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468B1 - 전전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 Google Patents

전전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468B1
KR100913468B1 KR1020070093353A KR20070093353A KR100913468B1 KR 100913468 B1 KR100913468 B1 KR 100913468B1 KR 1020070093353 A KR1020070093353 A KR 1020070093353A KR 20070093353 A KR20070093353 A KR 20070093353A KR 100913468 B1 KR100913468 B1 KR 100913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block
taw
grooves
lat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073A (ko
Inventor
김장현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468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1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4Asymmetric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18Tread patterns irregular patterns with particular pitch sequ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6Circumferential grooves with zigzag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53Circumferential grooves characterised by widt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2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계절 전천후에도 사용할 수 있고, 온·오프로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그루브 및 블록 형상을 규정하는 트레드 패턴을 형성하여, 내마모성, 승차감, 조정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트레드 패턴을 구비한 전천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천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타이어의 폭방향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성된 제1 종그루브(30)와, 타이어의 폭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성된 다수의 횡그루브(35)와, 상기 제1 종그루브(3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좌우측에 원주방향으로 각각 지그재그 형성되며 상기 제1 종그루브(30)의 폭(G1)에 비해 큰 폭(G2)으로 형성된 제2 종그루브(33)와, 상기 제1 종그루브(30)와 제2 종그루브(33)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횡그루브(35)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사이드블럭(20)과, 상기 제2 종그루브(33)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쇼울더블럭(23)을 포함하는 트래드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횡그루브(35)가 상기 쇼울더블럭(23)에서 ∧ 또는 ∨ 형상으로 각각 1회 꺾어지고 상기 사이드블럭(20)에서도 인접한 쇼울더블럭에서와 동일한 방향 및 형상으로 각각 1회 꺾어짐과 아울러 상기 제1종그루브(30) 및 제2종그루브(33) 영역에서는 직선을 유지하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타이어 내측 쇼울더블럭(23)의 리딩 엣지에 돌출된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횡그루브(35)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사이드블럭(20)과 쇼울더블럭(23)의 타이어 폭방향 배열을 횡패턴이라 할 때, 상기 횡패턴을 구성하는 사이드블럭(20)과 쇼울더블럭(23)이 각각 상기 제1 종그루브(30)를 중심으로 점대칭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횡패턴의 타이어 원주방향 폭은 3~5종의 피치(P)를 가지며, 상기 횡그루브(35) 양측에는 서로 다른 피치(P)를 갖는 횡패턴이 위치하도록 한다.
트래드, 패턴, 4계절, 다목적, 전천후, 타이어, 쇼울더블럭, 사이드블럭

Description

전전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All Terrain Multi-Purpose Pneumatic Radial Tire}
본 발명은 트레드면에 패턴이 형성된 다목적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계절 전천후에도 사용할 수 있고, 온·오프로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그루브와 블럭을 규정하는 트레드 패턴을 형성하여, 타이어의 내마모성과 승차감 및 조정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이 향상되고 다양화됨에 따라, 레저(leisure)를 즐기려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그래서, 근래에는 온로드(on-road,포장된 길)만 다닐 수 있는 편안한 승용차보다는 레저를 즐기기 위해 특별한 개조 없이 온로드 및 오프로드(off-road, 비포장 길)을 동시에 다닐 수 있는 차량, 예컨대, RV(recreational vehicle)차량이나 SUV(sport utility vehicle)차량 및 MPV(multi-purpose vehicle)차량, (이하, 다목적 차량이라함.)의 판매가 대폭 증가하였다.
특히 다목적차량은 온로드에서는 편안한 승차감을 갖음과 동시에 지상고가 높아 오프로드에서도 탁월한 주행성능을 갖는다. 이러한 승차감 및 주행성능을 동 시에 갖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가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구조이다.
즉, 다목적차량의 타이어는 별도의 추가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 장착된 타이어만으로 온로드와 오프로드를 주행 해야 하기 때문에, 온로드의 편안한 승차감과 오프로드에서의 내구성을 겸비하도록 타이어를 설계해야 하는데, 타이어의 성능은타이어 외면에 트레드 패턴에 형성되는 트레드 패턴 구조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트레드 패턴의 설계가 가장 중요하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다목적차량의 타이어는 트래드부(110), 벨트층(200), 사이드월부(130), 에이펙스(150), 비드부(170), 바디플라이(180), 이너라이너(190)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트래드부(110)에 차량에 적합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턴 형상은 타이어 폭 방향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연속형성된 제1블럭(120)과 상기 제1블럭(120)을 중심으로 좌,우 점대칭으로 형성된 제2블럭(130)과 제3블럭(14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된다.
상기 제1 블럭(120)과 제2 블럭(130)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 그루브(150)로 구획된다.
상기 제2 블럭(130)과 제3 블럭(140)은 제2 블럭(130)의 타이어 폭방향 외측 끝단을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연장한 연장선(BE2)과 제3 블럭(140)의 타이어 폭방향 내측 끝단을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연장한 연장선(BE3)에 일정길이가 겹쳐지도록 제2 블럭(130)과 제3 블럭(140)이 대각선의 제2 그루브(151)로 구획되며, 또한, 상기 제2 블럭(130)과 제3 블럭(140)에는 타이어 폭방향으로 세미그루브(S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다목적 타이어의 패턴은 원주방향의 연장선(BE2, BE3)상에서 제2 블럭(130)과 제3 블럭(140)의 일정길이가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주행시 블럭(130,140)의 힐 앤드 토이(hill & toe)마모가 발생 되고 우천시 배수성이 좋지 못하며, 또한, 제1 블럭(120)이 타이어 폭방향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시 상기 제1 블럭(120)의 지지력이 크지 못하여 유동이 발생, 그로 인한 블럭(130,140)간 단차마모를 유발하여 승차감 및 조정안정성, 내마모성 등을 하락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이어 외면에 그루브와 블럭을 규정하는 트레드 패턴을 형성하여, 블럭 간의 단차마모를 방지하고, 사계절 전천후 및 온·오프로드에서도, 승차감, 조정안정성 및 내마모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전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전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타이어의 폭방향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성된 제1 종그루브와, 타이어의 폭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성된 다수의 횡그루브와, 상기 제1 종그루브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좌우측에 원주방향으로 각각 지그재그 형성되며 상기 제1 종그루브의 폭에 비해 큰 폭으로 형성된 제2 종그루브와, 상기 제1 종그루브와 제2 종그루브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횡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사이드블럭과, 상기 제2 종그루브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쇼울더블럭을 포함하는 트래드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횡그루브가 상기 쇼울더블럭에서 ∧ 또는 ∨ 형상으로 각각 1회 꺾어지고 상기 사이드블럭에서도 인접한 쇼울더블럭에서와 동일한 방향 및 형상으로 각각 1회 꺾어짐과 아울러 상기 제1 종그루브 및 제2 종그루브 영역에서는 직선을 유지하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타이어 내측 쇼울더블럭의 리딩 엣지에 돌출된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횡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사이드블럭과 쇼울더블럭의 타이어 폭방향 배열을 횡패턴이라 할 때, 상기 횡패턴을 구성하는 사이드블럭과 쇼울더블럭이 각각 상기 제1 종그루브를 중심으로 점대칭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횡패턴의 타이어 원주방향 폭은 3~5종의 피치를 가지며, 상기 횡그루브 양측에는 서로 다른 피치를 갖는 횡패턴이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트레드 폭 TAW에 대하여, 사이드블럭 전체 폭 BW1 및 쇼울더블럭 전체 폭 BW2는,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14 × TAW ≤ BW1 ≤ 0.30 × TAW,
0.20 × TAW ≤ BW2 ≤ 0.36 × TAW.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이어 중심선에서 사이드블럭의 타이어 주행방향 후면 외측단까지 거리 b1와 타이어 중심선에서 사이드블럭의 타이어 주행방향 전면 외측단까지 거리 b2, 타이어 중심선에서 쇼울더블럭의 타이어 주행방향 후면 내측단까지 거리 b3 및 타이어 중심선에서 쇼울더블럭의 타이어 주행방향 전면 내측단까지 거리 b4는,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구조;
0.10 × TAW ≤ b1 ≤ 0.20 × TAW,
0.16 × TAW ≤ b2 ≤ 0.26 × TAW,
0.17 × TAW ≤ b3 ≤ 0.27 × TAW,
0.25 × TAW ≤ b4 ≤ 0.35 × TAW.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블럭과 상기 쇼울더블럭에는 타이어 폭방향으로 형성된 지그재그 형상의 사이프가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구조는, 원주방향으로 블럭과 블럭이 일정길이 겹쳐지지 않도록 블럭과 그루브를 규정하는 패턴 구조를 형성하여, 주행시 블럭의 힐 앤드 토이(hill & toe)마모를 방지하며 배수(排水)성이 뛰어나며, 블럭간의 단차마모를 방지하여 승차감, 조정안정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블럭 상면에 사이프를 적용함으로써, 승차감 및 소음(消音)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천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천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지그재그형 4-리브 패턴'을 구비한 타이어이다. 여기서, '지그재그형 4-리브 패턴'이란 타이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형성된 종그루브 3개에 의해 구획된 4개의 리브 블럭이 타이어의 트래드면에 형성된 패턴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4개의 리브 블럭이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연속되어 돌출 형성된 형상의 패턴을 말한다. 한편, '직선형 4-리브 패턴'은, 타이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 종그루브 3개로 구획된 4개의 리브 블럭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래드 패턴 구조는, 타이어의 폭방향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성된 제1 종그루브(30)와, 타이어의 폭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성된 다수의 횡그루브(35)와, 상기 제1 종그루브(3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좌우측에 원주방향으로 각각 지그재그 형성되며 상기 제1 종그루브(30)의 폭(G1)에 비해 큰 폭(G2)으로 형성된 제2 종그루브(33)와, 상기 제1 종그루브(30)와 제2 종그루브(33)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횡그루브(35)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사이드블럭(20)과, 상기 제2 종그루브(33)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쇼울더블럭(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횡그루브(35)는 상기 쇼울더블럭(23)에서 ∧ 또는 ∨ 형상으로 각각 1회 꺾어지고 상기 사이드블럭(20)에서도 인접한 쇼울더블럭에서와 동일한 방향 및 형상으로 각각 1회 꺾어짐과 아울러 상기 제1종그루브(30) 및 제2종그루브(33) 영역에서는 직선을 유지하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즉, 타이어 내측에서 상기 제1 종그루브(30)까지의 상기 횡그루브(35)는, 내측 쇼울더블럭(23) 부분에서 상향 경사진 형태를 보이다가 ∧ 형상으로 꺾여져 하향 경사진 형태로 나타나며, 인접한 상기 사이드 블록(20) 부분에서도 역시 ∧ 형상으로 1회 꺾여진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종그루브(30)에서 타이어 외측까지의 상기 횡그루브(35)는, 상기 사이드 블록(20) 부분에서 ∨ 형상으로 1회 꺾여짐과 아울러 외측 쇼울더블록(23)에서도 역시 ∨ 형상으로 1회 꺾여져 최종적으로는 상향 경사진 모양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횡그루브(35)는 상기 제1 종그루브(30)를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나타나며, 상기 내측 쇼울더블럭(23)의 리딩 엣지에는 돌출된 모서리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횡그루브(35)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사이드블럭(20)과 쇼울더블럭(23)의 타이어 폭방향 배열을 횡패턴(도면에서 빗금친 부분)이라 할 때, 상기 횡패턴을 구성하는 사이드블럭(20)과 쇼울더블럭(23)이 각각 상기 제1 종그루브(30)를 중심으로 점대칭 형성되도록 한다. 또, 상기 횡그루브(35)에는 상기 사이드블록(20) 및 쇼울더블럭(23)을 각각 원주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리브 블록의 강성 저하를 방지하는 저상부(3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횡패턴의 타이어 원주방향 폭은 3~5종의 피치(P)를 가지게 되며, 상기 횡그루브(35) 양측에는 서로 다른 피치(P)를 갖는 횡패턴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사이드블럭(20)과 상기 쇼울더블럭(23)은 블럭리딩엣지(block leading edge)설계, 예컨대, 블럭이 정방형이 아니고, 블럭 외주에 다수의 모서리를 형성하여 지면과의 그립력 및 오프로드에서의 구동력을 향상시키는 설계에 따라 제작되며, 상면에는 타이어 주행방향의 수직방향인 타이어 폭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의 사이프(27;sipe)가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블럭(20)과 쇼울더블럭(23)의 크기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형성한다.
Figure 112007066581838-pat00001
이상에서 TAW는 트레드 폭, BW1은 상기 사이드블럭(20) 각각의 전체 폭, BW2는 쇼울더블럭(23) 각각의 전체 폭이다.
만약, BW1을 0.14 × TAW 보다 작게, BW2를 0.20 × TAW 보다 작게 하면 블럭의 크기가 작아져 블럭이 강성이 약해짐으로 주행시 블럭의 움직임이 커져 단차마모 및 힐 앤드 토이(hill & toe)마모를 유발 할 수 있고, BW1이 0.30 × TAW 보다 크고, BW2가 0.36 × TAW 보다 크면 블럭 크기가 커져 구동력 성능이 저하되고, 제 2 종그루브 폭(G2)이 작아져, 배설(排雪)성, 배토(排土)성 및 배수(排水)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블럭(20)과 쇼울더블럭(23)의 위치는 하기의 수학식 2를 만족하도록 형성한다.
Figure 112007066581838-pat00002
이상에서, TAW는 트레드 폭, b1은 타이어 중심선(c)에서 사이드블럭(20)의 타이어 주행방향 후면 외측단까지의 거리, b2는 타이어 중심선(c)에서 사이드블럭(20)의 타이어 주행방향 전면 외측단까지의 거리, b3는 타이어 중심선(c)에서 쇼울더블럭(23)의 타이어 주행방향 후면 내측단까지의 거리, b4는 타이어 중심선(c)에서 쇼울더블럭(23)의 타이어 주행방향 전면 내측단까지의 거리이다.
만약, b1을 0.10 × TAW 보다 작게, b2를 0.16 × TAW 보다 작게, b3를 0.17 × TAW 보다 작게 b4를 0.25 × TAW 보다 작게 형성하면, 사이드블럭의 크기는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쇼울더부의 블럭이 커짐으로, 단차마모 및 힐 앤드 토이(hill & toe)마모를 유발할 수 있으며, b1을 0.20 × TAW 보다 크게, b2를 0.26 × TAW 보다 크게, b3를 0.27 × TAW 보다 크게, b4를 0.35 × TAW 보다 크게 할 경우, 사이드 블럭(20)의 크기는 커지고, 상대적으로 쇼울더블럭(23)이 작아짐으로 인해, 구동력 및 제동력의 성능이 저하되고, 제2 그루브의 폭(G2)이 작아져 배설(排雪)성, 배토(排土)성 및 배수(排水)성이 저하된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 구성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상기한 트레드 패턴 구조를 구비한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서는, 트레드면 중심에 형성된 제1 종그루브(30)의 외측 좌,우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종그루브(33)가 1 종그루브(30)보다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종그루브(30)에서 제2 종그루브(33) 쪽으로 횡그루브(35)를 통해 자연적으로 배수가 일어나게 되어 배수(排水)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블럭(20)의 외측 끝단의 원주방향 연장선(BE1)과 쇼울더블럭(23)의 내측 끝단의 원주방향 연장선(BE1)이 서로 겹쳐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주행시 이드블럭(20)과 쇼울더블럭(23)이 겹쳐지지 않기 때문에 그루브(30,33)에 낀 이물질이 쉽게 배출됨은 물론 배설(排雪)성, 배토(排土)성 및 배수(排水)성 및 조종안정성이 향상되고 단차마모 및 힐 앤드 토이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블럭(20)과 쇼울더블럭(23)과의 비율이 최적화되어 설계되기 때문에 주행시 구동력과 제동력을 향상시키고, 블럭(20,23)의 설계시 블럭리딩엣지(block leading edge)설계로 오프로드 주행시 트랙션(traction) 및 제동성능을 향상시킨다.
더욱이, 상기 사이드블럭(20)과 쇼울더블럭(23)의 상면에는 지그재그 형상의 사이프(27)가 형성되어 있어, 승차감 향상 및 주행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패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천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패턴 구조를 나타낸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트레드 20: 사이드블럭
23; 쇼울더블럭 27: 사이프
30: 제1 종그루브 33: 제2 종그루브
35: 횡그루브
C: 타이어의 중심선 TAW: 트레드 폭
BW1: 사이드블럭 전체 폭 BW2: 쇼울더블럭 전체 폭
b1: 타이어 중심선에서 사이드블럭의 타이어 주행방향 후면 외측단까지 거리
b2: 타이어 중심선에서 사이드블럭의 타이어 주행방향 전면 외측단까지 거리
b3: 타이어 중심선에서 쇼울더블럭의 타이어 주행방향 후면 내측단까지 거리
b4: 타이어 중심선에서 쇼울더블럭의 타이어 주행방향 전면 내측단까지 거리
G1: 제1 종그루브의 폭 G2: 제2 종그루브의 폭
P: 횡패턴의 피치

Claims (5)

  1. 타이어의 폭방향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성된 제1 종그루브(30)와, 타이어의 폭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성된 다수의 횡그루브(35)와, 상기 제1 종그루브(3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좌우측에 원주방향으로 각각 지그재그 형성되며 상기 제1 종그루브(30)의 폭(G1)에 비해 큰 폭(G2)으로 형성된 제2 종그루브(33)와, 상기 제1 종그루브(30)와 제2 종그루브(33)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횡그루브(35)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사이드블럭(20)과, 상기 제2 종그루브(33)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쇼울더블럭(23)을 포함하는 트래드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횡그루브(35)가 상기 쇼울더블럭(23)에서 ∧ 또는 ∨ 형상으로 각각 1회 꺾어지고 상기 사이드블럭(20)에서도 인접한 쇼울더블럭에서와 동일한 방향 및 형상으로 각각 1회 꺾어짐과 아울러 상기 제1 종그루브(30) 및 제2 종그루브(33) 영역에서는 직선을 유지하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타이어 내측 쇼울더블럭(23)의 리딩 엣지에 돌출된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횡그루브(35)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사이드블럭(20)과 쇼울더블럭(23)의 타이어 폭방향 배열을 횡패턴이라 할 때, 이 횡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사이드블럭(20)과 쇼울더블럭(23)이 각각 상기 제1 종그루브(30)를 중심으로 점대칭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횡패턴의 타이어 원주방향 폭은 3~5종의 피치(P)를 가지며, 상기 횡그루브(35) 양측에는 서로 다른 피치(P)를 갖는 횡패턴이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블럭(20)의 전체 폭 BW1과 상기 쇼울더블럭(23)의 전체 폭 BW2는, 트레드면의 전체 폭 TAW에 대하여,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0.14 × TAW ≤ BW1 ≤ 0.30 × TAW,
    0.20 × TAW ≤ BW2 ≤ 0.36 × TAW.
  3. 제2 항에 있어서,
    타이어 중심선(C)에서 상기 사이드블럭(20)의 타이어 주행방향 후면 외측단까지 거리 b1와 타이어 중심선(C)에서 상기 사이드블럭(20)의 타이어 주행방향 전면 외측단까지 거리 b2, 타이어 중심선(C)에서 상기 쇼울더블럭(23)의 타이어 주행방향 후면 내측단까지 거리 b3 및 타이어 중심선에서 상기 쇼울더블럭(23)의 타이어 주행방향 전면 내측단까지 거리 b4는,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0.10 × TAW ≤ b1 ≤ 0.20 × TAW,
    0.16 × TAW ≤ b2 ≤ 0.26 × TAW,
    0.17 × TAW ≤ b3 ≤ 0.27 × TAW,
    0.25 × TAW ≤ b4 ≤ 0.35 × TAW.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블럭(20)과 상기 쇼울더블럭(23)에는 타이어 폭방향으로 형성된 지그재그형 사이프(27)가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5. 삭제
KR1020070093353A 2007-09-14 2007-09-14 전전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100913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353A KR100913468B1 (ko) 2007-09-14 2007-09-14 전전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353A KR100913468B1 (ko) 2007-09-14 2007-09-14 전전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073A KR20090028073A (ko) 2009-03-18
KR100913468B1 true KR100913468B1 (ko) 2009-08-25

Family

ID=4069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353A KR100913468B1 (ko) 2007-09-14 2007-09-14 전전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5818A (zh) * 2016-05-30 2019-01-11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轮胎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893B1 (ko) * 2010-11-26 2013-03-2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사계절용 전천후 공기입 레이얼 타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20B2 (ja) * 1985-05-02 1994-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残留水排除装置
JP2664116B2 (ja) * 1992-06-18 1997-10-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00233607A (ja) * 1999-02-18 2000-08-29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1277814A (ja) * 2000-03-30 2001-10-10 Yokohama Rubber Co Ltd:The 冬用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20B2 (ja) * 1985-05-02 1994-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残留水排除装置
JP2664116B2 (ja) * 1992-06-18 1997-10-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00233607A (ja) * 1999-02-18 2000-08-29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1277814A (ja) * 2000-03-30 2001-10-10 Yokohama Rubber Co Ltd:The 冬用空気入りタイ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5818A (zh) * 2016-05-30 2019-01-11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轮胎
CN109195818B (zh) * 2016-05-30 2020-10-02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轮胎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073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7159B2 (en) Tyre for vehicle wheels having improved tread pattern
KR101726451B1 (ko) 공기 타이어
US5316062A (en) Tire tread for heavy vehicles
CN102695620B (zh) 公路和越野用的充气轮胎
US20110297284A1 (en) Pneumatic tyre
KR20100111233A (ko) 공기 타이어
JP676370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475756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3523520A (ja) 重荷重車両ホイール用のタイヤ
JP6521000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634734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3306011A (ja) モーターサイクル用タイヤ
CN110234520B (zh) 汽车轮胎
KR100913468B1 (ko) 전전후 다목적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JP4709449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951776B2 (en) Pneumatic tire
US11724546B2 (en) Pneumatic tire
EP2265450B1 (en) Heavy- load vehicle tire
KR102285009B1 (ko)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
JPH08295104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8114756A (ja) 農業機械用タイヤ
JP2000309206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902467B1 (ko) Cuv용 공기입 타이어의 패턴구조
JPH05112104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5041303A (ja) 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