헤어 피스(14)의 확대도이고, 이와 같이 형성된 헤어 피스(14)는 복수의 봉합다발(32)을 가지고 있다. 도 8(a)에 나타내는 헤어 피스(14)의 가로폭 6L은, 후술하는 알루미늄제의 파이프재(33)에 헤어 피스(14)를 감아 붙이는 작업에 있어서, 너무 길면 파이프재(33)에 균일한 텐션을 거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20c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봉실(16)에 의한 봉합 위치는, 후술하는 공정에 의해서 모재(10)에 재봉실(16)의 꿰메붙인 흔적(34)이 붙으므로(도 16 참조), 이 꿰메붙인 흔적(34)이 모재(10)를 가발 베이스(12)에 결착할 때의 되접어 꺾은 위치가 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헤어 피스(14)는, 봉합다발(32)이 1cm당 8∼10개이고, 또한 봉합다발(32)의 각각 12∼27개의 모재(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합다발(32)이 1cm당 8개 이하이면, 봉합다발(32) 사이의 피치 간격이 너무 벌어져, 도 10에 나타내는 모재(10)를 평균적으로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없는 것, 모재(10)를 파이프재(33)에 일정한 각도로 감아 붙이는 것이 곤란하게 되며, 이 감아 붙이기 전에 헤어 피스(14)를 똑바로 되도록 빗으로 빗을 때에, 모재(10)가 봉합다발(32)로부터 빠지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봉합다발(32)이 1cm당 10개 이상이면, 봉합다발(32)끼리의 피치 간격이 없어지고, 꿰메붙인 부분이 두꺼 워져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였을 때에 단차가 생겨, 모재(10)에 주름이 들어가 소정의 컬보다 약한 소위 루즈 컬이 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단위길이당의 봉합다발(32)의 수가 많아지면, 헤어 피스(14)의 제작으로 재봉틀질했을 때에, 모재(10)와 재봉실(16)이 얽히기 쉬워져, 재봉실(16)이 잡아 당겨져서 예쁜 헤어 피스(14)가 되지 않기 때문에, 컬 부여 후의 모재(10)에 주름이나 구겨짐이 나와 버린다.
또한, 각 봉합다발(32)에 들어가는 모재(10)의 개수가 12개 이하의 경우는, 컬의 부여에는 문제없지만, 헤어 피스(14)의 길이가 길어져 필요량의 모재(10)를 가지런히 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헤어 피스(14)를 제작하여, 이것에 수반하여 헤어 피스(14)를 감아 붙이는 파이프재(33)의 개수도 증가하므로, 작업적 및 비용적 부담이 커진다. 한편, 봉합다발(32)당의 모재(10)의 개수가 27개 이상의 경우는, 각 봉합다발(32)의 두께가 증가해 버려, 소정의 컬보다 약한 루즈 컬이 되기 쉽다.
도 9와 도 11(a)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헤어 피스(14)에 콜드 퍼머액의 1제를 충분히 도포하고, 물을 함유시켜 작업대 위에 펼친 시트재(35)의 소정 위치에 헤어 피스(14)를 얹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헤어 피스(14)를 똑바로 되도록 빗으로 빗는 것에 의해, 도 10과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재(10)끼리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또한 일렬로 정렬하도록 분포시킴으로써, 헤어 피스(14)의 두께가 얇아진다.
상기 시트재(35)는, 헤어 피스(14)를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일 때의 가이드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사용시에는 물을 함유시켜 주름이 들어가지 않도록 작업대상에 펼쳐 밀착시킨다. 이 시트재(35)로서는, 물에 적셨을 때에 표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미끄러지지 않는 성질의 부직포가 좋다. 물에 적셨을 때에 표면이 미끄러지면, 알루미늄제의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였을 때에 헛돌거나 감아 붙인 헤어 피스(14)와의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켜 루즈 컬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시트재(35)에 이용하는 부직포의 재질은, 레이온 혹은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직물의 중량(평수)이 18∼30g/㎡이면 좋다. 직물의 중량이 18g/㎡ 이하의 경우는, 시트재(35)의 밀도가 얇아져, 헤어 피스(14)에 도포한 콜드 퍼머액이 증발하기 쉬워져 충분한 컬을 부여할 수 없고, 파이프재(33)에 감아붙임 작업시 시트재(35)에 텐션을 걸면 파손되기 쉬워진다. 또한, 직물의 중량이 30g/㎡ 이상에서는, 시트재(35)의 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에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인 경우에, 감은 지름이 진행될수록 직경이 굵어져 버려, 헤어 피스(14)가 소정 형상의 컬보다 약한 루즈 컬이 되기 쉽다.
다음의 도 12에 나타내는 공정에서는, 시트재(35)의 일끝단측에 단면이 원형인 알루미늄제의 파이프재(33)를 두고,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에 텐션을 걸면서, 이것들을 일체로 파이프재(33)에 말려 들어가게 하여,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어 피스(14)의 바깥쪽 중앙과 양쪽 끝단을 점착 테이프나 고무고리 등의 멈춤수단(36)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를 감아 붙인 파이프재(33)를, 도시하지 않은 플라스틱 봉투 안에 밀봉하여 실온에서 15분 정도 방치한 후, 플라스틱 봉투로부터 꺼낸 파이프재(33) 바깥둘레의 시트재(35)의 위로부터 헤어 피스(14)에, 혹은 파이프재(33)로부터 풀어낸 헤어 피스(14)에 직접 콜드 퍼머액의 2제를 도포한 후,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를 다시 파이프재(33)에 감아, 멈춤수단(36)으로 더 고정하고, 실온에서 15분 정도 방치한다.
그러한 후, 멈춤수단(36)을 떼어내고, 흐르는 물로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인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를 서서히 풀면서 물로 씻고, 시트재(35)에 주름이 들어가지 않게 하면서 작업대 위에 펼친다. 그리고, 이 시트재(35)의 소정 위치에 세정이 끝난 헤어 피스(14)를 배치하고, 헤어 피스(14)에 두발용 린스 또는 컨디셔너를 도포한다. 린스 또는 컨디셔너의 도포는, 콜드 퍼머액으로 처리한 모재(13)가 감촉이 딱딱해져 버리기 때문에, 감촉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행하여진다.
다음에, 도 10과 같은 공정으로 헤어 피스(14)를 빗으로 빗고, 모재(10)끼리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또한 일렬로 정렬하도록 균일하게 분포시킴으로써, 헤어 피스(14)의 두께를 얇게 한다. 다음에, 도 12∼도 14와 같은 공정으로,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를 파이프재(33)에 일체로 감아 붙이고, 또한 점착 테이프나 고무고리 등의 멈춤수단(36)으로 고정하여 타올 등으로 파이프재(33)를 감싸도록 하여 시트재(35)의 여분의 수분을 닦아낸다. 그러한 후,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인 시트재(35)가 완전하게 마를 때까지 실온에서 방치하거나, 혹은 건조기에 넣어 90℃ 정도의 온도에서 건조시킨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시트재(35)와 헤어 피스(14)를 꺼낸다.
도 15는, 이와 같이 하여 컬이 부여된 단품의 모재(10)를 나타내고 있고, 각 모재(10)에는, 재봉실(16)에 의한 봉합위치에 꿰메붙인 흔적(34)이 붙어 있다. 그 리고, 도 8의 봉합공정으로, 모재(10)의 길이 방향의 중간점을 재봉실(16)로 봉합하면, 도 15(a)와 같이, 모재(10)를 가발 베이스(12)의 필라멘트(15)에 결착한 모편(10a,10b)의 길이는, 모재(10)의 전체 길이를 등분한 둘로 접은 길이가 된다. 재봉실(16)에 의한 봉합위치는, 모재(10)의 전체 길이를 등분한 위치뿐만이 아니라, 이것을 약간 어긋난 위치를 재봉실(16)로 봉합하면,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고 짧음이 다른 길이의 모편(10a,10b)이 되고, 가발 베이스(12)의 필라멘트(15)에 결착했을 때에는, 도 15(a)의 등분 위치에서 봉합한 것과는 다른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형태예를, 제 3 형태예와 공통의 도 7∼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제 3 형태예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예는, 모재(10)로서 아크릴 수지나 모다아크릴계(아크릴과 염화비닐의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고, 내열성이 낮고 연화 온도가 100℃ 이하의 화학섬유모에 컬을 부여하는데 적합하다.
도 7∼도 16에 나타내는 제 4 형태예는, 도 7, 도 8의 공정이 제 3 형태예와 동일하고, 이것에 계속되는 도 9와 도 11(a)에서는, 헤어 피스(14)에 화학섬유용 컨디셔너를 도포한 후, 작업대 위에 펼친 시트재(35)의 소정 위치에 헤어 피스(14)를 얹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시트재(35)는, 헤어 피스(14)를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일 때의 가이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사용시에는 주름이 들어가지 않도록 작업대 위에 펼쳐 밀착시킨다. 헤어 피스(14)가 똑바로 되도록 빗으로 빗는 것에 의해, 도 10과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재(10)끼리의 틈새 가 벌어지지 않도록, 또한 일렬로 정렬하도록 균일하게 분포시킴으로써, 헤어 피스(14)의 두께가 얇아진다.
본 형태예의 시트재(35)에는, 부직포 또는 종이가 적당하고, 이들 직물의 중량(평수)를 40∼50g/㎡로 하는 것 이외, 특별히 성질을 선택하지 않는다. 직물의 중량이 40g/㎡ 이하의 경우는, 시트재(35)의 밀도가 얇아지고, 컬 부여의 가열 처리시에 열이 빨리 전해져 버려, 알루미늄제의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인 헤어 피스(14)의 최상층이 과열 상태가 되어, 그 부분에 수축이 일어나 볼품이 나빠져 상품 가치가 없는 상태가 되어 버린다. 또한, 직물의 중량이 50g/㎡ 이상에서는, 부직포 또는 종이의 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에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인 경우에, 감은 지름이 진행될수록 직경이 굵어져 버려, 헤어 피스(14)가 소정 형상의 컬보다 약한 루즈 컬이 되기 쉽다. 게다가, 부직포 또는 종이의 밀도가 진해지므로, 컬 부여의 가열 처리시에 열이 차단되어 버려, 컬 부여에 필요한 열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소정의 컬보다 약한 이른바 루즈 컬이 되기 쉽다.
또한, 헤어 피스(14)에 도포되는 화학 섬유용의 컨디셔너는, 컬 부여 후의 화학섬유모는 딱딱해지기 때문에, 감촉의 개선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비이온 또는 양이온 또는 이러한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계면활성제를 20∼30%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함유가 30%를 넘으면, 컬 부여 후의 가열처리로 모재(10)의 표면이 끈적거리거나 색조가 변화해 버리고, 또한 계면활성제의 함유가 20% 이하이면, 컬 부여 후의 감촉의 개선 효과가 인정되기 어렵다.
도 12에 나타내는 공정에서는, 시트재(35)의 일끝단측에 단면이 원형인 알루 미늄제의 파이프재(33)를 두고,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에 텐션을 걸면서, 이것들을 일체로 파이프재(33)에 말려 들어가게 하여,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어 피스(14)의 바깥쪽 중앙과 양쪽 끝단을 점착 테이프나 고무고리 등의 멈춤수단(36)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를 감아 붙인 파이프재(33)를 90℃ 정도로 설정한 건조기에 넣고, 1시간 정도 가열처리한다. 그러한 후, 파이프재(33)를 꺼내 자연 냉각하고, 마지막으로 시트재(35)로부터 헤어 피스(14)를 떼어낸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 형태예를, 제 3, 제 4 형태예와 공통의 도 7∼도 16에, 도 17, 도 18을 추가하여 설명한다. 한편, 제 3, 제 4 형태예와 동일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예는, 폴리아미드, 특히 직쇄 지방족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모재(10)의 모편(10a,10b)에 컬을 부여하는데 우수하다. 게다가, 모재의 착색은 원료의 썩어 넣음에 의한 원착(原着)인 것, 모재의 표면이 구정(球晶) 혹은 블라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공의 모재(10)의 표면에 요철(10e)이 형성되고 광택이 억제되어 있는 것, 모재의 수축율이 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제 5 형태예는, 도 7, 도 8의 공정이 제 3, 제 4 형태예와 같이,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에는,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일 때에, 실리콘 에멀젼 수용액에 침지한다. 시트재(35)에는, 직물의 중량(평수)이 18∼30g/㎡의 부직포를 이용하면 좋다. 직물의 중량이 18g/㎡ 이하의 경우는, 실리콘 에멀젼 수용액의 함침량이 적어져서, 모재 표면의 피막을 균일하게, 또한 소정의 막압력으로 고착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임시 텐션을 걸면 파손되기 쉽다. 또한, 직물의 중량이 30g/㎡ 이상에서는, 시트재(35)의 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에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인 경우에, 감은 지름이 진행될수록 직경이 굵어져 버려, 헤어 피스(14)가 소정 형상의 컬보다 약한 루즈 컬이 되기 쉽다.
시트재(35)로서의 부직포는, 물에 적셨을 때에 표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미끄러지지 않는 성질의 부직포가 좋다. 시트재(35)를 물에 적셨을 때에 표면이 미끄러지면, 알루미늄제의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였을 때에 헛돌거나,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인 헤어 피스(14)와의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켜, 루즈 컬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부직포에는 레이온 혹은 폴리에스테르제의 것이 좋고, 상술한 바와 같이 직물의 중량(평수)이 18∼30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리콘 에멀젼은, 모재(10)에의 컬의 부여와 모재 표면의 평활성과 농도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음이온성의 변색 에폭시 실리콘이 농색(濃色) 효과와 감촉, 내구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수용액의 농도는 1∼2%가, 컬 부여 후의 변색이나 끈적거리는 감촉이 없어 바람직하다.
도 7, 8에 계속되는 도 9와 도 11(a)의 공정에서는,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를 실리콘 에멀젼 수용액에 침지하고, 이것을 가볍게 짜서, 도 9에서 시트재(35)를 주름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작업대 위에 밀착시켜 펼쳐, 이 시트재(35)의 소정 위치에 헤어 피스(14)를 얹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헤어 피스(14)를 똑바로 되도록 빗으로 빗는 것에 의해, 도 10과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재(10)끼리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또한 일렬로 정렬하도록 균일하 게 분포시킴으로써, 헤어 피스(14)의 두께가 얇아진다.
도 12에 나타내는 다음 공정에서는, 시트재(35)의 일끝단측에 단면이 원형인 알루미늄제의 파이프재(33)를 두고,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에 텐션을 걸면서 이것들을 일체로 파이프재(33)에 말려 들어가게 하여,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어 피스(14)의 바깥쪽 중앙과 양쪽 끝단을 점착 테이프나 고무고리 등의 멈춤수단(36)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를 감아 붙인 파이프재(33)를 타올 등으로 가리고 여분의 실리콘 에멀젼 수용액을 닦아낸다.
다음의 도 18에 나타내는 공정에서는,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와 파이프재(33)의 바깥쪽 전체를 알루미늄박(37)으로 덮고, 이것을 160∼170℃의 건조기에 넣어 40∼60분간 가열처리한다. 열처리 후, 건조기로부터 꺼내 자연 냉각하여, 마지막으로 헤어 피스(14)를 꺼낸다.
한편, 본 형태예의 알루미늄박(37)에 의한 피복은, 1회의 가열처리에서, 습기와 건기를 연속하여 거는 것에 의해, 보다 저온에서 유지성이 높은 컬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건조기에 넣어 20∼30분간까지는, 알루미늄제의 파이프재(33)와 알루미늄박(37)과의 재질의 영향으로, 헤어 피스(14) 및 시트재(35)에 함침되어 있는 실리콘 에멀젼 수용액의 수분의 증발이 억제되므로, 헤어 피스(14)가 고온 다습으로 열처리되며, 그 후 수분이 증발하면 건열(乾熱)로 열처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제 5 형태예는, 특별한 장치가 없어도, 헤어 피스(14)와 함께 감아 붙이는 시트재(35)의 부직포라고 하는 재질이나 직물의 중량, 알루미늄제의 파이프재(33)나 알루미늄박(37)과의 조합이나, 열처리의 온도나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습기와 건기를 용이하게 연속하여 거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서 한층 유지성이 높은 컬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6 형태예를, 제 3∼제 5 형태예와 공통의 도 7∼도 16에, 도 19, 도 20을 추가하여 설명한다. 한편, 제 3∼제 5 형태예와 동일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예는, 이하에 서술하는 인공모에 적합하다. 즉, 심부(心部)에는 주쇄(主鎖) 중에 페닐렌 단위가 들어가는 반(半)방향족 폴리아미드를, 초부(
Figure 112008064172192-PCT00002
)에는 메틸렌 쇄결합으로 연결되는 직쇄 지방산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심초구조로, 초/심의 중량비가 30/70∼10/90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40∼80㎛의 굵기의 인공모가 적당하다.
심부의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크실리렌 디아민과 아디핀산을 중합하여 얻을 수 있는 나일론 MXD6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 초부의 직쇄 지방산 폴리아미드로서는, 예를 들면 나일론 6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9는, 심초구조의 인공모의 모재(10)의 개략 단면도이다. 게다가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공모를 이용한 모재(10)에는, 표면을 블라스트 쇼트(blast shot) 등으로 조면화하여 요철(10f)을 형성하고, 광택을 억제하는 가공이 실시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10f)의 정도는, 도 20(b)의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면과 볼록면과의 높이의 차(38)가 최대로 1.3㎛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 6 형태예는, 도 7, 도 8의 공정이 제 5 형태예와 마찬가지이고,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일 때에는, 제 5 형태예와 같이,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에 실리콘 에멀젼 수용액에 침지한다. 이 실리콘 에멀젼 수용액은, 컬의 부여와 동시에, 모재(10)의 표면에 평활성을 갖게 하는 피막을 고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시트재(35)에는, 직물의 중량(평수)이 18∼30g/㎡ 이고, 레이온 혹은 폴리에스테르의 부직포를 이용하면 좋다.
직물의 중량이 18g/㎡ 이하의 경우는, 실리콘 에멀젼 수용액 함침량이 적어져서, 모재 표면의 피막을 균일하게, 또한 소정의 막의 압력으로 고착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임시에 텐션을 걸면 파손되기 쉽다. 또한, 직물의 중량이 30g/㎡ 이상에서는, 시트재(35)의 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에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인 경우에, 감은 지름이 진행될수록 직경이 굵어져 버려, 헤어 피스(14)가 소정 형상의 컬보다 약한 루즈 컬이 되기 쉽다.
시트재(35)로서의 부직포는, 물에 적셨을 때에 표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미끄러지지 않는 성질의 부직포가 좋다. 시트재(35)를 물에 적셨을 때에 표면이 미끄러지면, 알루미늄제의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였을 때에 헛돌거나,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인 헤어 피스(14)와의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켜, 루즈 컬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부직포에는 레이온 혹은 폴리에스테르제가 좋고, 게다가 직물의 중량(평수)이 18∼30g/㎡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7, 8에 계속되는 도 9와 도 11(a)의 공정에서는,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를 실리콘 에멀젼 수용액에 침지하여 이것을 가볍게 짜서, 도 9에서 시트재(35)를 주름이 들어가지 않게 하여 작업대의 위에 밀착시켜 펼쳐서, 이 시트재(35)의 소정 위치에 헤어 피스(14)를 얹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헤어 피스(14)를 똑바로 되도록 빗으로 빗는 것에 의해, 도 10과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재(10)끼리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또한 일렬로 정렬하도록 균일하게 분포시킴으로써, 헤어 피스(14)의 두께가 얇아진다.
도 12에 나타내는 다음 공정에서는, 시트재(35)의 일끝단측에 단면이 원형인 알루미늄제의 파이프재(33)를 두고,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에 텐션을 걸면서, 이것들을 일체로 파이프재(33)에 말려 들어가게 하여,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어 피스(14)의 바깥쪽 중앙과 양쪽 끝단을 점착 테이프나 고무고리 등의 멈춤수단(36)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를 감아 붙인 파이프재(33)를 타올 등으로 덮고, 여분의 실리콘 에멀젼 수용액을 닦아낸다.
그리고,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를 감아 붙인 파이프재(33)를, 100℃ 이하의 건조기에 넣어 건조시켜, 수분을 증발시키고,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에 실리콘만이 남은 상태로 한다. 그러한 후,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를 감아 붙인 파이프재(33)를, 180℃의 건조기에 넣어 2시간 가열처리를 실시하여, 모재(10)에 컬을 부여하는 것과 동시에 모재(10)의 표면에 피막을 고착한다. 열처리 후, 건조기로부터 꺼내 자연 냉각하여, 마지막으로 헤어 피스(14)를 꺼낸다.
상기 제 6 형태예의 변형예로서, 이하에 서술하는 제 7 형태예의 실시도 가능하다. 본 제 7 형태예는, 제 6 형태예의 도 14에 나타내는 공정으로, 헤어 피스(14)와 시트재(35)를 파이프재(33)에 감아 붙인 후, 도 15에 나타내는 공정으로 파이프재(33)의 전체를 알루미늄박(37)으로 덮고, 이것을 180℃ 건조기에 넣고 2시간 가열 처리하여, 모재(10)에 컬을 부여하는 것과 동시에 모재(10)의 표면에 피막 을 고착한다. 열처리 후, 건조기로부터 꺼내 자연 냉각하여, 마지막으로 헤어 피스(14)를 꺼낸다.
본 발명에 관한 가발은, 두발의 머리카락이 빠진 부분을 덮는 증모용(增毛用)으로서, 혹은 특히 여성의 패션용으로, 또는 머리부분을 수술했을 때에 이용하는 의료용으로서, 또한 분장을 목적으로 한 예능용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6)

  1. 둘로 접힌 한 쌍의 모편으로 이루어지는 모재를, 머리부분에 피착되는 가발 베이스에 다수 결착하여 구성되는 가발에 있어서,
    상기 가발 베이스에 결착되기 전의 한 쌍의 모편에 미리 컬을 부여하고,
    한 쌍의 모편의 선단측을 가발 베이스에 대해서 소정의 방향을 향하면서, 양 모편 사이의 되접어 꺾은 부분을 가발 베이스에 고착하는 것에 의해, 고착 후의 한 쌍의 모편의 컬을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편의 컬은,
    상기 모재가 소정의 피치수 및, 상기 피치중에 소정의 개수가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한 헤어 피스에 콜드 퍼머액의 1제를 도포하고,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재에 물을 함유시키고, 상기 시트재 위에 상기 헤어 피스를 얹고 빗으로 빗는 것에 의해, 상기 모재를 시트재 위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헤어 피스와 시트재를 파이프재에 일체로 감아 붙이고, 이 감아 붙인 상태대로 봉투체 내에 밀봉하여 소정 시간 유지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봉투체로부터 꺼낸 모재에 콜드 퍼머액의 2제를 도포하고, 상기 헤어 피스와 시트재를 파이프재에 일체로 감아 붙이고, 이 감아 붙인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 감아 붙인 상태를 해제한 헤어 피스를 물로 씻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편의 컬은,
    상기 모재가 소정의 피치수 및, 상기 피치중에 소정의 개수가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한 헤어 피스에 화학섬유용의 컨디셔너를 도포하고,
    상기 헤어 피스를 부직포 또는 종이로 이루어지는 시트재 위에 얹고 빗으로 빗는 것에 의해, 상기 모재를 시트재 위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것과 함께, 헤어 피스와 시트재를 파이프재에 일체로 감아 붙이고.
    이 감아 붙인 상태대로 소정 시간 가열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편의 컬은,
    상기 모재가 소정의 피치수 및, 상기 피치중에 소정의 개수가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한 헤어 피스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재에 각각 실리콘 에멀젼 수용액을 함유시키고,
    상기 시트재 위에 상기 헤어 피스를 얹고 빗으로 빗는 것에 의해, 상기 모재를 시트재 위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것과 함께,
    헤어 피스와 시트재를 파이프재에 일체로 감아 붙이고 그 바깥쪽을 알루미늄박으로 덮고,
    알루미늄박으로 덮은 헤어 피스와 시트재와 파이프재를 소정 시간 가열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편의 컬은,
    상기 모재가 소정의 피치수 및, 상기 피치중에 소정의 개수가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한 헤어 피스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재를 각각 실리콘 에멀젼 수용액에 침지하고,
    상기 시트재 위에 상기 헤어 피스를 얹고 빗으로 빗는 것에 의해, 상기 모재를 시트재 위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것과 함께,
    헤어 피스와 시트재를 파이프재에 일체로 감아 붙여 이것을 건조시키고,
    또한 헤어 피스와 시트재와 파이프재를 소정 시간 가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로 감아 붙인 상태의 헤어 피스와 시트재와 파이프재를 알루미늄박으로 덮고,
    알루미늄박으로 덮은 헤어 피스와 시트재와 파이프재를 소정 시간 가열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모편의 컬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KR1020087022134A 2006-02-14 2006-04-12 가발 KR200800929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36149 2006-02-14
JP2006036149A JP4756694B2 (ja) 2006-02-14 2006-02-14 かつら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987A true KR20080092987A (ko) 2008-10-16

Family

ID=3837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134A KR20080092987A (ko) 2006-02-14 2006-04-12 가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90165810A1 (ko)
EP (1) EP1985193B1 (ko)
JP (1) JP4756694B2 (ko)
KR (1) KR20080092987A (ko)
CN (1) CN101404904B (ko)
AU (1) AU2006338411B2 (ko)
CA (1) CA2642531A1 (ko)
DK (1) DK1985193T3 (ko)
HR (1) HRP20080393A2 (ko)
NO (1) NO20083526L (ko)
RU (1) RU2391031C2 (ko)
TW (1) TWI404510B (ko)
WO (1) WO2007094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3554B2 (ja) * 2005-09-27 2012-02-22 株式会社アデランス 増毛具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7086374A1 (ja) * 2006-01-30 2007-08-02 Aderans Holdings Co., Ltd. 人工毛髪、人工毛髪を有するかつら並びに人工毛髪の製造方法
CA2663200A1 (en) * 2007-01-15 2008-07-24 Aderans Holdings Co., Ltd. Wi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NL1033299C2 (nl) * 2007-01-29 2008-07-30 Euro Hair Fashion B V Haarstuk voorzien van een golfvormige weefband.
EP2213188B1 (en) * 2007-11-20 2017-04-05 Aderans Company Limited Wi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120073592A1 (en) * 2010-09-24 2012-03-29 Jesse Koenig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Personalized Human Hair Extensions Using Hair Color
CN103099365B (zh) * 2011-11-10 2016-12-07 青岛海森林进出口有限公司 一种用于网状材料的毛发结扣构件及其制造方法
JP5918543B2 (ja) * 2012-01-11 2016-05-18 株式会社アートネイチャー かつらの製造方法
JP5941693B2 (ja) * 2012-02-13 2016-06-29 株式会社アートネイチャー かつら用毛髪の製造方法、及び、かつらの製造方法
JP5247930B1 (ja) * 2012-12-17 2013-07-24 株式会社スヴェンソン 結毛材及び結着方法
US9220329B1 (en) 2014-09-17 2015-12-29 Shake-N-Go Fashion, Inc. Packaging for hairpieces
US10045580B2 (en) * 2015-04-09 2018-08-14 Sun Taiyang Co., Ltd. Hair roll-up package
US9486023B1 (en) 2015-08-18 2016-11-08 Shake-N-Go Fashion, Inc. Artificial hair apparatus and method
CN205492717U (zh) * 2016-03-26 2016-08-24 新华锦集团山东海川工艺发制品有限公司 一种无胶纯发丝发帘
CN107841807A (zh) * 2016-09-21 2018-03-27 天津工业大学 一种人发纤维纱及其制备方法以及以此纱线制作的假发
JP2022078360A (ja) * 2019-01-31 2022-05-25 株式会社アデランス 人工毛髪用繊維を製造する方法、及び人工毛髪を製造する方法
JP6998340B2 (ja) * 2019-05-09 2022-01-18 隆喜 平野 葉脈状エクステン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7015A (en) * 1955-12-22 1962-10-09 David & David Inc Method for making simulated curly hair
US3688779A (en) * 1970-05-28 1972-09-05 Frank Greco Hairpiece
US3670741A (en) * 1970-08-04 1972-06-20 Jitsuo Utsunomiya Method of making artificial hair pieces
JPS5416267B2 (ko) * 1972-05-17 1979-06-21
US3910291A (en) * 1972-10-02 1975-10-07 Nak Yang Kim Artificial hai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S6293903U (ko) * 1985-12-04 1987-06-16
JPS6440606A (en) * 1987-08-07 1989-02-10 Art Neichiyaa Kansai Kk Wig
JPH0768642B2 (ja) * 1989-12-31 1995-07-26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
JPH0436905U (ko) * 1990-07-18 1992-03-27
KR940008157B1 (ko) * 1992-11-23 1994-09-07 동안물산 주식회사 캡이 없는 외줄 웨프트 가발과 그 제조방법
US6056946A (en) * 1997-10-03 2000-05-02 Helene Curtis, Inc. Heat-mediated conditioning from leave-on hair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e
JP2002047152A (ja) * 2000-07-28 2002-02-12 Kao Corp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及び染毛用シート
JP2005152370A (ja) * 2003-11-26 2005-06-16 Kao Corp 毛髪処理方法及び毛髪処理器具
US7331351B1 (en) * 2005-05-18 2008-02-19 Teruyoshi Asai Wigs and methods of wig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5193A1 (en) 2008-10-29
JP2007217802A (ja) 2007-08-30
CA2642531A1 (en) 2007-08-23
DK1985193T3 (en) 2016-04-18
AU2006338411A1 (en) 2007-08-23
EP1985193A4 (en) 2012-05-02
TWI404510B (zh) 2013-08-11
EP1985193B1 (en) 2016-03-02
CN101404904A (zh) 2009-04-08
US20090165810A1 (en) 2009-07-02
CN101404904B (zh) 2011-04-06
TW200730102A (en) 2007-08-16
AU2006338411B2 (en) 2011-03-10
HRP20080393A2 (en) 2008-11-30
NO20083526L (no) 2008-09-15
WO2007094086A1 (ja) 2007-08-23
JP4756694B2 (ja) 2011-08-24
RU2008133361A (ru) 2010-03-20
RU2391031C2 (ru)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2987A (ko) 가발
RU240469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величения количества волос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6832614B2 (en) Hair extension attachment
US20080257369A1 (en) Removable and Resuable Hair Extension
JP3498301B2 (ja) 着色毛髪の製造方法及び着色毛髪
CN101868159A (zh) 假发及其制造方法
US20050098191A1 (en) Hair extension attachment
TWI423772B (zh) 假髮
US7713619B2 (en) Fiber for doll hair and doll hair comprising the same
KR100365175B1 (ko) 모피사의제조방법및그모피를사용한모피제품
CN217298180U (zh) 立绒织物
RU21741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вивки волос
JP3068208U (ja) 繭糸と他繊維とを用いたブラシ製品
JPH09324314A (ja) かつら及び人工毛
JPH0241404A (ja) かつらの取付部の形成方法およびかつらの固定方法
JPH04127215U (ja) ウイグおよびアクセサリーヘア
JP2001081619A (ja) 付け毛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584721A (zh) 假发
JP2018159168A (ja) かつら
JPH06254110A (ja) 植毛用材料とその製造方法
ITBS20000068U1 (it) Nuova tecnica di allungamento capelli
DE1460164A1 (de) Frisierbares kuenstliches Haarmaterial sowi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