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928B1 -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양식어류의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양식어류의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928B1
KR100908928B1 KR1020070096094A KR20070096094A KR100908928B1 KR 100908928 B1 KR100908928 B1 KR 100908928B1 KR 1020070096094 A KR1020070096094 A KR 1020070096094A KR 20070096094 A KR20070096094 A KR 20070096094A KR 100908928 B1 KR100908928 B1 KR 100908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illus
feed
fish
eel
feed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661A (ko
Inventor
양국산
양승창
Original Assignee
양승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창 filed Critical 양승창
Priority to KR1020070096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928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r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subtilus) KS-3,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amyloliquefaciens) KS-4, 바실러스-아가라다에렌스(Bacillus-agaradhaerens) KS-5, 파에니바실러스 렌티모부스(Paenibacillus-lentimorbus) KS-6, 바실러스 라에볼락티쿠스(Bacillus-laevolacticus) KS-7, 류코노스톡 파라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KS-9, 쿠르시아 시비리카(Kurthia-sibirica) KS-13 및 스핑고박테리움 스피리티보럼-GC 서브그룹 B(플라보박테리움)(Sphingobacterium-spiritivorum-GC subgroup B(Flavobacterium) KS-18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조성물을 제공한다.
양식어류, 미생물 제제

Description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양식어류의 사육방법{A feed additive for raising fishes, a feed composition, and a bree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및 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식어류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료 이용효율이 높은 신규한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및 사료조성물과, 이들을 양식어류에 급여하여 사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식 어류의 가식부인 근육의 품질이 천연어의 근육에 비해 뒤떨어지는 것은 가끔 지적되는 바이다. 그 육질의 차이는 방어, 참돔, 넙치 등의 혈합근의 붉은 색의 선명한 색조가 양식어에서는 뒤떨어지고, 맛, 풍미의 점에서 이미, 이취가 수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종래 사료첨가제나 사료조성물은 주로 양식어류의 육질 개선과 폐사율의 감소 등에 초점을 맞추어 오고 있는 실정이지만, 아직까지는 사료의 이용효율도 높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육질개선 및 폐사율의 감소효과도 그렇게 만족할 만한 수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나아가, 지방은 중요한 생체 구성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총지방 함량중 HDL의 함량을 높게 해 주는 것이 좋으나, 종래의 사료조성에 의하면 주로 LDL 성분이 증가할 뿐 HDL 성분의 증가효과는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폐사율을 줄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육질의 개선 및 HDL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사료첨가제 내지는 사료조성물의 보급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양식어류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육질개선효과 내지는 HDL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나아가 사료 이용효율이 높은 신규한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및 이를 배합한 사료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식어류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육질개선효과 내지는 HDL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나아가 사료 이용효율이 높은 신규한 사료첨가제 및 이를 배합한 사료조성물을 양식어류에 급여하여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subtilus) KS-3,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amyloliquefaciens) KS-4, 바실러스-아가라다에렌스(Bacillus-agaradhaerens) KS-5, 파에니바실러스 렌티모부스(Paenibacillus-lentimorbus) KS-6, 바실러스 라에볼락티쿠스(Bacillus-laevolacticus) KS-7, 류코노스톡 파라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KS-9, 쿠르시아 시비리카(Kurthia-sibirica) KS-13 및 스핑고박테리움 스피리티보럼-GC 서브그룹 B(플라보박테리움)(Sphingobacterium-spiritivorum-GC subgroup B(Flavobacterium) KS-18를 포함하는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subtilus) KS-3,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amyloliquefaciens) KS-4, 바실러스-아가라다에렌스(Bacillus-agaradhaerens) KS-5, 파에니바실러스 렌티모부스(Paenibacillus-lentimorbus) KS-6, 바실러스 라에볼락티쿠스(Bacillus-laevolacticus) KS-7, 류코노스톡 파라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KS-9, 쿠르시아 시비리카(Kurthia-sibirica) KS-13 및 스핑고박테리움 스피리티보럼-GC 서브그룹 B(플라보박테리움)(Sphingobacterium-spiritivorum-GC subgroup B(Flavobacterium) KS-18를 포함하는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조성물을 동물에 급여하여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분말 또는 펠렛 제형, 또는 액상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양식어류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육질개선효과 내지는 HDL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나아가 사료 이용효율이 높은 사료첨가제 및 사료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생물들의 분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토양시료(충북 제천의 산림의 부숙토)를 60℃에서 30분 동안 열처리한 후 막자사발에서 곱게 갈아 준비해 둔 다음, 시료 1g을 취하여 0.85 % NaCl 9㎖에 현탁한 후, 희석한다. 상기 희석 현탁액 100 ㎕를 TSA, BL, BBL 배지(DIFCO 사)에 도말하여 28℃에서 배양하고, 혐기성 균주를 동정하기 위하여 ANAEROGENTM COMPACT (OXOID 제품)을 사용하여 배양한다. 배양된 균주는 콜로니 형태가 다른 것들을 선발하여 TSA 배지에서 적어도 3회 이상 계대배양하여 단일콜로니로 분리한 후, 분리된 균주는 액체 배양하고 게노믹 DNA(genomic DNA)를 순화하여 16S RNA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증폭한 뒤, 증폭된 부분을 주형(template)으로 하고 519r과 785r 프라이머(primer)를 사용하여 서열을 시퀀싱(sequencing)하는 과정을 거쳐 분리할 수 있다.
그 결과물을 NCBI DB에서 조사하여 종을 동정하였는 바, 16S RNA로 균을 동정하는 데 사용된 프라이머 세트는 "Nucleic acid techniques in bacterial systematics (John Wiley and Sons, England)"와 "nucleic acid research (2000) 28(1):173-174를 참고하였다.
이와 같이 분리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한국유전자은행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동 52번지 소재)을 기탁기관으로 하여,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amyloliquefaciens) KS-4는 KCTC 11186BP, 바실러스-아가라다에렌스(Bacillus-agaradhaerens) KS-5는 KCTC 11187BP, 파에니바실러스 렌티모부스(Paenibacillus-lentimorbus) KS-6는 KCTC 11188BP, 바실러스 라에볼락티쿠스(Bacillus-laevolacticus) KS-7는 KCTC 11189BP, 류코노스톡 파라메센테로이 드(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KS-9는 KCTC 11190BP, 쿠르시아 시비리카(Kurthia-sibirica) KS-13은 KCTC 11191BP 및 스핑고박테리움 스피리티보럼-GC 서브그룹 B(플라보박테리움)(Sphingobacterium-spiritivorum-GC subgroup B(Flavobacterium) KS-18은 KCTC 11192BP로서 2007.09.04일자로 각각 기탁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미생물 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및 사료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는 상기 토양미생물 혼합종균 0.001 내지 0.02중량%와, 쌀겨 2 내지 5중량%, 당밀 2 내지 4중량% 및 황설탕 2 내지 4중량%에 나머지 물을 혼합하여 100중량%가 되도록 하여 혼합한 후 온도 20 내지 25℃를 유지하며 2 내지 6시간 간격으로 5 내지 10㎥/h의 공기를 1 내지 3시간 동안 폭기하는 과정을 일일 2 내지 6회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15 내지 21일간 배양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폭기 등의 조건은 본 발명자의 연구결과 최적화된 결과이며, 당업자라면 상기 조건에 다소의 변형을 가할 수 있으나 그러한 변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도 알 것이다.
이와 같은 토양미생물 혼합종균의 배양액을 제조한 후에는 쌀겨, 및 볏짚, 왕겨 등과 같은 농산물 부산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배양원료 76.9 중량% 및 상기 토양미생물 혼합종균의 배양액 23.1 중량%로 구성된 혼합원료를 제조한 후, 상기 토양미생물 혼합종균 0.01 내지 0.1 중량%를 접종하는 접종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배양원료로서 비교적 구하기 용이하고 원가부담이 적은 쌀겨, 농산물 부산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양원료는 상기 쌀겨 또는 농산물 부산물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접종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쌀겨, 농산물 부산물 및 토양미생물 혼합종균의 배양액으로 구성되고, 상기 토양미생물 혼합종균이 접종된 혼합원료를 80 내지 85℃에서 2 내지 8시간동안 배양시키는 고온 배양단계를 거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80℃ 이상의 초고온에서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통의 미생물배양은 20 내지 40℃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것임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 의한 사료첨가제는 초고온의 조건에서 수행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양미생물 혼합종균이 접종된 혼합원료를 80 내지 85℃에서 2 내지 8시간 동안 30 내지 80rpm/min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초고온 배양시켰다. 이때 배양온도는 불필요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80℃ 이상에서 수행하나, 상기 토양미생물 혼합종균의 활성도를 유지하기 위해 85℃이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온 배양 후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어느 정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는 하지만 고온배양의 영향으로 성형에는 적합하지 않은 분말상으로 존재하게 된다. 이를 그대로 건조되거나 분쇄과정을 거쳐 건조되어 분말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성형과정을 거칠 수 있기 때문에 성형을 위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성형과정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배양된 사료첨가제를 펠렛형으로 가공할 경우 시간당 800 내지 1,000kg 처리용량의 성형기를 이용하여 성형하였다.
상기 고온배양 또는 성형 단계 후에는 건조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건조는 사료첨가제가 열변형 등의 우려가 없는 범위에서 공지의 건조방법 모두 사용가능하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50 내지 80℃ 범위에서 열풍건조를 수행하였다.
상기 과정에 의해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는 양식어류의 사료첨가제 또는 각 양식어류에 따라 시판되는 사료조성물에 위 사료첨가제를 첨가한 형태의 사료조성물의 형태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조성물을 급여할 수 있는 어류에 특별 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넙치, 가자미, 뱀장어, 민물장어, 바다장어, 우럭 등과 같은 어류들을 들 수 있다.
사료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의한 사료첨가제의 첨가량은 특별한 한정을 요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양식어류에 따라 시판되는 사료에 균주의 총수가 1×105 ∼ 1×1012 cfu/g 정도 함유하도록 첨가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서는 아니됨에 유의해야 한다.
<실시예 1> 토양미생물 혼합종균의 배양
미생물이 함유된 토양시료(충북 제천의 산림의 부숙토)를 60℃에서 30분 동안 열처리한 후 막자사발에서 곱게 갈아 준비해 둔 다음, 시료 1g을 취하여 0.85 % NaCl 9㎖에 현탁한 후, 10-3 배로 희석하였다. 상기 희석 현탁액 100 ㎕를 TSA, BL, BBL 배지(DIFCO 사)에 도말하여 28℃에서 배양하여 토양미생물 혼합종균을 배양하였다. 상기 토양미생물 혼합종균을 분리동정한 결과 바실러스 속 균주 또는 유산균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소노렌시스(Bacillus sonorensis), 바실러스 TUT1206(Bacillus sp. TUT1206), 바실러스 Q-12(Bacillus sp. Q-12), 바실러스 터모아밀로보란스(Bacillus thermoamylovorans), 류코노스톡 파라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이스 스트레인 LM2632(Pediococcus pentosaceis strain LM2632)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액상의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의 제조
상기와 같이 배양된 토양미생물 혼합종균 0.01kg, 쌀겨 4kg, 당밀 2kg 및 황설탕 4kg을 음용수 기준에 적합한 물과 혼합하여 무게가 100kg이 되도록 혼합한 후 20 내지 25℃를 유지하며 4시간 간격으로 10㎥/h의 공기를 2시간 동안 폭기하는 과정을 일일 4회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21일간 배양하여 토양미생물 혼합종균의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토양미생물 혼합종균의 배양액은 총균수 4.3 x 109 cfu/g 였다.
이와는 별도로, 미리 분쇄한 65kg의 쌀겨, 농산물부산물로 35kg의 볏짚을 혼합기능이 있는 배양기에 넣고 30분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배양원료에 상기 토양미생물 혼합종균의 배양액 30kg을 넣어 수분농도 70%로 조절한 다음, 상기 토양미생물 혼합종균을 상기 수분농도가 조절된 혼합원료 전체중량의 0.01%로 접종하였다. 상기 토양미생물 혼합종균이 접종된 혼합원료를 외기온도 300℃, 배양기 내부온도 80 내지 85℃,30 내지 80rpm/min으로 교반하면서 초고온 배양을 4시간 진행하였다.
<실시예 3> 미생물의 동정
상기와 같이 제조한 액상의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중 콜로니 형태가 다른 것들을 선발하여 TSA 배지에서 적어도 3회 이상 계대배양하여 단일콜로니로 분리한 후, 분리된 균주는 액체 배양하고 지노믹 DNA(genomic DNA)를 순화하여 16S RNA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증폭한 뒤, 증폭된 부분을 주형(template)으로 하고 519r과 785r 프라이머(primer)를 사용하여 서열을 시퀀싱(sequencing)하였다. 그 결과물을 NCBI DB에서 조사하여 종을 동정하였는 바, 16S RNA로 균을 동정하는 데 쓰인 프라이머 세트는 "Nucleic acid techniques in bacterial systematics (John Wiley and Sons, England)"와 "nucleic acid research (2000) 28(1):173-174를 참고하였다.
또한, 상기 16s RNA 시퀀싱 외에 GC-MIDI분석, BIOLOG 분석을 더해 동정을 하였다. 상기 16s RAN 시퀀싱 결과와 GC-MIDI의 결과가 상이한 경우에는 GC-MIDI의 결과를 따르는 방향으로 동정하였다. 하기 표 1은 상기 16s RNA 시퀀싱 결과와 GC-MIDI 및 Biolog 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된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에 포함된 신규한 균주에 대한 동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하기 표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식물성 병원균에 대하여 길항작용을 갖는 총 8종의 신규한 균주를 포함한다. SEQ NO 1∼8은 각각 하기 신규한 균주에 대한 16s RNA 분석결과이다.
<표 1>
GC 분석 16s RNA sequencing Biolog 분석
No.1 유사도
ks-3 0.914 Bacillus - subtilis Bacillus subtilis Bacillus amyloliquefaciens B
ks-4 0.769 Bacillus-amyloliquefaciens
ks-5 0.761 Bacillus - agaradhaerens Bacillus sp. Bacillus subtilis C
ks-6 0.789 Paenibacillus - lentimorbus
ks-7 0.794 Bacillus - laevolacticus Bacillus sonorensis Bacillus licheniformis
ks-9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ks-13 0.294 Kurthia - sibirica Bacillus oleronius Streptococcus iniae
ks-18 0.674 Sphingobacterium - spiritivorum Uncultured bacterium PE02 Sphingobacterium spiritovorum
<실시예 4> 분말상의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액상의 사료첨가제를 실온(20 내지 25℃)으로 냉각한 다음 열풍건조(60℃)의 과정을 거쳐 수분함량 12%의 사료첨가제 92k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넙치 사료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사료첨가제를 양식에 사용되는 사료에 첨가하였을 때의 넙치의 체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사료에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사료첨가제를 혼합하여 최종 미생물수가 107 cfu/g가 되도록 사용하였다. 넙치 양식에서 성장촉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각 군당 치어 300마리씩 2번 반복하여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를 90일간 투여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어류 사료 투여군, 실험군은 어류사료에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혼합한 것을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투여하였으며, 이후 넙치의 체장과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실험군을 넙치에 투여하였을 때는 체장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체중의 경우는 실험군을 투여하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체중증가율이 뚜렷이 차이나게 증가하였다 (표 2, 3 참조). 그 결과, 최종 3개월째 투여했을 때는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의 성장률이 48% 이상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어류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증식시킬 수 있어 양어용 사료첨가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2>
Figure 112007068452174-pat00001
* 증가율 = (투여기간 후 체장/초기 체장)×100
<표 3>
Figure 112007068452174-pat00002
* 증가율 = (투여기간 후 체장/초기 체장)×100
<실시예 6> 민물장어 사료조성물
시판되는 민물장어 양식용 사료에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사료첨가제를 혼합하여 최종 미생물수가 107 cfu/g가 되도록 사용하였다. 민물장어 양식에서 육질을 조사하기 위해 각 군당 치어 300마리씩 2번 반복하여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를 90일간 투여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시판 민물장어양식용 사료투여군, 실험군은 어류사료에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혼합한 것을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투여하였으며, 이후 장어의 육질을 분석하였다. 육질분석을 위해 장어의 순수한 근육조직만을 채취하였으며, 수분은 자동수분분석기(HR 73 halogen moisture analyzer, Switzerland), 조단백질은 켈달질소정량법(N6.25), 조지방은 속슬렛 추출법(에테르 추출법), 조회분은 직접회화법으로 각각 분석하였다.(AOAC.1990.) 분석결과는 아래의 표 4와 같다.
<표 4> 육질분석
Figure 112007068452174-pat00003
상기 표 4에서 얻어진 결과와 같이, 조단백질의 성분은 대조군(16.33%)에 비하여 투여군(19.21%)에서 높게 나왔으며, 조회분의 함량은 대조군(2.39%)에서 투여군(2.01%)보다 높게 나왔다. 이것은 육질을 볼 때 탄력성이나 맛이 대조군보다 투 여군에서 더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장어의 단백함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 대조군과 투여군에서 각각 10마리 이상 무작위로 선택하고, 장어의 혈관궁을 통하여 혈액을 채집하여 혈중 LDL과 HDL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채집된 혈액은 4℃에서 3,000rpm으로 10분 동안 처리하여 상층액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는 아래의 표 5와 같다.
<표 5>
Figure 112007068452174-pat00004
상기 표 5에서 얻어진 결과와 같이 LDL의 수치는 대조군(82.41mg/dL)과 투여군(90.74mg/dL)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HDL의 함량은 대조군(187.19mg/dL)에 비하여 투여군(347.98mg/dL)에서 70%이상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간세포조직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간세포의 사멸현상(necrosis)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투여군에서는 오히려 모든 세포의 활성이 최적의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투여군의 간조직은 대조군에 비하여 핵 응축의 현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는 항생제 따른 세포이상이 발생되지 않았음과 혼합물 키토산올리고당 유도체가 안전함을 증명하는 결과이다.
폐사율을 측정한 결과 2년차와 3년차 양식장어에서 폐사율은 종래 30%에서 현 10% 정도로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1년차 장어치어에서 육성기에 이르기까지 의 성장과정의 폐사율은 양식 환경(밀집 양식법, 유행성 질환 등)에 따라 다소의 폐사(약 30%)는 발생하고 있다. 사료효율과 증체효과는 75 ~ 80%로 나타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YANG, Kuk San <120> A feed additive for raising fishes, a feed composition, and a breeding method thereof <160> 8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518 <212> RNA <213> Bacillus subtilis <220> <221> rRNA <222> (1)..(1518) <400> 1 ucgauuagug uuugauccug gcucaggacg aacgcuggcg gcgugccuaa uacaugcaag 60 ucgagcggac agaugggagc uugcucccug auguuagcgg cggacgggug aguaacacgu 120 ggguaaccug ccuguaagac ugggauaacu ccgggaaacc ggggcuaaua ccggaugguu 180 guuugaaccg caugguucaa auauaaaagg uggcuucggc uaccacuuac agauggaccc 240 gcggcgcauu agcuaguugg ugagguaacg gcucaccaag gcgacgaugc guagccgacc 300 ugagagggug aucggccaca cugggacuga gacacggccc agacuccuac gggaggcagc 360 aguagggaau cuuccgcaau ggacgaaagu cugacggagc aacgccgcgu gagugaugaa 420 gguuuucgga ucguaaagcu cuguuguuag ggaagaacaa guaccguucg aauagggcgg 480 uaccuugacg guaccuaacc agaaagccac ggcuaacuac gugccagcag ccgcgguaau 540 acguaggugg caagcguugu ccggaauuau ugggcguaaa gggcucgcag gcgguuucuu 600 aagucugaug ugaaagcccc cggcucaacc ggggaggguc auuggaaacu ggggaacuug 660 agugcagaag aggagagugg aauuccacgu guagcgguga aaugcguaga gauguggagg 720 aacaccagug gcgaaggcga cucucugguc uguaacugac gcugaggagc gaaagcgugg 780 ggagcgaaca ggauuagaua cccugguagu ccacgccgua aacgaugagu gcuaaguguu 840 aggggguuuc cgccccuuag ugcugcagcu aacgcauuaa gcacuccgcc uggggaguac 900 ggucgcaaga cugaaacuca aaggaauuga cgggggcccg cacaagcggu ggagcaugug 960 guuuaauucg aagcaacgcg aagaaccuua ccaggucuug acauccucug acaauccuag 1020 agauaggacg uccccuucgg gggcagagug acagguggug caugguuguc gucagcucgu 1080 gucgugagau guuggguuaa gucccgcaac gagcgcaacc cuugaucuua guugccagca 1140 uucaguuggg cacucuaagg ugacugccgg ugacaaaccg gaggaaggug gggaugacgu 1200 caaaucauca ugccccuuau gaccugggcu acacacgugc uacaauggac agaacaaagg 1260 gcagcgaaac cgcgagguua agccaauccc acaaaucugu ucucaguucg gaucgcaguc 1320 ugcaacucga cugcgugaag ccggaaucgc uaguaaucgc ggaucagcau gccgcgguga 1380 auacguuccc gggccuugua cacaccgccc gucacaccac gagaguuugu aacacccgaa 1440 gucggugagg uaaccuuuua ggagccagcc gccgaaggug ggacagauga uuggggugaa 1500 gucguaacaa gguagcca 1518 <210> 2 <211> 1514 <212> RNA <213> Bacillus amyloliquefaciens <220> <221> rRNA <222> (1)..(1514) <400> 2 uggcuaccuu guuacgacuu caccccaauc aucuguccca ccuuaggcgg cuggcuccaa 60 aaagguuacc ccaccgacuu cggguguuac aaacucucgu ggugugacgg gcggugugua 120 caaggcccgg gaacguauuc accgcggcau gcugauccgc gauuacuagc gauuccagcu 180 ucauguaggc gaguugcagc cuacaauccg aacugagaac gguuuuauga gauuagcucc 240 accucgcggu cuugcagcuc uuuguaccgu ccauuguagc acguguguag cccaggucau 300 aaggggcaug augauuugac gucaucccca ccuuccuccg guuugucacc ggcagucacc 360 uuagagugcc caacugaaug auggcaacua agaucaaggg uugcgcucgu ugcgggacuu 420 aacccaacau cucacgacac gagcugacga caaccaugca ccaccuguca cucugcuccc 480 gaaggagaag cccuaucucu aggguuguca gaggauguca agaccuggua agguucuucg 540 cguugcuucg aauuaaacca caugcuccac cgcuugugcg ggcccccguc aauuccuuug 600 aguuucagcc uugcggccgu acuccccagg cggagugcuu aaugcguuaa cuucagcacu 660 aaagggcgga aacccucuaa cacuuagcac ucaucguuua cggcguggac uaccagggua 720 ucuaauccug uuugcucccc acgcuuucgc gccucagugu caguuacaga ccagaaaguc 780 gccuucgcca cugguguucc uccauaucuc uacgcauuuc accgcuacac auggaauucc 840 acuuuccucu ucugcacuca agucucccag uuuccaauga cccuccacgg uugagccgug 900 ggcuuucaca ucagacuuaa gaaaccaccu gcgcgcgcuu uacgcccaau aauuccggau 960 aacgcuugcc accuacguau uaccgcggcu gcuggcacgu aguuagccgu ggcuuucugg 1020 uuagguaccg ucaaggugcc agcuuauuca acuagcacuu guucuucccu aacaacagag 1080 uuuuacgacc cgaaagccuu caucacucac gcggcguugc uccgucagac uuucguccau 1140 ugcggaagau ucccuacugc ugccucccgu aggagucugg gccgugucuc agucccagug 1200 uggccgauca cccucucagg ucggcuacgc aucguugccu uggugagccg uuaccucacc 1260 aacuagcuaa ugcgacgcgg guccauccau aagugacagc cgaagccgcc uuucaauuuc 1320 gaaccaugcg guucaaaaug uuauccggua uuagccccgg uuucccggag uuaucccagu 1380 cuuaugggca gguuacccac guguuacuca cccguccgcc gcuaacuuca uaagagcaag 1440 cucuuaaucc auucgcucga cuugcaugua uuaggcacgc cgccagcguu cauccugagc 1500 caugaucaaa cucu 1514 <210> 3 <211> 1513 <212> RNA <213> Bacillus agaradhaerens <220> <221> rRNA <222> (1)..(1513) <400> 3 uggcuaccuu guuacgacuu caccccaauc aucuguccca ccuucggcgg cuggcuccua 60 aaagguuacc ucaccgacuu cggguguuac aaacucucgu ggugugacgg gcggugugua 120 caaggcccgg gaacguauuc acugcggcau gcugauccgc gauuacuagc gauuccagcu 180 ucacgcaguc gaguugcaga cugcgauccg aacugagaac agauuugugg gauuggcuua 240 accucgcggu uucgcugccc uuuguucugu ccauuguagc acguguguag cccaggucau 300 aaggggcaug augauuugac gucaucccca ccuuccuccg guuugucacc ggcagucacc 360 uuagagugcc caacugaaug cuggcaacua agaucaaggg uugcgcucgu ugcgggacuu 420 aacccaacau cucacgacac gagcugacga caaccaugca ccaccuguca cucugccccc 480 gaaggggacg uccuaucucu aggauuguca gaggauguca agaccuggua agguucuucg 540 cguugcuucg aauuaaacca caugcuccac cgcuugugcg ggcccccguc aauuccuuug 600 aguuucaguc uugcgaccgu acuccccagg cggagugcuu aaugcguuag cugcagcacu 660 aaggggcgga aacccccuaa cacuuagcac ucaucguuua cggcguggac uaccagggua 720 ucuaauccug uucgcucccc acgcuuucgc uccucagcgu caguuacaga ccagagaguc 780 gccuucgcca cugguguucc uccacaucuc uacgcauuuc accgcuacac guggaauucc 840 acucuccucu ucugcacuca aguuccccag uuuccaauga cccuccccgg uugagccggg 900 ggcuuucaca ucagacuuaa gaaaccgccu gcgagcccuu uacgcccaau aauuccggac 960 aacgcuugcc accuacguau uaccgcggcu gcuggcacgu aguuagccgu ggcuuucugg 1020 uuagguaccg ucaaggugcc gcccuauuug aacggcacuu guucuucccu aacaacagag 1080 cuuuacguac cgaaaaccuu caucacucac gcggcguugc uccgucagac uuucguccau 1140 ugcggaagau ucccuacugc ugccucccgu aggagucugg gccgugucuc agucccagug 1200 uggccgauca cccucucagg ucggucacgc aucguugccu uggugagccg uuaccucacc 1260 aacuagcuaa ugcgccgcgg guccaucugu aagugguagc cgaagccacc uuuuaugucu 1320 gaaccaugcg guucaaacaa acauccggua uuagccccgg uuucccggag uuaucccagu 1380 cuuacaggca gguuacccac guguuacuca cccguccgcc gcuaacauca gggagcaagc 1440 ucccaucugu ccgcucgacu ugcauguauu aggcacgccg ccagcguucg uccugagcca 1500 ggaucaaacu cua 1513 <210> 4 <211> 1513 <212> RNA <213> Paenibacillus lentimorbus <220> <221> rRNA <222> (1)..(1513) <400> 4 uggcuaccuu guuacgacuu caccccaauc aucuguccca ccuucggcgg cuggcuccaa 60 aagguuaccu caccgacuuc ggguguuaca aacucucgug gugugacggg cgguguguac 120 aaggcccggg aacguauuca ccgcggcaug cugauccgcg auuacuagcg auuccagccu 180 cacgcagucg aguugcagac ugcgauccga acugagaaca gauuuguggg auuggcuuag 240 ccucgcggcu ucgcugcccu uuguucugcc cauuguagca cguguguagc ccaggucaua 300 aggggcauga ugauuugacg ucauccccac cuuccuccgg uuugucaccg gcagucaccu 360 uagagugccc aacugaaugc uggcaacuaa gaucaagggu ugcgcucguu gcgggacuua 420 acccaacauc ucacgacacg agcugacgac aaccaugcac caccugucac ucugcccccg 480 aaggggaagc ccuaucucua ggguugucag aggaugucaa gaccugguaa gguucuucgc 540 guugcuucga auuaaaccac augcuccacc gcuugugcgg gcccccguca auuccuuuga 600 guuucagucu ugcgaccgua cuccccaggc ggagugcuua augcguuugc ugcagcacua 660 aagggcggaa acccucuaac acuuagcacu caucguuuac ggcguggacu accaggguau 720 cuaauccugu ucgcucccca cgcuuucgcg ccucagcguc aguuacagac cagagagucg 780 ccuucgccac ugguguuccu ccacaucucu acgcauuuca ccgcuacacg uggaauucca 840 cucuccucuu cugcacucaa guuccccagu uuccaaugac ccuccccggu ugagccgggg 900 gcuuucacau cagacuuaag aaaccgccug cgcgcgcuuu acgcccaaua auuccggaca 960 acgcuugcca ccuacguauu accgcggcug cuggcacgua guuagccgug gcuuucuggu 1020 cagguaccgu caagguaccg cccuauucga acgguacuug uucuucccua acaacagagu 1080 uuuacgaucc gaaaaccuuc aucacucacg cggcguugcu ccgucggacu uucguccauu 1140 gcggaagauu cccuacugcu gccucccgua ggagucuggg ccgugucuca gucccagugu 1200 ggccgaucac ccucucaggu cggcuacgca ucguugccuu ggugagccgu uaccucacca 1260 acuagcuaau gcgccgcggg uccaucugua agugguagcu aaaagccacc uuuuauauuu 1320 gaaccaugcg guucaaacaa gcauccggua uuagccccgg uuucccggag uuaucccagu 1380 cuuacaggca gguuacccac guguuacuca cccguccgcc gcuaacauca gggagcaagc 1440 ucccaucugu ccgcucgacu ugcauguauu aggcacgccg ccagcguucg uccugagcca 1500 ugaucaaacu cua 1513 <210> 5 <211> 1538 <212> RNA <213> Bacillus laevolacticus <220> <221> rRNA <222> (1)..(1538) <400> 5 uagaguuuga ucauggcuca ggaugaacgc uggcggcgug ccuaauacau gcaagucgaa 60 cgcuuugucu uuaacugaua ugaagagcuu gcucugauuu gauuuuaucu gacaaagagu 120 ggcgaacggg ugaguaacac guggguaacc uaccucuuag caggggauaa cauuuggaaa 180 caagugcuaa uaccguauaa uaccaacaac cgcaugguug uugguugaaa gaugguucug 240 cuaucacuaa gagauggacc cgcggugcau uagcuaguug guaagguaac ggcuuaccaa 300 ggcgaugaug cauagccgag uugagagacu gaucggccac aaugggacug agacacggcc 360 cauacuccua cgggaggcag caguagggaa ucuuccacaa ugggcgcaag ccugauggag 420 caacgccgcg ugugugauga aggguuucgg cucguaaaac acuguuauaa gagaagaacg 480 gcacugagag uaacuguuca gugugugacg guaucuuacc agaaaggaac ggcuaaauac 540 gugccagcag ccgcgguaau acguauguuc caagcguuau ccggauuuau ugggcguaaa 600 gcgagcgcag acgguuauuu aagucugaag ugaaagcccu cagcucaacu gaggaauggc 660 uuuggaaacu ggaugacuug agugcaguag aggaaagugg aacuccaugu guagcgguga 720 aaugcguaga uauauggaag aacaccagug gcgaaggcgg cuuucuggac uguaacugac 780 guugaggcuc gaaagugugg guagcaaaca ggauuagaua cccugguagu ccacaccgua 840 aacgaugagu gcuagauguu cgaggguuuc cgcccuugag ugucgcagcu aacgcauuaa 900 gcacuccgcc uggggaguac gaccgcaagg uugaaacuca aaggaauuga cggggacccg 960 cacaagcggu ggagcaugug guuuaayycg aagcaacgcg aagaaccuua ccaggucuug 1020 acaucccuug cuaauccuag aaauaggacg uucccuucgg ggacaaggug acagguggug 1080 caugguuguc gucagcucgu gucgugagau guuggguuaa gucccgcaac gagcgcaacc 1140 cuuauuauua guugccagca uucaguuggg cacucuagug agacugccgg ugacaaaccg 1200 gaggaaggug gggaugacgu caaaucauca ugccccuuau gaccugggcu acacacgugc 1260 uacaauggca uauacaacga gucgccaacc cgcgagggug cgcuaaucuc uuaaaguaug 1320 ucucaguucg gauuguaggc ugcaacucgc cuacaugaag ucggaaucgc uaguaaucgc 1380 ggaucagcac gccgcgguga auacguuccc gggucuugua cacaccgccc gucacaccau 1440 gagaguuugu aacacccaaa gccggugggg uaaccuuuua ggagccagcc gucuaaggug 1500 ggacagauga uuagggugaa gucguaacaa gguaacca 1538 <210> 6 <211> 1494 <212> RNA <213> Leuconostoc paramescenteroides <220> <221> rRNA <222> (1)..(1494) <400> 6 uggcuaccuu guuacgacuu caccccaguc augaauccua ccgugguaau cgccccccuu 60 gcgguuaggc uaacuacuuc ugguaaaacc cacucccaug gugugacggg cgguguguac 120 aagacccggg aacguauuca ccgcgacaug cugauccgcg auuacuagcg auuccgacuu 180 cacgcagucg aguugcagac ugcgauccgg acuacgaucg gguuucuggg auuggcuccc 240 ccucgcgggu uggcugcccu cugucccgac cauuguauga cgugugaagc ccuacccaua 300 agggccauga ggacuugacg ucauccccac cuuccuccgg uuugucaccg gcagucucau 360 uagagugucc uuucguagca acuaaugaca aggguugcgc ucguugcggg acuuaaccca 420 acaucucacg acacgagcug acgacagcca ugcagcaccu guguuccggu ucucuugcga 480 gcacugccaa aucucuucgg cauuccagac augucaaggg uagguaaggu uuuucgcguu 540 gcaucgaauu aauccacauc auccaccgcu ugugcggguc cccgucaauu ccuuugaguu 600 uuaaucuugc gaccguacuc cccaggcggu caacuucacg cguuagcugc gcuaccaagg 660 gccgaagccc ccaacagcua guugacaucg uuuagggcgu ggacuaccag gguaucuaau 720 ccuguuugcu ccccacgcuu ucgugcauga gcgucagugu uaucccagga ggcugccuuc 780 gccaucggug uuccuccgca ucucuacgca uuucacugcu acacgcggaa uuccaccucc 840 cucugacaca cucuagcccg guaguuaaaa augcaguucc aagguuaagc ccugggauuu 900 cacaucuuuc uuuccgaacc gccugcgcac gcuuuacgcc caguaauucc gauuaacgcu 960 ugcacccuac guauuaccgc ggcugcuggc acguaguuag ccggugcuua uucugcaggu 1020 accgucagcu gccccaggua uuaaccaggg ccguuucuuu ccugccaaaa gugcuuuaca 1080 acccgaaggc cuucaucgca cacgcgggau ggcuggauca ggguugcccc cauuguccaa 1140 aauuccccac ugcugccucc cguaggaguc ugggccgugu cucaguccca guguggcugg 1200 ucguccucuc aaaccagcua cggaucgucg ccuugguagg ccuuuacccc accaacuagc 1260 uaauccgaua ucggccgcuc caauagugcg aggcccgaag gucccccgcu uucccccgua 1320 gggcguaugc gguauuagcu acgcuuucgc guaguuaucc cccgcuacug ggcacguucc 1380 gauacauuac ucacccguuc gccacucgcc gccagaccga aguccgcgcu gccguucgac 1440 uugcaugugu aaagcauccc gcuagcguuc aaucugagcc aggaucaaac ucua 1494 <210> 7 <211> 1508 <212> RNA <213> Kurthia sibirica <220> <221> rRNA <222> (1)..(1508) <400> 7 ugguuaccuu guuacgacuu caccccaguc aucggccaca ccguggcaag cgcccucccg 60 aagguuaagc uaccugcuuc uggugcaaca aacucccaug gugugacggg cgguguguac 120 aaggcccggg aacguauuca ccgcagcaau gcugaucugc gauuacuagc gauuccgacu 180 ucauggaguc gaguugcaga cuccaauccg gacugagaug ggguuucugg gauuggcuua 240 ccgucgccgg cuugcagccc ucugucccca ccauuguagu acguguguag cccuggucgu 300 aagggccaug augacuugac gucaucccca ccuuccuccg guuugucacc ggcggucucc 360 uuagaguucc caccauuacg ugcuggcaac uaaggacaag gguugcgcuc guugcgggac 420 uuaacccaac aucucacgac acgagcugac gacagccaug cagcaccugu cucacgguuc 480 ccgaaggcac caauccaucu cuggaaaguu ccguggaugu caagaccagg uaagguucuu 540 cgcguugcau cgaauuaaac cacauacucc accgcuugug cgggcccccg ucaauuccuu 600 ugaguuucag ucuugcgacc guacucccca ggcggcgaac uuaacgcguu agcuucgaua 660 cugcgugcca aguugcaccc aacauccagu ucgcaucguu uagggcgugg acuaccaggg 720 uaucuaaucc uguuugcucc ccacgcuuuc gugccucagu gucaguguug guccagaugg 780 ccgccuucgc cacagauguu ccucccgauc ucuacgcauu ucacugcuac accgggaauu 840 ccgccauccu cuaccacacu cuaguugccc aguauccacu gcaauuccca gguugagccc 900 agggcuuuca caacggacuu aaacaaccac cuacgcacgc uuuacgccca guaauuccga 960 guaacgcuug cacccuucgu auuaccgcgg cugcuggcac gaaguuagcc ggugcuuauu 1020 cuuuggguac cgucagaaca aucggguauu aaccgacugc uuuucuuucc caacaaaagg 1080 gcuuuacaac ccgaaggccu ucuucaccca cgcggcaugg cuggaucagg cuugcgccca 1140 uuguccaaua uuccccacug cugccucccg uaggagucug gaccgugucu caguuccagu 1200 guggcugauc auccucucag accagcuacg gaucgucgcc uuggugggcc uuuaccccgc 1260 caacuagcua auccgacauc ggcucaucua uccgcgcgaa gcccgaaggu ccuccgcuuu 1320 cacccuaagg ucguaugcgg uauuagcgua aguuucccua cguuaucccc cacgaaaagg 1380 uagauuccga uguauuccuc acccguccgc cacucgccac ccagagagca agcucuccug 1440 ugcugccguu cgacuugcau guguuaggcc ugccgccagc guucacucug agccaggauc 1500 aaacucua 1508 <210> 8 <211> 1091 <212> RNA <213> Sphingobacterium spiritivorum <220> <221> rRNA <222> (1)..(1091) <400> 8 uacaaaucuc acgacacgag cugacgacaa ccaugcacca ccugucacuc ugcccccuaa 60 ggggaagccc uaucucuagg guugucagag gaugucaaga ccugguaagg uucuucgcgu 120 ugcuucgaau uaaaccacau gcuccaccgc uugugcgggc ccccgucaau uccuuugagu 180 uucagucuug cgaccguacu ccccaggcgg agugcuuaau gcguuugcug cagcacuaaa 240 gggcggaaac ccucuaacac uuagcacuca ucguuuacgg cguggacuac caggguaucu 300 aauccuguuc gcuccccacg cuuucgcgcc ucagcgucag uuacagacca gagagucgcc 360 uucgccacug guguuccucc acaucccuac gcauuucacc gcuacacgug gaauuccgcu 420 cuccucuucu gcacucaagu uccccaguuu ccaaugaccc uccccgguug agccgggggc 480 uuucacauca gacuuaagaa accgccugcg cgcgcuuuac gcccaauaau uccggacaac 540 gcuugccacc uacguauuac cgcggcugcu ggcacguagu uagccguggc uuucugguua 600 gguaccguca agguaccgcc cuauucgaac gguacuuguu cuucccuaac aacagaguuu 660 uacgauccga aaaccuucau cacucacgcg gcguugcucc gucagacuuu cguccauugc 720 ggaagauucc cugcugcugc cucccguagg agucugggcc gugucucagu cccagugugg 780 ccgaucaccc ucucaggucg gcuacgcauc gucgccuugg ugagccguua ccucaccaac 840 uagcuaaugc gccgcggguc caucuguaag ugguagcuga aagccaccuu uuauaauuga 900 accaugcggc ucaaucaagc auccgguauu agccccgguu ucccggaguu aucccagucu 960 uacaggcagg uuacccacgu guuacucacc cguccgccgc ugaccuaagg gagcaagcuc 1020 ccgucggucc gcucgacuug cauguauuag gcacgccgcc agcguucguc cugagccaug 1080 aucaaacucu a 1091

Claims (9)

  1. 삭제
  2.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subtilus) KS-3,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amyloliquefaciens) KS-4, 바실러스-아가라다에렌스(Bacillus-agaradhaerens) KS-5, 파에니바실러스 렌티모부스(Paenibacillus-lentimorbus) KS-6, 바실러스 라에볼락티쿠스(Bacillus-laevolacticus) KS-7, 류코노스톡 파라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KS-9, 쿠르시아 시비리카(Kurthia-sibirica) KS-13 및 스핑고박테리움 스피리티보럼-GC 서브그룹 B(플라보박테리움)(Sphingobacterium-spiritivorum-GC subgroup B(Flavobacterium) KS-18를 포함하는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3. 제 2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총균수는 1×105 ∼ 1×1012 cfu/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4. 제 2항에 있어서, 분말 제형 또는 펠렛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5. 제 2항에 있어서, 액상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6. 제 2항의 사료첨가제를 배합한 양식어류용 사료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어류는 방어, 참돔, 넙치, 가자미, 뱀장어, 민물장어, 바다장어, 우럭의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류용 사료조성물
  8.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subtilus) KS-3,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amyloliquefaciens) KS-4, 바실러스-아가라다에렌스(Bacillus-agaradhaerens) KS-5, 파에니바실러스 렌티모부스(Paenibacillus-lentimorbus) KS-6, 바실러스 라에볼락티쿠스(Bacillus-laevolacticus) KS-7, 류코노스톡 파라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KS-9, 쿠르시아 시비리카(Kurthia-sibirica) KS-13 및 스핑고박테리움 스피리티보럼-GC 서브그룹 B(플라보박테리움)(Sphingobacterium-spiritivorum-GC subgroup B(Flavobacterium) KS-18를 포함하는 양식어류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조성물을 양식어류에 급여하여 사육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어류는 방어, 참돔, 넙치, 가자미, 뱀장어, 민물장어, 바다장어, 우럭의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어류의 사육방법.
KR1020070096094A 2007-09-20 2007-09-20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양식어류의 사육방법 KR100908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094A KR100908928B1 (ko) 2007-09-20 2007-09-20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양식어류의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094A KR100908928B1 (ko) 2007-09-20 2007-09-20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양식어류의 사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661A KR20090030661A (ko) 2009-03-25
KR100908928B1 true KR100908928B1 (ko) 2009-07-23

Family

ID=4069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094A KR100908928B1 (ko) 2007-09-20 2007-09-20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양식어류의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9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277A (ko) 2015-11-13 2017-05-23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바이오플락 유용유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와 그 생산방법
KR20170056873A (ko) 2015-11-16 2017-05-24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바이오 플락 양식과정에서 생산되는 유용유기물을 원료로 포함하는 사료 및 사료제조방법
WO2017179856A1 (ko) * 2016-04-15 2017-10-19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어류 양식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반죽사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47090B1 (es) * 2012-08-01 2014-12-19 Norel, S.A Aditivos para alimentación de animales acuáticos que contienen probióticos.
KR101480028B1 (ko) * 2013-06-17 2015-01-07 (주)창조바이오텍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sj-30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어류용 사료첨가제
KR20190057758A (ko) 2017-11-20 2019-05-29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참다랑어 배합사료 및 이를 이용한 참다랑어 성장 분석방법
CN108208317B (zh) * 2018-03-01 2021-07-13 福州大学 一种活菌保鲜剂及其在养殖鱼类保鲜中的应用
KR101980098B1 (ko) 2018-05-23 2019-05-20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어패류의 양식방법
KR102039514B1 (ko) 2019-01-09 2019-11-01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바실러스균 배양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어패류의 양식방법
CN113549576A (zh) * 2021-07-21 2021-10-26 浙江泰米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温复合益生菌制备工艺与用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930B1 (ko) 2001-06-29 2004-04-1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음식물 찌꺼기의 습식발효를 위한 양돈 사료화 능력을 보유한 신규한 균주 바실러스 아밀로리키페이시엔스 비 4
KR100427600B1 (ko) 2003-03-07 2004-04-28 (주)한국바이오케미칼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KR100791609B1 (ko) 2006-11-10 2008-01-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면역기능이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바실러스아밀로리케페이션스 ku801 및 그의 용도
KR100805680B1 (ko) 2006-09-05 2008-02-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란의 콜레스테롤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사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930B1 (ko) 2001-06-29 2004-04-1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음식물 찌꺼기의 습식발효를 위한 양돈 사료화 능력을 보유한 신규한 균주 바실러스 아밀로리키페이시엔스 비 4
KR100427600B1 (ko) 2003-03-07 2004-04-28 (주)한국바이오케미칼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KR100805680B1 (ko) 2006-09-05 2008-02-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란의 콜레스테롤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사료 조성물
KR100791609B1 (ko) 2006-11-10 2008-01-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면역기능이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바실러스아밀로리케페이션스 ku801 및 그의 용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277A (ko) 2015-11-13 2017-05-23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바이오플락 유용유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와 그 생산방법
KR20170056873A (ko) 2015-11-16 2017-05-24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바이오 플락 양식과정에서 생산되는 유용유기물을 원료로 포함하는 사료 및 사료제조방법
WO2017179856A1 (ko) * 2016-04-15 2017-10-19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어류 양식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반죽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661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928B1 (ko)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양식어류의 사육방법
CN113170842B (zh) 一种防治家禽坏死性肠炎的复合微生态制剂及其应用
CN104411182A (zh) 微生物菌株及其在动物中的用途
CN104106726A (zh) 一种新的益生菌及用其制备的益生菌发酵饲料
US8697423B2 (en) Strain of Lactobacillus plantarum S, the use of the strain of Lactobacillus plantarum S and the preparation for roughages ensiling
CN105524855B (zh) 一种具有水产病原菌拮抗特性的凝结芽孢杆菌及其应用
CN108660097B (zh) 一株鱼源屎肠球菌r8的筛选及应用
KR10213064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식 어류 및 갑각류용 사료첨가제
KR100908927B1 (ko) 가축가금용 사료첨가제,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가축가금의 사육방법
KR101980805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jm2-5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조성물
KR20190047756A (ko)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첨가제
JP2019517810A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を多量生産するバチルス・リケニフォルミスNY1505菌株
KR20070071911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이의 용도
KR102026777B1 (ko) 항영양인자 제어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하이드로더멀 kbcbs102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어분 대체용 발효 대두박 제조 방법
CN108967269B (zh) 使用包含有三株乳酸菌菌株的混合物来改善水产养殖池的溶氧量
CN116286514A (zh) 多功能菌剂及其所含的罗伊氏乳杆菌及其应用
KR101658046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70955B1 (ko) 양식어류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양식시킨 양식어류
JP2007153873A (ja) 土壌病害防除剤
KR102188643B1 (ko) 케나프(kenaf)의 신품종 장대(jangdae)를 주원료로 한 초식가축용 사료첨가제인 생균제의 제조방법
JP5801344B2 (ja) 反芻動物の反芻胃内のメタン生成抑制能を有する微生物及びその利用
Syafitri et al. Identification of microflora and lactic acid bacteria in pado, a fermented fish product prepared with dried Pangium edule seed and grated coconut
WO2007055064A1 (ja) 土壌病害防除剤
KR101871904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ysm1219 균주 및 이의 용도
Khandelwal et al. Studies on Bacteriocin producing abilities of indigenously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