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009B1 -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 - Google Patents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009B1
KR102285009B1 KR1020190177006A KR20190177006A KR102285009B1 KR 102285009 B1 KR102285009 B1 KR 102285009B1 KR 1020190177006 A KR1020190177006 A KR 1020190177006A KR 20190177006 A KR20190177006 A KR 20190177006A KR 102285009 B1 KR102285009 B1 KR 102285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tire
inlet
outlet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075A (ko
Inventor
최우영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7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0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4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 B60C11/0323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tread comprising channels under the tread surface, e.g. for draining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개시되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는 트레드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타이어의 내측 트레드 양쪽에 형성된 그루브 사이를 연결하도록 내측 트레드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1배수구; 및 타이어 양쪽의 최외곽 트레드와 최외곽 그루브 사이를 연결하도록 최외곽 트레드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2배수구를 포함하고, 주행 시 그루브 사이에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Low noise tread tire}
본 발명은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드에 형성되는 패턴을 줄이고 배수 성능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타이어는 자동차의 하중을 지탱하는 기능, 엔진의 동력을 노면에 전달하는 기능, 자동차가 도로와 부딪히며 생기는 충격을 줄여주는 1차 완충하는 기능, 자동차의 방향을 전환하는 기능 등 수많은 첨단 기능이 결집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타이어(10)는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으나 외부에 드러나는 주요한 부분은 트레드(Tread)(100), 그루브(Groove)(200), 숄더(Shoulder)(300), 사이드월(Sidewall)(400) 등이다.
트레드(100)는 노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써 내 마모성, 내 컷팅성이 양호하여야 하며 외부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하고 발열이 적어야 한다. 그루브 사이에서 볼록 튀어나온 곳은 블록(Block)이라고 하는데 타이어의 견인력과 제동력, 코너링 성능을 담당한다.
패턴(150)은 트레드에 새겨진 모양으로서 타이어의 기본적인 기능인 구동, 제동, 선회 성능은 물론 승차감과 소음, 굴러가는 데 대한 저항, 마모 같은 모든 특성에 관계된다. 패턴의 모양에 따라, 러그 패턴, 리그 패턴, 리브 러그 패턴, 블록 패턴 등으로 분류된다.
그루브(200)는 트레드의 홈 부분으로써 조종안정성, 견인력, 제동성, 배수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그루브의 폭이 넓을수록 빗길에서 주행성능이 좋아지지만 너무 넓으면 제동력과 코너링 성능이 약해진다.
숄더(300)는 트레드의 가장자리로부터 사이드월의 윗부분으로써 외관 및 방열효과가 좋아야 한다.
사이드월(400)는 타이어의 옆부분으로써 카카스(Carcass)를 보호하고 굴신운동을 함으로써 승차감을 좋게 한다.
자동차용 타이어의 트레드에 형성되는 패턴은 주행 시 펌핑음을 발생시키는데 이는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된다.
일반적인 패턴이 형성된 트레드가 적용된 타이어와 종그루브만 보유한 세미 슬릭(Semi Slick) 트레드가 적용된 타이어는 약 4~6dB 정도의 소음 차이가 발생한다.
자동차용 타이어의 트레드에 형성되는 패턴은 배수 성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트레드에 형성되는 패턴을 줄이면 주행 시 발생하는 소음은 감소하지만 배수 성능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수막현상(水膜現象, Hydroplaning)은 비로 인해 물에 젖은 노면 위를 고속으로 주행할 때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물의 막이 형성되는 현상으로, 타이어가 노면을 제대로 접지하지 못한 채 물 위에 뜬 상태로 움직이게 되므로 조종이 불가능한 상태다. 이렇게 되면 조향(操向) ㅇ제동도 불가능하게 되어 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수막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이어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07304호 ‘수막제거용 흡입배수관이 설치된 타이어 및 제조방법’은 타이어가 빗길이나 젖은 노면을 주행할 때, 트레드의 종그루브(또는 원주방향 그루브)를 따라 유동하는 물이, 트레드의 리브(또는 리브블록)를 관통하여 쇼울더의 외측까지 설치된 흡입배수관을 통해 쇼울더 바깥으로 배수되게 함으로써, 트레드와 노면 사이에 수막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제동특성을 향상시킨 수막제거기능이 부여된 타이어에 관한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07304호는 타이어의 양측 단부에서 쇼울더로 물이 배출되므로 배수 성능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주행 시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충분한 배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저소음 트레드 타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트레드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타이어의 내측 트레드 양쪽에 형성된 그루브 사이를 연결하도록 내측 트레드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1배수구; 및 타이어 양쪽의 최외곽 트레드와 최외곽 그루브 사이를 연결하도록 최외곽 트레드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2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타이어가 세미 슬릭 타이어일 수 있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1배수구는 내측 트레드의 일측에 형성된 그루브의 측면 하부에 제1입구가 형성되고, 내측 트레드의 타측에 형성된 그루브의 측면 상부에 제1출구가 형성될 수 있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1배수구는 제1출구가 제1입구보다 후방에 형성될 수 있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1배수구는 제1입구에서 제1출구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내측 트레드는 제1배수구 사이를 연결하도록 내측 트레드 내부를 원주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챔버가 형성될 수 있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2배수구는 최외곽 그루브의 측면 하부에 제2입구가 형성되고, 최외곽 트레드의 표면에 제2출구가 형성될 수 있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2배수구는 제2출구가 제2입구보다 후방에 형성될 수 있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2배수구는 제2입구에서 제2출구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최외곽 트레드는 제2배수구 사이를 연결하도록 최외곽 트레드 내부를 원주방향으로 관통하여 제2챔버가 형성될 수 있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하면, 트레드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타이어의 내측 트레드 양쪽에 형성된 그루브 사이를 연결하도록 내측 트레드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1배수구; 및 타이어 양쪽의 최외곽 트레드와 최외곽 그루브 사이를 연결하도록 최외곽 트레드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2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주행 시 그루브 사이에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하면, 타이어가 세미 슬릭 타이어일 수 있으므로, 트레드에 형성되는 패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하면, 제1배수구는 내측 트레드의 일측에 형성된 그루브의 측면 하부에 제1입구가 형성되고, 내측 트레드의 타측에 형성된 그루브의 측면 상부에 제1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입구로 유입된 물은 원심력에 의해 제1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하면, 제1배수구는 제1출구가 제1입구보다 후방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배수구는 자동차의 무게로 인해 제1입구부터 제1출구까지 순차적으로 폐쇄되어 제1입구로 유입된 물을 짜내듯이 제1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하면, 제1배수구는 제1입구에서 제1출구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제1입구로 더 많은 물이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하면, 내측 트레드는 제1배수구 사이를 연결하도록 내측 트레드 내부를 원주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챔버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제1배수구를 통해 더 많은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하면, 제2배수구는 최외곽 그루브의 측면 하부에 제2입구가 형성되고, 최외곽 트레드의 표면에 제2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2입구로 유입된 물은 원심력에 의해 제2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하면, 제2배수구는 제2출구가 제2입구보다 후방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2배수구는 자동차의 무게로 인해 제2입구부터 제2출구까지 순차적으로 폐쇄되어 제2입구로 유입된 물을 짜내듯이 제2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하면, 제2배수구는 제2입구에서 제2출구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제2입구로 더 많은 물이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에 의하면, 최외곽 트레드는 제2배수구 사이를 연결하도록 최외곽 트레드 내부를 원주방향으로 관통하여 제2챔버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제2배수구를 통해 더 많은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타이어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확대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변형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난 X, Y, Z 축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이 전(화살표 쪽), 후(화살표 반대쪽) 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좌, 우방향을 지시하며, Z축은 상, 하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 앞쪽), 후(배, 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도 2 내지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데 따른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는, 트레드(100)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그루브(200)가 형성되는 타이어(10)에 있어서, 타이어(10)의 내측 트레드(120) 양쪽에 형성된 그루브(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내측 트레드(12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1배수구(121); 및 타이어(10) 양쪽의 최외곽 트레드(140)와 최외곽 그루브(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최외곽 트레드(14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2배수구(1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주행 시 타이어(1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충분한 배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트레드(100)에 형성되는 패턴은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타이어(10)는 세미 슬릭 타이어(1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4을 참조하면, 상기 제1배수구(121)는 내측 트레드(120)의 일측에 형성된 그루브(200)의 측면 하부에 제1입구(122)가 형성되고, 내측 트레드(120)의 타측에 형성된 그루브(200)의 측면 상부에 제1출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구(121)는 내측 트레드(120)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구(121)는 제1출구(123)가 제1입구(122)보다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배수구(121)는 내측 트레드(120) 아래 형성되는 블럭을 기준으로 블록의 일측 측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1입구(122)에서 블록의 타측 후방 측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출구(123)로 이루어지는 통로일 수 있다.
상기 제1배수구(121)는 타이어(10)의 폭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V' 모양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타이어(10)가 회전해서 제1입구(122)가 지면과 가까워지면 제1입구(122)가 제1출구(123)보다 먼저 지면 위의 물과 만나게 된다.
상기 타이어(10)가 더 회전하면 제1입구(122)로 물이 유입된다.
상기 타이어(10)가 더 회전하면 제1입구(122)가 자동차의 하중에 의해 눌려서 폐쇄된다.
상기 타이어(10)가 더 회전하면 제1배수구(121)는 제1입구(122)에서 제1출구(123)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폐쇄된다.
상기 제1배수구(121)가 순차적으로 폐쇄되므로 제1입구(122)가 폐쇄되기 전에 유입된 물은 짜내듯이 제1출구(123)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1출구(123)는 제1입구(122)보다 회전중심에서 멀리 위치하므로, 제1배수구(121)에 물이 남아 있더라도 물은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타이어(10)가 더 회전해서 제1입구(122)가 최저점을 지난 후에는 제1입구(122)가 위에 위치하게 되고 제1출구(123)가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입구(122)가 제1출구(123)보다 위에 위치하게 되면 제1배수구(121) 내부에 물이 남아 있더라도 물은 중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입구(122)는 그루브(20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므로 타이어(10)가 회전해서 제1출구(123)가 지면과 가장 가까워지면 제1입구(122)가 위에 위치하게 되고 제1출구(123)가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제1배수구(121)는 제1입구(122)에서 제1출구(123)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즉, 제1입구(122)가 제1출구(123)보다 크게 형성되면 제1입구(122)로 더 많은 물을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트레드(120)는 이웃하는 제1배수구(121) 사이를 연결하도록 내측 트레드(120) 내부를 원주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챔버(1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24)는 내측 트레드(120)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제1배수구(121)를 모두 연결하는 링 형태의 통로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챔버(124)는 타이어(1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앞에 위치하는 제1배수구(121)의 하부와 뒤에 위치하는 제1배수구(121)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챔버(124)는 타이어(10)가 회전할 때 타이어(10)의 회전 중심에서 멀어지게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제1챔버(124)에 유입된 물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타이어(10)가 회전하여 제1입구(122)로 유입된 물의 대부분은 제1출구(123)로 배출되지만 일부는 제1챔버(124)를 통해서 상기 제1출구(123) 다음에 하강하는 제1출구(12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24)는 제1배수구(121)를 연결하여 더 많은 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2 내지 4을 참조하면, 상기 제2배수구(141)는 타이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 최외곽(횡방향 가장 바깥쪽) 그루브(200)의 측면 하부에 제2입구(142)가 형성되고, 타이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 최외곽(횡방향 가장 바깥쪽) 트레드(100)의 표면에 제2출구(1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구(141)는 최외곽 트레드(140)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구(141)는 제2출구(143)가 제2입구(142)보다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배수구(141)는 외측 트레드(100) 아래 형성되는 블럭을 기준으로 블록의 일측 측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1입구(122)에서 블록의 표면 후방에 형성되는 제2출구(143)로 이루어지는 통로일 수 있다.
상기 제2출구(143)는 숄더(shoulder)(3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출구(143)가 숄더(300)에 형성되는 경우 제2배수구(141)는 외측 트레드(100) 아래 형성되는 블럭을 기준으로 블록의 일측 측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1입구(122)에서 숄더(300)의 표면 후방에 형성되는 제2출구(143)로 이루어지는 통로일 수 있다.
상기 제2배수구(141)는 타이어(10)의 폭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V' 모양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타이어(10)가 회전해서 제2입구(142)가 지면과 가까워지면 제2입구(142)가 제2출구(143)보다 먼저 지면 위의 물과 만나게 된다.
상기 타이어(10)가 더 회전하면 제2입구(142)로 물이 유입된다.
상기 타이어(10)가 더 회전하면 제2입구(142)가 자동차의 하중에 의해 눌려서 폐쇄된다.
상기 타이어(10)가 더 회전하면 제2배수구(141)는 제2입구(142)에서 제2출구(143)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폐쇄된다.
상기 제2배수구(141)가 순차적으로 폐쇄되므로 제2입구(142)가 폐쇄되기 전에 유입된 물은 짜내듯이 제2출구(143)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2출구(143)는 제2입구(142)보다 회전중심에서 멀리 위치하므로, 제2배수구(141)에 물이 남아 있더라도 물은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타이어(10)가 더 회전해서 제2입구(142)가 최저점을 지난 후에는 제2입구(142)가 위에 위치하게 되고 제2출구(143)가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입구(142)가 제2출구(143)보다 위에 위치하게 되면 제2배수구(141) 내부에 물이 남아 있더라도 물은 중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입구(142)는 그루브(20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므로 타이어(10)가 회전해서 제2출구(143)가 지면과 가장 가까워지면 제2입구(142)가 위에 위치하게 되고 제1출구(123)가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제2배수구(141)는 제2입구(142)에서 제2출구(143)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즉, 제2입구(142)가 제2출구(143)보다 크게 형성되면 제2입구(142)로 더 많은 물을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최외곽 트레드(140)는 이웃하는 제2배수구(141) 사이를 연결하도록 최외곽 트레드(140) 내부를 원주방향으로 관통하여 제2챔버(1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144)는 최외곽 트레드(140)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제2배수구(141)를 모두 연결하는 링 형태의 통로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챔버(144)는 타이어(1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앞에 위치하는 제2배수구(141)의 하부와 뒤에 위치하는 제2배수구(141)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챔버(144)는 타이어(10)가 회전할 때 타이어(10)의 회전 중심에서 멀어지게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제2챔버(144)에 유입된 물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타이어(10)가 회전하여 제2입구(142)로 유입된 물의 대부분은 제2출구(143)로 배출되지만 일부는 제2챔버(144)를 통해서 상기 제2출구(143) 다음에 하강하는 제2출구(14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144)는 제2배수구(141)를 연결하여 더 많은 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타이어
100: 트레드
110: 블록
120: 내측 트레드
121: 제1배수구
122: 제1입구
123: 제1출구
124: 제1챔버
140: 최외곽 트레드
141: 제2배수구
142: 제2입구
143: 제2출구
144: 제2챔버
150: 패턴
200: 그루브
300: 숄더
400: 사이드월

Claims (10)

  1. 트레드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내측 트레드 양쪽에 형성된 그루브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내측 트레드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V' 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배수구;
    상기 타이어 양쪽의 최외곽 트레드와 최외곽 그루브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최외곽 트레드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V' 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배수구; 및
    상기 내측 트레드는 상기 제1배수구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내측 트레드 내부를 원주방향으로 관통하여 링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챔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배수구는 상기 내측 트레드의 일측에 형성된 그루브의 측면 하부에 제1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트레드의 타측에 형성된 그루브의 측면 상부에서 상기 제1입구보다 후방에 제1출구가 형성되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가 세미 슬릭 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제1배수구는 제1입구에서 제1출구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구는 상기 최외곽 그루브의 측면 하부에 제2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최외곽 트레드의 표면에 제2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구는 제2출구가 제2입구보다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
  9. 제8항에 있어서,
    제2배수구는 제2입구에서 제2출구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곽 트레드는 상기 제2배수구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최외곽 트레드 내부를 원주방향으로 관통하여 제2챔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




KR1020190177006A 2019-12-27 2019-12-27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 KR102285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006A KR102285009B1 (ko) 2019-12-27 2019-12-27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006A KR102285009B1 (ko) 2019-12-27 2019-12-27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075A KR20210084075A (ko) 2021-07-07
KR102285009B1 true KR102285009B1 (ko) 2021-08-03

Family

ID=7686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006A KR102285009B1 (ko) 2019-12-27 2019-12-27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590B1 (ko) * 2022-04-05 2024-03-25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에어 포켓을 구비한 타이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986A (ko) * 2003-06-25 2005-01-0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노이즈성능을 향상시킨 공기입 타이어와 가류금형
KR20110070116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횡그루브 개량 공기입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075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0941B2 (ja) トラック用タイヤトレッド及びトラック用タイヤ
JP4580387B2 (ja) 空気入りタイヤ
EP1918131B1 (en) Pneumatic tire for bicycle
US5885384A (en) Pneumatic tire including main slant grooves and auxiliary grooves
JP4783143B2 (ja) アンダーカット構造を持つトレッドブロックを有するタイヤトレッド
EP3031625B1 (en) Tread for a pneumatic tire
US20080149237A1 (en) Pneumatic tire
US20100059156A1 (en) Pneumatic tire
US7527082B2 (en) Pneumatic tire with outermost circumferential grooves having zigzag bottoms
US5337815A (en) Pneumatic tire having improved wet traction
JP4744800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6573506A (zh) 充气轮胎
JP5330865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080149236A1 (en) Pneumatic tire
JP4369001B2 (ja) 方向性パターンを有する空気入りタイヤ
CN110509724A (zh) 轮胎
JP2016222207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475756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3980403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285009B1 (ko) 저소음 트레드 타이어
JP4754517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5698622B2 (ja) タイヤ
CN108482019B (zh) 一种高排水性的花纹轮胎
JP657199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H0332906A (ja) 非対称トレッドを備えた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