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177A -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177A
KR20200086177A KR1020190002481A KR20190002481A KR20200086177A KR 20200086177 A KR20200086177 A KR 20200086177A KR 1020190002481 A KR1020190002481 A KR 1020190002481A KR 20190002481 A KR20190002481 A KR 20190002481A KR 20200086177 A KR20200086177 A KR 20200086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ver
case
battery
elastic pie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2945B1 (ko
Inventor
서준호
손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to KR102019000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9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6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44
    • H01M2/1055
    • H01M2/106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삽입되는 배터리 커버; 및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의 일측과 체결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케이스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SEPARATION STRUCTURE OF BATTERY COVER}
본 발명은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케이스에서 원터치 방식으로 슬라이딩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리모컨, 카메라와 같은 전자기기나 전동용 장난감 등에는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가 사용된다.
이러한 배터리는 전자기기나 장난감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교체 가능하게 내장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구조를 가지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터리 커버에 보호를 받는다.
예컨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TV, DVD, 선풍기, 에어컨, 오디오, 공기청정기 등)는 대부분 리모컨에 의해 원격 조정되는바, 리모컨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리모컨 케이스에 마련된 배터리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 배터리 수용공간은 배터리 커버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는 다양한 방식의 체결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커버의 일측 단부에 마련된 돌출부를 케이스의 결합공에 삽입하고 배터리 커버의 타측 단부에 마련된 탄성편을 케이스의 홈부에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에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케이스상에서 배터리 커버를 분리시킬 시에는, 손가락으로 탄성편을 가압하여 당긴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의 타측부를 들어올린 뒤 케이스 상에서 배터리 커버를 분리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 이외에 슬라이딩 방식이나 억지끼움 방식으로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를 서로 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기존의 체결방식은,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에도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의 체결력을 유지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설계되기 때문에 성인남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 여성 등이 배터리 커버를 분리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배터리 커버는, 배터리와 별도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 여성 등이 케이스에 수납된 배터리를 꺼내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6837호의 '리모콘 배터리커버 분실방지를 위한 홀더체결구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 커버가 원터치 방식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케이스의 내부에서 노출되도록 하는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배터리 커버; 및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의 일측과 체결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케이스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버튼부가 작동되면 상기 배터리 커버를 밀어내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를 노출시키는 푸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수용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버튼부에 마련된 후크와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푸시부와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부는,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시에 상기 접촉부재와 접촉되는 탄성편; 상기 탄성편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완충구멍을 형성하는 완충 플레이트; 및 상기 완충 플레이트와 상기 탄성편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탄성편의 길이방향 양측과 각각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서 소정의 곡률로 절곡되어 배터리를 지지하는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며,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에 마련된 단턱부에 걸림되는 스톱퍼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상기 후크가 마련된 누름 플레이트; 및 상기 누름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는,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 여성도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케이스상에서 배터리 커버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배터리 교체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는, 버튼부의 누름 플레이트를 누르는 원터치 방식으로 배터리 커버가 케이스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노출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배터리 교체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는, 배터리 커버가 배터리를 안정으로 수용한 상태에서 케이싱의 수용공간에 슬라이딩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배터리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분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가 케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기 위하여 케이스의 외측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가 케이스에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접촉부재가 케이스의 탄성편과 접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배터리 커버의 접촉부재가 케이스의 탄성편에 의해 밀려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가 케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기 위하여 케이스의 외측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가 케이스에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접촉부재가 케이스의 탄성편과 접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배터리 커버의 접촉부재가 케이스의 탄성편에 의해 밀려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100)는, 배터리 수용공간(S)이 마련되는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배터리 커버(300); 및 상기 케이스(200)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300)의 일측과 체결되는 버튼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케이스(200)는, 배터리를 요구하는 다양한 전자기기나 장난감(완구)의 외관을 구성하는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나 장난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200)는, TV나 에어컨 등에 사용되는 리모컨의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케이스(200)에 마련된 수용공간(S)은, 배터리(미도시)와 배터리 커버(300)를 함께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배터리의 형태나 개수 그리고, 배터리 커버(300)의 형태에 대응되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배터리 커버(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바, 이 수용공간(S)으로 삽입되면 케이스(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비노출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300)는, 배터리를 지지한 채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케이스(2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300)는, 종래와는 다르게 배터리가 미리 삽입된 케이스의 공간을 덮는 커버 역할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를 지지한 채로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에 삽입되거나 수용공간(S)에서 분리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배터리 커버(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메인 플레이트(310); 메인 플레이트(310)의 일측에 마련되되 버튼부(400)에 마련된 후크(412)와 체결되는 체결부재(320); 및 메인 플레이트(310)의 타측에 배치되어 후술할 케이스(200)의 푸시부(210)와 접촉되는 접촉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310)는, 소정의 면적과 길이를 가진 채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외면 일부를 감싼 채로 지지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체결부재(320)는, 메인 플레이트(310)의 길이방향 일측 저면에 후크의 형태를 가진 채로 마련될 수 있으며, 버튼부(400)의 후크(412)에 걸림될 수 있다.
접촉부재(330)는, 메인 플레이트(310)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된 푸시 플레이트(340)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푸시 플레이트(340)의 일면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메인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일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기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푸시 플레이트(340)는, 사용자가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에 배터리 커버(300)를 삽입하거나 수용공간(S)에서 배터리 커버(300)를 분리시킬 시에, 사용자에 의해 가압을 받거나 당겨지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플레이트(310)의 폭방향 양측에는 소정의 곡률로 각각 절곡되어 배터리의 외면을 지지하는 보조 플레이트(3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보조 플레이트(350)는 메인 플레이트(310)와 협력하여 배터리가 안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획하며, 이에 따라, 배터리가 보조 플레이트(350)와 메인 플레이트(31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안치된 채 배터리 커버(300)와 함께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 커버(30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400)가 외력에 가압을 받아 작동되면,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케이스(200)와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200)는, 버튼부(400)의 후크(412)가 배터리 커버(300)의 체결부재(330)와 비접촉 되었을 시에, 배터리 커버(300)를 수용공간(S)상에서 밀어내는 푸시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시부(210)는 케이스(200)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며, 도 3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300)가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에 삽입될 시에 배터리 커버(300)에 마련된 접촉부재(330)와 접촉되는 탄성편(211); 탄성편(211)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완충구멍(212a)을 형성하는 완충 플레이트(212); 및 완충 플레이트(212) 탄성편(211)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편(213);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편(211)은, 배터리 커버(300)의 슬라이딩 이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탄성편(211)은 배터리 커버(30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푸시 플레이트(340)에 마련된 한 쌍의 접촉부재(330)의 이격간격보다 긴 길이를 가진 채로 마련될 수 있다.
완충 플레이트(212)는, 탄성편(211)이 접촉부재(330)에 가압을 받을 시에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탄성편(211)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아울러, 접촉부재(300)에 가압을 받아 변형된 탄성편(211)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완충 플레이트(212)의 중앙부에는 완충구멍(212a)이 마련될 수 있다.
이 완충구멍(212a)은, 접촉부재(330)에 의해 탄성편(211)에 발생되는 가압력이 완충 플레이트(212)로 전달될 시에, 이 압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여 완충 플레이트(212) 또는 탄성편(21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접촉부재(330)와 탄성편(211)이 비접촉될 시에는 탄성편(211)이 원상태로 변형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완충구멍(212a)은, 탄성편(211)이 접촉부재(330)에 가압을 받아 변형되면 이에 연동되어 완충 플레이트(212)도 변형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탄성편(211)이 접촉부재(330)에 가압을 받지 않을 시에는 변형되었던 완충 플레이트(212) 및 탄성편(211)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완충구멍(212a)은, 접촉부재(33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원형이나 타원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완충 플레이트(212)에 완충구멍(212a)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편(211)이 접촉부재(330)에 의해 가압을 받게되면, 탄성편(211)에 전달되는 가압력이 분산되지 못하여 탄성편(211)이 파손되거나, 또는, 변형 후 원상태로 복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완충구멍(212a)과 같이 완충 플레이트(212)가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탄성편(211)과 완충 플레이트(212)가 접촉부재(330)의 가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편(213)은 탄성편(211)의 길이방향 중단과 완충 플레이트(212)의 중앙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편(213)은 탄성편(211)과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부재(330)와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탄성편(211)이 접촉부재(330)와 접촉되어 변형되는 것에 간섭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접촉부재(330)가 탄성편(211)의 길이방향 단부와 각각 접촉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연결편(213)은 탄성편(211)의 길이방향 중단과 완충 플레이트(212)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푸시부(210)는, 사용자가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하여 버튼부(400)를 작동시키면, 배터리 커버(300)의 접촉부재(330)를 탄성적으로 밀어내어 배터리 커버(300)가 케이스(200)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케이스(200)에서 노출된 배터리 커버(300)를 파지하여 케이스(200)와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커버(300)에 안치된 배터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버튼부(400)의 누름 플레이트(410)를 누르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400)가 하강되면서 후크(412)와 배터리 커버(300)의 체결부재(320)가 서로 체결해제 될 수 있다.
이에 연동되어, 푸시부(210)의 탄성편(211)과 접촉되어 있던 접촉부재(330)의 가압력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반하여 탄성편(211)의 탄성 복원력은 늘어나면서 접촉부재(330)를 탄성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용공간(S)에서 배터리 커버(30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 노출도니 배터리 커버(300)의 부위를 파지한 뒤 케이스(200)상에서 배터리 커버(300)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참고로, 버튼부(400)가 작동되었을 시에, 푸시부(210)에 가압을 받아 케이스(200)에서 밀려나는 배터리 커버(300)의 슬라이딩 이동거리는 접촉부재(330)의 돌출길이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예컨대, 푸시 플레이트(340)의 일면에서 돌출된 접촉부재(330)의 돌출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질수록 푸시부(210)에 의해 케이스(200)상에서 밀려나는 배터리 커버(300)의 슬라이딩 이동거리가 길어진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접촉부재(330)의 돌출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질수록 푸시부(210)에 의해 케이스(200)상에서 밀려나는 배터리 커버(300)의 슬리이딩 이동거리가 짧아진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접촉부재(330)의 돌출길이는, 버튼부(400)가 작동되었을 시에 케이스(200)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배터리 커버(300)의 노출 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300)에 안치된 배터리의 중량, 배터리 커버(300)의 전체적인 길이 등을 고려하고, 또한, 사용자가 케이스(200)에서 노출된 배터리 커버(300)의 부위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접촉부재(330)의 돌출길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외측 프레임에 공지의 가압핀(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는 핀홀을 형성시켜 버튼부(400)의 누름 플레이트(410)를 가압핀으로 가압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케이스(200)에 누름 플레이트(410)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누름 플레이트(410)를 눌러 배터리 커버(300)를 분리시키는 구조로 케이스(200)를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200 : 케이스
210 : 푸시부 211 : 탄성편
212 : 완충 플레이트 212a : 완충구멍
213 : 연결편 300 : 배터리 커버
310 : 메인 플레이트 320 : 체결부재
330 : 접촉부재 340 : 푸시 플레이트
350 : 보조 플레이트 400 : 버튼부
410 : 누름 플레이트 411 : 스톱퍼
412 : 후크 420 : 탄성 스프링

Claims (7)

  1. 배터리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배터리 커버; 및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의 일측과 체결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케이스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버튼부가 작동되면 상기 배터리 커버를 밀어내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를 노출시키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수용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버튼부에 마련된 후크와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푸시부와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시에 상기 접촉부재와 접촉되는 탄성편;
    상기 탄성편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완충구멍을 형성하는 완충 플레이트; 및
    상기 완충 플레이트와 상기 탄성편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탄성편의 길이방향 양측과 각각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폭방향 양측에서 소정의 곡률로 절곡되어 배터리를 지지하는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며,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에 마련된 단턱부에 걸림되는 스톱퍼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상기 후크가 마련된 누름 플레이트; 및
    상기 누름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KR1020190002481A 2019-01-08 2019-01-08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KR102152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481A KR102152945B1 (ko) 2019-01-08 2019-01-08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481A KR102152945B1 (ko) 2019-01-08 2019-01-08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177A true KR20200086177A (ko) 2020-07-16
KR102152945B1 KR102152945B1 (ko) 2020-09-07

Family

ID=7183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481A KR102152945B1 (ko) 2019-01-08 2019-01-08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6354A (zh) * 2020-12-31 2021-04-30 宁波众心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源站及其充放电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622A (ko) * 2008-07-10 2010-01-21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배터리 커버 체결구조 및 그것을 갖는 휴대 단말기
JP2015230851A (ja) * 2014-06-05 2015-12-21 株式会社タニタ ロック構造、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622A (ko) * 2008-07-10 2010-01-21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배터리 커버 체결구조 및 그것을 갖는 휴대 단말기
JP2015230851A (ja) * 2014-06-05 2015-12-21 株式会社タニタ ロック構造、および、電子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6354A (zh) * 2020-12-31 2021-04-30 宁波众心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源站及其充放电方法
CN112736354B (zh) * 2020-12-31 2023-03-24 宁波众心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源站及其充放电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945B1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369B1 (ko)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배터리팩 케이스 락킹 장치
TW201436390A (zh) 電源插座
JP6872589B2 (ja) 撮影補助装置
KR10042509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 구조
KR20200086177A (ko)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JP2013254878A (ja) 電子機器
US8174236B2 (en) Battery charging device and battery with the same
US3414793A (en) Hearing aid battery charger
KR100911684B1 (ko)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KR20180076142A (ko) 탈장착이 편리한 캡을 갖는 완속 충전 커플러
KR200333727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팩 탈장착용 노브 결합구조
CN219835534U (zh) 一种烹饪设备的可拆卸手柄
US8246364B2 (en) Power strip with safety cover
TW202023095A (zh) 電池模組與電子裝置
CN217387385U (zh) 一种智能设备
KR101947005B1 (ko) 전동공구 배터리 충전기
US823394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securing mechanism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KR200183119Y1 (ko) 원터치 자동분리 연결고리
KR200335178Y1 (ko) 메모리카드 착탈 손잡이
JP4936704B2 (ja) パック電池
CN201005166Y (zh) 带打火机的皮带头
JPS6166362A (ja) 電池カバ−の抜け止め装置
KR200327771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구조
KR20033376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