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851B1 - 반도체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851B1
KR100910851B1 KR1020070112034A KR20070112034A KR100910851B1 KR 100910851 B1 KR100910851 B1 KR 100910851B1 KR 1020070112034 A KR1020070112034 A KR 1020070112034A KR 20070112034 A KR20070112034 A KR 20070112034A KR 100910851 B1 KR100910851 B1 KR 100910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set
positive
response
rese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091A (ko
Inventor
권대한
김경훈
윤대건
송택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70112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851B1/ko
Priority to US12/005,515 priority patent/US8283962B2/en
Publication of KR2009004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06Clock generators producing several clock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2Circuits for initialization, powering up or down, clearing memory or prese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 Dram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일정한 위상 차이만큼의 서로 다른 활성화 시점을 가지는 다수의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리셋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다수의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소오스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상기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지는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멀티 위상클럭신호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한다.
멀티 위상 클럭, 위상 고정 루프, 지연 고정 루프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소한의 레이아웃(layout) 면적과 최적의 전류 소모로 다수의 위상 정보를 가지고 있는 멀티 위상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DR SDRAM(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RAM)을 비롯한 반도체 소자는 외부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내부 클럭신호를 생성하고, 이 내부 클럭신호는 반도체 소자 내의 여러 회로에 입력되어 각 회로들을 동작시킨다.
한편, 반도체 소자는 대용량화, 고속화, 및 저전력화를 위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 중 고속화를 달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반도체 소자는 점점 높은 주파수의 외부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게끔 설계되고 있다.
요즈음 외부 클럭신호의 주파수가 기가 헤르쯔(GHz) 이상의 대역까지 높아짐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내부 클럭신호의 주파수 역시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 여 회로의 동작 타이밍 마진이나 전류 소모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도체 소자는 멀티 위상 클럭(multi phase clock) 전송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는 반도체 소자 내부에서 내부 클럭신호를 전송할 때 외부 클럭신호와 동일한 고주파수의 클럭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이에 절반에 해당하는 낮은 주파수를 가지며 다수의 위상 정보를 가지는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반도체 소자는 내부 클럭신호를 전송하는데 소모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타이밍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반도체 소자 내에는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ed Loop : PLL) 또는 지연 고정 루프(Delay Locked Loop : DLL)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종래의 위상 고정 루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상 고정 루프는 클럭분주부(110)와, 제어전압신호 생성부(130), 및 전압제어 발진부(150)를 구비한다.
클럭분주부(110)는 외부 클럭신호에 대응하는 기준 클럭신호(CLK_REF)를 분주하기 위한 것으로, 고주파수의 외부 클럭신호를 저주파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맡는다.
제어전압신호 생성부(130)는 클럭분주부(110)에서 분주된 클럭신호와 피드백 클럭신호(CLK_FED)의 위상을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압레벨을 가지는 제어전압 신호(V_CTR)를 생성한다.
전압제어 발진부(150)는 제어전압신호(V_CTR)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다수의 위상클럭신호인 제1 내지 제4 위상클럭신호(MCLK0, MCLK90, MCLK180, MCLK270)를 생성한다. 이 중 제3 위상클럭신호(MCLK180)는 제어전압신호 생성부(130)로 피드백(feedback)되는 피드백 클럭신호(CLK_FED)가 된다.
위상 고정 루프는 기준 클럭신호(CLK_REF)를 분주한 클럭신호와 피드백 클럭신호(CLK_FED)의 위상을 반복적으로 비교하여 원하는 주파수의 제1 내지 제4 위상클럭신호(MCLK0, MCLK90, MCLK180, MCLK270)를 생성한다. 최종적으로 생성된 제1 내지 제4 위상클럭신호(MCLK0, MCLK90, MCLK180, MCLK270)는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지며, 외부 클럭신호보다 저주파수의 클럭신호가 된다. 즉, 제2 위상클럭신호(MCLK90)는 제1 위상클럭신호(MCLK0)와 90°만큼 위상차이를 가지고, 제3 위상클럭신호(MCLK180)는 제1 위상클럭신호(MCLK0)와 180°만큼 위상차이를 가지며, 제4 위상클럭신호(MCLK270)는 제1 위상클럭신호(MCLK0)와 270°만큼 위상차이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클럭분주부(110)와, 제어전압신호 생성부(130), 및 전압제어 발진부(150)의 기술적 구현 및 동작 설명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사하는 자에게 자명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전압제어 발진부(150)는 다수의 지연 셀(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며, 제1 내지 제4 위상클럭신호(MCLK0, MCLK90, MCLK180, MCLK270)는 지연 셀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에 대응된다. 때문에, 제1 내지 제4 위상클럭신호(MCLK0, MCLK90, MCLK180, MCLK270)가 정확한 위상 차이를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지연 셀이 동일하게 구성됨은 물론, 각 지연 셀 간의 로딩 또한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설계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외부 잡음(noise)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전압제어 발진부(150) 주변에 다른 신호 선이나 파워 선이 지나가지 않게 설계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설계시 레이아웃(layout)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어서, 지연 고정 루프도 위상 고정 루프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또한 설계의 까다로움과 레이아웃 면적을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위상 고정 루프와 지연 고정 루프는 회로 동작상 많은 전류 소모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위상 고정 루프와 지연 고정 루프는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많고, 레이아웃 면적을 많이 차지하며, 회로 동작시 많은 전류를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어서, 반도체 소자가 저전력화 및 집적화를 이루기 위한 걸림돌이 된다. 그래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일정한 위상 차이만큼의 서로 다른 활성화 시점을 가지는 다수의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반도체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연 고정 루프와 위상 고정 루프 없이도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일정한 위상 차이만큼의 서로 다른 활성화 시점을 가지는 다수의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리셋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다수의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소오스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상기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지는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멀티 위상클럭신호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일정한 위상 차이만큼의 서로 다른 활성화 시점을 가지는 다수의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소오스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상기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지는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지연 고정 루프와 위상 고정 루프 없이도 일정한 위상 차이만큼의 서로 다른 활성화 시점을 가지는 다수의 리셋신호를 이용하여 소오스클럭신호를 분주한 저주파이면서 다수의 위상 정보를 가지고 있는 멀티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할 수 있음으로써, 지연 고정 루프와 위상 고정 루프가 차지하던 레이아웃 면적 및 소모되던 전력을 최적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위상 고정 루프와 지연 고정 루프 없이도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지는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아웃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소모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설계를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위상클럭신호 생성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 위상클럭신호 생성회로는 리셋신호 생성부(210)와, 멀티 위상클럭신호 생성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리셋신호 생성부(210)는 소오스리셋신호(RST0)를 입력받고 클럭신호(CLK, /CLK)에 응답하여 일정한 위상 차이만큼의 서로 다른 활성화 시점을 가지는 제1 내지 제4 리셋신호(RST1, RST2, RST3, RST4)를 생성한다.
여기서, 소오스리셋신호(RST0)는 멀티 위상클럭신호 생성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가장 먼저 활성화되는 신호이고, 클럭신호(CLK, /CLK)는 외부 클럭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로써 외부 클럭신호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에 대응하는 정 클럭신호(CLK)와 외부 클럭신호의 폴링 에지(falling edge)에 대응하는 부 클럭신호(CLKB)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내지 제4 리셋신호(RST1, RST2, RST3, RST4)는 정/부 클럭신호(CLK, CLKB)에 응답하여 활성화 시점이 순차적으로 정해지는 신호이다.
한편, 멀티 위상클럭신호 생성부(230)는 제1 내지 제4 리셋신호(RST1, RST2, RST3, RST4)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정/부 클럭신호(CLK, CLKB)를 분주하여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지는 제1 내지 제4 위상클럭신호(MCLK0, MCLK90, MCLK180, MCLK270)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상클럭신호(MCLK0)는 정 클럭신호(CLK)의 라이징 에지에 대응하는 신호이고, 제2 위상클럭신호(MCLK90)는 제1 위상클럭신호(MCLK0)와 90°만큼 위상차이를 가지는 신호이고, 제3 위상클럭신호(MCLK180)는 제1 위상클럭신호(MCLK0)와 180°만큼 위상차이를 가지는 신호이며, 제4 위상클럭신호(MCLK270)는 제1 위상클럭신호(MCLK0)와 270°만큼 위상차이를 가지는 신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연 고정 루프와 위상 고정 루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지는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2의 리셋신호 생성부(210)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셋신호 생성부(210)는 소오스리셋신호 입력부(310)와, 다수의 쉬프팅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소오스리셋신호 입력부(310)는 소오스리셋신호(RST0)를 입력받고 정 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제1 부 리셋신호(RST1B)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소오스리셋신호(RST0)가 논리'하이(high)'인 경우 제1 부 리셋신호(RST1B)는 논리'로우(low)'가 되고, 소오스리셋신호(RST0)가 논리'로우'인 경우 정 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제1 부 리셋신호(RST1B)는 논리'하이'가 된다. 여기서, 소오스리셋신호 입력부(310)의 출력신호는 제1 내지 제4 리셋신호(RST1, RST2, RST3, RST4)의 기준 신호가 될 수 있다.
다수의 쉬프팅부(330)는 정/부 클럭신호(CLK, CLKB)에 응답하여 소오스리셋신호 입력부(310)의 출력신호를 쉬프팅(shifting)한 제1 내지 제4 리셋신호(RST1, RST2, RST3, RST4)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내지 제4 쉬프팅부(332, 334, 336, 338)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리셋신호는 제1 위상클럭신호(MCLK0)에 대응하는 제1 정 리셋신호(RST1)와 제1 부 리셋신호(RST1B)를 포함하고, 제2 리셋신호는 제2 위상클럭신호(MCLK90)에 대응하는 제2 정 리셋신호(RST2)와 제2 부 리셋신호(RST2B)를 포함하고, 제3 리셋신호는 제3 위상클럭신호(MCLK180)에 대응하 는 제3 정 리셋신호(RST3)와 제3 부 리셋신호(RST3B)를 포함하며, 제4 리셋신호는 제4 위상클럭신호(MCLK270)에 대응하는 제4 정 리셋신호(RST4)와 제4 부 리셋신호(RST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신호의 자세한 파형도는 도 4를 통해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내지 제4 쉬프팅부(332, 334, 336, 338)는 서로 동일한 구성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쉬프팅부(332)를 대표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쉬프팅부(332)는 제1 부 리셋신호(RST1B)를 입력받고 부 클럭신호(CLKB)에 응답하여 제1 정 리셋신호(RST1)를 출력하는 리셋신호 출력부(332A)와, 제1 정 리셋신호(RST1)를 래칭하고 제2 부 리셋신호(RST2B)를 출력하는 리셋신호 래칭부(332B)를 구비할 수 있다.
그래서, 제1 부 리셋신호(RST1B)가 논리'로우'인 경우 제1 정 리셋신호(RST1)는 논리'하이'로 고정되고, 제1 부 리셋신호(RST1B)가 논리'하이'인 경우 제1 정 리셋신호(RST1)는 부 클럭신호(CLKB)에 응답하여 논리'로우'로 천이한다.
제2 내지 제4 쉬프팅부(334, 336, 338) 역시 이와 유사한 동작을 함으로써, 제1 내지 제4 쉬프팅부(332, 334, 336, 338) 각각은 이전 쉬프팅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정 클럭신호(CLK) 또는 부 클럭신호(CLKB)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리셋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 쉬프팅부(332)는 소오스리셋신호 입력부(3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부 클럭신호(CLKB)에 응답하여 제1 정 리셋신호(RST1)를 출력하여 래칭하고 제2 부 리셋신호(RST2B)를 출력한다. 제2 쉬프팅부(334)는 제2 부 리셋신호(RST2B)를 입력받고 정 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제2 정 리셋신호(RST2)를 출력하여 래칭하고 제3 부 리셋신호(RST3B)를 출력한다. 제3 쉬프팅부(336)는 제3 부 리셋신호(RST3B)를 입력받고 부 클럭신호(CLKB)에 응답하여 제3 정 리셋신호(RST3)를 출력하여 래칭하고 제4 부 리셋신호(RST4B)를 출력한다. 제4 쉬프팅부(338)는 제4 부 리셋신호(RST4B)를 입력받아 정 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제4 정 리셋신호(RST4)를 출력하고 래칭한다.
결국, 제1 쉬프팅부(332)는 부 클럭신호(CLKB)에 응답하여 소오스리셋신호 입력부(310)의 출력신호를 쉬프팅한 제1 정 리셋신호(RST1)를 출력하고, 제2 쉬프팅부(334)는 정 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제1 쉬프팅부(332)의 출력신호를 쉬프팅한 제2 정 리셋신호(RST2)를 출력하고, 제3 쉬프팅부(336)는 부 클럭신호(CLKB)에 응답하여 제2 쉬프팅부(334)의 출력신호를 쉬프팅한 제3 정 리셋신호(RST3)를 출력하며, 제 4 쉬프팅부(338)는 정 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제3 쉬프팅부(336)의 출력신호를 쉬프팅한 제4 정 리셋신호(RST4)를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신호들의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소오스리셋신호(RST0)가 논리'하이'가 되면 정/부 클럭신호(CLK, CLKB)에 상관없이 제1 내지 제4 정 리셋신호(RST1, RST2, RST3, RST4)는 논리'하이'가 되고, 제1 내지 제4 부 리셋신호(RST1B, RST2B, RST3B, RST4B)는 논리'로우'가 된다.
이후, 소오스리셋신호(RST0)가 논리'로우'가 되고 정 클럭신호(CLK)가 논리' 하이'가 되는 경우, 제1 부 리셋신호(RST1B)는 논리'하이'로 천이하게 되고 제1 쉬프팅부(332)의 리셋신호 출력부(332A)는 부 클럭신호(CLKB)에 응답하여 논리'로우'로 천이하는 제1 정 리셋신호(RST1)를 출력한다. 제1 쉬프팅부(332)의 리셋신호 래칭부(332B)는 제1 정 리셋신호(RST1)를 래칭하고 논리'하이'로 천이하는 제2 부 리셋신호(RST2B)를 출력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쉬프팅부(334)는 제2 부 리셋신호(RST2B)를 입력받고 정 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논리'로우'로 천이하는 제2 정 리셋신호(RST2)를 출력하고, 논리'하이'로 천이하는 제3 부 리셋신호(RST3B)를 출력한다. 제3 쉬프팅부(336)는 제3 부 리셋신호(RST3B)를 입력받고 부 클럭신호(CLKB)에 응답하여 논리'로우'로 천이하는 제3 정 리셋신호(RST3)를 출력하고, 논리'하이'로 천이하는 제4 부 리셋신호(RST4B)를 출력한다. 제4 쉬프팅부(338)는 제4 부 리셋신호(RST4B)를 입력받고 정 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논리'로우'로 천이하는 제4 정 리셋신호(RST4)를 출력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내지 제4 위상클럭신호(MCLK0, MCLK90, MCLK180, MCLK270)에 대한 설명은 도 5와 도 6을 설명한 이후 다시 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의 멀티 위상클럭신호 생성부(23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멀티 위상클럭신호 생성부(230)는 제1 클럭분주부(510)와, 제2 클럭분주부(530)와, 제3 클럭분주부(550), 및 제4 클럭분주부(57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클럭분주부(510)는 제1 정/부 리셋신호(RST1, RST1B)에 응답하여 동작하 고 정/부 클럭신호(CLK, CLKB)를 분주하여 제1 위상클럭신호(MCLK0)를 생성하고, 제2 클럭분주부(530)는 제1 정/부 리셋신호(RST1, RST1B)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정/부 클럭신호(CLK, CLKB)를 분주하여 제2 위상클럭신호(MCLK90)를 생성하고, 제3 클럭분주부(550)는 제1 정/부 리셋신호(RST1, RST1B)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정/부 클럭신호(CLK, CLKB)를 분주하여 제3 위상클럭신호(MCLK180)를 생성하며, 제4 클럭분주부(570)는 제1 정/부 리셋신호(RST1, RST1B)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정/부 클럭신호(CLK, CLKB)를 분주하여 제4 위상클럭신호(MCLK270)를 생성한다.
도 6은 도 5의 제1 클럭분주부(510)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클럭분주부(510)는 위상클럭신호 래칭부(610)와, 피드백부(630)와, 리셋부(650A, 650B), 및 위상클럭신호 출력부(670)를 구비할 수 있다.
위상클럭신호 래칭부(610)는 정/부 클럭신호(CLK, CLKB)에 응답하여 피드백부(630)로 부터 피드백된 입력신호(IN)를 래칭하고, 피드백부(630)는 위상클럭신호 래칭부(6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입력신호(IN)로서 피드백시켜주고, 제1 리셋부(650A)는 제1 부 리셋신호(RST1B)에 응답하여 위상클럭신호 래칭부(610)의 A 노드를 셋/리셋 시켜주고, 제2 리셋부(650B)는 제1 정 리셋신호(RST1)에 응답하여 B 노드를 셋/리셋 시켜주며, 위상클럭신호 출력부(670)는 위상클럭신호 래칭부(610)의 출력신호를 제1 위상클럭신호(MCLK0)로서 출력해 준다.
여기서, 위상클럭신호 래칭부(610)는 플립플롭(flip-flop)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정/부 리셋신호(RST1, RST1B)에 의해 셋/리셋 되고 정/부 클럭신호(CLK, CLKB)를 분주하여 출력하기 위한 구성의 다른 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내지 제4 클럭분주부(510, 530, 550, 570)의 회로 구성은 서로 유사하다. 도 6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제1 클럭분주부(510)에 입력되는 제1 정/부 리셋신호(RST1, RST1B) 대신에 제2 내지 제4 클럭분주부(530, 550, 570)는 해당하는 정/부 리셋신호가 입력되면 되고, 제2 클럭분주부(530)와 제4 클럭분주부(570)는 정 클럭신호(CLK)와 부 클럭신호(CLKB)가 반대로 입력되면 된다.
그래서, 제1 클럭분주부(510)는 정 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분주된 제1 위상클럭신호(MCLK0)를 출력하고, 제2 클럭분주부(530)는 부 클럭신호(CLKB)에 응답하여 분주된 제2 위상클럭신호(MCLK90)를 출력하고, 제3 클럭분주부(550)는 정 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분주된 제3 위상클럭신호(MCLK180)를 출력하며, 제4 클럭분주부(570)는 부 클럭신호(CLKB)에 응답하여 분주된 제4 위상클럭신호(MCLK270)를 출력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리셋신호(RST1, RST2, RST3, RST4)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오스리셋신호(RST0)가 논리'로우'로 천이한 이후 정/부 클럭신호(CLK, CLKB)에 응답하여 활성화 시점이 순차적으로 정해진다. 제1 내지 제4 클럭분주부(510, 530, 550, 570) 역시 이렇게 생성된 제1 내지 제4 리셋신호(RST1, RST2, RST3, RST4)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4 위상클럭신호(MCLK0, MCLK90, MCLK280, MCLK270)를 출력할 준비를 순차적으로 하고, 정/부 클럭신호(CLK, CLKB)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4 위상클럭신호(MCLK0, MCLK90, MCLK180, MCLK270)를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제1 내지 제4 위상클럭신호(MCLK0, MCLK90, MCLK180, MCLK270)는 서로 90°만큼 위상차이를 가지는 저주파수의 멀티 위상클럭신호가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위상 고정 루프와 지연 고정 루프 없이도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지는 제1 내지 제4 위상클럭신호(MCLK0, MCLK90, MCLK180, MCLK270)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아웃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소모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설계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한 논리 게이트 및 트랜지스터는 입력되는 신호의 극성에 따라 그 위치 및 종류가 다르게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리셋신호 생성부(210)와 멀티 위상클럭신호 생성부(230)에 동일한 정/부 클럭신호(CLK, CLKB)를 입력하여 동작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리셋신호 생성부(210)에 다른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리셋신호 생성부(210)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다수의 리셋신호가 일정한 위상 차이만큼의 순차적인 활성화 시점을 가지게 하기만 하면 된다.
도 1은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종래의 위상 고정 루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위상클럭신호 생성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리셋신호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신호들의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5는 도 2의 멀티 위상클럭신호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도 5의 제1 클럭분주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리셋신호 생성부 230 : 멀티 위상클럭신호 생성부

Claims (23)

  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일정한 위상 차이만큼의 서로 다른 활성화 시점을 가지는 다수의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리셋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다수의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소오스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상기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지는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멀티 위상클럭신호 생성수단
    을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소오스클럭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리셋신호는 상기 소오스클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활성화 시점이 순차적으로 정해지는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신호 생성수단은,
    소오스리셋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소오스리셋신호 입력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오스리셋신호 입력부의 출력신호를 쉬프팅한 상기 다수의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쉬프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쉬프팅부 각각은 이전 쉬프팅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는 각각 일정한 위상만큼 차이를 가지는 제1 내지 제4 위상클럭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셋신호는 상기 제1 위상클럭신호에 대응하는 제1 정/부 리셋신호와, 상기 제2 위상클럭신호에 대응하는 제2 정/부 리셋신호와, 상기 제3 위상클럭신호에 대응하는 제3 정/부 리셋신호, 및 상기 제4 위상클럭신호에 대응하는 제4 정/부 리셋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외부 클럭신호의 라이징 에지에 대응하는 정 제어신호와, 상기 외부 클럭신호의 폴링 에지에 대응하는 부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리셋신호 입력부는 상기 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신호 생성수단은,
    상기 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오스리셋신호 입력부의 출력신호를 쉬프팅한 상기 제1 정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제1 쉬프팅부;
    상기 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쉬프팅부의 출력신호를 쉬프팅한 상기 제2 정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제2 쉬프팅부;
    상기 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쉬프팅부의 출력신호를 쉬프팅한 상기 제3 정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제3 쉬프팅부; 및
    상기 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쉬프팅부의 출력신호를 쉬프팅한 상기 제4 정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제4 쉬프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쉬프팅부는,
    상기 소오스리셋신호 입력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해당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제1 리셋신호 출력부와,
    상기 제1 정 리셋신호를 래칭하여 상기 제1 부 리셋신호로 출력하는 제1 리셋신호 래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내지 제4 쉬프팅부 각각은,
    이전 단에서 인가되는 이전 부 리셋신호를 입력받고 해당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정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제2 리셋신호 출력부와,
    상기 해당하는 정 리셋신호를 래칭하여 다음 부 리셋신호로 출력하는 제2 리셋신호 래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위상클럭신호 생성수단은,
    상기 제1 정/부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상기 소오스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상기 제1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1 클럭분주부;
    상기 제2 정/부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상기 소오스클럭신호를 분주 하여 상기 제2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2 클럭분주부;
    상기 제3 정/부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상기 소오스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상기 제3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3 클럭분주부; 및
    상기 제4 정/부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상기 소오스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상기 제4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4 클럭 분주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클럭분주부 각각은,
    상기 소오스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입력신호를 래칭하는 위상클럭신호 래칭부;
    해당하는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위상클럭신호 래칭부를 동작시키는 리셋부; 및
    상기 위상클럭신호 래칭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신호로서 피드백시켜주는 피드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클럭신호 래칭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위상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위상클럭신호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4.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일정한 위상 차이만큼의 서로 다른 활성화 시점을 가지는 다수의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소오스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상기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가지는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소오스클럭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리셋신호는 상기 소오스클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활성화 시점이 순차적으로 정해지는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동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셋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소오스리셋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신호를 쉬프팅한 상기 다수의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는 각각 일정한 위상만큼 차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 위상클럭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동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셋신호는 상기 제1 위상클럭신호에 대응하는 제1 정/부 리셋신호와, 상기 제2 위상클럭신호에 대응하는 제2 정/부 리셋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동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외부 클럭신호의 라이징 에지에 대응하는 정 제어신호와, 상기 외부 클럭신호의 폴링 에지에 대응하는 부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동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신호를 쉬프팅한 상기 제1 정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 리셋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쉬프팅한 상기 제2 정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동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신호를 입력받고 해당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정 리셋신호를 래칭하여 상기 제1 부 리셋신호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부 리셋신호를 입력받고 해당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정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정 리셋신호를 래칭하여 상기 제2 부 리셋신호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동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부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오스클럭신호를 분주하고 상기 제1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정/부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오스클럭신호를 분주하고 상기 제2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동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각각은,
    상기 소오스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입력신호를 래칭하는 단계;
    래칭된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신호로서 피드백시켜주는 단계; 및
    해당하는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신호를 래칭하는 단계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구동 방법.
KR1020070112034A 2007-11-05 2007-11-05 반도체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 KR100910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034A KR100910851B1 (ko) 2007-11-05 2007-11-05 반도체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
US12/005,515 US8283962B2 (en) 2007-11-05 2007-12-27 Semiconductor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or generating phase clock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034A KR100910851B1 (ko) 2007-11-05 2007-11-05 반도체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091A KR20090046091A (ko) 2009-05-11
KR100910851B1 true KR100910851B1 (ko) 2009-08-06

Family

ID=4058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034A KR100910851B1 (ko) 2007-11-05 2007-11-05 반도체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83962B2 (ko)
KR (1) KR100910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724B1 (ko) 2010-05-31 2012-12-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클럭발생회로 및 그를 이용한 지연고정루프
WO2015040504A1 (en) * 2013-09-18 2015-03-2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of resetting a processor
US11640184B2 (en) * 2019-07-01 2023-05-02 Mediatek Inc. Phase synchronized LO gener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6549A (ko) * 2005-09-29 2007-04-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 고정 루프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4769A (en) * 1981-06-15 1983-07-19 Hughes Aircraft Company Dual modulus counter having non-inverting feedback
JP2994272B2 (ja) * 1996-08-23 1999-12-27 九州日本電気株式会社 多相クロック発生回路
US6700425B1 (en) * 2001-10-30 2004-03-02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Multi-phase clock generators that utilize differential signals to achieve reduced setup and hold times
US6426662B1 (en) * 2001-11-12 2002-07-30 Pericom Semiconductor Corp. Twisted-ring oscillator and delay line generating multiple phases using differential dividers and comparators to match delays
US6894551B2 (en) * 2003-09-05 2005-05-17 Micron Technology, Inc. Multiphase clock generators
KR101157241B1 (ko) * 2005-04-11 2012-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드라이버 및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6549A (ko) * 2005-09-29 2007-04-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 고정 루프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091A (ko) 2009-05-11
US8283962B2 (en) 2012-10-09
US20090115467A1 (en)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5231B1 (en) Digital dual-loop DLL design using coarse and fine loops
JP5231045B2 (ja) クロックスキューコントローラ及びそれを備える集積回路
US6798248B2 (en) Non-overlapping clock generation
US6815985B2 (en) Clock divider and method for dividing a clock signal in a DLL circuit
US11290089B2 (en) Generation of pulse width modulated (PWM) pulses
US9344064B2 (en)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frequency change detection circuitry
US9582028B1 (en) Circuits and methods of TAF-DPS based chip level global clock signal distribution
TWI475355B (zh) 用於資料接收及傳輸之方法及相關之積體電路
KR100910851B1 (ko) 반도체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
US944858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lock signals based on duty code and period code
US7952413B2 (en) Clock generating circuit and clock generating method thereof
US9088405B2 (en) Clock phase interpolat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 and method of clock phase interpolation
KR100853862B1 (ko) 지연 고정 루프 기반의 주파수 체배기
US8063708B2 (en) Phase locked loop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70165476A1 (en) Clock signal generating circuit
JP2009165064A (ja) 分周回路及び分周方法
US10560053B2 (en) Digital fractional frequency divider
JP4408470B2 (ja) タイミング信号発生回路
KR100792379B1 (ko) 여러 주파수의 동작이 가능한 지연고정루프 및지연고정루프의 주파수 분주방법.
KR100415544B1 (ko) 양방향 지연을 이용한 디엘엘 회로
KR20080023496A (ko) 듀티비 조절 회로 및 그 방법
JP2004129198A (ja) ジッター発生回路及び半導体装置
KR100917618B1 (ko) 클럭 생성 회로와 그의 구동 방법
KR20090045583A (ko) 지연 고정 루프와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