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327A -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327A
KR20040057327A KR1020020084018A KR20020084018A KR20040057327A KR 20040057327 A KR20040057327 A KR 20040057327A KR 1020020084018 A KR1020020084018 A KR 1020020084018A KR 20020084018 A KR20020084018 A KR 20020084018A KR 20040057327 A KR20040057327 A KR 20040057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pack
horizontal
locker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6961B1 (ko
Inventor
박민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961B1/ko
Publication of KR20040057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의 배면의 일측에 배터리팩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본체의 수납부와; 상기 본체의 수납부의 측면에 인접하여 본체 내부에 형성된 본체의 장착부와; 상기 본체의 장착부에 삽입되어 휴대폰의 길이방향인 수평방향과 휴대폰의 폭 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슬라이딩 작동하는 배터리 록커부와; 상기 배터리 록커부에 서로 대응하여 록킹하도록 형성된 배터리팩 후크부를 포함함으로써, 휴대폰의 본체로부터 배터리팩을 분리할 때에 상기 배터리 록커부를 상측에서 눌러 수직 작동하기만 하면 동시에 수평으로 자동적으로 배터리팩의 분리가 진행되는 록킹구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배터리를 분리할 때에 작동이 용이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배터리 록커부의 원푸쉬(ONE-PUSH) 작동만으로 휴대폰 수납부로부터 배터리팩을 용이하게 분리하고자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배터리 록커부가 배터리팩을 더욱 견고하게 체결해지도록 형성된 휴대폰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A locking device for a battery pack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의 본체로부터 배터리팩을 분리할 때에 배터리 록커부를 수직 작동하면 동시에 수평으로도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배터리팩을 밀어서 본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휴대폰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 배터리 록커부의 원푸쉬(ONE-PUSH)작동으로 손쉽게 배터리팩을 본체로부터 탈착시키는 휴대폰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팩의 록킹장치란, 휴대폰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을 손쉽게 착탈하기 위해 주로 휴대폰 본체의 배면에 구성된 수납부에 끼워 록킹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휴대폰의 배터리팩의 탈장착 작동방식은 배터리팩(1)이 휴대폰(100)의 배면에 형성된 배터리팩 수납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팩의 상측 일측에 마련된 배터리팩 후크부(2)가 배터리 록커부 후크부(3)와 서로 대응되게 체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 록커부 후크부(3)는 배터리 록커부(4)의 일측 하단에 마련하되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부이며, 상기 배터리 록커부(4)는
휴대폰의 배터리팩 수납부와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단지 상하수직방향으로만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래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방식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배터리팩 후크부(2)와 배터리 록커부 후크부(3)는 상기 배터리 록커부(4)의 하단면에 마련된 탄성체의 탄력에 의하여 서로 대응되게 체결되어 있으며, 배터리팩(1)을 휴대폰(100)의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터리 록커부 가압부(5)를 상측에서 누르면서 상기 각각의 후크부의 체결을 해제하는 것이다. 배터리팩을 다시 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터리팩의 후크부와 체결되도록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가압부(5)를 상측에서 가압하여 각각의 후크부를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종래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는 상기 배터리팩(1)을 분리할 때에 상기 배터리 록커부(4)를 상측에서 눌러 상기 배터리팩 후크부(2)와 서로 분리한 후에 수동으로 상기 배터리팩(1)을 수평으로 슬라이딩시켜 휴대폰의 수납부로부터 빼어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록커부(4)의 체결이 일측에서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록킹시와 해제시에 상기 배터리팩(1)과 배터리 록커부(4)의 체결이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도 발생된다. 이와 같은 록킹장치는 배터리팩을 분리할 때에 그 작동이 매우 번거롭고, 체결이 견고하지 못한 결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목적은 배터리 록커부의 원푸쉬(ONE-PUSH)작동만으로 휴대폰 수납부로 부터 배터리팩을 용이하게 분리하고자 하는 것이며, 또한, 배터리팩을 휴대폰의 수납부로 체결하거나 분리할 때에 배터리 록커부와 배터리팩에 서로 견고한 체결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팩이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팩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팩의 록킹이 해제되어 배터리팩이 수평방향으로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팩과 휴대폰의 본체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11 : 배터리팩 2, 10 : 배터리팩 후크부
3 : 배터리 록커부 후크부 4, 13 : 배터리 록커부
5, 15 : 배터리 록커부 가압부 12 : 제1후크부
14 : 수평탄성체 16 : 수평이동정지부
17 : 수직탄성체부 18 : 제2후크부
20 : 수평탄성체 삽입부 30 : 장착부
21 : 제1수평이동부 22 : 제2수평이동부
23 : 배터리 록커부의 걸림부
100, 200 : 휴대폰 본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는 휴대폰의 배면의 일측에 배터리팩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본체의 수납부와 상기 본체의 수납부의 측면에 인접하여 본체 내부에 형성된 본체의 장착부와 상기 본체의 장착부에 삽입되어 수평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슬라이딩 작동하는 배터리 록커부와 상기 배터리 록커부에 서로 대응하여 록킹하도록 형성된 배터리팩 후크부를 포함함으로써, 휴대폰의 본체로부터 배터리팩을 분리할 때에 상기 배터리 록커부를 상측에서 눌러 수직 작동하기만 하면 동시에 수평으로 자동적으로 배터리팩의 분리가 진행되는 원푸쉬(ONE-PUSH)록킹구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배터리를 분리할 때에 그 작동이 용이하도록 하며, 그 체결을 더욱 견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팩이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폰 본체(200)의 배면에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11)이 장착되는 수납부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수납부의 측면에 인접하여 본체 내부에 형성된 본체의 장착부(30)에 삽입되어 수평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슬라이딩 작동하는 배터리 록커부(13)와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제1후크부(12)에 서로 대응하여 록킹하도록 형성된 배터리팩 후크부(1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장착부(30)는 배터리팩 수납부에 인접한 본체의 내부에 휴대폰의 길이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상측에 일정한 두께를 가진 터널형상으로 이루어진 수평 슬라이딩부가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록커부(13)가 본체의 내부에서 자유로이 슬라이딩 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30)의 수평 슬라이딩부의 끝단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측에 형성된 장착부 요홈가 마련되어 배터리 록커부의 제2후크부(18)와 서로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수평 슬라이딩부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하되 배터리 록커부(13)의 제1수평이동부(16)와 가압부(15)가 모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슬라이딩 홈이 구성된 수직 슬라이딩부가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록커부(13)를 상측에서 누를 때에 자유로이 상하 직선운동하도록 하며, 상기 본체의 배터리 수납부 끝단면과 상기 수직 슬라이딩부 사이에 형성된 수평 이동정지부(16)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팩 후크부(10)은 상기 배터리 록커부(13)와 서로 대응하여 록킹되도록 배터리팩의 상부 일측면에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록커부(13)는 일측에 상기 배터리팩(11)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후크부(12)가 마련되고, 상기 제1후크부(12)에 인접하여 형성하되 상기 배터리팩 후크부(10)와 상기 장착부(30)의 수평 이동정지부(16)가 모두 위치하도록 형성된 배터리 록커부의 걸림부(2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본체의 장착부(30)내에 형성된 장착부 요홈과 서로 대응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후크부(18)가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제2후크부(18)의 하단측면에 수평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수평 탄성체 삽입부(20)에 수평탄성체(14)가 삽입된다. 상기 수평탄성체(14)는 상기 수평탄성체 삽입부(20)와 상기 장착부(30)의 수평 슬라이딩부의 끝단사이에 설치되어 배터리 록커부(13)에 휴대폰의 길이방향인 수평으로 자유로운 슬라이딩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록커부(13)의 하단면에 수직탄성체부(17)가 마련되어 휴대폰의 폭 방향인 수직으로 배터리 록커부의 가압부(15)를 누르면 상기 배터리 록커부(13)는 자유로이 상하수직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배터리팩의 후크부(10)와 배터리 록커부의 제1후크부(12)의 체결이 이루어지거나 해제된다.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가압부(15)를 가압하여 배터리팩(11)의 체결이 해제되면, 상기 배터리 록커부(13)의 수평탄성체(14)의 탄성력에 의하여 휴대폰의 길이방향인 수평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배터리팩(11)을 밀어내고, 상기 배터리 록커부(13)는 장착부의 수평이동정지부(16)에 의하여 그 수평이동이 정지되며 상기 배터리팩(11)은 휴대폰의 수납부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가압부(15)의 양단 측면은 수평으로부터 수직 상측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압부(15)의 일측면이 배터리 록커부(13)의 수평이동을 정지시키는 수평이동정지부(16)와 원활하게 접촉되도록 하며, 그 타측면도 가압시에 장착부의 수직 슬라이딩부 내에서 수직상하운동이 자유로이 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수직탄성체부(17)는 항상 상기 배터리 록커부(13)에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배터리 록커부(13)의 하단면 일측에 구성된다. 상기 수직탄성체부(17)는 상기 배터리 록커부(13)가 휴대폰의 장착부(30)내에서 원활히 수평이동 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도 2와 같이 상기 배터리 록커부(13)의 하단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며 일정한 두께를 가진 일편의 절곡된 탄성체를 부착하는 것이다.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탄성체부(17)가 상기 배터리 록커부(13)와 일체로 하여 수직 탄성력을 증가시키며, 생산과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팩(13)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가압부(15)를 상측에서 누르면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수직탄성체부(17)로부터 탄성력을 받으면서 상기 배터리팩의 후크부(10)와 배터리 록커부의 제1후크부(12)의 록킹 및 장착부내의 장착요홈과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제2후크부(18)의 록킹이 동시에 서로 해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를 참조하면, 휴대폰의 상기 배터리팩(13)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자동적으로 배터리팩(13)이 수평방향으로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배터리 록커부(13)의 체결이 해제되면, 상기 배터리 록커부(13)의 하단 일측에 휴대폰의 길이방향인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탄성체(1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록커부(13)가 휴대폰의 장착부(30)의 수평 슬라이딩부 내를 자유로이 슬라이딩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제1후크부(12)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배터리팩(11)도 함께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자동적으로 휴대폰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 록커부(13)은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가압부(15)가 상기 장착부(30)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이동정지부(16)에 의해 수평이동이 정지될 때까지 이동하게 되며, 상기 배터리팩(11)은 휴대폰의 수납부로부터용이하게 분리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배터리팩의 록킹이 해제되어 배터리팩이 수평방향으로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수평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후크부(12)의 돌출부와 상기 제2후크부(18)의 돌출부와 상기 제1수평이동부(21)의 돌출부의 높이가 수평을 기준으로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수평이동이 정지될 때에 상기 배터리 록커부(13)가 상기 장착부(30) 내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제1수평이동부(21)와 제2수평이동부(22)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휴대폰의 배터리팩(11)과 휴대폰의 본체(200)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배터리팩(11)과 휴대폰의 본체(200)는 요철홈과 같은 형상으로 서로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팩(11)이 휴대폰의 본체(200)와 견고하게 결합되면서도 상기 배터리 록커부(13)의 수평이동으로 자유로이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의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는 배터리 록커부의 원푸쉬(ONE-PUSH)방식에 의하여 배터리팩을 휴대폰의 본체로부터 분리하는데 그 작동이 용이하고, 또한, 체결시에도 배터리 록커부의 양 끝단에 위치한 각각의 후크부에 의하여 그 체결이 더욱 견고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휴대폰 본체의 배면의 일측에 배터리팩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본체의 수납부와; 상기 본체의 수납부의 측면에 인접하여 본체 내부에 형성된 본체의 장착부와; 상기 본체의 장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휴대폰의 길이 방향인 수평방향과 상기 휴대폰의 폭 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슬라이딩 작동하는 배터리 록커부와; 상기 배터리 록커부에 서로 대응하여 록킹하도록 형성된 배터리팩 후크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배터리 록커부가 본체의 내부에서 자유로이 슬라이딩 하도록 본체의 수납부에 인접하여 수평방향으로 본체의 내부의 상측에 일정한 두께를 가진 터널형상으로 이루어진 수평 슬라이딩부와; 상기 수평 슬라이딩부의 끝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측에 형성된 장착부 요홈과; 상기 수평 슬라이딩부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하되 배터리 록커부의 제1수평이동부와 가압부가 모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슬라이딩 홈이 구성된 수직 슬라이딩부와; 상기 본체의 수납부 끝단면과 상기 수직 슬라이딩부의 일측 사이에 형성된 수평이동정지부를 포함한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후크부은 상기 배터리 록커부와 서로 대응하여 록킹되도록 배터리팩의 상부 일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요홈부를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록커부는 일측에 상기 배터리팩의 요홈부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후크부와; 상기 제1후크부에 인접하여 형성하되 상기 배터리팩 요홈부와 상기 장착부의 수평이동정지부가 모두 위치하도록 형성된 배터리 록커부의 걸림부와;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록킹이 해제되어 수평이동시에 수평이동정지부의 하단면과 접촉하면서 수평이동되는 제1수평이동부와; 상기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의 중간의 일정한 지점에 형성하여 상기 배터리 록커부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압부와;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록킹이 해제되어 수평이동시에 수평이동되는 제2수평이동부와; 상기 본체의 장착부내에 형성된 장착부 요홈과 서로 대응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후크부와;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제2후크부의 하단의 측면에 설치된 수평탄성체 삽입부와;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하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 록커부에 자유로이 상하수직운동방식을 제공하는 수직 탄성체부를 포함한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수평이동이 자유로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후크부의 돌출부와 상기 제2후크부의 돌출부와 상기 제1수평이동부의 돌출부의높이가 수평으로부터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수평이동이 정지될 때에 상기 배터리 록커부가 상기 장착부 내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제1수평이동부와 제2수평이동부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가압부(15)의 양단 측면은 수평으로부터 수직 상측 돌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수평탄성체 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록커부에 자유로이 수평이동을 제공하는 수평 탄성체를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수직 탄성체부는 배터리 록커부에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하단면 일측에서 일편의 절곡된 탄성체가 하측으로 경사지게 돌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록커부의 수직 탄성체부는 상기 배터리 록커부와 일체로 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납부와 상기 배터리팩이 서로 자유로이 수평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각각의 측면에 서로 대응되는 슬라이딩 요철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 장치.
KR10-2002-0084018A 2002-12-26 2002-12-26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KR100496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018A KR100496961B1 (ko) 2002-12-26 2002-12-26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018A KR100496961B1 (ko) 2002-12-26 2002-12-26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327A true KR20040057327A (ko) 2004-07-02
KR100496961B1 KR100496961B1 (ko) 2005-06-28

Family

ID=3734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018A KR100496961B1 (ko) 2002-12-26 2002-12-26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9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198B1 (ko) * 2005-02-04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100724436B1 (ko) * 2006-06-22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0911684B1 (ko) * 2005-11-03 2009-08-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KR20160063763A (ko)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사용 가능 시간이 향상된 모바일 디바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198B1 (ko) * 2005-02-04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100911684B1 (ko) * 2005-11-03 2009-08-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KR100724436B1 (ko) * 2006-06-22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60063763A (ko)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사용 가능 시간이 향상된 모바일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6961B1 (ko) 2005-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0122B2 (en) Latch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0145527B (zh) 一种自锁连接装置及具有该自锁连接装置的电子设备
US8078237B2 (en) Mobile phone holder with lateral connections, especially for a mechanical vehicle
KR10031567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EP1427035A1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battery mounting device of the equipment
KR100678198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US5586184A (en) Battery latch for cellular telephone
KR100496961B1 (ko)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CN211933929U (zh) 一种水箱安装结构及清洁设备
JP5030536B2 (ja) 携帯機器の充電台
KR2006010089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로킹장치
CN101740737A (zh) 电池盖锁持机构
JP2990075B2 (ja) 電池パック押上げ機構およびその押上げ方法
KR200192692Y1 (ko) 휴대폰의 배터리 팩 자동분리장치
KR200181672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US20100188805A1 (en) Cover releasing mechanisms
KR1006519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FI111426B (fi) Lukitusjärjestely tilaajapäätelaitteen kuoriosaa varten
CN115241595B (zh) 供电电池可拆卸结构及电风扇
KR1004511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KR100511313B1 (ko)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05048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CN219626919U (zh) 一种sim卡座及移动终端
CN220220997U (zh) 一种电池抬升机构
KR100514684B1 (ko) 평면캠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