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095B1 -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 및 그의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 및 그의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095B1
KR100912095B1 KR1020070117251A KR20070117251A KR100912095B1 KR 100912095 B1 KR100912095 B1 KR 100912095B1 KR 1020070117251 A KR1020070117251 A KR 1020070117251A KR 20070117251 A KR20070117251 A KR 20070117251A KR 100912095 B1 KR100912095 B1 KR 100912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filter
hollow fiber
fiber membrane
lithium
ion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5625A (ko
Inventor
정강섭
이재천
서용재
길대섭
이환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80045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4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ionic interaction
    • B01D15/361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B01D69/147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containing embedded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2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1Oxides or hydr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12Adsorbents being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s or in the 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42Ion-exchange membr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넬 구조를 갖는 리튬 망간 산화물인 전구체 분말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 분말을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충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구체 분말이 충진된 중공사막 필터를 산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스피넬 구조를 갖는 이온 교환형 망간 산화물이 충진되어 이루어진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는 취급이 용이하며,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이 높을 뿐 아니라, 리튬에 대한 선택적인 흡착 효율이 우수하여, 리튬 회수에 효과적인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중공사막 필터,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흡착제, 이온 교환형

Description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 및 그의 제조 방법{ION-EXCHANGE TYPE LITHIUM ADSORBENT USING UF MEMBRANE FILT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이온 교환형의 리튬 망간 산화물 분말을 충진시키고 산처리함으로써, 리튬이 용존되어 있는 수용액으로부터 리튬만을 선택적으로 흡착하여 회수할 수 있는 흡착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중공사막을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에 관한 것이다.
리튬 및 리튬 화합물들은 현재 2차 전지 재료, 냉매 흡착제, 촉매, 의약품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으며, 핵융합 에너지 자원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중요한 자원 중의 하나이다. 또한, 실용화를 앞두고 있는 대용량 전지, 전기 자동차 등의 기술분야에서도 리튬 및 리튬 화합물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원이다.
이처럼 리튬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지만, 리튬 육상 자원의 세계 매장량이 200~900만 톤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러한 매장량 제한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로로 리튬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에 대하여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그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현재 해수, 간수, 리튬 배터리 폐액 등의 수용액 중에 미량으로 녹아있는 리튬을 효과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리튬 회수 방법으로는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해 리튬 이온을 환원시키거나 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늄 금속으로 리튬 산화물을 환원시키는 것 등이 알려져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리튬 이온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리튬 흡착제를 이용하는 이러한 연구들의 주된 관심은 리튬 이온에 대한 높은 선택성과 흡착/탈착 성능이 우수한 고성능 흡착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그러한 연구들의 결실로서 망간 산화물을 재료로 하여 고상 반응법 또는 겔 공법으로 리튬의 흡/탈착이 용이한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그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은 리튬 2차 전지용 양극 재료, 리튬 흡착제의 재료 등으로 이용되어왔다. 그러나 분말 상태의 리튬 흡착제를 사용하는 것은 취급상 불편이 따르기 때문에 이를 성형하여 이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3-950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분말을 알루미나 파우더와 혼합한 후, PVC와 같은 공극 형성제를 사용하여 상기 분말 및 알루미나 파우더의 혼합물을 덩어리지게 함으로써 구슬 형태로 흡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응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PVC 첨가법을 이용하여 구슬 형태로 흡착제를 제조할 경우에는, 취급은 용이한 반면, 리튬의 흡/탈착을 위한 흡착 자리가 분말 흡착제에 비해 약 30% 이상 저하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기 때문에, 리튬 흡착제로서 사용 시에 리튬 회수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우레탄 발포제를 이용한 흡착제와 허니컴 형태의 흡착제에 관한 발명을 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으며(특허등록 제10-0557824호 및 제10-0536957호), 이에 의하면, 분말 상태의 리튬 흡착제의 단점을 극복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리튬 이온만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리튬 흡착 성능이 우수한 리튬 흡착제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흡착제에 의하더라도 낮은 수준이기는 하지만 분말 상태의 흡착제에 비하여 흡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분말 상태의 리튬 흡착제에 비하여 흡착 효율이 저하되지 않으며 선택적으로 리튬 이온만을 우수한 성능으로 흡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흡착 후 리튬의 회수를 위한 탈착 과정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리튬 흡착제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리튬 이온만을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흡착 성능이 우수하여 효율적으로 리튬을 흡착 및 회수할 수 있는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리튬 흡착 성능, 안정성 및 취급 용이성을 가지는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피넬 구조를 갖는 리튬 망간 산화물인 전구체 분말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 분말을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충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구체 분말이 충진된 중공사막 필터를 산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넬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1
LinMn2 - xO4
(식중, 1≤n≤1.33, 0≤x≤0.33, n≤1+x 임)
의 전구체 분말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 분말을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충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구체 분말이 충진된 중공사막 필터를 산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스피넬 구조를 갖는 이온 교환형 망간 산화물이 충진되어 이루어진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스피넬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1a
HnMn2 - xO4
(식 중, 1≤n≤1.33, 0≤x≤0.33, n≤1+x 임)
의 이온 교환형 망간 산화물이 충진되어 이루어진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흡착제는 전구체인 이온 교환형 리튬 망간 산화물 분말을 용매투과도, 기계적 강도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충진한 후, 산처리하여 이온체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으로, 취급이 용이할 뿐 아니라, 기존의 성형된 흡착제에 비해 탁월한 흡착 반응 자리를 제공하여 우수한 효율로 리튬 이온만을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으며, 흡착된 리튬 이온의 회수를 위한 탈착 과정도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중공사막 필터 형태의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는 다양한 환경의 수용액 상에서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리튬 이온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나타내므로, 해수, 간수, 리튬 배터리 폐액 등의 리튬이 용존되어 있는 수용액으로부터 리튬만을 선택적으로 흡착하여 분리, 회수하는데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리튬 흡착제는 다양한 조건 및 환경의 수용액 상에서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유지하여야 하며, 높은 흡착 효율을 보장할 수 있는 흡착 자리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리튬 이온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유지하여 리튬 이외의 원소를 흡착하지 않아야 하며, 흡착 후 리튬의 회수를 위한 탈착 과정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종래 스피넬 구조를 갖는 리튬 망간 산화물을 전구체로 하여 이를 산처리함으로써 화합물 내의 리튬 이온을 위상 용출시켜 수득된 결과물인 망간 산화물계 화합물이 대상 용액 내에서 리튬 이온에 대한 탁월한 선택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리튬 흡착제의 전구체로서 이용되는 스피넬 구조의 리튬 망간 산화물을 필터 내부에 충진하여 산처리함으로써, 분말 상태의 흡착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율적으로 리튬을 흡착 및 회수할 수 있는 리튬 흡착제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가능한 리튬 망간 산화물은 스피넬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온 교환에 의하여 리튬 흡착제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리튬 흡착제에 있어서 요구되는 필수적 특성을 고려하여, 리튬 이온에 대한 선택적 흡착 성능을 갖는 전구체로 알려진 스피넬 구조의 리튬 망간 산화물 중에서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스피넬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LinMn2 - xO4
(식중, 1≤n≤1.33, 0≤x≤0.33, n≤1+x 임)
의 리튬 망간 산화물 분말을 전구체로 이용한다.
이러한 화학식 1의 리튬 망간 산화물 분말은 높은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며, 이온체로 형성할 경우 리튬 이온에 대한 선택적 흡착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리튬 흡착제의 전구체로서 본 발명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1의 리튬 망간 산화물 중에서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하기 화학식 2
Li1 .33Mn1 .67O4
의 리튬 망간 산화물을 이온 교환형 전구체 분말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2의 이온 교환형 전구체 분말은 리튬 흡착제로 이용할 경우 리튬 흡착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취급이 용이할 뿐 아니라 흡착 후 리튬 이온의 회수를 위한 탈착과정도 용이한 특성을 갖는다.
상기 화학식 2의 이온 교환형 전구체 분말은 하기 반응식 1
(Li)[Li0 .33Mn(Ⅳ)1.67]O4 ↔ (H)[H0 .33Mn(Ⅳ)1.67]O4
(식 중, ( )는 스피넬 구조 내에서의 8a 사면체 자리를 나타내고, [ ]는 스피넬 구조에서 16d 팔면체 자리를 나타냄)
과 같이 이온 교환 방식으로 리튬을 흡/탈착할 수 있어, 본 발명에 의한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에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이온 교환형 리튬 망간 산화물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3
Li1.6Mn1.6O4
의 리튬 망간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의 리튬 망간 산화물은 리튬 이온에 대하여 선택적인 흡착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온 교환형의 전구체 분말은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상 반응법 또는 겔 공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고상 반응법은 예를 들어, 리튬 화합물과 망간 화합물을 혼합한 후 고온에서 열처리함으로써 리튬 망간 산화물 분말을 형성하는 것으로, 고온고상반응법으로도 불린다. 겔 공법은 예를 들어, 리튬 화합물과 망간 화합물을 적절한 용매에서 혼합한 후, 타르타르산 용액 또는 시트르산 용액 등을 가하여 겔화시킨 후, 건조함으로써 리튬 망간 산화물 분말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이온 교환형 리튬 망간 산화물 전구체 분말의 제조방법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원하는 물성이나 제조 조건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이온 교환형의 전구체 분말을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충진시킨 후, 전구체 분말이 충진된 중공사막 필터를 산처리하여 이온체를 형성함으로써 흡착제를 제조한다.
중공사막은 분리막의 하나로 폐수처리, 용수제조를 포함하는 수처리, 식품과 제약부문에서의 농축, 공기 중에서의 산소와 질소의 분리, 암모니아의 회수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공사막은 특히 다른 분리막에 비하여 표면적이 커서 작은 용적으로도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공사막은 고분자 플라스틱 소재를 원료로 하여 고분자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원료로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술폰, 술폰화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나이트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또는 그 혼합물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중공사막 필터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중공사 수천다발을 실타래처럼 엮어 다발형으로 접속하여 구성된 중공사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막 표면의 기공 크기가 0.001~0.01 마이크론 정도이며, 정수기 필터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중공사막 필터는 기존에 분리막으로 이용되는 것이면 제한 없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중공사막 필터는 전술한 전구체 분말을 적용시키는 대상 용매에 대하여 물리적 및 화학적 내구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그 내부에 충진된 전구체 분말이 외부의 용매로 유실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용매투과도가 우수하여 필터 내부로의 용매의 출입이 용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의 기공 크기는 충진되는 이온 교환형 리튬 망간 산화물 전구체 분말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분말 유실의 우려가 없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전구체 분말의 입자 크기는 일반적으로 10㎛ 정도이므로, 이러한 충진될 입자의 크기보다 작은 기공을 갖는 일반적인 중공사막 필터는 본 발명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용매/용질 분리에 이용되는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전술한 전구체 분말을 충진시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구체 분말의 충진 비율은 겉보기 밀도 비율 내에서 조절될 수 있으며, 충진 비율이 높을수록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의 흡착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이온 교환형 전구체 분말을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충진시킨 후, 산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이온 교환형 전구체 분말이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중공사막 필터를 상기와 같이 산처리하면, 상기 반응식 1과 같은 반응에 의해 리튬 이온이 수소 이온으로 교환되어, 이온체(ion sieve)와 같은 원리로 대상 용액 중에 녹아 있는 리튬 이온만을 선택적으로 흡/탈착하여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리튬 흡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산처리에 의하여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충진된 상기 화학식 1 내지 3의 이온 교환형 리튬 망간 산화물 전구체는 각각 각각 화학식 1a의 이온 교환형 망간 산화물(HnMn2-xO4, 식 중, 1≤n≤1.33, 0≤x≤0.33, n≤1+x 임), 화학식 2a의 이온 교환형 망간 산화물(H1.33Mn1.67O4) 및 화학식 3a의 이온 교환형 망간 산화물(H1.6Mn1.6O4)의 형태로 변화하게 되며, 이온체로 작용하여 이온 교환 방식으로 리튬 이온을 흡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산처리는 0.3~1.0M의 산성 용액에서 1회당 22~26시간씩 3~5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처리에 이용될 수 있는 산성 용액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염산 용액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이온 교환 반응 시에 리튬 이온과 수소 이온의 보다 효과적인 가역 반응을 위한 리튬홀(lithium hole)의 생성을 최대화하고, 망간 이온의 용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산처리 단계에서 0.5M의 염산 용액을 이용하여, 1회당 24시간씩 4회 산처리를 행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는 용매투과도, 기계적 강도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고분자 다공성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이온 교환형 전구체 분말을 충진하고 산처리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도 안정하며, 취급이 용이할 뿐 아니라 우수한 리튬 흡착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는 분말 상태 흡착제의 단점을 극복하면서도 흡착 자리의 저하를 제거 또는 최소화할 수 있어 리튬 이온에 대한 선택적인 흡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LiCO3 및 MnCO3를 몰비 1.33 : 1.67로 각각 교반기에 넣고 20분간 충분히 교반하여 혼합한 후, 전기로 내에서 500℃로 4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Li1 .33Mn1 .67O4 전구체 분말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전구체 분말 1g을 취하여 필터의 내경 2mm, 길이 50mm의 중공사막 필터에 넣은 후 0.5M 농도의 염산 용액에서 1회당 24시간씩 4회 산처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먼저, CH3COOLi 및 Mn(CH3COO)2·4H2O를 각각 에탄올에 용해시켜 준비하였다. 이 에탄올에 용해시킨 CH3COOLi와 Mn(CH3COO)2·4H2O를 몰비 1.33:1.67로 각각 취하여 혼합한 후 강력하게 교반하였다. 여기에 에탄올에 용해시킨 0.1M의 타르타르산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겔화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나노 크기로 응결된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침전물을 70℃의 오븐에 넣고 서서히 가열하여 건조하였다. 에탄올 성분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건조하여 엷은 분홍색의 리튬 망간 타르타르산염(lithium manganese tartrate) 전구체를 수득하였다. 이를 200℃에서 6시간 동안 재가열하여 잔존하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후, 500℃에서 24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나노 크기의 Li1 .33Mn1 .67O4 전구체 분말을 합성하였다.
이와 같이 합성된 전구체 분말 1g을 취하여 필터의 내경 2mm, 길이 50mm의 중공사막 필터에 넣은 후 0.5M 농도의 염산 용액에서 1회당 24시간씩 4회 산처리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를 전자주사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한 사진을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수득한 최종 결과물은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이온 교환형 망간 산화물이 충진되어 이루어진 흡착제로서 그 흡착 반응 자리가 극대화됨으로써 분말 흡착제에 비해 흡착 효율이 전혀 저하되지 않은 매우 우수한 흡착제가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좀더 명확히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의 흡착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와 분말상태의 리튬 흡착제의 흡착 효율을 비교하였다. 인공해수 시료(Na 1.07x104 mg/ℓ, Mg 1.3x103 mg/ℓ, K 0.4x103 mg/ℓ, Ca 0.4x103 mg/ℓ, Cl 1.68x104 mg/ℓ 및 Li 0.2 mg/ℓ)에서 리튬에 대한 평형흡착량을 비교한 결과, 분말상태인 경우의 흡착능은 흡착제 1g 당 리튬 28.3㎎인 반면에,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경우의 흡착능은 흡 착제 1g 당 리튬 28.1㎎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흡착능 측정 결과로부터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는 분말상태의 높은 흡착능을 그대로 발휘하면서도, 취급이 용이할 뿐 아니라,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도 높기 때문에 리튬에 대한 효과적인 흡착제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서 수득한,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의 전자주사현미경 사진.

Claims (14)

  1. 스피넬 구조를 갖는 리튬 망간 산화물인 전구체 분말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 분말을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충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구체 분말이 충진된 중공사막 필터를 산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의 제조방법.
  2. 스피넬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LinMn2 - xO4
    (식중, 1≤n≤1.33, 0≤x≤0.33, n≤1+x 임)의 전구체 분말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 분말을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충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구체 분말이 충진된 중공사막 필터를 산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전구체 분말은 스피넬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2]
    Li1 .33Mn1 .67O4
    의 리튬 망간 산화물인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 분말은 스피넬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3
    [화학식 3]
    Li1 .6Mn1 .6O4
    의 리튬 망간 산화물인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처리는 0.3~1.0M의 산성 용액에서 행하는 것인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처리는 0.3~1.0M의 산성 용액에서 1회당 22~24시간씩 3~5회 행하는 것인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처리는 0.5M의 염산 용액에서 1회당 24시간씩 4회 행하는 것인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의 제조방법.
  8.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스피넬 구조를 갖는 이온 교환형 망간 산화물이 충진되어 이루어진,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
  9. 중공사막 필터 내부에 스피넬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1a
    [화학식 1a]
    HnMn2 - xO4
    (식 중, 1≤n≤1.33, 0≤x≤0.33, n≤1+x 임)
    의 이온 교환형 망간 산화물이 충진되어 이루어진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a의 망간 산화물은 스피넬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2a
    [화학식 2a]
    H1 .33Mn1 .67O4
    의 이온 교환형 망간 산화물인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망간 산화물은 스피넬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3a
    [화학식 3a]
    H1 .6Mn1 .6O4
    의 이온 교환형 망간 산화물인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a의 이온 교환형 망간 산화물은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LinMn2 - xO4
    (식중, 1≤n≤1.33, 0≤x≤0.33, n≤1+x 임)
    의 리튬 망간 산화물 전구체를 산처리하여 얻어지는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a의 이온 교환형 망간 산화물은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2]
    Li1 .33Mn1 .67O4
    의 리튬 망간 산화물 전구체를 산처리하여 얻어지는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a의 이온 교환형 망간 산화물은 하기 화학식 3
    [화학식 3]
    Li1 .6Mn1 .6O4
    의 리튬 망간 산화물 전구체를 산처리하여 얻어지는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
KR1020070117251A 2006-11-20 2007-11-16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 및 그의제조 방법 KR100912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344 2006-11-20
KR20060114344 2006-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625A KR20080045625A (ko) 2008-05-23
KR100912095B1 true KR100912095B1 (ko) 2009-08-13

Family

ID=39662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251A KR100912095B1 (ko) 2006-11-20 2007-11-16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 및 그의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697B1 (ko) * 2017-12-26 2021-06-15 주식회사 포스코 리튬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흡착 장치
KR102353729B1 (ko) * 2019-12-12 2022-01-19 주식회사 포스코 리튬 흡착 성형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흡착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43A (ja) * 1989-06-02 1991-01-1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リチウム吸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回収方法
US6207129B1 (en) 1998-05-21 2001-03-27 Carus Corporation Lithiated manganese oxide
JP2005149885A (ja) 2003-11-14 2005-06-09 Tatung Co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正極材料の製造方法
KR100536957B1 (ko) 2003-11-10 2005-12-1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허니컴 형태의 이온 교환형 리튬-망간산화물 흡착제 및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43A (ja) * 1989-06-02 1991-01-1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リチウム吸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回収方法
US6207129B1 (en) 1998-05-21 2001-03-27 Carus Corporation Lithiated manganese oxide
KR100536957B1 (ko) 2003-11-10 2005-12-1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허니컴 형태의 이온 교환형 리튬-망간산화물 흡착제 및그의 제조 방법
JP2005149885A (ja) 2003-11-14 2005-06-09 Tatung Co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正極材料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625A (ko) 2008-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271B1 (ko) 스피넬형 구조를 갖는 다공성 망간산화물계 리튬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
Han et al. Millimeter-sized spherical ion-sieve foams with hierarchical pore structure for recovery of lithium from seawater
US20080119350A1 (en) Ion exchange type lithium adsorbent using filt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9012357B2 (en) Lithium extract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JP2012504190A (ja) 分離膜貯留層を用いるリチウム回収装置、これを用いるリチウム回収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リチウム吸脱着システム
CN108328706A (zh) 一种mof衍生多孔碳/石墨烯复合电极材料的制备及应用
CN101152962A (zh) 层状介孔水钠锰矿型二氧化锰蜂窝状纳米球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40118748A (ko) 망간산화 흡착분말이 고정화된 복합 나노파이버 리튬 흡착막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복합 나노파이버 리튬 흡착막
Pal et al. Morphology-mediated tailoring of the performance of porous nanostructured Mn 2 O 3 as an anode material
Wei et al. Ferrocene-based hyperbranched polymers: a synthetic strategy for shape control and applications as electroactive materials and precursor-derived magnetic ceramics
EP4031277A1 (en) Covalent-organic framework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KR101910403B1 (ko) Hto 리튬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회수 방법
KR100536957B1 (ko) 허니컴 형태의 이온 교환형 리튬-망간산화물 흡착제 및그의 제조 방법
WO2014183169A1 (en) Method for producing hollow structures
KR100972140B1 (ko) 가수분해 및 용매교환법에 의한 리튬 망간 산화물의제조방법 및 상기 리튬 망간 산화물을 이용한 이온교환형리튬 흡착제 제조 방법
KR100912095B1 (ko)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 및 그의제조 방법
US20030231996A1 (en) Method for adsorbing lithium ions from a lithium-containing aqueous solution by a granular adsorbent
KR100557824B1 (ko) 우레탄 발포제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망간산화물흡착제 및 그의 제조 방법
JP3706842B2 (ja) 吸着剤によるリチウム含有水溶液からのリチウムイオンの吸着方法
KR100896054B1 (ko)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이온 교환형 리튬 흡착제 및 그의제조 방법
WO2017081857A1 (ja) 吸着材担持体
CN115254072B (zh) 用于阴离子吸附剂的造粒剂及制备方法、阴离子吸附剂
KR20170142661A (ko) 리튬흡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48551B1 (ko) 다공성 구조물을 이용한 이온 교환형 망간 산화물 리튬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646474A (zh) 一种锰钛基复合锂离子筛及其制备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