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5615A - 플라스틱 연결 요소를 함께 견고하게 연결하기위한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연결 요소를 함께 견고하게 연결하기위한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5615A
KR19990045615A KR1019980051025A KR19980051025A KR19990045615A KR 19990045615 A KR19990045615 A KR 19990045615A KR 1019980051025 A KR1019980051025 A KR 1019980051025A KR 19980051025 A KR19980051025 A KR 19980051025A KR 19990045615 A KR19990045615 A KR 19990045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female
male
male elemen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2701B1 (ko
Inventor
파스칼 세르
Original Assignee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Publication of KR19990045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58Snap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1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a component to be fasted, e.g. a sheet, plate or str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29C66/542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joining hollow covers or hollow bottoms to open ends of contain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775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having resiliently biased interlocking component or seg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0Biased catch or la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0Biased catch or latch
    • Y10T403/606Leaf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성형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2개의 연결 요소(2, 3)는 장치의 암 요소(6) 및 수 요소(7)를 포함한다. 이들 요소는 이들 연결 요소와 동시에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암 요소는 2개 이상의 대칭 훅(11, 12)을 포함하는데, 이들 훅은 이들 사이에서 자유단을 향해 넓어지는 형태로 수 요소에 삽입하기 위한 제 1 공간(13)과 리테이닝 공간으로 불리는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 단면의 제 2 공간(14) 사이를 결정한다. 이들 2개의 요소간의 경계면은 상기 훅을 위한 2개의 암 견부(15, 16)로 구성되어 있다. 대향되게 위치되는 수 요소는 삽입 단부(17)를 포함하는데, 삽입 단부의 형상은 제 1 삽입 공간에 적용되고, 이 단부는 수 요소(18)의 공통 견부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연결 요소를 함께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본 발명은 적어도 제 1 요소는 성형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2개의 보완적 연결 요소를 함께 확실하게 체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2개의 보완적 연결 요소는 상기 제 1 연결 요소와 동시에 성형함으로써 상기 제 1 연결 요소에 연결되는 암 요소 및 제 2 연결 요소에 연결되는 수 요소를 포함한다.
몇 십년 동안, 전자 장치의 하우징은 적어도 소형 및 중간 크기의 장치를 고려하여, 함께 연결되는 2개의 플라스틱 연결 요소에 의해 대개 형성되어져 왔다. 맨 처음에, 조립은 본질적으로 보통 금속 하우징을 위해 계속 행해지고 있는 나사로 실행되었다. 점차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된 연결 요소의 성형에서의 향상 진행되고 있고, 두 연결 요소로 함께 끼워맞춤하는 보완적 요소를 고정함으로써 연결 요소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있으며, 이들 요소는 상기 연결 요소와 동시에 성형함으로써 얻어지고, 이들 결합은 압력 하에서 즉, 플라스틱 재료의 탄성 때문에 허용되는 순간적인 변형에 의해서 실현된다.
중간 크기의 장치는 특히, 텔레비전 수신기, 오디오나 비디오 세트 또는 개인용 컴퓨터의 여러 가지 요소 및 전화 기지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소형 장치는 포켓용 계산기, 적외선 원격 제어 장치 및 보다 최근에 셀룰러나 무선 전화 핸드세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연결 요소를 서로 나사 체결하는 것은 적당한 조립체 강도의 이점을 제공하고, 연결 요소가 특히 떨어짐으로 인해 충격을 받을 동안 느슨해지지 않는 것을 보장하며, 이것은 상기 연결 요소가 배터리를 가지고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독립적인 소형의 전자 장치에 확실히 적합하다.
2개의 연결 요소를 나사로 견고하게 함께 연결하는 것은 또한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분리 요소 다시 말하면, 나사를 공급해야 하고, 대개 4개 이상으로 제공되는 나사의 수에 직접 비례하는 다소 긴 조립 시간을 수반하여, 조립 비용이 상당히 높게 되고, 또한 2가지 선행의 것보다 덜 분명하지만 주요 단점은 특히 개인에 의해서 2개의 요소를 분리시키기에는 너무나 쉽다는 사실이고, 이것은 파손되는 경우에 장치의 보장 효과를 무효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나사 체결과 클립핑의 상호간의 장단점의 균형은, 이러한 결합을 이루기 위하여, 주요 요소를 클립핑하고, 하나 이상의 나사를 유지하는 절충안을 초래한다.
오늘날에는, 그러나, 최소 크기의 장치보다 떨어지기 쉬운 소형 장치를 포함하는 연결 요소를 전적으로 클립핑에 의해 함께 연결하기를 원한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5,536,917에서 상기 특허 명세서의 도 1을 특히 참조하여 기술된 것처럼 종래 타입의 클립핑과 더불어, 나사를 대체하도록 의도된 각 연결 장치는 하나의 연결 요소 상의 수 요소 및 다른 하나의 연결 요소 상의 암 요소로 형성되며, 충분히 좁은 돌출부가 각 연결 요소 상에 있고, 실행되는 걸기(catch)는 조립되는 동안 각 커플링의 단일면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단순하다. 이들 조건하에서, 만약 장치가 떨어진다면, 연결 요소는 상대 운동에서 구성 요소인 연결 요소를 수반하는 지점을 향해 벌어지는 방향으로 비틀어지는데, 상기 연결 요소는 떨어지게 된다. 연결 요소는 또한 충격으로 인해 파손될 수 있다. 더욱이, 연결 요소의 성형 작업은 훨씬 더 정밀하게 되고, 작은 두께(2 ㎜ 정도의)를 가능케 하여 충격의 경우에 연결 요소의 변형을 격렬하게 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에서 언급한 타입의 클립핑 타입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연결 장치의 치수, 특히 연결 장치의 두께와 또한 연결 장치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연결 장치를 강화시킬 수 있다. 이것은 떨어지는 동안 파손과 느슨해지는 위험을 줄이지만, 이것은 전체적으로 생략될 수 있는 나사 체결에 관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며, 조립체를 수동적으로 실행하여만 하는 사람에게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킨다. 즉, 연결 장치의 강화는 더 높은 압력을 요구하고, 이 압력은 특정 임계값을 넘어서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를 갖는 조립체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전자 장치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2개의 플라스틱 연결 요소의 신속한 조립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 요소와 동시에 성형하여 실현되는 연결 장치를 통해 또한 떨어지는 경우 이들 연결 요소가 느슨해지지 않게 하는 방식으로 2개의 플라스틱 연결 요소의 조립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연결 요소와 동시에 성형하여 실현되는 연결 장치를 통해 또한 조립에 요구되는 힘이 아주 낮은 값의 범위에 남아 있게 하는 방법으로 2개의 완전 플라스틱 연결 요소의 조립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다음의 사실 때문에 이들 목적이 달성되고 종래 기술의 단점이 완화되는데, 즉 전제부에 기술된 연결 장치는, 암(female) 요소가 대칭적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2개 이상의 훅(hook)에 의해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이들 사이에서 수 요소가 밀려들어가는 두 공간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들 두 공간은 그 자유단에 큰 지름을 갖는 깔대기 형상의 제 1 삽입 공간과 리테이닝 공간으로 불리는 직사각형 길이방향 단면의 제 2 공간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의 경계면은 상기 훅을 위한 2개 이상의 암 견부를 형성하는 것과, 대향되게 위치된 보완적 수 요소가 상기 깔대기의 큰 지름보다 약간 더 작은 지름을 갖고 수 요소의 공통 견부가 도달될 때까지 지름이 더 커지는 삽입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따라서, 각 연결 장치의 2개 요소 각각에 생기는 대칭과 연결 요소의 벽에 대한 개별적인 개념은 상기 연결 장치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사실상, 충격 동안 2개의 요소가 연결 장치의 한 측면 상에서 느슨해지는 경향이 있다면, 리테이닝 효과는 반대 측면 상에서 따라서 강화되고, 충격 후 2개의 측면은 함께 견고하게 부착된 채 남아 있다. 주지할 것은, 연결 요소를 함께 부착하기 위한 증가된 신뢰성은 휴대하도록 의도되어, 중간 크기의 장치보다 떨어뜨림에 더 노출되는 소형 장치에서 중요하다. 더욱이, 이동 전화 핸드세트와 같은 소형 장치는 충격에 저항하도록 디자인되고, 많은 낙하 이후에도 계속 작동한다. 더욱 더, 장치의 하우징이 떨어진 후, 심지어 아주 심하게 떨어진 후에도 해체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암 요소가 대칭 평면에 대해 2개의 대칭 훅을 구비하는 클립으로 형성되는 것과, 상기 훅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대칭 평면에 뻗어나 있는 상기 수 요소가 삽입 요소에 대해 원호 및 2개의 약간 움푹 들어간 평면으로 구성되는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는데, 상기 2개의 약간 움푹 들어간 평면은 상기 삽입 요소에 보완적인 반대 요소에 대해 상기 수 요소의 상기 공통 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는 소형화에 매우 적합하기 때문에 소형 장치에서 아주 흥미롭다. 상기 문제에 관해서는, 소형 장치, 대부분의 휴대폰은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장치를 배터리만큼 체적을 차지하는 요소로 조립하는 것이 편리하며, 이것은 분리되었을 경우에 이들 하우징에 액세스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암 요소가 대체적으로 원통형 슬리브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그루우브에 의해 분리되는 3개 이상의 훅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공간은 원뿔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공간은 원통형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수 요소가 원뿔 형상의 단부로 도그 조인트(dog join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소형화가 제 1의 관심사가 아닌 중간 크기의 장치에 매우 적합하다. 더욱이, 장치의 외부로부터 연결 장치를 해체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것은 본 발명의 일부분을 형성하지 않는, 상기 목적을 위해 디자인된 공구에 의한다.
전에 기술된 2가지 실시예에 대해, 연결 장치의 수 요소는 견고(solid)하고, 약간만 변형될 수 있다. 상기는 2개의 연결 요소를 함께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ABS로 만들어진 하나의 연결 요소는 연결 장치의 암 요소를 포함하고, 금속이 될 수 있는 다른 하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보완적 수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양상 및 다른 양상은 이후에 기술될 실시예로부터 분명하게 되고, 이후에 기술될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병합하는, 배터리가 없는 무선 전화 핸드세트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병합하는 도 2의 일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연결하기 전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연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도 4의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b 및 도 5c는 도 5a의 B-B 단면 및 C-C 단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5a의 VI-VI 단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함께 체결되는 2개의 연결 요소에 설치되는 도 4의 장치와 유사한 장치를 절단면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3 : 연결 요소 6 : 암 요소
7, 18 : 수 요소 11, 12 : 훅
13 : 제 1 공간 14 : 제 2 공간
15, 16 : 암 견부 17 : 삽입 단부
도 1 및 도 2는 무선 전화 핸드세트의 하우징(1)을 나타내며, 상기 하우징은 함께 연결되는 2개의 연결 요소, 즉 전면 요소(2)라 불리는 연결 요소 및 배면 요소(3)(도 1에서만 보임)라 불리는 연결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공지된 방식(미도시됨)으로 2개의 연결 요소(2 및 3)를 함께 체결하기 위하여, 핸드세트의 상부 요소(4) 내부에 강성의 체결 요소(미도시됨)를 제공하며, 상기 강성의 체결 요소는 하우징 밑에 있는 가느다란 개구부에 상응하는 연결 요소의 상호 위치로부터 노치에 의해서 함께 작용한다. 상기 반개구 위치로부터 연결 요소의 체결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의 배면 요소(3)에 만들어진 리세스(5)에 상응하는 전화 핸드세트의 배터리 커버 위치의 하우징(1) 하부 요소에서 볼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이들 2개의 장치는 옆에 위치하고, 전면 요소(2)에 확실하게 부착되는 암 요소(6) 및 배면 요소(3)에 확실하게 부착되는 수 요소(7)를 각각 포함한다. 주목할 것은, 이들 각각의 연결 요소가 동시에 성형하여 요소들(6 및 7)을 얻을 수 있으며, 사용되는 성형 제품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지할 것은, 암 요소(6) 및 수 요소(7)는 이들 연결 요소의 측벽에 견고하게 직접 부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암 요소(6)에 관하여는 적어도 연결 요소의 바닥에 견고하게 부착된다는 것이다.
연결 장치는 6배로 확대된 도 2의 부분(8)인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암 요소는 서로 대향되게 대칭적으로 위치한 2개의 탄성 훅(11 및 12)을 구비하며, 이들 훅은 수 요소(7)에 의해 연속적으로 밀어 개방되도록 의도된 이들 사이의 두 공간을 결정하며, 상기 수 요소는 이 경우에 2개의 단부에 의해 연결 요소(3)에 연결되는 로드이다. 상기 2개의 공간은 2개의 단부에서 V-형상의 개구인 깔대기 형상을 구비하는 제 1 삽입 공간(13) 및 삽입 공간이 끝나는 리테이닝 공간(14)이라 불리는 제 2 공간으로 구성된다. 공간(13 및 14) 사이의 경계면에, 이들 암 견부(15 및 16)로 한정되어 있는 2개의 훅이 있다. 수 요소(7)는 도 3의 바닥부에서 위쪽으로 더 커지는 삽입 단부(17)를 구비하는 반면, 요소(7)의 사이즈는 연결 요소를 함께 체결하기 위해 삽입될 때 한번에 끼워지도록 깔대기형 개구부(13)의 크기에 적응된다. 수 요소의 상부 요소에서, 수 요소(7)는 수 요소의 공통 견부(18)로 끝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 내지 도 3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칭적인 2개의 훅(11 및 12)의 클립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드 형상의 수 요소(7)는 대체적으로 훅(11 및 12)의 대칭 평면에서 훅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확장되고, 수 요소의 단면은 원호로 아랫방향 및 상기 원호의 단부에 연결되는 현(chord)으로 위쪽방향에 형성되고, 공통 견부(18)에 대응한다. 공통 견부(18)는 공간(13)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2개의 약간 수축되는 편평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로드(7)가 공간(13)으로부터 공간(14)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공간(13)이 체결될 때, 상기 공간(13)은 견부(15 및 16)에 대해 상기 요소(7)의 더 나은 리턴 방지 효과 또는 작살 효과도 야기하는데, 그 이유는 각 편평부의 견부(15 또는 16) 각각과의 접촉이 라인 세그먼트 대신에 도 3의 단면의 한 점으로 감소되기 때문이며, 이것은 충격이 있는 경우에 특히 요소(6 및 7)간에 더 나은 잠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위해, 연결 요소의 분해가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대해, 전화 장치(핸드세트)의 배터리를 제거한 후 연결 장치가 액세스된 것을 도시한다. 요소(6 및 7)를 분리시키기 위해, 이러한 용도로 바람직하게 디자인된 공구나 손에 의해서 훅(11 및 12)의 자유단을 제거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요구되는 대로 상기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훅(11 및 12)의 자유단을 뿔 형상으로 늘이는 것은 가능하다.
연결 장치의 체결을 실현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은 적당한 한계 내에 남아 있어야 한다. 상기 힘은 이들 연결 장치의 개수에 비례하며, 또한 암 요소(6)의 훅(11 및 12)의 강도에 비례한다. 상기 강도는 훅의 유용한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및/또는 도 2 및 도 3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훅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하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화 핸드세트보다 더 큰 즉, 중간 사이즈인 전자 장치용인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제 2 실시예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동일한 필수적인 특징의 형태가 발견되는데, 이들은,
암 요소(19)에서는, 다양한 훅(20, 21 및 22)과, 깔대기 형상의 제 1 삽입 공간(23)과, 직사각형 단면의 제 2 리테이닝 공간(24), 및 3개의 암 견부(25, 26, 27)(이중 25 및 26이 도 6에 도시됨)이고,
수 요소(28)에서는, 수 요소(30)의 공통 견부에 도달할 때까지 더 넓어지는 삽입 공간(23)에 비례하는 삽입 단부(29)이다.
보다 정확하게, 도 4 내지 도 7의 실시예는 3개의 길이방향 그루우브(31, 32, 33)로 분리되는 3개의 훅(20, 21, 22)을 갖는 원통형 슬리브(19)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삽입 공간(23)은 원뿔대 형상을 가지며, 제 2 리테이닝 공간(24)은 실린더 형상을 가진다. 수 요소(28)는 원뿔 단부(36)를 갖는 도그 조인트(dog joint)(35)에 의해 형성된다.
도 5a의 평면도와 도 5b 및 도 5c의 횡단면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특정 상세 사항을 도시한다. 특히(도 5 참조), 원뿔 단부(36)와 제 1 삽입 공간(23)은 대략 동일한 직경의 작은 베이스를 갖는 반면에, 단부(36)의 큰 베이스는 공간(23)의 일반적 베이스보다 더 크며, 더욱이 2개의 원뿔대(23 및 36)는 대체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 1 변형에 따라, 단부(36)의 큰 직경은 제 2 리테이닝 공간(24)의 직경과 대체적으로 같다는 것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요소(19 및 28)가 서로 견고하게 부착된 후(미도시됨), 견부(30)는 임의의 수평 놀음(play)이 없이 견부(25, 26 및 27)에 대해 밀고, 훅(20, 21 및 22)은 충격이 없을 때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밀리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대해, 암 견부(25, 26 및 27)에 대해 상기 수 견부의 체결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약간 접어드는 견부(30)를 실현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또한 주지할 것은, 훅(20, 21 및 22)의 강도는 리브 효과를 주는 훅의 곡선 형상에 의해 조장된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강도는 훅의 길이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슬리브(19)의 직경을 변화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는 반면, 강도는 상기 길이가 크거나 및/또는 상기 직경이 작음에 따라 오히려 덜 뚜렷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다른 변형을 도시하며, 수용된 후 각각의 연결 요소(40 및 41)에 연결되는 장치의 수 요소(28) 및 암 요소(39)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주지할 것은, 제 2 공간(43)은 제 1 연결 요소(41)의 외부 상에서 끝난다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제 2 공간은 외부로 향할수록 더 넓어지는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반면, 슬리브의 지지 요소(41)와 공통으로 슬리브(39)를 성형하는데 몇 도의 기울기가 필요하다. 상기 깔대기 형상은 적절한 공구에 의해 장치를 분리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 요소(28)의 형태와 비교될 수 있지만 이보다 큰 원뿔 단부(36)가 수 요소(28)의 단부에서 풀어질 때까지 암 요소(39)의 훅 단부를 점진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제 2 공간(43)을 통과함으로써 작용하여, 공구의 헤드는 완전한 분리를 위해 슬리브를 바깥으로 계속 밀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도 7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수 요소(28) 및 연결 요소(40)는 일반적으로 ABS의 플라스틱으로 만들며, 보통의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 요소(28)는 분리형 금속 요소로 디자인될 수 있고, 임의의 공지된 수단을 통해 베이스에 의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연결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후자의 변형은 예를 들면, 허브-캡을 자동차 휠의 허브에 부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2개의 연결 요소를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나사의 수를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심지어 상기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나사를 전체적으로 생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더욱이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연결 요소를 분리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Claims (8)

  1. 적어도 제 1 요소는 성형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2개의 보완적 연결 요소를 함께 확실하게 체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로서, 상기 제 1 연결 요소와 동시에 성형함으로써 상기 제 1 연결 요소에 연결되는 암 요소 및 상기 제 2 연결 요소에 연결되는 수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 요소는, 2개 이상의 훅 사이에서 상기 수 요소가 밀고 들어가는 길이방향으로 2개의 공간을 결정하도록, 서로 대칭적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기 2개 이상의 훅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은 자유단의 지름이 더 큰 깔대기 형상의 제 1 삽입 공간과 리테이닝 공간으로 불리는 직사각형 종단면의 제 2 공간이며,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간의 경계면은 상기 훅에 대한 2개 이상의 암 견부를 형성하고,
    대향되게 위치되는 상기 보완적 수 요소는, 상기 깔대기의 큰 지름보다 약간 더 작은 지름을 가지고 상기 수 요소의 공통 견부가 도달될 때까지 더 커지게 되는 삽입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 견부는, 수 요소와 암 요소가 서로에 대해 느슨하게 된 후 작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 공간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갖는, 횡단면이 약간 경사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암 요소는 대칭 평면에 대해 2개의 대칭 훅을 구비하는 클립으로 형성되고,
    상기 훅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대칭 평면에 뻗어나 있는 상기 수 요소는, 삽입 요소에 대해 원호, 및 상기 삽입 요소에 보완적인 반대 요소에 대해 상기 수 요소의 상기 공통 견부를 형성하는 2개의 약간 움푹 들어간 평면으로 구성되는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4. 셀룰러나 무선 전화 핸드세트 또는 적외선 원격 제어 장치를 위한 연결 요소에 있어서,
    상기 핸드세트 또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거 가능한 배터리 아래에서 접근 가능한 제 3항에 청구되는 2개 이상의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요소.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암 요소는 대체적으로 원통형 슬리브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그루우브에 의해 분리되는 3개 이상의 훅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공간은 원뿔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공간은 원통형을 형성하고,
    상기 수 요소는 원뿔 형상의 단부를 갖는 도그 조인트(dog join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암 요소의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제 1 연결 요소의 외부를 향해 더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7. 무선 전화 기지국, 텔레비전 수신기, 개인 컴퓨터 또는 오디오나 비디오 세트와 같은 전자 장치를 위한 연결 요소로서,
    제 6항에 청구되는 2개 이상의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요소.
  8.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5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 요소는 금속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KR1019980051025A 1997-11-28 1998-11-26 체결 디바이스와 이 체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체결요소 KR100572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15028 1997-11-28
FR9715028 1997-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615A true KR19990045615A (ko) 1999-06-25
KR100572701B1 KR100572701B1 (ko) 2006-09-27

Family

ID=951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025A KR100572701B1 (ko) 1997-11-28 1998-11-26 체결 디바이스와 이 체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체결요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82867B2 (ko)
EP (1) EP0919734B1 (ko)
JP (1) JPH11254448A (ko)
KR (1) KR100572701B1 (ko)
CN (1) CN1096351C (ko)
DE (1) DE69826812T2 (ko)
ES (1) ES223065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20025U1 (de) 1999-11-15 2000-03-30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Gassackmoduls an einem Lenkrad
GB2357546B (en) 1999-12-21 2003-08-27 Nokia Mobile Phones Ltd Housing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6688583B2 (en) * 2000-01-03 2004-02-10 Tmc, Inc. Fence post finials
JP4861048B2 (ja) * 2006-04-27 2012-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ート支持構造
DE202006009036U1 (de) * 2006-06-08 2006-11-16 Schleich Gmbh Rastverbindung und Bausystem
JP5020726B2 (ja) * 2007-07-06 2012-09-05 ナイルス株式会社 二部材間の係止構造
US7843688B2 (en) * 2008-06-25 2010-11-30 Nokia Corporation Latching mechanis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W201135087A (en) * 2010-04-06 2011-10-16 Giga Byte Tech Co Ltd Coupling structure for shell
FR2975453B1 (fr) * 2011-05-18 2014-10-31 Legrand France Assemblage mecanique du type a bouton-pression, et application a un appareillage electrique
JP5938978B2 (ja) * 2012-03-23 2016-06-2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部品の取付構造
US10018365B2 (en) 2013-05-29 2018-07-10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undercabinet ventilation hood
US9897330B2 (en) * 2013-05-29 2018-02-20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undercabinet ventilation hood
DE102015205427A1 (de) * 2015-03-25 2016-09-29 Robert Bosch Gmbh Verbindungselement zum mechanischen Verbinden von Elektronikgehäusen
US10975618B2 (en) * 2017-07-26 2021-04-13 Whole Space Industries Ltd Slat tilt mechanism for window covering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004A (en) * 1890-09-23 Alfred j
FR360591A (fr) * 1905-03-02 1906-04-26 Jean Sebastien Mariani Bouton-pression
US1200223A (en) * 1916-01-03 1916-10-03 Alexander Nathan Snap-fastener.
US1823229A (en) * 1930-03-10 1931-09-15 Balbaud Paul Separable fastener
US2832943A (en) * 1954-12-09 1958-04-29 Cutler Morris Detachable coupling
US2946612A (en) * 1958-02-24 1960-07-26 Amerock Corp Self-alining catch
GB1441640A (en) * 1973-11-08 1976-07-07 Zimmer Orthopaedic Ltd Hand grip
DE2547909C3 (de) * 1975-10-25 1979-05-10 Gebr. Happich Gmbh, 5600 Wuppertal Garderobehaken für die verschiebbare Anordnung auf der Griffausbildung von in Fahrzeugen anzuordnenden Handgriffen
US4324549A (en) * 1978-11-13 1982-04-13 Madray George W Assembly for attaching a dental prosthesis to teeth
US4634004A (en) * 1984-12-11 1987-01-06 Empak Inc. Magnetic tape security housing
US4726705A (en) * 1985-09-27 1988-02-23 Daniel Gomes Knock down pivot fastener
US4616953A (en) * 1985-09-27 1986-10-14 Daniel Gomes Knock down pivot fastener
JPS62299625A (ja) * 1986-06-18 1987-12-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こたつ
JPS6395936A (ja) * 1986-10-13 1988-04-26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サンバイザの製造方法
DE3812430A1 (de) * 1988-04-14 1989-10-26 Leybold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draengers fuer den kaltkopf eines kryo-refrigerators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r verdraenger
IT219176Z2 (it) * 1989-12-19 1992-12-17 Fiat Auto Spa Attrezzo per lo sgancio di un connettore elettrico
WO1992017044A1 (en) * 1991-03-15 1992-10-01 Square D Company Protective snap-together enclosure for current transformers
DE9109552U1 (ko) * 1991-08-01 1991-09-12 Siemens Ag, 8000 Muenchen, De
FR2685015B1 (fr) * 1991-12-12 1994-04-01 Staubli Verdol Sa Attache rapide pour la liaison d'au moins un element funiculaire par rapport a l'extremite d'un cordon.
JPH05209611A (ja) * 1992-01-30 1993-08-20 Eiko Shioda 着脱自在固定金具
JP3435206B2 (ja) * 1994-03-29 2003-08-11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部材の結合構造
US5536917A (en) * 1994-06-23 1996-07-16 Motorla, Inc. Housing with integral thin film resistive snap-fits
EP0695073A1 (de) * 1994-07-29 1996-01-31 Landis &amp; Gyr Technology Innovation AG Telefonapparat
DE4439272A1 (de) * 1994-11-03 1996-05-09 Siemens Matsushita Components Elektrischer Kondensator, insbesondere Elektrolytkondensator
US5807012A (en) * 1995-07-31 1998-09-15 Motorola, Inc. Coupling apparatus
CA2184800C (en) * 1995-09-26 2000-06-27 Nicholas Mischenko Radiotelephone handset having a removable, latching faceplate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distinctive telephone appearances
CA2185374C (en) * 1995-11-09 2000-01-25 Trevor J. Aggus Telephone base including visual display module
US5899824A (en) * 1997-02-12 1999-05-04 Accudart Corporation Snap-fit dart and ada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30655T3 (es) 2005-05-01
DE69826812D1 (de) 2004-11-11
US20010051071A1 (en) 2001-12-13
DE69826812T2 (de) 2005-10-06
JPH11254448A (ja) 1999-09-21
CN1219465A (zh) 1999-06-16
CN1096351C (zh) 2002-12-18
US6382867B2 (en) 2002-05-07
KR100572701B1 (ko) 2006-09-27
EP0919734A1 (fr) 1999-06-02
EP0919734B1 (fr)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5615A (ko) 플라스틱 연결 요소를 함께 견고하게 연결하기위한 연결 장치
US20070087263A1 (en) Battery cover latching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702372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355760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reinforcement member
US20060172183A1 (en) Battery cover latching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70111086A1 (en) Battery cover latching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3133035B1 (en) Separable pad-type adsorption cup
US20060286443A1 (en) Battery seat with a battery holder
US7574785B1 (en) Buckling fastening device for luggage
CN114388292B (zh) 一种电子设备的按键结构及电子设备
US8111855B2 (en) Microphone assembly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icrophone assembly
US7841874B2 (en) Socket protector
KR200431126Y1 (ko) 휴대용 이동단말기 거치대
CN103167758A (zh) 吊绳固定结构及使用该吊绳固定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US6662943B1 (en) Disk case
EP4184711A1 (en) Electronic device
US20240178545A1 (en) Electronic device
CN214483646U (zh) 洗头帽松紧调解结构
CN219917589U (zh) 一种对讲机天线保护盖
KR20000010575U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팩 탈장착용 노브 결합구조
CN215268398U (zh) 折叠式电子设备保护壳
KR100369101B1 (ko) 휴대 기기용 충전기의 컨택트 단자 고정 구조
KR200278431Y1 (ko) 핸드폰용 입출력 플러그의 잠금장치 구조
KR200162182Y1 (ko) 고정형 무선전화기의 수납케이스 홀더
KR200227607Y1 (ko) 휴대용 기기의 스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