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534B1 - 순환식 폐열가스 이송배기관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순환식 폐열가스 이송배기관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534B1
KR100913534B1 KR1020090018611A KR20090018611A KR100913534B1 KR 100913534 B1 KR100913534 B1 KR 100913534B1 KR 1020090018611 A KR1020090018611 A KR 1020090018611A KR 20090018611 A KR20090018611 A KR 20090018611A KR 100913534 B1 KR100913534 B1 KR 100913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con
waste ascon
rotating drum
exhaust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표
Original Assignee
(주)에코씨드
(유)녹색21
주식회사 대길이에스
유한회사 대한환경
(주)두남환경
삼성환경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일성산업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주식회사 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씨드, (유)녹색21, 주식회사 대길이에스, 유한회사 대한환경, (주)두남환경, 삼성환경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일성산업,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주식회사 태영 filed Critical (주)에코씨드
Priority to KR1020090018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04Reconditioning or reprocessing bituminous mixtures, e.g. salvaged paving, fresh patching mixtures grown unserviceable; Recycling salvaged bituminous mixtures; Apparatus for the in-plant recyc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03Methods for mixing
    • B28C5/006Methods for mixing involving mechanical asp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8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heating or melting asphalt, bitumen, tar, or the like

Abstract

본원은 폐아스팔트 콘크리드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순환식 폐열가스 이송배기관 구조를 갖는 폐아스팔트 콘크리트(이하 '폐아스콘')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별히 고정식 폐아스콘 재생장치나 소규모의 이동식 폐아스콘 재생장치에서 별도의 집진시설과 연계하지 않고 폐아스콘 재생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물이나 끄름, 유분 등을 제거하면서 운전할 수 있는 폐아스콘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폐아스콘 재생장치는 폐아스콘을 유입 받아 가공한 후 적당한 크기로 배출시키되, 폐아스콘의 재생장치인 원통형회전드럼부의 유입부로 폐아스콘을 유입받고 회전믹싱부를 거쳐 재생된 아스콘을 입도별로 분리되어 배출되는 분리배출 수단을 갖고, 배출부 상단에 위치하는 배기구에서 원통형회전드럼의 외부로 설치된 배기관을 따라 다시 원통형회전드럼의 유입부로 유입되는 순환통로 구조를 갖는 배출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순환통로에는 송풍수단, 가열수단, 집진수단 및 흡착여과수단 등이 마련되며 원통형회전드럼 내부의 공기를 계속적으로 재순환(re-circulating)시키는 구성을 이루어서 대규모 집진시설 없이 간략구성의 집진설비로 제공되는 폐아스콘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아스콘 재생장치, 원통형회전드럼, 순환식 구조, 폐열회수, 가열수단, 집진수단, 흡착여과수단

Description

순환식 폐열가스 이송배기관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regenerating apparatus of wasted ascon having circulating exhaust pipe}
본원은 순환식 폐열가스 이송배기관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확장 및 개·보수공사시, 각종 전기 및 수도 배관공사시 포장도로의 표면에서 벗겨낸 폐아스팔트 콘크리트(이하 '폐아스콘'이라 칭한다)를 가공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폐아스콘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별히 고정식 폐아스콘 재생장치나 소규모의 이동식 폐아스콘 재생장치에서 별도의 집진시설과 연계하지 않고 폐아스콘 재생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물이나 끄름, 유분 등을 제거하면서 운전할 수 있는 폐아스콘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와 골재의 가열, 혼합물로 포장한 도로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도로라 하며 이는 고속도로나 지방도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아스팔트 혼합물로 표면을 덮은 도로포장을 가리키는바, 아스팔트 포장의 일반적인 구조는 아스팔트 표층과 기층(基層), 그 밑에 있는 상층노반 및 하층노반으로 이루어지고, 표층과 기층은 쇄석·모래·석분(石粉)과 아스팔트를 가열·혼합하여 이것을 고르게 깔아 롤러로 단단히 다진 것을 말한다.
이러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도로는 차량통행 등으로 반복되는 무거운 하 중을 받게 되면 포장도로의 균열 또는 요철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균열, 동파, 요철 등으로 변형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도로를 보수하기 위하여 인력이나, 기계 또는 장비를 이용하여 보수를 요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도로를 파쇄하고, 제거한 다음 그 자리에 새로운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포설하여 포장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적으로 보수하거나 수리하게 된다.
또한,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가스관, 상하수도관, 전기나 전화선 등의 각종 보수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도 해당구역의 포장도로의 아스팔트 표층 및 기층을 파쇄 제거한 후 재포장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종래에는 파쇄하여 제거된 폐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대부분 매립하거나 성토 또는 복토용 등으로 단순처리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는 물론 지하수나 토양 환경을 크게 오염시키는 결과를 가져 왔다.
일반적으로 폐아스콘을 재생하기 위해 이용되는 폐아스콘 재생장치는 원통형회전드럼과 집진설비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종래의 폐아스콘 재생장치에서는 버너의 연소열로 폐아스콘을 가열하여 소성변형(용융)을 일으키게 되는바,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 연료와 공기의 혼합비가 맞지 않는 경우나 재생장치의 가동을 시작하거나 정지하게 되는 때 폐아스콘이 완전연소에 이르지 못한 때에 불완전 연소상태가 되면서 끈적끈적한 점막유분(끄름)이 발생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배출될 수 있고, 또한 폐아스콘의 소성변형(용융)과정에서 일부의 유분이 뜨거운 원통형회전드럼 내부에서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배출되어 유출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폐아스콘 재생장치에서는 폐아스콘 재생과정에서 발생되는 점막유분, 미스트분을 포함한 불완전 연소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별도로 마련된 집진시설의 흡입덕트와 연결되어 배출되는바, 원통형회전드럼의 상부로 연결되는 배기관을 통하여 유출되는 배기가스는 호퍼형의 배기상자와 집진싸이클론과 백필터 그리고 송풍기 및 기타 부대시설 등을 통과시켜 배기가스 중의 분진이나 집진물을 제거한 후 배출하는 시스템이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폐아스콘 재생장치의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유분이나 끄름은 집진시설의 내구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백필터의 여과포에 점막유분이 유착되는 경우 여포의 간극을 막아서 여과기능을 상실케 하고 고가의 여과포를 수시로 교환해줘야 하는 부담을 발생시키고, 여과포 이외의 집진시설에도 끈적끈적한 점막유분(끄름)이 온도가 낮아지면서 싸이클론이나 배풍기나 기타 부대시설의 벽면에 붙어 응고됨으로 시설의 잦은 고장을 야기하게 됨은 물론 집진성능을 크게 저하시키고, 또한 집진성능이 저하됨으로 인해 대기로 방출시킴으로써 제2차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소규모의 이동식 폐아스콘 재생시스템에서는 별도의 집진설비를 갖추기에 배보다 배꼽이 큰 경우가 발생하고, 이동식 폐아스콘 재생장치에서는 별도의 집진설비를 갖추지 않고 대기 중으로 방출시킴으로 민원을 야기하며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원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원에서 제공되는 폐아스콘 재생장치는 종래와 같이 배출상자와 집진싸이클론과 백필터, 송풍기 및 기타 부대시설을 갖는 별도의 집진시설의 설치가 없이 간략한 집진설비만을 갖고 작동될 수 있는 폐아스콘 재생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의 폐아스콘 재생장치는 폐아스콘을 유입받아 가공한 후 재생아스콘을 적당한 크기로 배출시키되, 폐아스콘의 재생시스템인 원통형회전드럼부의 유입부로 폐아스콘을 유입받고 회전믹싱부를 거쳐 재생된 아스콘을 일정 크기 별로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제공되는 분리 배출수단을 가지며, 배출부 상단에 위치하는 배기구에서 원통형회전드럼의 유입부로 연결되는 순환식 폐열가스 이송 배기관 구조를 순환배기관으로 칭하는 경우, 상기 순환배기관에는 송풍수단 및 풍량조절수단, 집진물 제거수단, 탈취여과수단이 마련되어, 원통형회전드럼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끄름이나 유분은 가열수단 및 열선히터에 녹여 회수하고 냄새나 먼지 등은 흡착수단을 거치며 나머지 잔유물은 다시 원통형회전드럼의 유입부로 재순환(re-circulating)시켜 계속해서 투입하는 수단으로 대규모 집진처리시설 없이도 작동이 가능하도록 순환식 폐열 가스 이송 배기관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폐아스콘을 유입 받아 가공하고 재생아스콘을 특정된 크기별로 배출시키기 위한 폐아스콘 재생장치에서, 원통형회전드럼부의 유입부로 폐아스콘을 유입받고 회전믹싱부를 거쳐 재생된 아스콘을 일정 크기별로 배출하도록 제공되는 배출부를 갖고, 상기 배출부 상단의 배기구와 원통형회전드럼의 유입부 사이에 별도의 순환통로를 이루도록 순환 배기관이 마련되며, 상기 순환 배기관에는 송풍장치, 풍량조절장치, 가열장치, 집진장치 및 흡착여과장치 등의 구성을 갖고, 상기의 재순환구조시스템을 이루면서 버너의 연소열을 최적화하여 집진물 발생을 최소화 하는 경우 별도의 집진장치 없이도 운전 가능한 폐아스콘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본원의 폐아스콘 재생장치의 순환 배기관에 마련되어 집진물 제거 기능을 하는 수단은 배기가스가 순환 배기관을 거쳐 유입관으로 보내주는 송풍장치와, 배기가스를 예열하는 가열장치와, 예열된 배기가스 중 포함되는 점막유분(끄름)을 녹여 제거하는 열선히터여과장치와, 악취물과 먼지를 제거하도록 기능하는 활성탄이나 다른 여과 소재가 내장된 흡착여과장치와, 원통형회전드럼의 유입부로 리사이클 되는 공기량을 조절해주는 풍량조절장치 로 제공될 수 있다.
원통형회전드럼의 구조는 버너연소부와 회전믹싱부를 포함하여 제공되고, 회전믹싱부는 자체 회전하도록 제공되며, 회전믹싱부는 선단으로 유입되는 가공대상 폐아스콘을 회전믹싱부 내부 벽면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버너연소부의 화염 열기가 폐아스콘층을 소성변형 융점까지 가열시켜 흐물흐물할 정도의 상태에 이른 폐아스 콘을 일정크기로 파쇄시켜 재생아스콘의 규격에 적합한 크기로 가공된 재생아스콘 만을 배출시키도록 기능한다.
본원의 폐아스콘 재생장치의 회전드럼 출구쪽 단부에는 2~3단 구성의 스크린망이 설치되어 폐아스콘을 일정 크기별로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제공되고, 일정 크기로 분쇄되지 않은 골재는 다시 폐아스콘 원료투입부로 보내지거나 제거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원통형회전드럼 내부에 설치되는 꼬깔형 이송패들은 원통형회전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소정범위의 경사를 이루도록 배설되어 폐아스콘 덩어리를 분쇄시킴과 동시에 배출구쪽으로의 이송속도를 보다 빨리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을 포함하며, 회전드럼 내부 중간 중간에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된 폐아스콘 골재만 배출구 쪽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메시망이 형성된 도넛 형태의 차단여과망을 갖는다.
상기 차단여과망은 꼬깔 형태를 갖도록 제공되어 소형 골재가 원통형회전드럼 내부에서 돌아가면서 체로 치듯 차단여과망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분리효율을 높이고자하는 기술사상이 포함되어 제공되는 폐아스콘 재생장치가 개시된다.
본원의 폐아스콘 재생장치는 배기부를 통해서 배기되는 배기가스가 순환 배기관을 거쳐 다시 투입부로 들어오게 하는 순환구조를 취하는 과정에서 원통형회전드럼에서 발생하는 점막유분(끄름) 및 악취를 순환통로에서 제거하고 미쳐 제거되지 않은 집진물은 계속하여 순환시키는 구성을 이뤄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현 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원의 폐아스콘 재생장치는 가공된 재생아스콘을 입도별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골재선별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폐아스콘 재생장치에서 입도에 맞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원의 폐아스콘 재생장치는 폐아스콘이 회전믹싱부 내부로 투입되면 꼬깔형 이송패에 의해 파쇄되면서 이송되고 버너에 의해 용융되어 폐아스콘 골재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하며, 이때 차단여과망이 꼬깔 형태를 취하여 충분히 파쇄된 골재가 배출부 쪽으로 보다 빨리 이동시킬 수 있어 짧은 시간에 많은 량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구현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발명의 기술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또한 본원 도면에 제시되는 실시양태는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적용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을 바람직하게 구현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겸하여 상세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통상적으로 폐아스콘을 재생하기 위해 적용되는 종래의 원통형회전드럼과 원통형회전드럼 내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배기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집진장치 수단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폐아스콘 재생장치의 간략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별도로 설치되는 집진장치를 포함한 폐아스콘 재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b는 그 내부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제공된 통상적 폐아스콘 재생장치에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여 보면, 원통형회전드럼(10) 일측으로 폐아스콘이 투입되는 투입부(11)가 마련되고, 상기 투입부에는 폐아스콘이 투입되는 이송컨베이어(12)와, 투입되는 폐아스콘을 가열하는 버너(13)와, 원통형회전드럼 내부로 투입된 폐아스콘을 가공하고 분쇄하는 꼬깔형 이송패들(14)과, 상기 꼬깔형 이송패들의 중간 중간에 위치하여 일정 크기이하의 폐아스콘만 이송되도록 하는 차단여과망(15)과 상기 회전하는 원통형회전드럼을 지나 용융되고 파쇄되어 가공된 폐아스콘이 배출되는 배출부(16)와, 상기 폐아스콘이 가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먼지, 가스, 악취, 이물질 등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부(17)와, 상기 원통형회전드럼을 지지하는 지지대(18)와, 상기 원통형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꼬깔형 이송패들(14)은 원통형 회전드럼(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투입부에서 배출부 쪽으로 폐아스콘 골재를 이동시키면서 계속 회전하는 원통형회전드럼 내부에서 폐아스콘 이 꼬깔형 이송패들에 의해 들어 올려졌다 떨어져 파쇄 될 수 있도록 기능하며 이를 위해서 꼬깔형 이송패들은 원통형 회전드럼의 중심축과 수평이 되지 않고 약 20~30˚정도 기울어진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여과차단망(15)은 예를들면 환봉규격 S45C.ø25 정도의 환봉으로 눈목 50×50㎜ ~ 80×80 ㎜ 범위 내 간격을 갖도록 제공되는 차단 여과망을 이용하여 원하는 입도의 골재를 배출하고 눈목 이상의 굵은 골재는 회전믹싱부 내부에서 계속 회전하면서 꼬깔형 이송패들에 의해 들어올려졌다 떨어지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파쇄차단 여과망을 통과할 수 있도록 는 입도로 가공된다.
상기 배출부(16)는 가공된 폐아스콘 골재를 배출하게 되며 배출부의 하단으로 저장 호퍼를 두어 배출된 재생아스콘을 저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폐아스콘은 크기가 일정하지 못하여 매우 작은 부스러기부터 굵은골재가 함께 섞여 배출되는 구조였으므로 골재를 크기별로 분류하는 작업이 별도로 수행되어 왔다.
또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상부 배기부(17)는 별도로 설치되는 집진장치(20)와 연결되는데, 상기 집진장치(20)에는 배기상자(21), 백필터(22), 집진싸이클론(23), 송풍기(24)등의 집진설비가 마련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집진물을 여과하거나 싸이클론을 통한 침강분리를 수행한 후 최종적으로 굴뚝(25)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시스템이었다.
또한, 폐아스콘 재생장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지지부(18) 상에 원통형회전드럼(10)이 고정되고 원통형회전드럼(10)의 회전수단(19)은 지지부 (18)에 장착된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원통형회전드럼의 외주로 링이 장착될 수 있으며, 링의 구동방식으로 하부에 지지롤러가 있고, 지지롤러 축 은 중공축기어박스에 결합되어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풀리가 종동폴리에 의해 회전하도록 제공되며, 내용물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약간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여 배출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버너(13)에서 뜨거운 열기로 원통형회전드럼 내부를 가열하게 되며 상기 원통형회전드럼의 유입부(11)로 폐아스콘이 투입되면서 버너(13)의 뜨거운 열기로 원통형회전드럼 내부에서 외측 벽을 따라 회전하는 폐아스콘이 가열되어 소성 변형 되어 흐믈 흐믈 할 정도의 점성을 갖도록 반 용융상태를 이루게 되면, 회전드럼 벽면으로는 꼬깔형 이송패들(14) 다수 개가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어 경사각을 이용하여 반 용융상태에 이른 폐아스콘 골재를 배출부(16) 쪽으로 밀어주면서 반 용융상태의 폐아스콘을 분쇄시키게 되며, 원통형 회전드럼 내부에서 일정 크기로 가공된 재생아스콘은 배출부(1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재생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스트분을 포함한 배기가스는 집진장치(20)와 연결된 배기부(17)를 통해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폐아스콘 재생장치에서는 원통형회전드럼(10) 내부에 있는 폐아스콘 골재들은 소성변형 용융점까지 온도를 올리는 과정에서 유분점막(끄름)이 발생하고 이 유분점막이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경우 백필터의 구멍을 막아버리거나 배기상자나 집진싸이클론이나 송풍기 등의 벽면에 달라붙어 집진설비의 성능을 떨어트리는 원인이 되어 왔으며, 따라서 대규모 투자를 하여 집진장치를 갖춘 후 처음 몇 개월만 그 효용성을 유지할 뿐 약 6개월 이후부터는 형식상의 집진장치만을 갖추고 있을 뿐 그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인 실정 이었다.
도 2는 본원에서 제공하는 폐아스콘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재생장치의 외부개략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재생장치의 내부 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원통형 회전드럼(10)의 골재 배출부(16)에 입도별로 폐아스콘을 분류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배출단(30)이 설치되고, 투입부(11)와 배기부(17) 사이에 배기가스가 순환하는 구조를 갖는 순환배기관(40)이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개선된 원통형회전드럼의 배출단(30)은 다수 개의 배출구로 구분될 수 있으며, 출구쪽 내통에는 외주면으로 체망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서로 다른 입도의 골재가 배출구 별로 분류되어 배출되는 순환아스콘을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예를 들어 첫번째 스크린(31)은 약 14㎜이하의 입도를 갖는 골재를 배출하기 위한 망체가 마련되고, 두번째 스크린(32)은 15~25㎜의 입도를 갖는 골재를 배출하기 위한 체망이 마련된다고 했을 때, 첫번째 배출구(33)에는 14㎜ 이하의 크기를 갖는 순환아스콘이 배출되고, 두번째 배출구(34)에는 15~24㎜ 범위의 입도를 갖는 순환아스콘이 배출되며, 세번째 배출구(35)에는 25㎜ 이상의 입도를 갖는 순환아스콘이 배출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45㎜ 이상의 크기인 순환아스콘 덩어리는 다시 분쇄기를 거쳐 분쇄되어 원료투입 라인에 재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b를 통해서는 본원의 재생장치의 내부차단여과망(15', 15'')이 배출부 쪽으로 꼬깔형태를 이루면서 좁아지는 구조를 갖도록 제공되어 원통형회전드럼으로 투입된 폐아스콘이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된 후에는 배출부 쪽으로 이송되 면서 체로 쳐지듯이 폐아스콘이 입도별로 분리되며 보다 빨리 이송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원의 재생장치에서 순환구조를 갖는 순환배기관(40)은 원통형회전드럼의 배기부(17)와 투입부(11)를 외부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들어 300~500Ø 정도의 크기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원통형회전드럼의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순환배기관(40)의 위치는 원통형회전드럼의 전면이나 후면, 저면으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배기부(17)의 배기가스가 투입부(11) 쪽으로 흐르도록 송풍기(41, 46)가 양측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하나의 송풍기(46)만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송풍기(46)에서 불어주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풍량조절장치가 부착되는바, 풍량조절장치는 송풍기(46)와 투입부(11)사이에 풍량조절패들(47)이 마련되고 외부에서 풍량조절밸브(48)를 이용하여 순환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기존으로 버너의 연료분사량에 따른 공기량주입을 자동조절해주는 실린더타입의 조절장치와 병행하여 연소부에 마련되는 그래스싸이트(Glass sight)로부터 내부 화염실태 및 연소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며 풍량조절밸브(48)를 통해 조절해 주는 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서는 송풍기가 양측으로 41, 46 2개로 표시되어 있으나 작은 규모에서는 송풍기(46) 하나만 설치되어 적용되어도 상관없다.
따라서 본원의 재생장치 순환구조에서 유입되는 점막유분(끄름)은 예열히터(42)에서 예열되고 열선여과장치(43)에서 녹아서 유분리저장조(44)에 담겨지고, 또한 배기가스 중의 악취 및 먼지류는 활성탄이 내장된 흡착여과부(45)에서 제거되 는 구성의 간략 집진장치로 종래 집진장치의 기능을 대신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부분이 특징부라 할 수 있는바, 종래의 폐아스콘 재생장치에서는 배출되는 점막유분(끄름)을 모두 집진장치로 보내는 시스템이나 본원에서는 이를 열선여과장치(43)로 녹여서 외부로 배출하는 시스템이고 또한 기타의 먼지 집진물도 활성탄 흡착여과층으로 걸르고 기능이 떨어지면 교환해주는 수단이 이용되어서 간략구성의 집진수단으로 종래의 복잡한 집진수단보다 더 유리한 집진방지시설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원의 특징부를 갖는 기술구성의 각 부분별 상세도를 이하 도3 내지 도7까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원에서 제공하는 폐아스콘 재생장치의 배출단(30)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회전하는 원통형회전드럼(10)의 끝단으로 메시형태의 스크린(31, 32)이 장착되고 그 하단으로 각각 다단의 배출구(33, 34, 35)가 구비되어 제1스크린(31)을 통과할 수 있는 작은 폐아스콘은 제1배출구(33)에 떨어지고, 제1스크린(31)은 통과할 수 없으나 제2스크린(32)은 통과할 수 있는 폐아스콘은 제2배출구(34)에 떨어지며, 제2스크린마저도 통과할 수 없는 큰 폐아스콘 덩어리는 회전드럼의 끝까지 밀려 제3배출구(35)로 떨어지게 되는 구조임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다단의 배출구를 갖는 배출단의 구조는 원하는 입도의 폐아스콘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너무 작은 폐아스콘이나 너무 큰 폐아스콘 덩어리는 사용이 어렵고 예를 들어 기층 또는 표층용 등으로 원하는 폐아스콘 덩어리를 분류하고자 할 때, 재생장치 내에서 미리 원하는 입도로 분류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본원에서는 배출구를 3단으로 구성하였지만, 설치자의 필요에 따라 2단이나 4단 등 다단으로 구성하는 것은 용이하다 할 것이며, 본원의 기술사상이 3단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4는 본원의 순환 배기관(40)에 설치되는 예열히터(42)를 장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4a에는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b에서는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원의 예열히터(42)를 순환 배기관(40)에 내부에 고정 설치하는 경우 내부구조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므로 순환 배기관(40)의 일단에 나사/볼트로 착탈이 가능하게 히터뚜껑(42a)를 마련하고, 상기 히터뚜껑(42a)의 내부면, 즉 배기관 안쪽으로 열선(42b)이 설치되어 지나가는 가스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며, 히터뚜껑(42b)에는 손잡이(42c)를 달아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예열히터(42)는 순환 배기관(40)의 다수개소에 여러 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예열히터(42)의 열원은 전기코일 열선이나 탄소박막코팅층의 열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열원의 안쪽으로 마련되는 단열내화벽은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다.
도 5는 본원의 순환 배기관(40)에 설치되는 열선여과장치(43)를 장착한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순환 배기관(40)으로 유출되는 점막유분(끄름)성분이 예열히터(42)로 가온된 후 열선여과장치(43)를 경유하며 기름성분이 녹아내려 유분리저장조(44)에 담겨질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열선여과장치(43)는 케이스함(43a)내부로 히터열선(43b)이 좁은 간격으로 배 열되어 있어서 예열된 배기가스가 좁은간격의 히터열선 사이로 지나가면서 녹아서 흘러내리게 되는 원리이며, 히터열선(43b)이 프레임에 끼워지고 프레임이 케이스함(43a)내부로 삽입되면 통전이 이루어져서 열선이 발열되며, 프레임은 손잡이가 마련되어 손잡이를 잡고 인출하거나 끼워질 수 있는 구성을 갖도록 제공되고, 케이스함(43a)저부로는 녹아내린 유분이 배출되는 기름배출구(43c)를 갖고 기름배출구에는 유분리저장조(44)에 담겨지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원의 폐아스콘 재생장치에서 나오는 배기가스 중의 집진물은 순환배기관(40)을 통과하면서 점막유분(끄름)은 예열히터(42)로 가온된 후 열선여과장치(43)를 경유하며 기름성분이 녹아내려 유분리저장조(44)에 담겨지는 구성으로 제거되는 구성을 갖는다.
도6은 순환배기관(40)에 마련되는 흡착장치(45)를 장착한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배기가스가 열선여과장치(43)를 통과한 후 흡착여과장치(45)를 경유하여 악취와 먼지분을 제거하고자 하는바, 흡착여과장치(45)에는 활성탄(45a)이나 이와 유사한 유해물 흡착기능을 갖는 여재층(45b)을 케이스함(45c)에 채우고 케이스함(45c) 자체를 손잡이(45d)를 이용하여 흡착장치 몸체(45e)에 탈착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7은 본원의 원통형회전드럼(10)의 내부에 형성된 차단여과망을 개선한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상기 차단여과망(15', 15'')이 배출부 쪽으로 꼬깔형 구조를 갖도록 제공되어 원통형회전드럼으로 투입된 폐아스콘이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된 후에는 배출부 쪽으로 이송되면서 체로 쳐주듯이 골재가 입도별로 분리되면서 보다 빨리 이송되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크기 이상의 페아스콘이 이송되지 않고 충분한 시간을 걸쳐 용융되며 분쇄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게 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기술구성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본원의 폐아스콘 재생장치는 회전드럼 출구쪽 단부에는 2~3단 구성의 스크린망이 설치되어 폐아스콘을 일정 크기별로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제공되고, 원통형회전드럼 내부에 설치되는 꼬깔형 이송패들에 의해 골재에 충격을 주면서 분쇄하여 차단여과망으로 보내되, 차단여과망은 꼬깔 형태를 갖도록 폐아스콘 덩어리가 원통형회전드럼 내부에서 돌아가면서 체로 치듯 차단여과망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분리효율을 높이게 되며, 폐아스콘 재생과정에서 발생되는 집진물은 원통형회전드럼부의 투입부와 배기부 사이에 별도의 순환통로인 순환 배기관을 마련하고, 순환 배기관에는 송풍수단, 집진물 제거수단, 탈취수단을 갖도록 제공되어 원통형회전드럼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분(끄름) 및 악취물(먼지)을 제거하고 걸러내면서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며 버너의 연소열을 최적으로 조절하여 집진물 발생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기술구성이다.
도 1은 종래의 폐아스콘 재생처리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원의 폐아스콘 재생처리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배출단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배기관에 열선히터를 장착한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배기관에 전기집진장치를 장착한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는 배기관에 여과장치를 장착한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개선된 차단여과망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원통형 회전드럼 11 : 투입부
12 : 이송컨베아 13 : 버너
14 : 콘형 이송패 15 : 차단여과망
16 : 배출부 17 : 배기부
20 : (별도의)집진장치 30 : 배출단
31, 32 : 스크린 33, 34, 35 : 다단 배출구
40 : 배기관 41, 46 : 송풍기
42 : 열선히터 43 : 전기집진장치
43a : 집진기 44 : 집진저장부
45 : 여과장치 45a : 활성탄
47 : 풍량조절패들 48 : 풍량조절밸브

Claims (4)

  1. 폐아스콘을 투입 받아 가열 및 가공하여 입도에 맞는 재생아스콘을 생산하기 위해원통형회전드럼부의 투입부로 폐아스콘을 투입 받고 재생된 아스콘을 규격별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폐아스콘 재생장치에 있어서,
    원통형회전드럼부(10)의 외부로 투입부(11)와 배기부(17)사이에 순환시스템을 이루도록 순환배기관(40)을 갖되, 상기 순환배기관(40)에는 송풍수단으로는 배기부(17)에서 투입부(11)로 배기가스를 흐르게 하는 송풍장치(46)를 갖고, 집진물 제거수단으로 배기가스 중의 유분(끄름)을 녹여 제거하는 열선여과장치(43)를 가지며, 탈취여과수단으로 활성탄(45a)을 내장하여 악취물(먼지)를 제거하는 흡착여과장치(45)를 포함하여 제공됨으로 원통형회전드럼(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분(끄름) 및 악취물(먼지)을 제거하고 걸러내면서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드럼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여과망(15', 15'')이 배출부 측을 향하여 꼬갈 형태로 제공되어 골재의 분리효율을 높여주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KR1020090018611A 2009-03-04 2009-03-04 순환식 폐열가스 이송배기관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KR100913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611A KR100913534B1 (ko) 2009-03-04 2009-03-04 순환식 폐열가스 이송배기관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611A KR100913534B1 (ko) 2009-03-04 2009-03-04 순환식 폐열가스 이송배기관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534B1 true KR100913534B1 (ko) 2009-08-21

Family

ID=4121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611A KR100913534B1 (ko) 2009-03-04 2009-03-04 순환식 폐열가스 이송배기관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5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2413A (zh) * 2013-08-01 2013-10-16 张树生 一种具有过渡转移舱的再生沥青混合料加热装置
KR102287588B1 (ko) * 2020-03-20 2021-08-10 권태석 환경친화적 폐아스콘 재생 처리 설비
WO2022041300A1 (zh) * 2020-08-27 2022-03-03 江苏新越高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沥青冷态运输专用加热系统
KR102608658B1 (ko) 2022-09-05 2023-12-04 디엠아이이엔지주식회사 재생아스콘 플랜트용 배가스 재연소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22A (ja) * 1992-07-09 1994-02-01 Nichiyuu:Kk アスファルト廃材篩装置および再生アスファルト合材分級装置
KR20030018804A (ko) * 2001-08-31 2003-03-06 최진호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장치
JP2006207226A (ja) * 2005-01-27 2006-08-10 Nikko Co Ltd アスファルトリサイクルプラン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22A (ja) * 1992-07-09 1994-02-01 Nichiyuu:Kk アスファルト廃材篩装置および再生アスファルト合材分級装置
KR20030018804A (ko) * 2001-08-31 2003-03-06 최진호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장치
JP2006207226A (ja) * 2005-01-27 2006-08-10 Nikko Co Ltd アスファルトリサイクルプラン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2413A (zh) * 2013-08-01 2013-10-16 张树生 一种具有过渡转移舱的再生沥青混合料加热装置
KR102287588B1 (ko) * 2020-03-20 2021-08-10 권태석 환경친화적 폐아스콘 재생 처리 설비
WO2022041300A1 (zh) * 2020-08-27 2022-03-03 江苏新越高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沥青冷态运输专用加热系统
KR102608658B1 (ko) 2022-09-05 2023-12-04 디엠아이이엔지주식회사 재생아스콘 플랜트용 배가스 재연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136B1 (ko) 폐아스콘 재생처리장치 및 재생방법
CN207076765U (zh) 复合污染土壤修复设备
CN103128869B (zh) 废塑料回收利用系统
JP4322896B2 (ja) 建設廃棄物選別処理システム
KR100643654B1 (ko) 건식 이중 회전드럼식 골재재생기를 이용한 순환골재의생산방법 및 장치
CN106217691B (zh) 一种废塑料膜回收处理系统及回收处理方法
KR100913534B1 (ko) 순환식 폐열가스 이송배기관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KR101814123B1 (ko) 폐기물 복합 자원화 방법과 장치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JP2002210448A (ja) ごみ固形燃料化プラント
KR101272123B1 (ko)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KR101533288B1 (ko) 고형연료제품 제조를 위한 매립 또는 생활 폐기물의 선별 방법
KR101591343B1 (ko) 가연성쓰레기의 고순도 선별 연료화 시스템
KR100870648B1 (ko)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CN108527716A (zh) 一种废旧电缆pvc回收再生系统和回收再生方法
CN111571862B (zh) 一种生活垃圾中废塑料的干洗设备及方法
JP2002301447A (ja) 焼却灰の再生方法
JP4302384B2 (ja) 油汚染土壌の処理装置
CN108817024B (zh) 一种填埋场矿化垃圾综合利用方法和系统
KR101003007B1 (ko) 2중 원통형 회전드럼을 갖는 폐아스팔트콘크리트 재생 및 순환아스팔트콘크리트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101551476B1 (ko) 단일 파쇄 공정을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방법
KR100892434B1 (ko) 주.종 회전드럼을 이용한 폐아스팔트콘크리트의 재생방법 및 그 장치
CN212651931U (zh) 一种土木工程用废料回收装置
JP2002212430A (ja) 廃ガラス粒入り再生加熱アスファルト混合物の製造方法
CN209098489U (zh) 污泥冷却传送结构及污泥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