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706B1 -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706B1
KR100559706B1 KR1020030068740A KR20030068740A KR100559706B1 KR 100559706 B1 KR100559706 B1 KR 100559706B1 KR 1020030068740 A KR1020030068740 A KR 1020030068740A KR 20030068740 A KR20030068740 A KR 20030068740A KR 100559706 B1 KR100559706 B1 KR 100559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ain body
locking jaw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783A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6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706B1/ko
Publication of KR20050032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배터리가 본체의 뒷판 케이스에 접하여 미끄러지면서 체결 및 분리되게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110)와, 본체(110)에 체결되는 배터리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배터리(150)가 접하는 본체(110)의 접촉면(117) 양측부 각각에 배터리(150)가 미끄러져 체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부(125)가 형성된 다수 개의 제1 걸림턱(120)과, 배터리(150)의 양측부 각각에 형성되며 제1 걸림턱(120)의 개방부(125)로 미끄러져 삽입되는 다수 개의 제2 걸림턱(160)과, 제1 걸림턱(120)에 삽입된 제2 걸림턱(160)을 가압하기 위해 접촉면(117)에서 제1 걸림턱(120)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는 배터리를 본체에 체결하는 노브 없이도 배터리를 본체에 체결할 수 있어 본체 케이스의 구조가 간결해진다. 따라서 금형 제작이 간단하며, 노브의 구성이 없음으로써, 본체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는 본체에 체결된 배터리를 분리함에 있어서 배터리를 일방향으로 밀면 본체에서 배터리가 분리되기 때문에 본체에 배터리를 체결 및 분리함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 판스프링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Coupling Constru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and Batter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한 실시예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뒷판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에 배터리의 체결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동통신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뒷판 케이스와 배터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제1 걸림턱을 나타낸 상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걸림턱에 배터리의 제2 걸림턱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본체 111 : 뒷판 케이스
117 : 접촉면 119 : 격벽
120, 160 : 걸림턱 121, 161 : 상벽
123 : 측벽 125, 165 : 개방부
127 : 요부 130 : 홈
132 : 슬롯 140 : 판스프링
150 : 배터리 167 : 철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가 본체의 뒷판 케이스에 접하여 미끄러지면서 체결 및 분리되게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반복적으로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이동통신단말기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런 배터리는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에 체결 및 분리되며, 체결된 상태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한 실시예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뒷판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에 배터리의 체결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의 뒷판 케이스(13)에는 배터리(30)가 안착된 후에 미끄러져 이동하는 접촉면(17)이 형성된다. 이런 접촉면(17)의 양측부에는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걸림턱(19)들이 배열되며, 하단에는 배터리(30)와 접속되는 접속단자(14)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런 접촉면(17)의 상단에는 배터리(30)를 체결하는 노브(20)가 형성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런 노브(20)는 뒷판 케이스(13)에 형성된 홈(15)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홈(15)의 안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홈(15)의 안쪽에는 코일스프링(22)이 위치하여 홈(15)의 안쪽으로 이동한 노브(20)가 홈(15)의 바깥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배터리(30)와 대응하는 노브(20)의 일측에는 후크(24)가 형성되고, 배터리(30)에 형성된 홈(31)에 후크(24)가 체결됨으로써, 배터리(30)는 노브(20)에 체결 고정된다.
또한 배터리(30)에도 상기 걸림턱(19)에 대칭되는 걸림턱(33)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9, 33)끼리 상호 정합한다.
한편, 도면에서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동통신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20')는 하단면에 돌출부(21')가 형성되고, 본체(11')의 길이방향인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한다. 그리고 노브(20')에 대응하는 배터리(30')의 상단면에는 홈(31')이 형성된다. 따라서 배터리(30')가 본체(11')의 접촉면(17')에 접하게 되면 노브(20')는 상부방향을 밀려 올라갔다가 홈(31')과 노브(20')의 돌출부(21')가 대응하는 순간, 노브(20')가 하향으로 이동 하면서 노브(20')의 돌출부(21')는 배터리(30')의 홈(31')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도 2에서 노브(20')의 하향이동은 코일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한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를 본체에 체결 및 분리함에 있어 노브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와 같은 노브(20, 2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본체 케이스의 형상이 복잡해진다. 따라서 금형 제작에 어려움이 따르고, 노브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 및 노브의 동작에 따른 공간이 필요함에 따라 본체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는 배터리를 본체에서 분리함에 있어서, 도 1의 경우에는 노브(20)를 누르고 배터리(30)는 하부방향으로 밀어야 하며, 도 2의 경우에는 노브(20')를 누르고 배터리(30')를 접촉면(17')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들어 올려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노브를 형성하지 않고서도 본체에 배터리를 체결 및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배터리를 본체에서 분리함에 있어 슬라이딩 한 동작만으로 분리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배터리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접하는 상기 본체의 접촉면 양측부에 각각 상기 배터리가 미끄러져 체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부가 형성된 다수 개의 제1 걸림턱과, 상기 배터리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턱의 개방부로 미끄러져 삽입되는 다수 개의 제2 걸림턱과, 상기 제1 걸림턱에 삽입된 제2 걸림턱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접촉면에서 상기 제1 걸림턱의 방향을 돌출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걸림턱은 상기 접촉면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한 측벽과 상기 측벽에서 연장되며 상기 접촉면과 평행한 상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걸림턱은 상기 접촉면과 상기 제1 걸림턱의 상벽의 사이에 삽입되는 상벽과 상기 제2 걸림턱의 상벽에 수직하게 상기 배터리로 연장된 측벽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접촉면에는 상기 제1 걸림턱에 대응하는 부위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탄성체인 판스프링의 양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중간부는 절곡되어 상기 제1 걸림턱을 향해 상기 홈의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걸림턱의 상벽과 상기 제2 걸림턱의 상벽에는 요부 또는 철부 중에 어느 하나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턱의 상벽이 제1 걸림턱의 상벽과 접하였을 때에 상기 요부와 철부가 정합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뒷판 케이스와 배터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의 제1 걸림턱을 나타낸 상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걸림턱에 배터리의 제2 걸림턱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50)가 체결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110)의 뒷판 케이스(111) 양측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제1 걸림턱(120)이 배열된다.
이와 같은 제1 걸림턱(120)을 상세히 살펴보면, 제1 걸림턱(120)은 접촉면(117)의 양측 모서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격벽(119)의 내측면과 접촉면(117)의 안쪽에 형성되는데, 격벽(119)의 내측면에 돌출된 'ㄱ'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 걸림턱(120)의 상벽(121)은 접촉면(117)에 평행하고 측벽(123)은 상벽(121)과 접촉면(117)을 연결하는 구조로서, 격벽(119)에 돌출된 구조이다.
이런 제1 걸림턱(120)에 있어서, 개방부(125)가 하부방향을 향해 위치하며, 제1 걸림턱(120)의 격벽(119) 저면에는 요(凹)부(127)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보이듯이, 제1 걸림턱(120)의 상벽(121)과 대응하는 접촉면(117)에는 홈(130)이 형성되고, 이런 홈(130)에 있어 상호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슬롯(13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이런 슬롯(132)에 판스프링(14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된 상태로서, 판스프링(140)의 길이방향 중간부는 상부방향을 절곡되어 홈(13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배터리(150)의 양측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제2 걸림턱(160)이 형성되는데, 제2 걸림턱(160)은 제1 걸림턱(120)과 대칭되는 구조는 갖는다. 즉, 배터리(150)에는 본체(110)에 형성된 격벽(119)과 대응하게 양측부 각각에 단차(152)가 배터리(15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걸림턱(160)은 이런 단차(152)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데, 배터리(150)가 본체(1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 걸림턱(120)과 대응하는 지점에 각각 위치하여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턱(160)의 상벽(161)은 제1 걸림턱(120)의 상벽(121)과 접촉면(117)의 사이로 삽입되고, 제1 걸림턱(120)의 상벽(121)은 제2 걸림턱(160)의 상벽(161)과 단차(152) 안쪽면의 사이에 삽입된다.
한편, 제2 걸림턱(160)의 상벽(161) 저면에는 철부(167)가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턱(120)의 상벽(121) 저면에 형성된 요부(127)에 정합한다.
아래에서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관계를 살펴본다.
배터리(150)를 본체(110)의 접촉면(117)에 밀착한다. 그러면 배터리(150)의 단차(152)에 본체(110)의 격벽(119)이 정합하여 위치하고, 이런 상태에서 배터리(150)를 상부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배터리(150)는 단차(152)를 따라 접촉면(117)의 상부방향으로 밀려 올라간다.
이와 같이 배터리(150)가 상부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면서 제2 걸림턱(160)의 상벽은 제1 걸림턱(120)의 상벽(121)과 접촉면(117)의 사이로 진입하여 올라가게 되고, 제1 걸림턱(120)의 상벽(121)은 제2 걸림턱(160)의 상벽(161)과 단차(152)의 안쪽면의 사이로 삽입된다.
한편 제1 걸림턱(120)과 제2 걸림턱(160)은 상호 체결되는 과정에서 판스프링(140)은 제2 걸림턱(160)의 상벽(161)에 밀려 탄성변형하게 되는데, 판스프링(140)의 절곡된 중간부가 홈(130)의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제2 걸림턱(160)을 최대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제1 걸림턱(120)의 요부(127)에 제2 걸림턱(160)이 정합하게 되면, 판스프링(140)의 중간부는 홈(130)의 밖으로 다소 돌출되지만 여전히 제2 걸림턱(160)의 상벽(161)을 가압한다.
이와 같이 제1 걸림턱(120)과 제2 걸림턱(160)이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제1 걸림턱(120)의 요부(127)와 제2 걸림턱(160)의 철부(167)가 상호 정합하고, 이를 판스프링(140)의 탄성력으로 가압함으로써, 배터리(150)는 본체(110)의 접촉면(117)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배터리(150)를 파지하고 하부방향으로 밀어 내리면, 사용자의 힘에 의해 배터리(150)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정합된 철부(167)가 요부(127)에서 이탈되면서 분리된다. 이때 판스프링(140)은 홈(130)의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최대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계속해서 배터리(150)가 하향 이동하게 되면, 결국 제2 걸림턱(160)의 상벽(161)은 제1 걸림턱(120)의 상벽(121)과 접촉면(117)의 사이에서 인출되고, 제1 걸림턱(120)의 상벽(121) 또한 제2 걸림턱(160)과 단차(152)의 안쪽면의 사이에서 인출되어 분리된다.
이와 같이 제1 걸림턱(120)과 제2 걸림턱(160)의 결합이 분리됨으로써, 배터리(150)는 본체(110)에서 분리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는 배터리를 본체에 체결하는 노브 없이도 배터리를 본체에 체결할 수 있어 본체 케이스의 구조가 간결해진다. 따라서 금형 제작이 간단하며, 노브의 구성이 없음으로써, 본체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는 본체에 체결된 배터리를 분리함에 있어서 배터리를 일방향으로 밀면 본체에서 배터리가 분리되기 때문에 본체에 배터리를 체결 및 분리함에 편리함이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1.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배터리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접하는 상기 본체의 접촉면 양측부 각각에 상기 배터리가 미끄러져 체결되는 방향으로 개방부가 형성된 다수 개의 제1 걸림턱과,
    상기 배터리의 양측부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턱의 개방부로 미끄러져 삽입되는 다수 개의 제2 걸림턱과,
    상기 제1 걸림턱에 삽입된 제2 걸림턱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접촉면에서 상기 제1 걸림턱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면에는 상기 제1 걸림턱에 대응하는 부위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탄성체인 판스프링의 양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중간부는 절곡되어 상기 제1 걸림턱을 향해 상기 홈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 걸림턱의 상벽과 상기 제2 걸림턱의 상벽에는 요부 또는 철부 중에 어느 하나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턱의 상벽이 제1 걸림턱의 상벽과 접하였을 때에 상기 요부와 철부가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턱은 상기 접촉면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한 측벽과 상기 측벽에서 연장되며 상기 접촉면과 평행한 상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걸림턱은 상기 접촉면과 상기 제1 걸림턱의 상벽의 사이에 삽입되는 상벽과 상기 제2 걸림턱의 상벽에 수직하게 상기 배터리로 연장된 측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
  3. 삭제
  4. 삭제
KR1020030068740A 2003-10-02 2003-10-02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 KR100559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740A KR100559706B1 (ko) 2003-10-02 2003-10-02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740A KR100559706B1 (ko) 2003-10-02 2003-10-02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783A KR20050032783A (ko) 2005-04-08
KR100559706B1 true KR100559706B1 (ko) 2006-03-10

Family

ID=3723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740A KR100559706B1 (ko) 2003-10-02 2003-10-02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312B1 (ko) 2014-03-28 2021-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783A (ko) 200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0122B2 (en) Latch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130296B2 (en) Power jack with a movable socket cover
US6050838A (en) Connector housing having temporary locking mechanism for reciprocatingly engaging with another connector housing
US5586184A (en) Battery latch for cellular telephone
KR100559706B1 (ko)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의 체결구조
CN210807848U (zh) 电子设备的壳体组件及电子设备
US6213793B1 (en) Connector
KR100911684B1 (ko)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CN208970394U (zh) 按钮开关
CN111370246A (zh) 壳体组件及电子设备
CN217444273U (zh) 一种易拨动座椅开关
CN220628370U (zh) 具有滑动式锁扣结构的连接器及应用有该连接器的车辆
KR200327769Y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체결장치
CN220753769U (zh) 端子台
CN216958645U (zh) 插座
US20240162551A1 (en) Adapter, electrical apparatu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0629882B1 (ko)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51130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
KR20040057327A (ko)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CN216316042U (zh) 快拆组件以及可穿戴设备
CN217986855U (zh) 一种可穿戴设备
KR1010805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결합 구조
KR20050032782A (ko) 배터리 분리용 탄성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90111B1 (ko) 휴대형 무선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JP3990007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