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684B1 -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 Google Patents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684B1
KR100911684B1 KR1020050104660A KR20050104660A KR100911684B1 KR 100911684 B1 KR100911684 B1 KR 100911684B1 KR 1020050104660 A KR1020050104660 A KR 1020050104660A KR 20050104660 A KR20050104660 A KR 20050104660A KR 100911684 B1 KR100911684 B1 KR 100911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battery pack
groove
spring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859A (ko
Inventor
허만철
조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50104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684B1/ko
Publication of KR2007004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팩의 상단면과 양측면을 감싸는 상단부와 양측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구조의 제 1 소켓; 상기와 같은 상단부 및 양측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소켓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 2 소켓; 상기 제 1 소켓과 제 2 소켓 사이의 한쪽 측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 1 스프링; 상기 제 1 소켓과 제 2 소켓 사이의 상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 2 스프링; 상기 제 2 소켓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스프링이 위치하는 제 1 소켓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을 통해 전지팩의 상단 체결홈에 가변식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제 1 스프링의 위치에 대향하는 제 1 소켓과 제 2 소켓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변식 체결부재가 전지팩의 홈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제 1 소켓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휴대폰에 대한 전지팩의 장착시에는 상기 전지팩을 제 1 소켓에 밀어넣어 장착할 수 있고, 분리시에는 전지팩을 한번 가압하는 과정에 의해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전지팩 착탈장치와,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Member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Battery in Inserting Manner and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락커형 장착방식으로 외장형 전지팩을 장착한 휴대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장치와 전지팩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착탈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착탈장치에 전지팩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가변식 체결부재 부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a는 도 2의 착탈장치에서 위치변환 홈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b는 그것의 홈 깊이가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장착부위가 특정한 구조의 2 개의 소켓, 2 개의 스프링, 가변식 체결부재 및 위치 조절부로 이루어져 있어서, 배터리를 삽입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고,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를 한번 누르는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이 장착되어 있는 휴대폰을 제공한다.
최근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은 모바일 기기의 수요 증가를 유발하고 있으며, 그 중 휴대폰은 가장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 중의 하나이다. 그러한 휴대폰의 전원으로는 이차전지, 특히,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을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고 탄소계 물질을 음극 활물질로서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가 보편화되어 있다.
휴대폰은 가능하면 휴대가 용이할 수 있도록 작은 크기와 중량을 갖는 것이 요구되므로, 주로 각형 또는 파우치형 전지 등과 같은 판상형 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지는 팩의 형태에 따라 크게 외장형 팩(hard pack)과 내장형 팩(inner pack)으로 구분된다. 외장형 전지팩은 하기 휴대폰의 외형과 동일한 구조의 팩 케이스에 전지셀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로서, 휴대폰에의 장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지만, 휴대폰의 구조 변화시 호환성을 가지지 못하며, 제조비가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내장형 전지팩은 소정의 규격으로 일률적으로 제조되므로 휴대폰에의 장착시 덮개 등을 사용해야 하는 등 번거로운 단점을 가지지만, 호환성이 높고 제조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최근에는 내장형 전지팩으로의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는 외장형 전지팩은 도 1에서와 같이, 휴대폰 본체(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지 장착부(20)에 전지(30)를 삽입하여 누르면, 장착부(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락커(40)가 잠기면서 장착이 이루어진다. 반면에, 전지(30)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락커(40)를 상단 방향으로 밀고, 양측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50)에 손톱을 끼워 잡아 당기면 분리가 일어난다. 따라서, 장착과정은 간단하지만 분리과정은 다소 번잡하다.
그러나, 내장형 전지팩의 경우, 별도의 덮개를 사용하므로 장착 및 분리 과정이 상기 외장형 전지팩에 비해 훨씬 복잡하므로, 이는 아직까지 보편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주요 장애요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목적은 내장형 전지팩을 외장형 전지팩처럼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는 삽입식 구조의 착탈장치와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을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한번의 삽입 동작에 의해 전지의 장착이 완료될 수 있고, 또한 재차 누르는 동작에 의해 휴대폰으로부터 전지를 분리할 수 있어서, 종래의 외장형 전지팩에 비해서도 장착 및 분리과정이 더욱 용이한 착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 착탈장치는,
전지팩의 상단면과 양측면을 감싸는 상단부와 양측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구조의 제 1 소켓;
상기와 같은 상단부 및 양측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소켓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 2 소켓;
상기 제 1 소켓과 제 2 소켓 사이의 한쪽 측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 1 스프링;
상기 제 1 소켓과 제 2 소켓 사이의 상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 2 스프링;
상기 제 2 소켓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스프링이 위치하는 제 1 소켓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을 통해 전지팩의 상단 체결홈에 가변식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제 1 스프링의 위치에 대향하는 제 1 소켓과 제 2 소켓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변식 체결부재가 전지팩의 홈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제 1 소켓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위치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휴대폰에 대한 전지팩의 장착시에는 상기 전지팩을 제 1 소켓에 밀어넣어 장착할 수 있고, 분리시에는 전지팩을 한번 가압하는 과정에 의해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착탈장치는 휴대폰용 전지팩의 삽입과 분리가 매우 용이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착탈장치는 특히 내장형 전지팩을 사용하는 휴대폰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장치의 상기 부재들은, 바람직하게는, 전지팩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일면, 즉, 제 1 소켓의 하단면이 개봉되어 있는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다.
제 1 소켓과 제 2 소켓은 이들의 하단부가 개방된 프레임 형태로서 전체적으로 대략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 2 소켓은, 제 1 소켓이 그것의 안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위치 조절부의 작용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움직이고, 제 1 스프링 및 제 2 스프링이 상부 및 측부 사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제 1 소켓보다 큰 크기를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소켓의 프레임 높이는 제 2 소켓의 프레임 높이보다 작아서, 전지팩의 장착 및 분리과정에서 제 1 소켓은 제 2 소켓의 내부공간에서 움직일 수 있다.
전지팩이 상기 착탈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지팩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 입출력 단자들이 해당 디바이스의 접속부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 1 소켓과 제 2 소켓에는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스프링은 위치 조절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소켓과 제 2 소켓 사이가 밀착될 수 있도록 제 1 소켓을 제 2 소켓의 측부쪽으로 탄력적으로 미는 작용을 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 1 스프링은 좁은 틈에서 탄력적인 힘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제 2 스프링은 전지팩을 제 1 소켓에 장착 또는 그것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제 2 소켓에 대해 제 1 소켓을 탄력적으로 미는 작용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작용과 함께 제 2 소켓에 대한 제 1 소켓의 안정적인 전후 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제 1 소켓의 상단에는 가이드 바가 돌출되어 있고 제 2 소켓에는 상기 가이드 바에 대응한 위치에 가이드 구가 천공되어 있으며, 제 2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으로서 상기 가이드 바에 끼워져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구의 상하 길이는 전지팩의 장착 및 분리과정에서 제 2 소켓에 대해 제 1 소켓이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 바의 외경보다 큰 크기를 가진다.
상기 가변식 체결부재는 전지팩의 장착과정에서 전지팩에 체결되어 이를 제 1 소켓 내부에 고정하는 작용을 하고 분리과정에서는 그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가변적인 체결 작용을 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제 1 소켓에는 축돌기가 돌출되어 있고, 가변식 체결부재는 그것의 중앙이 상기 축돌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 단부는 제 2 소켓에 가변적으로 고정되고 타측 단부에는 전지팩 방향으로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위치 조절부는 전지팩의 장착 및 분리과정에서 제 2 소켓에 대한 제 1 소켓의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의 위치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전지팩의 상단 체결홈에 대한 상기 가변식 체결부재의 결합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조절부는 제 1 소켓의 측부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와 제 2 소켓의 대응 측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변환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 1 소켓의 돌기가 제 2 소켓의 위치변환 홈을 따라 움직이면서 상 기와 같은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해 진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위치변환 홈은 전지팩의 장착시 상기 돌기가 완만하게 상향 이동할 수 있도록 위쪽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가장 깊은 제 1 홈과, 상기 제 1 홈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깊이 줄어들어 전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내지 4 홈, 상기 제 4 홈으로부터 후방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고 깊이가 증가하는 제 5 홈, 및 전지팩의 분리시 전지팩을 가압하였을 때 상기 돌기가 완만하게 하향 전진할 수 있도록 전방 방향으로 형성된 후 제 1 홈까지 후면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 5 홈 보다 깊지만 제 1 홈 보다 낮은 깊이의 제 6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전지팩의 장착을 위해 전지팩의 하단을 가압하면, 제 1 홈에 위치해 있던 상기 돌기는 제 2 홈, 제 3 홈 및 제 4 홈을 따라 전진한 후 제 5 홈으로 후진하여 안착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제 1 소켓은 제 2 소켓에 대해 완만한 상향 전진 운동 후 하향 후진 운동을 하게 된다. 반면에, 전지팩의 분리를 위해 전지팩의 하단을 재차 가압하면, 제 5 홈에 위치해 있던 상기 돌기는 제 6 홈을 따라 하향 전진한 후 계속적으로 후진하여 제 1 홈에 안착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제 1 소켓은 제 2 소켓에 대해 완만한 하향 전진 운동 후 상향 후진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소켓에 대해 제 1 소켓이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가변식 체결부재가 전지팩의 상단 체결홈에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착탈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휴대폰을 제공한다. 휴대폰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잘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 생략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착탈장치는 그것의 제 1 소켓의 하단이 휴대폰의 아래쪽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착탈장치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장치와 전지팩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의 착탈장치는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착탈장치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착탈장치(100)는 제 1 소켓(110), 제 2 소켓(120), 한 쌍의 판 스프링(130, 132), 압축 스프링(140), 가변식 체결부재(150), 위치변환 홈(1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소켓(110)은 전지팩(200)의 상단면과 양측면을 감싸는 상단부와 양측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단부에는 전지팩(2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 입출력 단자들(210)이 노출될 수 있는 개구들(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의 중앙에는 압축 스프링(140)이 장착될 수 있는 가이드 바(114)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단부의 좌측에는 가변식 체결부재(150)가 장착될 수 있는 축돌기(116)가 형성되어 있고, 좌측부의 상단은 가변식 체결부재(150)가 움직일 수 있도록 단차 형태의 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우측부의 외면에는 제 2 소켓(120)의 위치변환 홈(160)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118)가 돌출되어 있다.
제 2 소켓(120)은 제 1 소켓(110)과 대략 유사한 구조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보다 길이와 높이가 크다. 제 2 소켓(120)의 상단부에는 제 1 소켓(110)과 마찬가지로 외부 입출력 단자(210)의 노출을 위한 개구들(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 중앙에는 가이드 구(124)가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단부 좌측에는 가변식 체결부재(150)의 일측 단부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130, 132)은 그것의 단부가 제 2 소켓(120)의 좌측부에 결합된 상태로 제 1 소켓(110)과 제 2 소켓(120) 사이의 공간에 장착되어, 제 1 소켓(110)을 반대편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미는 작용을 한다.
압축 스프링(140)은 가이드 바(114)에 삽입된 상태로 제 1 소켓(110)과 제 2 소켓의 사이의 상단 공간에 장착되어, 제 1 소켓(110)을 하단부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미는 작용을 한다.
가변식 체결부재(150)는 그것의 중앙부가 제 1 소켓(110)의 축돌기(116)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4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 단부가 제 2 소켓(120)의 고정 홈(126)에 끼워져 있고, 타측 단부는 후크(152) 구조로 되어 있어서, 전지팩(200)의 상단 체결홈(220)에 가변적으로 체결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소켓(120)의 우측부 내면에는 위치변환 홈(16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2의 착탈장치에 전지팩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가변식 체결부재 부위의 부분 확대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앞서의 설명과 같이, 제 1 소켓(110)에 결합된 가변식 체결부재(150)는 그것의 일측 단부가 제 2 소켓(120)의 고정 홈(126)에 끼워져 있고, 타측 단부는 후크(152) 구조로 되어 있다. 고정 홈(126)은 제 1 소켓(110)에 장착된 체결부재(150)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그에 상응하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재(150)의 후크(152)는 하향 테이퍼 구조로 되어 있어서, 제 1 소켓에 대해 전지팩(200)을 밀어 넣으면, 전지팩(200)의 상단 체결홈(220)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지만,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하지 않고는 그것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도 5a에는 도 2의 착탈장치에서 위치변환 홈의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그것의 홈 깊이가 그래프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위치변환 홈(160)은 깊이를 달리하는 6 개의 홈들(A, B, C, D, E, F)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홈(A)은 깊이가 가장 깊으며, 일련의 홈들 중에서 가장 후미쪽에 위치한다. 전지팩이 제 1 소켓에 미장착된 상태에서 돌기(도 3: 118)는 제 1 홈(A) 상에 위치한다.
완만하게 상향되면서 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홈(A)은 제 2 홈(B), 제 3 홈(C) 및 제 4 홈(D)으로 연속된다. 이들 홈들(B, C, D)은 순차적으로 아래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홈(B)은 완만하게 깊이가 줄어들어 제 3 홈(C)에서 가장 깊이가 낮으며, 제 4 홈(D)에서 재차 깊어진다. 제 1 소켓에 전지팩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돌기는 이들 홈들(B, C, D)을 따라 전진하다가 제 4 홈(D)에서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되고 제 5 홈(E)으로 하향 후진하게 된다.
제 5 홈(E)은 제 4 홈(D)으로부터 후방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고 깊이가 제 4 홈(D)보다 깊다. 제 4 홈(D)까지 전진했던 제 1 소켓의 돌기는 압축 스프링(도 3: 140)의 팽창력에 의해 제 5 홈(E)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제 3 홈(D)의 깊이가 제 5 홈(E) 보다 낮기 때문에 제 5 홈(E)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변식 체결부재(도 4: 150)의 후크(152)는 전지팩(200)의 하단 체결홈(220)에 결합되게 된다.
제 6 홈(F)은 제 5 홈(E)의 전방 하향 부위로부터 제 1 홈(A) 까지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것의 깊이는 제 5 홈(E)보다 깊지만 제 1 홈(A)보다는 낮다. 제 5 홈(E)의 전방에는 하향 테이퍼면(162)가 형성되어 있고, 제 6 홈(E)의 깊이가 제 5 홈(E)보다 깊으므로, 제 1 소켓에 장착되어 있는 전지팩을 재차 가압하면, 제 1 소켓의 돌기는 하향 테이퍼면(162)을 따라 완만하게 아래쪽으로 전진한 후 압축 스프링의 팽창력으로 인해 제 6 홈(E)을 따라 재차 후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 1 소켓은 하향 전진 후 후진하게 되므로, 가변식 체결부재의 후크(152)가 제 1 소켓(110)과 함께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전지팩(200)의 상단 체결홈(220)으 로부터 분리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 착탈장치는 삽입방식으로 전지팩을 장착할 수 있으며, 특히 전지팩을 분리할 때, 전지팩의 하단을 한차례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탄력적으로 분리되므로 작동이 매우 편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착탈장치는 휴대폰에 내장형 전지팩을 사용할 때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전지팩의 상단면과 양측면을 감싸는 상단부와 양측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구조의 제 1 소켓;
    상기와 같은 상단부 및 양측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소켓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 2 소켓;
    상기 제 1 소켓과 제 2 소켓 사이의 한쪽 측부 사이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판 스프링인 제 1 스프링;
    상기 제 1 소켓과 제 2 소켓 사이의 상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압축 스프링인 제 2 스프링;
    상기 제 2 소켓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스프링이 위치하는 제 1 소켓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 형태의 홈을 통해 전지팩의 상단 체결홈에 가변적으로 체결되는 부재인 체결부재; 및
    상기 제 1 스프링의 위치에 대향하는 제 1 소켓과 제 2 소켓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변식 체결부재가 전지팩의 상단 체결홈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제 1 소켓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부재인 위치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휴대폰에 대한 전지팩의 장착시에는 상기 전지팩을 제 1 소켓에 밀어넣어 장착할 수 있고, 분리시에는 전지팩을 한번 가압하는 과정에 의해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전지팩 착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팩 착탈장치는 내장형 전지팩을 사용하는 휴대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착탈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켓의 프레임 높이는 제 2 소켓의 프레임 높이보다 작아서, 전지팩의 장착 및 분리과정에서 제 1 소켓은 제 2 소켓의 내부공간에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착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켓과 제 2 소켓의 상단에는 전지팩의 외부 입출력 단자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착탈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켓의 상단에는 가이드 바가 돌출되어 있고 제 2 소켓에는 상기 가이드 바에 대응한 위치에 가이드 구가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바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착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의 상하 길이는 전지팩의 장착 및 분리과정에서 제 2 소켓에 대해 제 1 소켓이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 바의 외경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착탈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켓에는 축돌기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가변식 체결부재의 중앙이 상기 축돌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 단부는 제 2 소켓에 가변적으로 고정되고 타측 단부에는 전지팩 방향으로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착탈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제 1 소켓의 측부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와 제 2 소켓의 대응 측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변환 홈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착탈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환 홈은 전지팩의 장착시 상기 돌기가 완만하게 상향 이동할 수 있도록 위쪽으로 기울어져 형성된 가장 깊은 제 1 홈과, 상기 제 1 홈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깊이가 줄어들어 전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내지 4 홈, 상기 제 4 홈으로부터 후방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고 깊이가 증가하는 제 5 홈, 및 전지팩의 분리시 전지팩을 가압하였을 때 상기 돌기가 완만하게 하향 전진할 수 있도록 전방 방향으로 형성된 후 제 1 홈까지 후면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 5 홈 보다 깊지만 제 1 홈 보다 낮은 깊이의 제 6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착탈장치.
  12. 제 1 항에 따른 전지팩 착탈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휴대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팩 착탈장치는 제 1 소켓의 개방 하단이 휴대폰의 아래쪽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KR1020050104660A 2005-11-03 2005-11-03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KR100911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660A KR100911684B1 (ko) 2005-11-03 2005-11-03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660A KR100911684B1 (ko) 2005-11-03 2005-11-03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859A KR20070047859A (ko) 2007-05-08
KR100911684B1 true KR100911684B1 (ko) 2009-08-10

Family

ID=3827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660A KR100911684B1 (ko) 2005-11-03 2005-11-03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6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806B1 (ko) * 2007-10-26 201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배터리 탈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2195947B1 (ko) 2018-05-30 2020-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
KR102195094B1 (ko) 2019-09-20 2020-12-24 주식회사 리베르곤 이중 후크 구조의 배터리팩 이탈 방지구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팩 충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7327A (ko) * 2002-12-26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KR20050001925A (ko) * 2003-06-28 2005-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395863Y1 (ko) 2005-06-20 2005-09-1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푸쉬 푸쉬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68244A (ko) * 2004-12-16 2006-06-21 주식회사 팬택 푸쉬 푸쉬 방식의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내부 삽입형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7327A (ko) * 2002-12-26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KR20050001925A (ko) * 2003-06-28 2005-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60068244A (ko) * 2004-12-16 2006-06-21 주식회사 팬택 푸쉬 푸쉬 방식의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내부 삽입형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95863Y1 (ko) 2005-06-20 2005-09-1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푸쉬 푸쉬형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859A (ko) 200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8454C (zh) 便携式电子装置的带扣结构
CN101673812A (zh) 电池盖组件
KR100911684B1 (ko)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CN216989343U (zh) 一种用于稳定杆加工的直角运动成型装置
JP2010063318A (ja) 充電台
KR200333727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팩 탈장착용 노브 결합구조
JP4212524B2 (ja) 充電装置
KR20200086177A (ko)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JP5311449B2 (ja) 電子機器の筐体固定機構、充電器、携帯電話の充電器
KR20010035404A (ko) 와치 폰
KR100535965B1 (ko)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CN214754251U (zh) 一种插入式连接端子
KR19990040864U (ko) 휴대폰의 배터리 팩 자동분리장치
CN209897109U (zh) 无线充电夹持支架装置
KR20030047129A (ko) 휴대형 무선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100494807B1 (ko) 핸드폰의 배터리 로킹 구조
CN219812250U (zh) 一种便于拆装的耳机锂电池
KR100474284B1 (ko) 휴대폰의 배터리 결합구조 및 그 방법
KR200379306Y1 (ko)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
KR100514684B1 (ko) 평면캠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결합장치
KR200255431Y1 (ko) 슬롯형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되는 휴대폰 본체
KR100559706B1 (ko)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
KR200357054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착탈식 내장 배터리의 고정 구조
JP3077962U (ja) 電池パックの取り付け構造
CN115334402A (zh) 一种耳机充电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