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863Y1 - 푸쉬 푸쉬형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푸쉬 푸쉬형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863Y1
KR200395863Y1 KR20-2005-0017729U KR20050017729U KR200395863Y1 KR 200395863 Y1 KR200395863 Y1 KR 200395863Y1 KR 20050017729 U KR20050017729 U KR 20050017729U KR 200395863 Y1 KR200395863 Y1 KR 200395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ody
slide
main bod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7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8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8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드 안착부를 구비하는 메인바디, 상기 슬라이드 안착부에 실장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장착되며 슬라이드바디를 메인바디쪽으로 1회 누르면 슬라이드바디가 하단으로 돌출되며 다시 1회 누르면 슬라이드바디가 메인바디에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슬라이드바디를 메인바디의 하향으로 개방하는 수단으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사용하며, 슬라이드바디를 상향으로 1회 누르면 개폐 장치가 풀리게 되며 다시 1회 누르면 개폐 장치가 잠기게 되는 '푸쉬 푸쉬(Push-Push)'형 개폐 장치를 제공하여 수동으로 슬라이드바디를 여닫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며 수동 조작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여 보다 정교하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바디를 조작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푸쉬 푸쉬형 이동통신 단말기 {Push-Push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은 푸쉬 푸쉬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를 상향으로 압력을 가했다가 해제하면 슬라이드 바디가 자동으로 하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푸쉬 푸쉬 방식의 개폐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신호의 입력을 위한 송화부, 문자나 각종 기호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메인바디와, 메인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고, 특수 기능 실행을 위한 기능키, 각종 정보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액정화면을 구비하며, 음향 출력을 위한 수화부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슬라이드바디로 구성된다.
또한, 슬라이드바디와 메인바디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가이드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미사용시에 휴대가 간편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길이를 줄이기 위하여 슬라이드바디가 메인바디에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가이드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가이드부는 도 2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바디(12)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고정대(22, 22a)가 부착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바디(11)와 메인바디(12)가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부재(21)와 슬라이딩 부재(21)를 받치기 위한 받침판(24)과 슬라이딩 부재(21)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홀(25a)이 형성되는 가이드판(26)으로 구성된다.
가이드 판(26)은 받침판(24)과 유사한 일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형이며 중앙 부분에 가이드 홀(25a)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평면과 이런 평면이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4개의 수직 벽면을 포함하고 있다.
판스프링(21a)과 받침판(24) 사이에는 볼(23a)을 삽입시키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고정대(22, 22a) 사이의 판스프링(21a)의 일정 부분이 융기되는 융기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판(24)의 바닥면에는 두 개의 홀(24a, 25)들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이는 슬라이드 부재(21)를 슬라이딩할 경우 볼(23a)이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받침판(24)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바디(11)에 고정되고 제 1 및 제 2 고정대(22, 22a)가 나사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바디(11)에 고정된다.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초 슬라이드바디(11)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는 슬라이드 부재(21)에 포함된 볼(23a)이 가이드판(26) 상단부에 위치한 홀(25)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개방시에는 볼(23a)이 가이드판(26) 하단부에 위치한 홀(24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바디(11)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슬라이드바디(11)를 원하는 위치까지 수동으로 올리고 또 반대로 내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의존함으로써 개폐의 조작성과 정교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며 오작동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슬라이드바디를 메인바디의 일측으로 개방하는 수단으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사용하며, 슬라이드바디를 상향으로 1회 누르면 개폐 장치가 풀리게 되고 다시 1회 누르면 개폐 장치가 잠기도록 되는 '푸쉬 푸쉬(Push-Push)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슬라이드 안착부를 구비하는 메인바디, 상기 슬라이드 안착부에 실장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장착되며 슬라이드바디를 메인바디쪽으로 1회 누르면 슬라이드바디가 하단으로 돌출되며 다시 1회 누르면 슬라이드바디가 메인바디에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장치는, 고정핀을 구비하는 케이스, 일측부에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걸림핀, 상기 고정핀의 일끝단이 이동되는 경로가 되는 제 1가이드 레일, 제 2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 1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한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작동판, 상기 케이스와 작동판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드바디를 슬라이드 안착부의 외부로 밀어내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판에는 경사돌기를 더 구비하여 고정핀이 고정홈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시 제 1가이드 레일쪽으로 역방향 진행을 방지 한다. 또한, 상기 제 1가이드 레일에는 경사홈을 더 구비하여 역방향 진행을 방지 한다.
상기 슬라이드바디에는 걸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홈에 걸림돌기로 고정하여 상기 슬라이드바디와 작동판이 고정된다.
슬라이딩 방식으로 동작하여 상기 슬라이드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키홈으로 삽입되는 잠금키를 상기 슬라이드바디 삽입부 일측에 추가로 포함한다.
메인바디에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수화부와, 문자나 각종 기호 및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화면과, 특수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를 구비하며 슬라이드 바디에는 문자나 각종 기호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와, 음향 신호를 입력하는 송화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 후면 상단에 배터리를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a 및 도 5e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메인바디(100), 슬라이드바디(200), 개폐장치(300)로 크게 구분 형성된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메인바디(100)는 이동통신 단말기(A)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전자소자를 내장할 수 있도록 함체형을 이루며 전면에는 특수기능 수행을 위한 기능키(101)와,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화부(102) 및 영상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액정화면(103)을 구비한다. 그리고, 전판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미도시)가 메인바디(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A)의 전원입력을 위해 메인바다의 후면 상단에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슬라이드바디(200)의 실장공간을 위해 메인바디(100) 후면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바디(100)의 하단으로 슬라이드바디 삽입부(110)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바디 삽입부(110) 내측으로 슬라이드바디 안착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바디 삽입부(110) 일측으로 슬라이드바디(200)의 고정을 위한 잠금키(130)를 구비한다.
슬라이드바디 안착부(120)는 메인바디(100) 내부의 홈형태로 구성되며 후술될 슬라이드바디(200)의 유동 및 실장공간을 가진다.
슬라이드바디(200)는 메인바디(100)의 슬라이드바디 안착부(1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메인바디(1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며, 각종기호나, 문자의 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201))와, 음성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송화부(202)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바디(200) 양측으로 후술될 개폐장치(300)와의 고정을 위한 걸림홈(210)을 구비한다. 또한, 슬라이드바디(200) 하단에는 슬라이드바디(200)가 오작동으로 개폐되는것을 방지하는 키홈(220)을 구비한다.
키홈(220)은 슬라이드바디(200)의 하단부에 잠금키(130)가 삽입되어 슬라이드바디(200)의 임의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키홈(220)은 개폐장치(300)가 위치하는 슬라이드바디(200)의 하단에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키홈(220)과 잠금키(130)는 슬라이드바디(200)를 고정할 수 있는 한 하단뿐만 아니라 메인바디(100)의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다.
즉, 잠금키(130)는 키홈(220)에 키를 삽입하여 슬라이드바디(2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잠금키(130)는 통상 슬라이드 방식을 사용하며 사용자가 잠금키(130)를 '잠금' 위치로 밀게 되며 잠금키(130)가 키홈(220)으로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A)의 휴대시에 임의로 슬라이드바디(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개폐장치(300)는 크게 작동판(310), 케이스(320), 스프링(330)으로 크게 구분 형성된다.
작동판(310)은 걸림돌기(311a)를 구비한 걸림핀(311), 제 1가이드 레일(312a), 제 2가이드 레일(312b), 경사 돌기(313) 및 고정홈(314)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케이스(320)는 고정핀(321)을 포함하며, 스프링(330)은 탄발력으로 가지며 형성된 코일형태를 가진다. 즉, 작동판(310)이 스프링(330)에 지지되어 케이스(32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걸림핀(311)의 걸림돌기(311a)는 슬라이드바디(200)에 포함되는 걸림홈(210)에 결합하여 슬라이드바디(2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 1가이드 레일(312a) 및 제 2가이드 레일(312b)은 고정핀(321)의 일끝단이 이동되는 경로 역할을 한다. 제 1가이드 레일(312a)은 고정핀(321)이 잠기는 경우에 이동하는 경로이며, 제 2가이드 레일(312b)은 고정핀(321)이 해제되는 경우에 이동하는 경로이다.
여기서, 제 1가이드 레일(312a)과, 제 2가이드 레일(312b)과, 고정핀(321)의 길이는 메인바디(100)에 대해 슬라이드바디(200)가 슬라이드 되는 거리 만큼의 길이를 가지게 된다.
고정홈(314)은 고정핀(321)이 제 1가이드 레일(312a)를 통하여 이동하여 정착하는 곳이며, 고정핀(321)이 걸리도록 되어 있어 슬라이드바디(200)를 슬라이드바디 안착부(12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개폐장치(300)는 슬라이드바디(200)에 부착되어 있는 걸림홈(210)과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슬라이드바디(200)의 저면에서 개폐장치(300) 방향으로 1회 누르면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개폐장치(300)가 풀리도록 되어 슬라이드바디(200)가 슬라이딩 되고 다시 1회 누르면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슬라이드바디 안착부(120)로 슬라이드바디(200)가 삽입되며 개폐장치(300)가 잠기게 된다.
도 5a는 최초 슬라이드바디(200)가 슬라이드바디 안착부(120)의 내부로 삽입되기 전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슬라이드바디(200)의 걸림홈(210)에 걸림핀(311)의 걸림돌기(311a)가 삽입되어 슬라이드바디(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디(200)는 슬라이드바디 안착부(120)의 외측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이 상태에서 키패드(201)와 송화부(202)가 노출되어 통화가 가능한 구성이다.
도 5b는 슬라이드바디(200)의 하측을 개폐장치(300)를 향하여 1회 압력을 가한 상태를 나타낸다. 슬라이드바디(200)를 저면에서 도 5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작동판(310)이 이동하게 되며, 작동판(310)은 케이스(320) 내부로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고정핀(321)의 일끝단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초의 위치에서 제 1가이드 레일(312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 1가이드 레일(312a)은 레일 내부에 경사홈(315)을 포함하고 있어 최초의 도 5a의 위치에서 시작하여 도 5b의 위치로 이동 할 수 있을 뿐 그 역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정핀(321)의 일끝단이 제 1 가이드 레일(312a)의 안내에 따라 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핀(321)을 제 1 가이드 레일(312a) 방향으로 눌러주는 탄성 부재(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고정핀(321)의 일끝단은 제 1가이드 레일(312a)의 경사홈(315)의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어 항상 고정핀(321)의 일끝단은 제 1가이드 레일(312a)의 순방향인 도 5a 위치에서 도 5b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5c는 슬라이드바디(200)가 개폐장치(300)에 의하여 슬라이드바디 안착부(12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형상을 나타낸다.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디(200)에 1회 압력을 가한 경우에서 압력을 해제하면, 고정핀(321)의 일끝단은 제 1 가이드 레일(312a)의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고정홈(314)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고정핀(321)의 일끝단이 고정홈(314)에 걸리게 되면 슬라이드바디(200)는 슬라이드바디 안착부(120)로 완전히 삽입되어 메인바디(100)의 전면과 평행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사용자가 휴대시의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A)의 형상이며 휴대시 슬라이드바디(20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키(130)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도 5d는 슬라이드바디(200)의 저면을 개폐장치(300)를 향하여 다시 1회 압력을 가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디(200)에 화살표 방향으로 다시 1회 압력을 가하면 도 5c에 도시된 상태, 즉 고정핀(321)의 일끝단이 고정홈(314)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핀(321)의 일끝단은 제 2가이드 레일(312b)을 따라 이동한다.
고정핀(321)의 일끝단이 다시 제 1가이드 레일(312a)을 따라 이동할 수 없고 제 2가이드 레일(312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홈(314)의 바로 상측에 경사돌기(313)가 위치하고 있어, 슬라이드바디(200)에 압력을 가하면 고정핀(321)의 일끝단은 경사돌기(313)의 경사면을 따라 제 2가이드 레일(312b)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5d의 상태에서 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330)의 탄성력으로 인해 작동판(310)은 상측으로 이동하여 최초와 같이 도 5e에 도시된 상태로 되돌아간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A)에 적용된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PDA, 전자수첩 등 다른 형태의 휴대용 전자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바디를 메인바디의 하향으로 개방하는 수단으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사용하며, 슬라이드부를 상향으로 1회 누르면 개폐 장치가 풀리게 되며 다시 1회 누르면 개폐 장치가 잠기게 되는 '푸쉬 푸쉬(Push-Push)'형 개폐 장치를 제공하여 수동으로 슬라이드바디를 여닫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며 수동 조작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여 보다 정교하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바디를 조작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가이드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e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 - 이동통신 단말기 100 - 메인바디
101 - 기능키 102 - 수화부
103 - 액정화면 110 - 슬라이드바디 삽입부
120 - 슬라이드바디 안착부 130 - 잠금키
200 - 슬라이드바디 201 - 키패드
202 - 송화부 210 - 걸림홈
220 - 키홈 300 - 개폐장치
310 - 작동판 311 - 걸림핀
311a - 걸림돌기 312a,312b - 가이드 레일
313 - 경사돌기 314 - 고정홈
315 - 경사홈 320 - 케이스
321 - 고정핀 330 - 스프링

Claims (8)

  1. 슬라이드 안착부를 구비하는 메인바디;
    상기 슬라이드 안착부에 실장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장착되며 슬라이드바디를 메인바디쪽으로 1회 누르면 슬라이드바디가 하단으로 돌출되며 다시 1회 누르면 슬라이드바디가 메인바디에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는 개폐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고정핀을 구비하는 케이스;
    일측부에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걸림핀, 상기 고정핀의 일끝단이 이동되는 경로가 되는 제 1가이드 레일, 제 2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 1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한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작동판;
    상기 케이스와 작동판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드바디를 슬라이드 안착부의 외부로 밀어내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에는 경사돌기를 더 구비하여 고정핀이 고정홈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시 제 1가이드 레일쪽으로 역방향 진행을 방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 레일에는 경사홈을 더 구비하여 역방향 진행을 방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바디에는 걸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홈에 걸림돌기로 고정하여 상기 슬라이드바디와 작동판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2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동작하여 상기 슬라이드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키홈으로 삽입되는 잠금키를 상기 슬라이드바디 삽입부 일측에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2항에 있어서,
    메인바디에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수화부와, 문자나 각종 기호 및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화면과, 특수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를 구비하며
    슬라이드 바디에는 문자나 각종 기호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와, 음향 신호를 입력하는 송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 후면 상단에 배터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2005-0017729U 2005-06-20 2005-06-20 푸쉬 푸쉬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958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729U KR200395863Y1 (ko) 2005-06-20 2005-06-20 푸쉬 푸쉬형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729U KR200395863Y1 (ko) 2005-06-20 2005-06-20 푸쉬 푸쉬형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863Y1 true KR200395863Y1 (ko) 2005-09-14

Family

ID=4369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729U KR200395863Y1 (ko) 2005-06-20 2005-06-20 푸쉬 푸쉬형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86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942B1 (ko) 2007-04-06 2008-09-02 주식회사 다이아벨 자동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0911684B1 (ko) 2005-11-03 2009-08-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KR101647825B1 (ko) * 2016-04-11 2016-08-11 김정연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
CN109696458A (zh) * 2019-02-19 2019-04-30 泰安博联物联网科技有限公司 基于利用压电检测法的正负x面检测装置及检测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684B1 (ko) 2005-11-03 2009-08-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KR100855942B1 (ko) 2007-04-06 2008-09-02 주식회사 다이아벨 자동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1647825B1 (ko) * 2016-04-11 2016-08-11 김정연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
CN109696458A (zh) * 2019-02-19 2019-04-30 泰安博联物联网科技有限公司 基于利用压电检测法的正负x面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9696458B (zh) * 2019-02-19 2024-04-26 泰安博联物联网科技有限公司 基于利用压电检测法的正负x面检测装置及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4734A (en) Telephone with sliding keypad
US20060148544A1 (en) Multiple opening and clos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486973B2 (en) Pop-up type portable terminal
EP1610420A2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20070006236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25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KR200395863Y1 (ko) 푸쉬 푸쉬형 이동통신 단말기
EP1933537B1 (en)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KR20070030413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191668A (ja) 携帯型無線端末機
JP2006333079A (ja) スライド型携帯通信機
KR100799623B1 (ko) 슬라이드 다운 개폐방식의 휴대 단말기
KR1011447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71462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297337A (ja) 携帯端末
JP2006127809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1013080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68243A (ko) 푸쉬 푸쉬 방식의 개폐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8538467A (ja) 移動体通信デバイス用のデジタル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639506B1 (ko) 회전 가능한 액정화면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1572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모듈
KR20060068244A (ko) 푸쉬 푸쉬 방식의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내부 삽입형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7499266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692715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565304B1 (ko)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의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