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825B1 -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825B1
KR101647825B1 KR1020160044006A KR20160044006A KR101647825B1 KR 101647825 B1 KR101647825 B1 KR 101647825B1 KR 1020160044006 A KR1020160044006 A KR 1020160044006A KR 20160044006 A KR20160044006 A KR 20160044006A KR 101647825 B1 KR101647825 B1 KR 101647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de
fixed
push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연
송영숙
Original Assignee
김정연
송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연, 송영숙 filed Critical 김정연
Priority to KR1020160044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83
    • H01M2/109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서, 제 2하우징 내부에 배터리 모듈 및 제 1하우징이 적재된 상태로 푸시부를 1회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푸시부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구성이 제 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시 푸시부를 1회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푸시부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2하우징에 수용된 배터리 모듈이 분리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이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전후방향으로 적재되는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 상부가 개방되되, 상측에서 상기 제 1하우징이 삽입되는 제 2하우징; 상기 제 2하우징의 좌우측면 상에 상기 돌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에 대해 하방으로 1회 압력을 가하면 하방으로 이동되고, 다시 1회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방으로 되돌아오도록 형성되는 푸시부; 및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제 2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서, 제 2하우징의 내부에 배터리 모듈 및 제 1하우징이 적재된 상태로 푸시부를 1회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푸시부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구성이 제 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시 푸시부를 1회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푸시부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2하우징에 수용된 배터리 모듈이 분리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란 자동차의 가솔린이나 디젤엔진 등의 동력발생장치 대신에, 미리 전기 충전된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로 형성되는 배터리팩을 동력원으로 하여 전동기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일반적으로 전기회로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제어가 쉽고 자동차용으로 바람직한 토크 곡선 등을 가지는 반면에, 배터리팩의 무게에 따라 자동차의 중량이 커지고, 이에 따라 출력 성능이 낮아지게 되며, 또한 배터리팩의 충전, 교환 등의 설비와 손질이 필요하기 때문에, 활성화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가솔린 또는 디젤 등의 석유 연료의 사용에 의한 배기가스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대기오염 방지의 차원에서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출력성능이 우수한 전기 자동차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배터리팩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097229호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배터리팩은 복수 개의 단위 전지셀; 그 사이에 상기 복수의 단위 전지 셀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함께 체결되는 한쌍의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단위 전지 셀들과 적어도 하나의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압력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 조절부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나사, 및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체결되어 상기 조절 나사를 지지하는 나사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배터리팩은 단위 전지셀이 밀착된 상태로 조립 결합되므로 단위 전지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냉각하기 어려워 배터리팩의 충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배터리팩은 상기 단위 전지셀을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고 있는 바, 하나의 상기 단위 전지셀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볼트 결합을 모두 해제해야만 문제의 단위 전지셀에 대해 분리가 가능한 번거로움이 있었다.
KR 10-1097229 B1 (2011. 12. 15.)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 2하우징 내부에 배터리 모듈 및 제 1하우징이 적재된 상태로 푸시부를 1회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푸시부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구성이 제 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시 푸시부를 1회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푸시부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2하우징에 수용된 배터리 모듈이 분리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이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전후방향으로 적재되는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 상부가 개방되되, 상측에서 상기 제 1하우징이 삽입되는 제 2하우징; 상기 제 2하우징의 좌우측면 상에 상기 돌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에 대해 하방으로 1회 압력을 가하면 하방으로 이동되고, 다시 1회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방으로 되돌아오도록 형성되는 푸시부; 및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제 2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푸시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부에 놓여지는 푸시버튼; 상기 제 2하우징의 측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푸시버튼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 탄성부; 상기 제 2하우징의 측면 내부에 형성되되, 고정 가이드부가 삽입되며, 상기 고정 가이드부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 및 일측에 상기 가이드 홈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푸시버튼과 힌지 결합되는 연결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고정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하우징은, 좌우방향 내측면에 상기 배터리 모듈이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 격벽이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제 2하우징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차단하는 내진부가 내부에 더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계 조건에 따라,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이 배치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제 1하우징에 적재하고, 배터리 모듈이 적재된 상태에서 제 1하우징을 제 2하우징에 삽입하여 푸시부를 가압하는 것만으로,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을 한 번에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을 전부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제 1하우징을 분리하고, 새로운 제 1하우징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교체가 가능하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 중 일부를 교체하는 경우, 푸시부에 압축력을 가하여 제 2하우징으로부터 제 1하우징이 이탈될 수 있도록 한 뒤 문제의 배터리 모듈만을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후방향 끝단측에 위치한 배터리 모듈 간의 간격보다 중심측에 위치한 배터리 모듈 간의 간격이 넓도록 배터리 모듈을 배치함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터리 모듈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과 제 1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제 1하우징 및 제 2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부의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상태에서 푸시부에 1회 외력을 가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상태에서 푸시부에 다시 1회 외력을 가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 이후 푸시부의 동작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서, 제 2하우징(300)의 내부에 배터리 모듈(10) 및 제 1하우징(100)이 적재된 상태로 푸시부(400)를 1회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푸시부(400)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10)이 제 2하우징(3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시 상기 푸시부(400)를 1회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푸시부(400)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2하우징(300)에 수용된 배터리 모듈(10)이 분리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상측에 전극탭이 형성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결합한 것으로, 한 쪽은 음극이, 다른 한 쪽은 양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배터리팩 제조에 사용되는 배터리 모듈(10)이므로 이의 세부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과 제 1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제 1하우징 및 제 2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제 1하우징(100), 돌기부(200), 제 2하우징(300), 푸시부(400) 및 덮개(5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하우징(100)은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0)이 수용되는 것으로, 상방이 개방된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10)이 상기 제 1하우징(10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제 1하우징(100)의 좌우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격벽(110)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격벽(110)은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삽입 위치를 안내하는 한편, 삽입된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좌우 내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격벽(110)은 평행한 상태로 구비되고, 이는 상기 좌우 내측면의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모듈(10)은 사용 및 충전시 많은 양의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바,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 1하우징(100)의 좌우 측면에 제 1냉각홀(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냉각홀(120)은 상기 배터리 모듈(10) 사이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 모듈(10)과 인근한 배터리 모듈(10) 사이의 공간과 대응되는 상기 제 1하우징(100)의 좌우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하우징(100)의 좌우 측면에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제 1냉각홀(120)은 동심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일방향으로 공기가 유동되면서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배터리팩 내부에 복수의 배터리 모듈(10)이 등간격으로 적재된 배터리팩의 경우, 배터리팩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방출되는 홀과 가까운 곳의 온도보다는 배터리팩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배터리 모듈(10)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 1하우징(100)의 전후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된 가이드 격벽(110)이 형성되어 있는바, 사용자가 임의로 배터리 모듈(10)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적재, 즉 전후방향 끝단부에 위치한 배터리 모듈(10) 간의 간격보다 중심부에 위치한 배터리 모듈(10) 간의 간격이 넓도록 배터리 모듈(10)을 배치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이 더 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배터리 모듈(10)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요구되는 출력 조건에 따라 배터리 모듈(10)의 개수를 조절하고, 적재되는 위치 또한 선택하여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0)을 사용자의 설계조건에 따라 적재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200)는 제 1하우징(100)을 상기 제 2하우징(300)에 적재 및 이탈시키기 위한 구성임과 동시에 푸시부(400)에 압축력을 가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 1하우징(100)의 좌우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하우징(100)은 장방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돌기부(200)는 좌우 외측면 전후방향 끝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하우징(100)이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2하우징(300) 내부에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하우징(300)은 상기 제 1하우징(100)이 적재 및 이탈되는 구성으로,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하우징(100)이 상측에서 삽입되어 적재된다.
이때, 상기 제 2하우징(300)의 하부에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내진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내진부(310)는 상기 제 1하우징(100)의 하부가 배치되는 "ㄴ"자 형태의 앵글(311) 및 상기 앵글(311)과 제 2하우징(300)의 내면과 연결되는 내진부재(312)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들을 상기 내진부재(312)가 흡수하도록 한다. 상기 내진부재(312)는 스프링, 고무,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력이 좋은 소재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하우징(300)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제 1냉각홀(120)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 2냉각홀(320)이 형성되며, 상기 제 2냉각홀(320)에서 상기 제 1냉각홀(120)로 공기가 유동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냉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푸시부(400)는 푸시(push)-푸시(push)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 1하우징(100)의 고정 결합을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 2하우징(300)의 좌우 외측면 상에 상기 돌기부(2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200)가 상기 푸시부(400)의 상부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푸시부(400)를 가압함에 따라 하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푸시부(400)를 하방으로 1회 가압하면 상기 푸시부(40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1하우징(100)이 상기 제 2하우징(3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시 1회 가압하면 상방으로 되돌아오면서 상기 제 1하우징(100)의 상부가 상기 제 2하우징(30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덮개(500)는 상기 제 2하우징(30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2하우징(300)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결합된다.
부연하면, 상기 덮개(500)는 상기 제 2하우징(3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푸시부(400)에 삽입되는 하우징 결합부(510)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결합부(510)는 상기 덮개(50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출 길이가 상기 푸시부(400)의 상하 이동거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40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결합부(510)가 상기 푸시부(40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 2하우징(3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 결합부(510)의 끝단부에는, 충격을 흡수하되, 상기 돌기부(20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보조 고정부(511)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 고정부(511)는 고무, 엘라스토머 등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 결합부(510)가 상기 돌기부(200)를 견고하게 고정하되,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의 외력을 흡수하여, 상기 제 1하우징(100)으로 외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 결합부(510)의 끝단은 상기 돌기부(200)의 상부 둘레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200)가 상기 하우징 결합부(510)의 끝단에 완전히 삽입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더욱 견고하게 상기 제 1하우징(100)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 상기 제 1냉각홀(120) 및 제 2냉각홀(320)을 통해 공기가 일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냉각하도록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배출되게 되는 바, 가온되어 상승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500)에 공기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냉각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제 1하우징(100) 및 제 2하우징(300)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 유입구(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온의 공기는 상측으로 이동되고 저온의 공기는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자명한 바, 상기 공기 유입구는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터리 모듈(10) 사이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측으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설계 조건에 따라,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0)이 배치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제 1하우징(100)에 적재하고, 배터리 모듈(10)이 적재된 상태에서 제 1하우징(100)을 제 2하우징(300)에 삽입하여 상기 푸시부(400)를 가압하는 것만으로,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0)을 한 번에 적재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0)을 전부 교체 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제 1하우징(100)을 분리하고, 새로운 제 1하우징(100)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교체가 가능하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0) 중 일부를 교체하는 경우, 푸시부(400)에 압축력을 가하여 제 2하우징(300)으로부터 제 1하우징(100)이 이탈될 수 있도록 한 뒤 문제의 배터리 모듈(10)만을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부의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상태에서 푸시부에 1회 외력을 가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상태에서 푸시부에 다시 1회 외력을 가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 이후 푸시부의 동작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푸시부(400)는 푸시버튼(410), 가이드 탄성부(420), 가이드 홈(430) 및 고정 가이드부(4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8은 상기 푸시부(4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상태도로서, 본 발명에서는 기술의 동작 원리를 더욱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상기 푸시버튼(410), 가이드 탄성부(420), 및 고정 가이드부(440)의 상호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하지 않고 하기에서 서술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각 구성이 하기에서 설명하는 동작원리에 따라 상기 푸시부(400)가 작동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푸시버튼(410)은 상기 돌기부(200)가 상부에 얹어져 직접 외력이 가해지는 구성으로서,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항상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푸시버튼(410)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하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 2하우징(300)의 측면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 2하우징(300)의 측면에 상기 푸시버튼(410)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푸시버튼(410)의 하부가 삽입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푸시버튼(410)의 전체가 삽입되거나 삽입된 푸시버튼(410)이 다시 상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탄성부(420)는 상기 푸시버튼(410)의 동작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 2하우징(300)의 측면 내부에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체 안내홈(422)과 상기 탄성체 안내홈(422)에 구비되는 탄성체 구동부(421)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탄성체 구동부(421)는 슬라이딩 부재(423)에 의해 상기 푸시버튼(410)의 하부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423)의 상부에 탄성체(424)이 구비되며, 상기 푸시버튼(410)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탄성체(424)는 상기 제 2하우징(300) 내에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10)의 무게에 따라 적절한 탄성계수를 갖는 것으로 사용되며, 상기 푸시버튼(410)에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인장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부재(423)는 상기 푸시버튼(410)에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 즉, 상기 푸시버튼(410)이 최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최하측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푸시버튼(410)에 외력을 가하여 푸시버튼(41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423)는 점차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탄성체(424)을 압축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홈(430)은 상기 고정 가이드부(440)가 이동되는 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푸시버튼(410)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 가이드부(440)가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홈은 고정경로(431), 복귀경로(432) 및 고정 안착홈(43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경로(431)는 상기 푸시버튼(410)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 가이드부(440)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로이며, 상기 복귀경로(432)는 상기 푸시버튼(410)이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 가이드부(440)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로이다.
상기 고정 안착홈(433)은 상기 고정경로(431) 및 복귀경로(432)의 최상측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1회 가압에 의해 상기 고정경로(431)를 따라 이동된 상기 고정 가이드부(440)가 안착되되, 다시 상방에서 하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안착된 상기 고정 가이드부(440)가 상기 복귀경로(43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경로(431) 및 상기 복귀경로(432)의 최상측이 일부 하측으로 경사지게 상기 고정 안착홈(433)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경로(431)와 고정 안착홈(433)의 경사각도는 상기 복귀경로(432)와 고정 안착홈(433)의 경사각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안착홈(433)에 안착된 고정 가이드부(440)를 재가압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경사가 완만한 상기 복귀경로(432)를 따라 이동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 가이드부(440)가 상기 고정경로(431), 고정 안착홈(433) 및 복귀경로(432)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제 1하우징(100)을 적재 또는 방출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 가이드부(440)는 일측에 연결돌기(441)가 형성되고 타측에 가이드 돌기(442)가 형성되는 막대(bar)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442)가 상기 연결돌기(441)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 홈(430)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돌기(441)는 상기 푸시버튼(410)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동작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가이드 홈(430)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버튼(410)과 힌지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441)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 돌기(442)의 이동을 보조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442)는 상기 가이드 홈(430)에 배치되며, 상기 푸시버튼(4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441)가 상기 가이드 홈(4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 돌기(442) 또한 상기 가이드 홈(4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푸시버튼(410)을 고정 또는 복귀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시부(400)는 푸시버튼(410), 가이드 탄성부(420) 및 고정 가이드부(440)가 서로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푸시버튼(410)에 가해지는 압축력에 의해 동작이 결정된다. 즉, 상기 푸시버튼(410)이 하측으로 이동되는 수직거리, 상기 가이드 탄성부(420)의 슬라이딩 부재(423)가 이동되는 수직거리 및 상기 고정 가이드부(440)가 이동되는 수직거리는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구성에 따라 동작되는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최초에 푸시버튼(410)에 압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체(424)는 최대로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슬라이딩 부재(423)는 상기 탄성체 안내홈(422) 최하측에, 연결돌기(441)는 가이드 홈(430)의 최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푸시버튼(410)에 압축력을 가함에 따라, 상기 푸시버튼(410)이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푸시버튼(410)의 동작과 연동된 상기 슬라이딩 부재(423)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423)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체(424)가 압축된다.
이와 동시에 연결돌기(441)가 고정경로(431)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가이드 돌기(442)가 최상측까지 이동되며, 상기 고정경로(431)의 최상측의 경사부를 따라 고정 안착홈(433)에 상기 가이드 돌기(442)가 안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푸시버튼(410)이 최하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푸시버튼(410)의 상측에 놓인 돌기부(20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하우징(100)이 상기 제 2하우징(300)의 내부에 적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푸시버튼(410)에 다시 압축력을 가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442)가 상대적으로 경사가 완만한 상기 복귀경로(432)측으로 이동, 즉, 상기 가이드 돌기(442)가 상기 고정 안착홈(433)에서 이탈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424)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인장이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423)가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푸시버튼(410)은 상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442)는 상기 복귀경로(432)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 배터리 모듈
100 : 제 1하우징 110 : 가이드 격벽
120 : 제 1냉각홀
200 : 돌기부
300 : 제 2하우징 310 : 내진부
311 : 앵글 312 : 내진부재
400 : 푸시부
410 : 푸시버튼
420 : 가이드 탄성부 421 : 탄성체 구동부
422 : 탄성체 안내홈 423 : 슬라이딩 부재
424 : 탄성체
430 : 가이드 홈 431 : 고정경로
432 : 복귀경로 433 : 고정 안착홈
440 : 고정 가이드부 441 : 연결돌기
442 : 가이드 돌기
500 : 덮개 510 : 하우징 결합부
511 : 보조 고정부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0)이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전후방향으로 적재되는 제 1하우징(100);
    상기 제 1하우징(100)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200);
    상부가 개방되되, 상측에서 상기 제 1하우징(100)이 삽입되는 제 2하우징(300);
    상기 제 2하우징(300)의 좌우측면 상에 상기 돌기부(2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200)에 대해 하방으로 1회 압력을 가하면 하방으로 이동되고, 다시 1회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방으로 되돌아오도록 형성되는 푸시부(400); 및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제 2하우징(300)의 상부를 덮는 덮개(500);
    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400)는,
    상기 돌기부(200)가 상부에 놓여지는 푸시버튼(410);
    상기 제 2하우징(300)의 측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푸시버튼(410)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 탄성부(420);
    상기 제 2하우징(300)의 측면 내부에 형성되되, 고정 가이드부(440)가 삽입되며, 상기 고정 가이드부(440)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430);
    일측에 상기 가이드 홈(430)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푸시버튼(410)과 힌지 결합되는 연결돌기(441)가 형성되고 타측에 가이드 돌기(442)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430)에 삽입되는 고정 가이드부(440);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430)은,
    상기 푸시버튼(410)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 가이드부(440)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고정경로(431);
    상기 푸시버튼(410)이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 가이드부(440)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귀경로(432); 및
    상기 고정경로(431) 및 복귀경로(432)의 최상측을 연결하되, 상기 고정경로(431) 및 상기 복귀경로(432)의 최상측이 일부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고정 안착홈(433);
    으로 이루어지며,
    가압에 의해 상기 고정경로(431)를 따라 이동된 상기 고정 가이드부(440)가 안착되되, 다시 상방에서 하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안착된 상기 고정 가이드부(440)가 상기 복귀경로(43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경로(431)와 고정 안착홈(433)의 경사각도는 상기 복귀경로(432)와 고정 안착홈(433)의 경사각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100)은,
    좌우방향 내측면에 상기 배터리 모듈(10)이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 격벽(110)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하우징(300)은,
    상기 제 2하우징(300)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차단하는 내진부(310)가 내부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
KR1020160044006A 2016-04-11 2016-04-11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 KR101647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006A KR101647825B1 (ko) 2016-04-11 2016-04-11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006A KR101647825B1 (ko) 2016-04-11 2016-04-11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825B1 true KR101647825B1 (ko) 2016-08-11

Family

ID=56714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006A KR101647825B1 (ko) 2016-04-11 2016-04-11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825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800A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밀도 향상 및 조립 공정이 간소화된 배터리 모듈
CN109360909A (zh) * 2018-09-29 2019-02-19 宁波智正伟盈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新能源汽车电池保护架
WO2019177274A1 (ko) * 2018-03-12 2019-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자동차의 보조 배터리 수납장치
US10483510B2 (en) 2017-05-16 2019-11-19 Shape Corp. Polarized battery tray for a vehicle
US10632857B2 (en) 2016-08-17 2020-04-28 Shape Corp.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US10661646B2 (en) 2017-10-04 2020-05-26 Shape Corp. Battery tray flo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US10886513B2 (en) 2017-05-16 2021-01-05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integration
US11088412B2 (en) 2017-09-13 2021-08-10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tubular peripheral wall
US11155150B2 (en) 2018-03-01 2021-10-26 Shape Corp. Cooling system integrated with vehicle battery tray
US11211656B2 (en) 2017-05-16 2021-12-28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integrated battery retention and support feature
US11214137B2 (en) 2017-01-04 2022-01-04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structure with nodal modularity
CN114447494A (zh) * 2021-11-25 2022-05-06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包及用电装置
KR20230093106A (ko) 2021-12-17 2023-06-27 서진산업 주식회사 배터리팩의 락구조
US11688910B2 (en) 2018-03-15 2023-06-27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925A (ko) * 2003-06-28 2005-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395863Y1 (ko) * 2005-06-20 2005-09-1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푸쉬 푸쉬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97229B1 (ko) 2010-04-21 2011-12-2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KR20140042668A (ko) * 2012-09-28 2014-04-07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에너지 재팬 축전 장치
KR20140057967A (ko) * 2012-11-05 2014-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925A (ko) * 2003-06-28 2005-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395863Y1 (ko) * 2005-06-20 2005-09-1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푸쉬 푸쉬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97229B1 (ko) 2010-04-21 2011-12-2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KR20140042668A (ko) * 2012-09-28 2014-04-07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에너지 재팬 축전 장치
KR20140057967A (ko) * 2012-11-05 2014-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제조방법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3697B2 (en) 2016-08-17 2022-03-15 Shape Corp.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US11660950B2 (en) 2016-08-17 2023-05-30 Shape Corp.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US10632857B2 (en) 2016-08-17 2020-04-28 Shape Corp.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KR102187056B1 (ko) * 2016-12-20 2020-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밀도 향상 및 조립 공정이 간소화된 배터리 모듈
KR20180071800A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밀도 향상 및 조립 공정이 간소화된 배터리 모듈
US11214137B2 (en) 2017-01-04 2022-01-04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structure with nodal modularity
US10483510B2 (en) 2017-05-16 2019-11-19 Shape Corp. Polarized battery tray for a vehicle
US10886513B2 (en) 2017-05-16 2021-01-05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integration
US11211656B2 (en) 2017-05-16 2021-12-28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integrated battery retention and support feature
US11691493B2 (en) 2017-05-16 2023-07-04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US11088412B2 (en) 2017-09-13 2021-08-10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tubular peripheral wall
US10960748B2 (en) 2017-10-04 2021-03-30 Shape Corp. Battery tray flo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US10661646B2 (en) 2017-10-04 2020-05-26 Shape Corp. Battery tray flo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US11267327B2 (en) 2017-10-04 2022-03-08 Shape Corp. Battery tray flo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US11787278B2 (en) 2017-10-04 2023-10-17 Shape Corp. Battery tray flo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US11155150B2 (en) 2018-03-01 2021-10-26 Shape Corp. Cooling system integrated with vehicle battery tray
US11390174B2 (en) 2018-03-12 2022-07-19 Lg Energy Solution, Ltd. Auxiliary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WO2019177274A1 (ko) * 2018-03-12 2019-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자동차의 보조 배터리 수납장치
US11688910B2 (en) 2018-03-15 2023-06-27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CN109360909B (zh) * 2018-09-29 2023-05-23 伟源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新能源汽车电池保护架
CN109360909A (zh) * 2018-09-29 2019-02-19 宁波智正伟盈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新能源汽车电池保护架
CN114447494A (zh) * 2021-11-25 2022-05-06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包及用电装置
KR20230093106A (ko) 2021-12-17 2023-06-27 서진산업 주식회사 배터리팩의 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825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팩
KR102061745B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10114906B (zh) 端板、电池模块、电池组以及车辆
KR102172517B1 (ko) 크래쉬 빔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KR102244139B1 (ko) 배터리 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965373B1 (ko) 원통형 배터리 모듈
KR102094445B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658594B1 (ko)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10205143B2 (en) Battery pack
KR101764842B1 (ko)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70135476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90018389A (ko) 온도 조절 성능이 개선된 배터리 팩
KR101842515B1 (ko) 배터리 모듈 케이스
JP7334326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US20230299415A1 (en) Battery pack having gas venting path
JP7266749B2 (ja) 冷却流路構造の効率化及び安定性を向上させた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KR101696314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90012979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 장치
KR101684311B1 (ko) 크래쉬 빔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지팩
KR101325201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KR20060063174A (ko) 전지 모듈과 전지 모듈의 격벽
KR102646853B1 (ko) 배터리 모듈
JP7353504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の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US10497997B2 (en) Assembly and method to maintain clearance to a thermal fin within a battery assembly
KR102082904B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