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538B1 -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538B1
KR100910538B1 KR1020090030698A KR20090030698A KR100910538B1 KR 100910538 B1 KR100910538 B1 KR 100910538B1 KR 1020090030698 A KR1020090030698 A KR 1020090030698A KR 20090030698 A KR20090030698 A KR 20090030698A KR 100910538 B1 KR100910538 B1 KR 10091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omatic
halide
metal component
polyamide polym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with both amino and carboxylic groups aromatically b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8Preparato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3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from aromatic diamines and aromatic dicarboxylic acids with both amino and carboxylic groups aromatically b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 D01F6/605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from aromatic 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2Applications used for fi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점도의 편차가 적으면서도 높은 고유점도를 갖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 제조방법은, 중합용매에 방향족 디아민을 용해시켜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 내 금속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금속 성분의 함량이 10 ppm 이하인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취사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취사 선택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상기 혼합용액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방향족 디아민과 상기 취사 선택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중합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폴리아미드, 아라미드, 예비 중합체, 유도결합플라즈마 발광광도법

Description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Wholly Aromatic Polyamide Polym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ramide Fib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유점도의 편차가 적으면서도 높은 고유점도를 갖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라미드 섬유로 통칭되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는, 벤젠 고리들이 아미드기(CONH)를 통해 직선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와 그렇지 않은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한다.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는 고강도, 고탄성, 저수축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5mm 정도 굵기의 가느다란 실로 2톤의 자동차를 들어올릴 정도의 막강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 방탄 용도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우주항공 분야의 첨단 산업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아라미드 섬유는 500℃이상에서 검게 탄화하므로 고내열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도 각광을 받고 있다.
아라미드 섬유는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N-메틸-2-피롤리돈을 포함하는 중합용매 중에서 중합시킴으로써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 이 중합체를 농황산 용매에 용해시켜 방사도프를 제조하는 공정, 상기 방사도프를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한 후 방사물을 비응고성 유체 및 응고욕조를 순차적으로 거치도록 함으로써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필라멘트를 수세, 건조 및 열처리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아라미드 섬유는 고강도 및 고탄성율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높은 고유점도를 갖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가 담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비교적 높은 고유점도 특성을 가지면서도 그 물성 편차가 적은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방향족 디아민과 중합반응하여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생성하는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가 니켈, 마그내슘, 철 등의 금속성분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또는 디에시드 할라이드의 저장조에 수분이 유입될 경우, 이들 금속 성분들 또는 수분이 최종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전혀 보고된 바 없고, 따라서 이들 금속 성분들 또는 수분이 최종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물성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도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니켈, 마그내슘, 철 등의 금속성분들 또는 수분이 최종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물성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고유점도 편차가 적으면서도 높은 고유점도를 갖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유점도의 편차가 적으면서도 높은 고유점도를 갖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이용하여 고강도 및 고탄성율을 갖는 아라미드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의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 제조방법은, 중합용매에 방향족 디아민을 용해시켜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 내 금속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금속 성분의 함량이 10 ppm 이하인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취사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취사 선택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상기 혼합용액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방향족 디아민과 상기 취사 선택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중합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의 아라미드 섬유 제조방법은, 중합용매에 방향족 디아민을 용해시켜 혼합용액을 제조 하는 단계;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 내 금속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금속 성분의 함량이 10 ppm 이하인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취사 선택하는 단계; 상기 취사 선택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상기 혼합용액에 첨가함으로써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이용하여 방사도프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도프를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니켈, 마그내슘, 철 등의 금속성분들 또는 수분이 최종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물성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고유점도 편차가 적으면서도 높은 고유점도를 갖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편차가 적으면서도 높은 고유점도를 갖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이용하여 고강도 및 고탄성율을 갖는 아라미드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유기용매에 무기염을 첨가하여 중합용매를 제조한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아미드계 유기용매, 우레아계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유기용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로는 N-메틸-2-피롤리돈(NMP), N, 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헥사메틸포스포아미드(HMPA), N, N, N', N'-테트라 메틸 우레아(TMU),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염은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중합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예로는 CaCl2, LiCl, NaCl, KCl, LiBr 및 KBr 등과 같은 할로겐화 알칼리 금속염 또는 할로겐화 알칼리 토금속염을 들 수 있으며, 이들 무기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무기염의 첨가양이 증가할수록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중합도는 증가되지만 상기 무기염이 과량으로 첨가되면 미처 용해되지 않는 무기염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무기염은 중합용매 전체량에 대해 10 중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염은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좋지 않기 때문에 물을 첨가하여 무기염을 완전히 용해시키고, 그 후에 탈수공정을 통해 물을 제거함으로써 최종적인 중합용매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조된 중합용매에 방향족 디아민을 용해시켜 혼합용액을 제조한다. 방향족 디아민의 구체적인 예는 파라-페닐렌디아민, 4,4'-디아미노비페닐, 2,6-나프탈렌디아민, 1,5-나프탈렌디아민 또는 4,4'-디아미노벤즈아닐라이드를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상기 방향족 디아민과 중합반응하여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생성할 수 있는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준비한다. 상기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의 구체적인 예로는 테레프탈로일 디클로라이드, 4,4'-벤조일 디클로라이드,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 디클로라이드 또는 1,5-나프탈렌디카복실산 디클로라이드를 들 수 있 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 예를 들어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erephthaloyl Chloride: TPC)는 그 제조시 니켈, 마그네슘, 철 등의 금속성분이 촉매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된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에는 상기 금속성분이 잔존할 수 있다. 이러한 잔존 금속성분이 증가할수록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대신에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트리메조일 클로라이드(Trimesoyl Chloride: TMC), 이소프탈로일 클로라이드(Isophthaloyl Chloride: IPC) 등의 불순물 함량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들 불순문들은 폴리아미드 중합체 제조를 위한 중합반응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 내 니켈, 마그네슘, 철 등의 금속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고, 금속 성분의 함량이 10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0.1ppm 이하인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만을 취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 내의 금속 성분 함량은 유도결합플라즈마 발광광도법[Inductively Coupled Plasma(ICP) Emission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즉, 시료를 테프론으로 제조된 밀폐용기에 넣고 진한황산-질산-과염소산 등의 산으로 습식탄화 및 산화분해시킨 후 유도결합플라즈마 발광분석기로 불순물의 발광도를 측정하여 금속성분의 함량을 계산한다.
한편, 취사선택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가 저장된 저장조 내에 수분이 유입될 경우에도 상기 불순물의 함량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PC)가 수분과 반응하면 염산(HCl)과 함께 테레프탈산(TPA)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취사 선택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가 저장된 저장조 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질소 퍼지(N2 purge)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조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혼합용액을 교반하면서 상기 혼합용액에 상기 취사선택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소정량 첨가하여 예비중합시킨다.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의 중합은 발열과 함께 빠른 속도로 반응이 진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중합속도가 빠르게 되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중합체들 사이에서 중합도 차이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합반응은 혼합용액 전체에서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먼저 중합반응이 시작된 중합체는 빠르게 중합반응을 진행하여 긴 분자사슬을 형성하는 반면, 나중에 중합반응이 시작된 중합체는 먼저 중합반응이 시작된 중합체보다 짧은 분자사슬을 형성할 수밖에 없게 되고, 중합속도가 빠르게 되면 그 차이가 훨씬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중합체들 사이에 중합도 차이가 커지게 되면 물성 편차 또한 커지게 되어 원하는 특성구현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예비중합공정을 통해 일단 소정 길이의 분자사슬을 갖는 예비중합체를 미리 형성하고, 그 후에 중합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중합체들 사이의 중합도 차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예비중합공정은 반응기 내에서 0 ~ 45 ℃로 반응 온도를 유지하며 수행하고, 반응시간은 3 ~ 15분 정도로 충분한 중합 시간을 부여하며,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에 필요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의 전체량 중 20 ~ 40%만을 예비중합공정 중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중합공정을 완료한 후, 0 ~ 10℃ 상태로 온도를 낮추고 상기 예비 중합체에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추가로 첨가하여 최종 중합체를 제조한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 제조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는 방향족 디아민과 1:1 몰비로 반응을 하기 때문에, 최종 중합시 첨가되는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의 양은 예비중합시 첨가되는 양과 더해질 경우 상기 방향족 디아민과 동일한 몰(mole)이 되도록 결정된다. 다만, 중합용매를 제조할 때 무기염의 용해를 돕기위해 첨가한 물이 탈수 공정을 거친 후에도 소량 잔존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소량의 물이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와 반응하여 불용성 물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불용성 물질이 형성될 것을 감안하여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방향족 디아민 보다 소량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한 중합공정을 완료한 후 전체 중합용액 중에서 최종 중합체의 농도가 5 내지 20중량% 정도가 되도록 방향족 디아민과 디에시드 할라이드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중합체의 농도가 5중량% 미만이 되도록 방향족 디아민과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첨가할 경우에는 중합속도가 저하되고 장시간 동안 반응을 시켜야 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지고, 중합체의 농도가 20중량%를 초과하도록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첨가할 경우에는 중합반응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여 중합체의 고유점도를 5.5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중합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는,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PPD-T), 폴리(4,4'-벤즈아닐라이드 테레프탈아미드), 폴리(파라페닐렌-4,4'-비페닐렌-디카복실산 아미드) 또는 폴리(파라페닐렌-2,6-나프탈렌디카복실산 아미드)를 들 수 있다.
이어서, 중합반응 중에 생성된 산을 알칼리 화합물을 이용하여 중화시킨다.
중합반응을 거쳐 얻어진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는 빵가루와 같은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용액의 유동성이 좋지 못하다. 따라서, 그 유동성 향상을 위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용액에 물을 첨가하여 슬러리로 만든 상태에서 이후 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 슬러리를 만들 때 알칼리 화합물을 용해시킨 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중화공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무기 알칼리 화합물는 NaOH, Li2CO3, CaCO3, LiH, CaH2, LiOH, Ca(OH)2, Li2O 또는 CaO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의 탄산염, 알칼리 토금속의 수소화물,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염산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강산 상태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용액에 무기 알칼리 화합물을 첨가하면 염산과 신속히 반응하여 중화가 빠르게 진행하지만, 일단 중화가 상당히 진행되어 pH가 7에 접근하면 무기 알칼리 화합물과 염산과의 반응속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무기 알칼리 화합물이 미반응 상태로 중화용액에 남게 되며, 이로 인해 중화 완료 후 불용성 무기 알칼리 화합물을 필터로 여과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방향족 폴리아미드 용액 중에 불용성 이물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중화 공정을 여러 번에 나누어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중화공정을 완료하여 산이 제거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분쇄한다.
후술하는 추출 공정시 중합체의 입자크기가 너무 크면 중합용매 추출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중합용매 추출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추출공정 전에 중합체의 입자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서 분쇄공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어서, 분쇄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로부터 중합용매를 추출한다. 중합에 의해 얻어진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 내에는 중합 공정을 위해 사용한 중합용매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중합용매를 중합체로부터 추출해야 하며, 추출된 중합용매는 중합공정에 재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출공정은 물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이다. 추출공정은 배출구가 구비된 욕조에 필터를 설치하고 상기 필터 위에 중합체를 위치시킨 후 물을 부어, 중합체 내에 함유된 중합용매를 물과 함께 상기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추출공정 후 잔류하는 물을 탈수하고, 그 후 건조 공정을 거쳐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 제조를 완성한다. 그 후, 방사공정을 위해서 크기별로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분류하는 분급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조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97 내지 103%의 농도를 갖는 농황산 용매에 용해시켜 방사 도프(spinning dope)를 제조한다. 상기 농황산 대신에 클로로 황산이나 플루오로황산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사도프 내의 중합체 농도는 10 내지 25 중량%인 것이 섬유 물성에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중합체 농도가 증가할수록 방사도프의 점도도 역시 증가하지만 임계 농도(critical concentration point)를 넘어서면 방사도프의 점도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는데, 이때 방사도프는 고체상(solid phase)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광학적 등방성(optically isotropic)에서 광학적 이방성(optically anisotropic)으로 변화한다. 이방성 방사도프는 구조적 및 기능적 특성으로 인해 별도의 연신(drawing) 공정 없이 고강도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방사도프 내의 폴리아미드 중합체 농도는 상기 임계 농도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농도가 지나치게 클 경우 방사도프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방사도프를 방사구금(spinneret)을 이용하여 방사(spinning)한 후 에어 갭(air gap)을 거쳐 응고조(coagulation bath) 내에서 응고시킴으로써 필라멘트(filament)를 형성한다.
상기 에어 갭은 주로 공기층이나 불활성 기체층도 사용될 수 있으며, 에어 갭의 길이는 0.1 내지 15 cm인 것이 제조되는 필라멘트의 물성 향상에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구금은 0.1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모세관을 갖는다. 만약 방사구금에 형성된 모세관의 직경이 0.1 mm를 초과할 경우에는 생성되는 필라멘트의 분자 배향성이 나빠짐으로써 결과적으로 필라멘트의 강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야 기하게 된다.
상기 응고조는 상기 방사구금의 하부에 위치하며 그 내부에 응고액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응고조의 하부에는 응고튜브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방사구금의 모세관을 통과한 방사물은 하강하면서 에어 갭과 응고액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응고되어 필라멘트를 형성하며, 이 필라멘트는 상기 응고조 하부의 응고튜브를 통과하면서 배출된다. 필라멘트와 더불어 응고액도 상기 응고튜브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그 배출액 만큼 응고조에 응고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주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응고튜브에는 분사 장치(jet device)가 형성되어 응고튜브를 통과하는 필라멘트에 응고액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 장치는 다수의 분사구(jet opening)를 구비하고 다수의 분사구에서 필라멘트를 향하여 응고액을 분사한다. 상기 다수의 분사구는 응고액이 필라멘트에 대하여 완벽히 대칭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고액의 분사 각도는 필라멘트의 축방향에 대하여 0 내지 85°가 바람직하며, 특히 상업적 생산 공정에 있어서는 30°의 분사 각도가 적당하다.
상기 응고액은 물,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황산이 첨가될 수 있으며, -20 내지 +90℃로 유지된다. 방사구금을 통과한 방사물이 응고액을 통과하게 되면 방사물 내의 황산이 제거되면서 필라멘트가 형성되는데, 황산이 방사물 표면으로부터 급격히 제거되면 그 내부에 함유된 황산이 미처 빠져나가기 전에 표면이 먼저 응고되어 필라멘트의 균일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방사물 표면으로부터 황산이 급격히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응고액에 황산을 첨가하는 것이다.
이어서, 얻어진 필라멘트에 잔존하는 황산을 제거한다.
방사 도프의 제조에 사용된 황산은 방사물이 응고조를 통과하면서 대부분 제거되기는 하지만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잔존할 수 있다. 또한 방사물로부터 황산이 균일하게 빠져나오게 하기 위하여 응고조의 응고액에 황산을 첨가할 경우, 얻어지는 필라멘트에는 황산이 잔존할 확률이 높다. 필라멘트에 잔존하는 황산은 그 양이 아무리 소량이라 할지라도 아라미드 섬유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필라멘트에 잔존하는 황산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필라멘트에 잔존하는 황산은 물, 또는 물과 알칼리 용액의 혼합용액을 이용한 수세공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수세 공정은 다단계로 수행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황산을 함유한 필라멘트를 0.3 내지 1.3%의 가성 수용액(aqueous caustic solution)으로 1차 수세를 하고, 이어서 0.01 내지 0.1%의 더 묽은 가성 수용액으로 2차 수세를 할 수 있다.
이어서, 필라멘트에 잔류하는 수분 함유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건조공정을 수행한다.
건조공정은 가열된 건조 롤(drying roll)에 필라멘트가 닿는 시간을 조절하거나, 상기 건조 롤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필라멘트의 수분 함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방사, 수세, 중화, 및 건조 공정 중에 상기 필라멘트에는 장력(tension)이 가해지게 되는데, 건조 공정 중에 필라멘트에 가하는 장력의 최적 크기는 전체 방사 조건에 의해 결정되기는 하지만 약 3.0 내지 7.0 gpd의 장력 하에서 필라멘트를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시 장력이 3.0 gpd 미만일 경우에는 분자 배향도가 감소되어 궁극적으로 섬유의 강도가 저하된다. 반대로, 건조시 장력이 7.0 gpd를 초과할 경우 필라멘트가 절단될 우려가 있어 제조상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한편, 필라멘트에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는 필라멘트를 이동시키는 롤의 표면 스피드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건조 롤은 소정의 수단에 의해 가열되며, 가열된 롤로부터 과도한 열이 방출되어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건조 롤은 최소한 부분적으로 열 차단 수단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건조가 완료된 필라멘트를 지관에 감는다. 방사권취속도는 300 내지 1,500 m/분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으로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않된다.
*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고유점도(Inherent Viscosity: I.V.) 측정
고유점도(I.V.)는 다음의 식에 의해 정의된다.
I.V. = ln(ηrel)/C
여기서, C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 용액의 농도(농황산 100ml에 중합 체 0.5g을 용해시킨 용액)이고, 상대점도ηrel는 30℃에서 모세관 점도계로 측정한 중합체 용액과 용매 사이의 유동시간 비이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고유점도 값은 95 내지 98%의 농황산 용매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N-메틸-2-피롤리돈(NMP)에 CaCl2 7 중량% 첨가한 중합용매 100 ml에 파라-페닐렌디아민 5.00 g을 용해시켜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0.1 ppm의 금속성분을 함유한 테레프탈로일 디클로라이드 9.44 g을 상기 혼합용액에 첨가하여 파라-페닐렌디아민과 중합반응시킴으로써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PPD-T)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중합반응을 위해 사용한 테레프탈로일 디클로라이드가 0.2 ppm의 금속성분을 함유하였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PPD-T)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중합반응을 위해 사용한 테레프탈로일 디클로라이드가 1.0 ppm의 금속성분을 함유하였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PPD-T)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중합반응을 위해 사용한 테레프탈로일 디클로라이드가 5.0 ppm의 금속성분을 함유하였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PPD-T)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중합반응을 위해 사용한 테레프탈로일 디클로라이드가 9.0 ppm의 금속성분을 함유하였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PPD-T)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중합반응을 위해 사용한 테레프탈로일 디클로라이드가 10.0 ppm의 금속성분을 함유하였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PPD-T)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중합반응을 위해 사용한 테레프탈로일 디클로라이드가 10.0 ppm의 금속성분을 함유하였고, 상기 중합반응 전에 질소 퍼지(N2 purge)를 이용하여 테레프탈로일 디클로라이드의 저장조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정을 수행하였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PPD-T)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1
중합반응을 위해 사용한 테레프탈로일 디클로라이드가 11.0 ppm의 금속성분을 함유하였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파라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PPD-T)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2
중합반응을 위해 사용한 테레프탈로일 디클로라이드가 12.0 ppm의 금속성분을 함유하였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PPD-T)를 제조하였다.
위 실시예들 및 비교실시예들에 의해 얻어진 최종 중합체의 평균 고유점도(I.V.) 및 고유점도 편차를 측정한 결과 다음의 표 1에 나타난 결과를 얻었다.
[표 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TPC 금속 성분 함량 (ppm) 0.1 0.2 1.0 5.0 9.0 10.0 10.0 11.0 12.0
수분 유입 방지 여부 × × × × × × × ×
중합체 평균 I.V. 6.3 6.3 6.2 6.0 6.0 6.0 6.1 5.9 5.9
I.V. 편차 ± 0.3 ± 0.5 ± 0.6 ± 0.7 ± 0.8 ± 0.8 ± 0.7 ± 1.2 ± 1.3
위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PC)에 잔존하는 금속성분이 10 ppm을 초과할 경우, 최종 중합체의 고유점도가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6.0을 만족시키지 못할 정도로 중합반응이 심각히 저해되었다. 또한, 최종 중합체의 고유점도 편차도 ± 1.0을 초과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또한, 실시예 6 및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 드(TPC)가 동일량의 잔존 금속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의 저장조로의 수분 유입 여부에 따라 고유점도 및 고유점도 편차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수분 유입이 방지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중합반응에 사용하는 것이 수분 유입 방지 공정을 거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최종 중합체의 고유점도가 높고 고유점도 편차는 낮음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중합용매에 방향족 디아민을 용해시켜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 내 금속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금속 성분은 상기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불순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금속성분으로서 니켈(Ni), 마그네슘(Mg), 및 철(Fe)을 포함함 -;
    상기 금속 성분의 함량이 10 ppm 이하인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취사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취사 선택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상기 혼합용액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방향족 디아민과 상기 취사 선택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중합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 내 금속 성분 함량은 유도결합플라즈마 발광광도법[Inductively Coupled Plasma(ICP) Emission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 선택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저장조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질소 퍼지(N2 purge)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5. 중합용매에 방향족 디아민을 용해시켜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 내 금속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금속 성분은 상기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불순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금속성분으로서 니켈(Ni), 마그네슘(Mg), 및 철(Fe)을 포함함 -;
    상기 금속 성분의 함량이 10 ppm 이하인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취사 선택하는 단계;
    상기 취사 선택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상기 혼합용액에 첨가함으로써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이용하여 방사도프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도프를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 내 금속 성분 함량은 유도결합플라즈마 발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 선택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상기 방향족 디아민과 중합반응시키기 이전에 상기 취사 선택된 방향족 디에시드 할라이드를 저장조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질소 퍼지(N2 purge)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KR1020090030698A 2008-05-29 2009-04-09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KR100910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0376 2008-05-29
KR1020080050376 2008-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538B1 true KR100910538B1 (ko) 2009-07-31

Family

ID=4133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698A KR100910538B1 (ko) 2008-05-29 2009-04-09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978A (ko) * 2011-07-29 2014-05-02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아라미드 공중합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718A (ko) * 1986-07-23 1988-04-26 주식회사 코오롱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상단섬유와 그의 제조방법.
US5324811A (en) * 1991-04-29 1994-06-28 Kolon Industries, Inc. Aromatic polyamide pulp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0292739B1 (ko) * 1992-05-28 2001-10-24 고사이 아끼오 저중합도의파라-아라미드도프,그것으로제조한파라-아라미드섬유및파라-아라미드펄프와그들의제조방법
JP2002167495A (ja) 2000-11-30 2002-06-11 Teijin Ltd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識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718A (ko) * 1986-07-23 1988-04-26 주식회사 코오롱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상단섬유와 그의 제조방법.
US5324811A (en) * 1991-04-29 1994-06-28 Kolon Industries, Inc. Aromatic polyamide pulp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0292739B1 (ko) * 1992-05-28 2001-10-24 고사이 아끼오 저중합도의파라-아라미드도프,그것으로제조한파라-아라미드섬유및파라-아라미드펄프와그들의제조방법
JP2002167495A (ja) 2000-11-30 2002-06-11 Teijin Ltd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識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978A (ko) * 2011-07-29 2014-05-02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아라미드 공중합체
KR101962494B1 (ko) 2011-07-29 2019-07-18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아라미드 공중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275B1 (ko)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아라미드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924910B1 (ko) 향상된 내변색성을 갖는 아라미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924905B1 (ko) 파라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KR101245890B1 (ko) 아라미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910538B1 (ko)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KR100910537B1 (ko)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KR100930204B1 (ko) 아라미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881827B1 (ko) 다단 응고조로 구성된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한 아라미드 섬유
KR101387272B1 (ko) 아라미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4600A (ko)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아라미드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407908B1 (ko) 아라미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287277B1 (ko) 아라미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2068A (ko)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KR100924908B1 (ko) 아라미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285994B1 (ko) 아라미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910535B1 (ko)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KR101174942B1 (ko)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 및 그를 이용한 아라미드 섬유의제조방법
KR101337053B1 (ko)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아라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KR101309466B1 (ko)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제조방법, 아라미드 섬유 및그 제조방법
KR101233449B1 (ko) 아라미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287323B1 (ko) 아라미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245972B1 (ko) 아라미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342270B1 (ko)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
KR101140468B1 (ko) 아라미드의 제조 방법, 이로 제조된 아라미드 필라멘트 및 필름
KR101287256B1 (ko) 향상된 내변색성을 갖는 아라미드 섬유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