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306Y1 -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306Y1
KR200379306Y1 KR20-2004-0037354U KR20040037354U KR200379306Y1 KR 200379306 Y1 KR200379306 Y1 KR 200379306Y1 KR 20040037354 U KR20040037354 U KR 20040037354U KR 200379306 Y1 KR200379306 Y1 KR 200379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detachable
rocker
mobile terminal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시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7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3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3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구조를 종래와 달리 구성한 것으로서,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배터리 케이스의 착탈로커를 안테나 쪽으로 밀어 올리는 방식이 아닌 착탈로커의 일측을 안쪽의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위에서 밑으로 눌러 중간에 설치된 회동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착탈로커가 일종의 시소운동을 하는 방식에 의해 착탈로커 하단부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돌출부가 상하로 원호운동을 함으로써, 배터리 케이스 후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착탈로커의 결합돌출부가 삽입되거나 분리되어 배터리 케이스의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A FITTING LOCKER OF BATTERY CASE OF MOBILE TERMINAL}
본 고안은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구조를 종래와 달리 구성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배터리 케이스를 장착하기 위한 착탈로커의 일측을 본체부의 후면 상에서 착탈로커에 형성된 회동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로 눌러 타측의 결합돌출부를 배터리 케이스의 결합홈에 삽입시키거나 분리시킴으로써 배터리 케이스를 장착하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모바일 폰 단말기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 배터리가 내장된 배터리 케이스를 모바일 단말기의 본체부 후면에 장착한 배터리 착탈로커에 의해 착탈함으로써 방전된 배터리와 충전된 배터리를 서로 교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쪽에는 LCD 화면이 있는 화면부(10a)가 있고 뒤쪽에는 전면의 키패드와 함께 후면에 배터리 케이스(20)가 장착되는 부위가 있는 본체부(10)로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형성된 로커설치부(90)에는 내장된 스프링(50)에 의해 수평면 상에서 앞뒤로 이동하는 착탈로커(30)가 설치되고, 배터리 케이스(20)의 상단면에는 상기 착탈로커의 일단부에 형성된 결합돌출부(70)가 삽입되는 결합홈(20a)을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도 6을 참조하여 이와 같은 종래 배터리 케이스의 착탈방식을 설명하면, 거의 모두 본체부(10)에 설치된 착탈로커(30)를 한쪽 손으로 대고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쪽으로 밀어 올려 내장된 스프링(50)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다른쪽 손으로 배터리 케이스(20)를 본체부의 후면에 놓고 착탈로커를 밀어 올리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착탈로커가 자동으로 복귀되면서, 배터리 케이스(20) 상단부의 결합홈(20a) 내에 배터리 착탈로커(30) 일단부의 결합돌출부(70)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방식으로 배터리 케이스를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하고 있고, 배터리 케이스를 모바일 단말기에서 분리할 때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실행하여 착탈로커의 결합돌출부를 배터리 케이스의 결합홈 바깥으로 분리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의 배터리 착탈로커는 배터리 케이스를 장착하기 위해 스프링의 압축과 함께 이동되는 착탈로커의 이동거리 때문에 이동거리만큼 여유공간을 착탈로커 상에 항상 두어야 하고, 착탈로커를 밀어올릴 때 마찰력을 좋게 하기 위해 착탈로커 면에 반드시 홈(40)을 형성해야 하는 점으로 인해 디자인을 변경하는데에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배터리 케이스의 착탈은 대부분의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들이 경험하는 바와 같이, 한쪽 손의 엄지로는 착탈로커를 밀어올리면서 다른쪽 손으로 배터리 케이스를 잡고 결합홈에 착탈로커의 결합돌출부를 빼내어 배터리 케이스 분리할 때, 결합돌출부가 빠진 후에도 본체부에서 배터리 케이스가 잘 분리되지 않아 손으로 잡고 억지로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배터리 케이스를 본체부에 결합할 때에도 착탈로커를 밀어올리면서 배터리 케이스의 결합홈에 착탈로커의 결합돌출부를 맞추어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배터리 케이스 착탈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배터리 케이스의 착탈로커를 안테나 쪽으로 밀어 올리는 방식이 아닌 착탈로커의 일측을 안쪽의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위에서 밑으로 눌러 중간에 설치된 회동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착탈로커가 일종의 시소운동을 하는 방식에 의해 착탈로커 하단부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돌출부가 상하로 원호운동을 함으로써, 배터리 케이스 후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착탈로커의 결합돌출부가 삽입되거나 분리되어 배터리 케이스의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서로 마주보는 상기 결합돌출부와 결합홈에 각각 삼각돌기부를 형성하여 상하로 미세하게 서로 겹쳐지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상기 삼각돌기부는 서로 마주보는 일단부가 나란히 대칭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한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본체부에 배터리 케이스가 착탈로커에 의해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로커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상단부 일면에 상기 착탈로커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후면 상단부의 일면 상에 스프링홈과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로커설치부가 구성되며, 상기 착탈로커는 하단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주에 끼워진 스프링과 함께 상기 스프링홈에 삽입되는 스프링돌출부와, 하단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결합홈과 서로 마주보는 일단부의 돌기가 상하로 서로 겹쳐지면서 결합되는 결합돌출부와, 상기 스프링돌출부와 삽입돌기 사이에 장착되어 로커설치부의 양측벽에 걸려 고정되는 회동중심축으로 구성되어 일측이 이탈방지턱 안쪽에 위치하도록 로커설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서로 마주보는 배터리 케이스의 결합홈과 착탈로커의 결합돌출부의 돌기는 끝이 뾰족한 형상의 삼각돌기부로 각각 형성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각각의 삼각돌기부는 서로 마주보는 일단부가 나란히 대칭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를 보여주는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에 따른 요부 확대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LCD가 있는 화면부(1a)와 앞쪽에는 키패드가 설치되고 뒤쪽에는 배터리 케이스(2)가 장착되는 본체부(1)로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본체부 후면의 상단부 중앙에 홈의 형태로 로커설치부(9)가 형성되어, 이 로커설치부(9) 바닥면 상의 안쪽에 원통형으로 돌출형성하여 스프링홈(4)을 형성하고 있고, 더 안쪽으로 공간을 형성하면서 스프링홈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돌출된 부위가 이탈방지턱(10)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케이스(2)의 상단부 일면에는 결합홈(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본체부의 후면에 배터리 케이스를 착탈하는 착탈로커(3)를 설치하되, 상기 스프링홈(4)에 삽입되는 스프링(5)이 끼워진 스프링돌출부(6)가 상기 착탈로커 일측의 하단면에 형성되고, 착탈로커의 일측은 또한 이탈방지턱(10)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탈방지턱으로 하여금 착탈로커의 일측이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하며, 착탈로커 타측의 하단면에는 배터리 케이스(2) 상단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홈(2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출부(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출부의 일면 및 이와 마주하는 결합홈 내의 일측벽은 일단부에서 직각으로 끝이 뾰족하게 각각 형성되는 삼각돌기부(7b)(2b)들이 상하로 서로 겹쳐져 미세하게 맞물리면서 마주보도록 되어 있다. 이때,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삼각돌기부들의 일단부는 나란하게 대칭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로커(3) 하단부의 스프링돌출부(6)와 결합돌출부(7)의 사이에는 회동중심축(8)이 장착되어 이 회동중심축의 양단부가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로커설치부(9)의 양측벽에 걸려서 연결됨으로써, 로커설치부에 설치된 착탈로커(3)가 본체부(1)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회동중심축은 항상 중심축으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하므로 반복적인 동작에도 잘 견딜 수 있는 금속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로커의 작동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 케이스(2)를 교체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의 본체부(1a)에서 배터리 케이스를 빼내는 경우, 착탈로커(3) 일측의 상단면을 스프링(5)이 장착된 하단면을 향해 한쪽 손으로 위에서 밑으로 눌러 스프링을 압축시키면, 상기 회동중심축(8)을 기준으로 착탈로커(3)가 시소운동을 하는 원리에 의해 착탈로커 타측의 하단면에 형성된 결합돌출부(7)가 착탈로커 일측과는 반대로 상부로 원호운동을 하게 되면서, 서로 미세하게 겹쳐진 착탈로커(3)의 삼각돌기부(7b)와 결합홈(2a)의 삼각돌기(2b) 중 결합돌출부의 삼각돌기부(7b)가 결합홈의 삼각돌기부(2b)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때 배터리 케이스(2) 하단부 양쪽을 다른쪽 손으로 잡고 위로 살짝 올리면서 뒤로 빼내어 본체부에서 분리시킨다.
이후에, 새로운 배터리 케이스를 모바일 단말기의 본체부(1a)에 결합시키는 경우, 착탈로커(3) 일측의 상단면을 스프링(5)이 장착된 하단면을 향해 한쪽 손으로 위에서 밑으로 눌러 스프링을 압축시키면, 상기 회동중심축(8)을 기준으로 착탈로커(3)가 시소운동을 하는 원리에 의해 착탈로커 타측의 하단면에 형성된 결합돌출부(7)가 착탈로커 일측과는 반대로 상부로 원호운동을 한 상태에서, 다른쪽 손으로 새로운 배터리 케이스를 상단부를 결합돌출부의 아래로 밀어넣고 손을 놓으면 결합돌출부의 압축된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상기 결합돌출부가 하부로 원호운동을 하고, 이때 결합돌출부의 삼각돌기부(7b)가 배터리 케이스의 결합홈(2a) 내로 삽입되어 결합홈의 삼각돌기부(2b)에 형성된 경사면을 타고가다 이와 미세하게 겹쳐지면서 결합됨으로써 새로운 배터리 케이스의 장착을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착탈로커를 안테나 쪽으로 밀어 올리지 않고도 한쪽 손으로 착탈로커의 일측을 밑으로 누르기만 하면, 결합돌출부의 위로 향한 원호운동에 의해 서로 겹쳐서 아주 살짝 맞물려 있는 결합돌출부의 삼각돌기부와 결합홈의 삼각돌기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배터리 케이스를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또 상기 착탈로커의 일측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기만 하면, 결합돌출부의 아래로 향한 원호운동에 의해 결합돌출부가 배터리 케이스의 결합홈 내로 삽입됨과 동시에, 결합돌출부의 삼각돌기부와 결합홈의 삼각돌기부가 자연스럽게 서로 맞물려 새로운 배터리 케이스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는 아주 간단하고도 편리한 방식으로 배터리 케이스를 교체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은 방식에 따른 착탈로커의 이동거리 및 착탈로커 면의 홈 형상에 구애를 받지 않으므로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디자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를 보여주는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에 따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를 이용한 본 고안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로커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종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를 보여주는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4의 B-B'선에 따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를 이용한 종래 배터리 케이스 착탈로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본체부, 2...배터리 케이스,
2a...결합홈, 2b...삼각돌기부,
3...착탈로커, 4...스프링홈,
5...스프링, 6...스프링돌출부,
7...결합돌출부, 7b...삼각돌기부,
8...중심축, 9...로커설치부,
10...이탈방지턱, 1a...화면부.

Claims (3)

  1. 본체부에 배터리 케이스가 착탈로커에 의해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로커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상단부 일면에 상기 착탈로커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후면 상단부의 일면 상에 스프링홈과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로커설치부가 구성되며;
    상기 착탈로커는 하단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주에 끼워진 스프링과 함께 상기 스프링홈에 삽입되는 스프링돌출부와, 하단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결합홈과 서로 마주보는 일단부의 돌기가 상하로 서로 겹쳐지면서 결합되는 결합돌출부와, 상기 스프링돌출부와 삽입돌기 사이에 장착되어 로커설치부의 양측벽에 걸려 고정되는 회동중심축으로 구성되어 일측이 이탈방지턱 안쪽에 위치하도록 로커설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배터리 케이스의 결합홈과 착탈로커의 결합돌출부의 돌기는 끝이 뾰족한 형상의 삼각돌기부로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삼각돌기부는 서로 마주보는 일단부가 나란히 대칭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
KR20-2004-0037354U 2004-12-30 2004-12-30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 KR200379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354U KR200379306Y1 (ko) 2004-12-30 2004-12-30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354U KR200379306Y1 (ko) 2004-12-30 2004-12-30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306Y1 true KR200379306Y1 (ko) 2005-03-18

Family

ID=43680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354U KR200379306Y1 (ko) 2004-12-30 2004-12-30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3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3297B2 (en) Power adapter
KR200379306Y1 (ko)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케이스 착탈구조
KR19990045615A (ko) 플라스틱 연결 요소를 함께 견고하게 연결하기위한 연결 장치
KR100911684B1 (ko)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JP2010063318A (ja) 充電台
KR100691967B1 (ko) 배터리 팩 록킹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33727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팩 탈장착용 노브 결합구조
KR200192692Y1 (ko) 휴대폰의 배터리 팩 자동분리장치
CN105225874A (zh) 按压式开关装置及电子设备
WO2020024124A1 (zh) 插座结构
CN216720106U (zh) 一种可充电电池及电子设备
KR100535965B1 (ko)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US20030043575A1 (en) Flashlight having mechanism for preventing electrical contact members thereof from rusting
KR200293930Y1 (ko) 체결부재를 구비한 전화기 충전장치
KR20200086177A (ko) 배터리 커버의 분리구조
CN209860228U (zh) 一种数据采集器的连接接口及数据采集器
CN213124225U (zh) 一种电子设备的按键结构及具有该按键结构的相机
KR100494807B1 (ko) 핸드폰의 배터리 로킹 구조
KR200226341Y1 (ko) 휴대전화기의 배터리 결합구조
CN209626091U (zh) 弹片结构及电子设备
KR200357054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착탈식 내장 배터리의 고정 구조
KR200395873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CN109729464B (zh) 耳机容纳装置、耳机及便携式设备
KR1010086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KR20060096677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