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494B1 - 금속 선재의 성형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금속 선재의 성형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494B1
KR100913494B1 KR1020070066500A KR20070066500A KR100913494B1 KR 100913494 B1 KR100913494 B1 KR 100913494B1 KR 1020070066500 A KR1020070066500 A KR 1020070066500A KR 20070066500 A KR20070066500 A KR 20070066500A KR 100913494 B1 KR100913494 B1 KR 100913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wire
cutting
unit
mol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658A (ko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성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성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성정밀
Priority to KR1020070066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4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03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04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by means of press-type t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귿(ㄷ) 형태의 금속 선재를 정밀하게 성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위 방법은; 롤형태로 권취된 상태의 선재를 인출하는 단계; 상기 단위선재보다 1.5 ~ 10배가 길게끔 절단하는 제1 절단단계; 단위선재의 양단을 절곡하여 바(4)와 레그(6)로 구성된 제1 형상("
Figure 112007048543779-pat00001
")으로 절곡하는 절곡단계; 상기 레그(6)의 양단을 요망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완성된 형태의 제2 형상("
Figure 112007048543779-pat00002
")으로 만드는 제2 절단단계; 성형 완료된 단위선재를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형, 성형, 커팅, 몰드

Description

금속 선재의 성형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 어셈블리{Method for forming metalic linear member and mold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대상인 커넥터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핀 성형방법에 의한 소재의 변형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금속선재의 성형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 어셈블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공정단계별로 표현한 금형 어셈블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공정단계별로 표현한 금형 어셈블리의 개략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커넥터핀 4 ; 바(bar)
6 ; 레그(leg) 30 ; 금형어셈블리
32 ; 상부금형 34 ; 하부금형
36 ; 커팅금형 38,42 ; 제1,2 선재안착홈
46 ; 단턱
본 발명은 금형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귿 형태의 정밀한 선재를 위한 성형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금형 어셈블리로써 성형하고자 하는 커넥터핀이 도 1의 사시도에 도시된다. 커넥터핀(2)은 선재의 양단이 절곡되어 바(4, bar)와 레그(6, leg)로 구성되는 디귿(ㄷ)자 형상을 가진다. 커넥터핀(2)의 소재는 스테인레스이며 단면적은 0.02 ~ 0.25㎟ 가 된다. 단면은 4각형 또는 원형이 될 수 있지만 시각적으로 분간할 수 없기 때문에 단면 형상의 특정은 무의미하다.
레그(6)의 길이는 0.5 ~ 1.0 mm(특히 0.7mm)의 범위 내에 있는데, 정밀부품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양 레그(6)의 길이는 정확히 같아야 하며 바(4)와의 각도 또한 정확히 직각을 이루도록 성형되어야 한다.
이러한 커넥터핀(2)은 핸드폰의 제조에서 기판과 기판을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통상 발주자의 의뢰받아 생산하게 된다. 그러므로 위에서 언급한 각 규격은 특정될 수 없으며 나아가 예시된 범위에 한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문제는 어떻게 정확한 사이즈로 직각도를 유지하면서 제품을 성형하는가에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명세서상의 '커넥터핀'이라는 명칭도 작위적으로 주어진 것에 불과하다. 명칭에 의해 연상되는 용도와는 전혀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도 1에 도시된 구조의 커넥터핀을 성형하는 종래의 방법은 커넥터핀 의 전장에 해당하는 길이로 선재를 절단한 후 이를 포밍(forming)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해서는 소재가 너무 작기 때문에 레그의 길이를 정확히 동일하게 맞추기가 어렵다. 그리고 레그와 바와의 연결지점 즉 절곡지점에는 미세하게 흠집이 생기게 마련이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길이의 금속 선재가 디귿자 형태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핀을 정확한 규격으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정확한 규격으로 요망하는 정밀부품을 신속하게 생산하기 위한 성형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단면적이 0.02 ~ 0.25㎟, 길이가 3.0 ~ 10.0mm 의 범위에 있는 금속 재질의 단위선재를 제2 형상("
Figure 112007048543779-pat00003
")으로 성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롤형태로 권취된 상태의 선재를 인출하는 단계; 상기 단위선재보다 1.5 ~ 10배가 길게끔 절단하는 제1 절단단계; 단위선재의 양단을 절곡하여 바와 레그로 구성된 제1 형상("
Figure 112007048543779-pat00004
")으로 절곡하는 절곡단계; 상기 레그의 양단을 요망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완성된 형태의 제2 형상("
Figure 112007048543779-pat00005
")으로 만드는 제2 절단단계; 성형 완료 된 단위선재를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선재의 성형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절단단계와 상기 배출단계의 사이에 형태를 다잡아 직각도를 포함하여 정확한 규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후성형단계가 더 개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출단계는 압축공기를 유입하여 그에 의한 공기압에 의해 상기 성형완료된 상기 단위선재를 탈락시키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성형장치는 롤형태로 권취된 선재를 인출하여 공급하는 소재공급부; 공급되는 소재를 단위길이가 되도록 1차적으로 절단하는 제1 절단부; 바와 레그로 구성된 제1 형상("
Figure 112007048543779-pat00006
")으로 단위소재를 절곡하기 위한 제1 절곡부; 양 레그를 요망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제2 형상("
Figure 112007048543779-pat00007
")이 되도록 절단하는 제2 절단부; 및 직각도를 포함한 정확한 규격이 되도록 후성형하기 위한 후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금속선재의 성형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는;
단면적이 0.02 ~ 0.25㎟, 길이가 3.0 ~ 10.0mm 의 범위에 있는 금속 재질의 단위선재를 제2 형상("
Figure 112007048543779-pat00008
")으로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2개의 단위하부금형이 1조가 되어 좌우방향으로 접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끔 설치되며, 상면에는 길이방 향을 따라 중간 지점에 제1 선재안착홈이 마련되며, 측방 하부에는 커터삽입공간이 관통되게 마련되는 하부금형; 상하방향으로 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저면에는 상기 제1 선재안착홈과 대응되는 지점에 제2 선재안착홈이 마련되며, 공급되는 단위선재를 제1 형상("
Figure 112007048543779-pat00009
")으로 절곡하기 위하여 양단에 단턱이 마련되는 상부금형; 단위선재를 제2 형상("
Figure 112007048543779-pat00010
")이 되도록 레그의 잔여길이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부금형의 커터삽입공간의 양쪽으로 삽입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팅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핀 성형방법에 의한 소재의 변형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정밀부품(이하, '커넥터핀(2)'이라 한다)을 성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핀(2)은 명칭 자체가 의미하는 것과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그에 맞는 명칭이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언급된 것처럼 커넥터핀(2)은 핸드폰 내부에 기판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핸드폰과 같은 소형제품에 사용되는 만큼 그의 정밀도(직각도 및 각 규격)는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성형방법 및 장치가 고안된 것이다.
커넥터핀(2)은 단면적이 0.02 ~ 0.25㎟ 정도이며, 바(4, bar)와 2개의 레 그(6, leg)로 구성된다. 커넥터핀(2)의 소재는 스테인레스이가 일반적이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핀(2)은 단위선재(2')가 디귿자 형태로 절곡된 형태이다. 단위선재의 전체 길이는 3.0 ~ 10.0mm 의 범위에 있으며, 레그(6)의 길이는 0.5 ~ 0.8mm의 범위 내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격은 어디까지나 예시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는 못한다. 중요한 것은 설계된 규격에 얼만큼 정확하게 부합되게 제품을 생산하는가에 있다.
기다란 권취된 상태에서 풀리면서 공급되는 소재는 단위소재 전체 길이에 대하여 1.2 ~ 10배, 바람직하게는 1.5 ~ 5배가 되도록 절단되어 도 2(a)의 상태가 된다. 즉, 여유분을 갖고 1차적으로 절단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도 2(b)의 직선형태가 되도록 절곡된다. 절곡된 상태에서 바의 길이는 완성된 커넥터핀의 그것과 동일하지만 레그(6')의 길이는 2 ~ 10배가 길다.
1차로 절곡된 상태에서 도 2(c)의 상태가 되도록 레그(6')의 일부가 절단된다. 2차로 절단된 상태에서의 레그(6)는 완성된 커넥터핀의 레그(6)와 동일한 길이다.
도 2(d)는 후성형단계(또는 사상단계)를 도시한다. 이 단계는 정확한 직각도를 유지하는 한편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단계이다. 이렇게 해서 도 1의 완성된 형태의 커넥터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성형방법은, 레그를 미리 절곡시킨후 규정된 길이에 맞게 2차적으로 절단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즉, 종래의 것에 대해 작업공정의 순서를 변형시킨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2(b)의 상태가 되도록 절곡하는 과정에서 소재의 특성상 약간의 불균형이 있더라고 레그의 길이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선재의 성형장치는 도 3의 블럭도에 나타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소재공급부(10)는 롤형태로 권취된 선재를 인출하여 공급한다. 소재공급부(10)는 통상 모터에 의해 단속적으로 회전되는 공급롤러를 포함한다. 제1 절단부(12)는 공급되는 소재를 단위길이가 되도록 1차적으로 절단한다. 절곡부는(14) 바와 레그로 구성된 제1 형상("
Figure 112008086631916-pat00011
")으로 단위소재를 절곡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절단부(16)는 양 레그를 요망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제2 형상("
Figure 112008086631916-pat00012
")이 되도록 절단한다. 후성형부(18)는 직각도를 포함하여 정확한 규격이 되도록 다잡아주기 위한 것이다. 배출부(20)는 완성된 제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위 금형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금형의 구성 및 작용을 도 4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 어셈블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공정단계별로 표현한 금형 어셈블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공정단계별로 표현한 금형 어셈블리의 개략 사시도이다.
금형 어셈블리(30)는 상부금형(32), 하부금형(34) 및 대칭적으로 작동하는 2개의 커팅금형(36)으로 구성된다. 하부금형(34)은 2개의 단위하부금형(34a,34b)으로 구성된다. 2개의 단위하부금형(34a,34b)이 1조가 되어 좌우방향으로 접합 또는 분리되게끔 설치된다. 하부금형(34)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간 지점에 제1 선재안착홈(38)이 마련된다. 하부금형(34)의 측방 하부에는 커터삽입공간(40)이 관통되게 마련된다. 커터삽입공간(40)의 양쪽으로 커팅금형(36)이 삽입가능하게 설치된다. 커팅금형의 선단은 칼날(37, cutting edge)가 일체형으로 마련된다.
상하방향으로 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32)의 저면에는 상기 제1 선재안착홈(38)과 대응되는 지점에 제2 선재안착홈(42)이 마련된다. 공급된 선재를 1차적으로 절곡하기 위하여 상부금형(32)의 양단에 단턱(46)이 마련된다. 이 단턱(46)은 합형시 하부금형(34)의 외부에 끼워짐으로써 선재를 도 2(b)의 형태가 되도록 절곡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와 같이 하부금형(34)의 제1 선재안착홈(38)에 단위길이로 절단된 선재가 안착된다. 상부금형의 단턱(46)에 의해 선재는 제1 형상("
Figure 112007048543779-pat00013
")으로 절곡된다. 이 상태에서 커팅금형(36)이 삽입되어 도 5(c)의 상태가 되면 레그의 잔여분은 절단되어 하방으로 탈락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부금형(32)과 하부금형(34)은 선재를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선재는 정확하 게 절단되게 된다.
도 5(d)는 해체과정으로서 커팅금형(36)이 후퇴되어 상부금형(32)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상부금형(32)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 이후에 또는 이와 동시에 단위하부금형(34a,34b)은 좌우방향으로 갈라진다(도 6 참조). 이로써 성형 완료된 단위소재 내지 커넥터핀은 하방으로 자연낙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 과정에서 압축공기를 유입하여 커넥터핀을 쉽게 분리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2차 절단후 직각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표면을 다시금 매끈하게 다듬기 위한 후성형단계가 포함되는데, 이는 커팅금형의 칼날 자체에 의해, 절단후 이형시까지의 시간을 지체함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후성형을 위해 별도의 구성요소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성형방법은 도시 및 설명된 형상 이외의 소형 정밀부품을 생산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커넥터핀의 형상 및 그 명칭은 명세서 또는 도면상에 표현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정 길이의 금속 선재가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핀을 정확한 규격으로 성형하기 위한 유용한 성형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성형 된 커넥터핀을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탈락시킬 수 있는 구조의 금형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단면적이 0.02 ~ 0.25㎟, 길이가 3.0 ~ 10.0mm 의 범위에 있는 금속 재질의 단위선재를 제2 형상("
    Figure 112007048543779-pat00017
    ")으로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2개의 단위하부금형(34a,34b)이 1조가 되어 좌우방향으로 접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끔 설치되며,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간 지점에 제1 선재안착홈(38)이 마련되며, 측방 하부에는 커터삽입공간(40)이 관통되게 마련되는 하부금형(34);
    상하방향으로 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저면에는 상기 제1 선재안착홈(38)과 대응되는 지점에 제2 선재안착홈(42)이 마련되며, 공급되는 단위선재를 제1 형상("
    Figure 112007048543779-pat00018
    ")으로 절곡하기 위하여 양단에 단턱(46)이 마련되는 상부금형(32); 단위선재를 제2 형상("
    Figure 112007048543779-pat00019
    ")이 되도록 레그의 잔여길이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부금형(34)의 커터삽입공간(40)의 양쪽으로 삽입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팅금형(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선재의 성형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
KR1020070066500A 2007-07-03 2007-07-03 금속 선재의 성형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 어셈블리 KR100913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500A KR100913494B1 (ko) 2007-07-03 2007-07-03 금속 선재의 성형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500A KR100913494B1 (ko) 2007-07-03 2007-07-03 금속 선재의 성형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658A KR20090003658A (ko) 2009-01-12
KR100913494B1 true KR100913494B1 (ko) 2009-08-25

Family

ID=4048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500A KR100913494B1 (ko) 2007-07-03 2007-07-03 금속 선재의 성형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4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8026B (zh) * 2017-10-27 2019-03-12 厦门埃菲铁件有限公司 一种五金产品铁丝折弯设备
CN111570661A (zh) * 2020-04-09 2020-08-25 西安北方光电科技防务有限公司 一种电阻元件引线成型装置及方法
CN112193478A (zh) * 2020-10-14 2021-01-08 吕群 一种用于对铁丝进行成型和布丝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3804A (ja) * 1991-10-30 1993-05-21 Fujitsu Ltd リードの切断方法
JPH0698436A (ja) * 1992-09-09 1994-04-08 Toshiba Corp 被覆付きワイヤを加工する装置
JPH09192767A (ja) * 1996-01-18 1997-07-29 Murata Mfg Co Ltd 線材の成形装置
JP2003264964A (ja) * 2002-03-11 2003-09-19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のコイル用のセグメントの成形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成形型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3804A (ja) * 1991-10-30 1993-05-21 Fujitsu Ltd リードの切断方法
JPH0698436A (ja) * 1992-09-09 1994-04-08 Toshiba Corp 被覆付きワイヤを加工する装置
JPH09192767A (ja) * 1996-01-18 1997-07-29 Murata Mfg Co Ltd 線材の成形装置
JP2003264964A (ja) * 2002-03-11 2003-09-19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のコイル用のセグメントの成形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成形型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658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935B1 (ko) 유체 공급용 밸브바디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공급용 밸브바디 제조방법
KR101520442B1 (ko) 헤드 및 프레임 트리밍이 통합된 쉘 부품을 딥 드로잉 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13494B1 (ko) 금속 선재의 성형방법 및 이를 위한 금형 어셈블리
CN108262439B (zh) 一种夹膜链外附板集成冲压成形工艺
KR101662031B1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유심 트레이 제조방법
CN106363074A (zh) 马达芯片冲压装置和方法
EP2164657B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ndmill
KR101539080B1 (ko) 파이프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CN208629963U (zh) 制造模具组
CN101992236B (zh) 用于压弯机的压弯加工用工具
KR102267533B1 (ko) 벤딩 및 피어싱을 포함하는 금속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프레스 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금속부품을 생산하는 방법
US10632519B2 (en)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B interface metal casing
KR101630177B1 (ko) 냉간단조법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197836B1 (ko) 프레스 금형의 펀치 구조, 프레스 금형,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프레스 성형품
CN201201015Y (zh) 简易拉伸模具
CN105290301A (zh) 一种多向异形轴颈锻造方法
KR100870534B1 (ko) 원형봉으로부터 치형을 가진 스플라인 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이형 인발 공정용 중간패스의 다이 설계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스플라인 부품
KR100610623B1 (ko) 절단칼의 부분교체가 가능한 절단금형 및 그 제조방법
JP2001252728A (ja) プレス装置の押しズレ防止構造
CN105033055B (zh) 车辆前轴支架制造用连续模具及制造方法
KR102062094B1 (ko) 숫단자 제조방법
CN214053373U (zh) 一种直角冲压模具
KR101632551B1 (ko) 차단기용 단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210412288U (zh) 晶体管加工模具及冲压机
CN208437486U (zh) 一种用于四合扣母扣成型的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