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544B1 - 식물군 이식기 - Google Patents

식물군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544B1
KR100908544B1 KR1020070085213A KR20070085213A KR100908544B1 KR 100908544 B1 KR100908544 B1 KR 100908544B1 KR 1020070085213 A KR1020070085213 A KR 1020070085213A KR 20070085213 A KR20070085213 A KR 20070085213A KR 100908544 B1 KR100908544 B1 KR 100908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ttom plate
fork
plate
clin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1243A (ko
Inventor
송재탁
카즈미치 쿠리야마
오구균
정종일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이앤엘유토
후쿠유 료쿠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이앤엘유토, 후쿠유 료쿠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이앤엘유토
Publication of KR20080061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01G23/046Transplanting devices using elements to be driven into the ground for making a container around the root bal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hovel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임상토 블록을 무너뜨리는 일 없이, 재빠르게 이식하는 것이 가능한 식물군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중기의 아암(A)의 선단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식물군 이식기(1)이며, 임상토 블록(B)이 수납된 컨테이너(10)의 바닥판(12)을 지지하는 포크(3)와, 포크(3)와 컨테이너(10)의 바닥판(12)을 와이어(53)에 의해 연결하는 연결부(5)와, 포크(3)를 슬라이드시켜, 컨테이너(10)의 유닛 프레임(11)으로부터 바닥판(12)을 슬라이드시키는 구동부(4)를 구비하고, 포크(3)가 슬라이드할 때에, 컨테이너(10)의 바닥판(12)과 함께 이동하는 유닛 프레임(11)에 접촉하여, 유닛 프레임(11)의 이동을 규제하는 충돌부로서 기능하는 전방면판(2c)이 이식기 본체(2)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한 바닥판(12)은 포크(3)와 함께 이식기 본체(2)에 수납된다.
Figure R1020070085213
식물군 이식기, 컨테이너, 포크, 바닥판, 유닛 프레임

Description

식물군 이식기 {PLANTS TRANSPLANTER}
본 발명은 수목이나 초본(草本) 등이 식생하고 있는 표토층을 블록 형상으로 파낸 임상토(林床土) 블록을, 이식처에 이식하는 식물군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수목이나 초본 등이 식생하고 있는 표상층을 블록 형상으로 파낸 임상토 블록을 이식처로 이송하여 이식하는 종래의 식물군 이식기가,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표토 블록의 이설 방법은, 종래의 식물군 이식기로 되는 중기의 버킷에 장착한 컨테이너에, 표토 블록을 채취하여 수납하고, 이설 장소까지 중기를 이동하여 컨테이너의 전방부를 지상에 댄 상태에서, 후방부를 들어올려 컨테이너를 기울여, 표토 블록을 미끄러져 나오게 하여 표토 블록을 이설처에 배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표토 이식 공법은, 종래의 식물군 이식기가 되는 자주(自走) 기계에 장착된 표토 떼어냄 기구에 세트 보유 지지한 표토층을 만재한 표토 이식구를, 이식 목적지의 이식 지면 상에, 압출 실린더로 밀어내어, 그상태로 내려 둔 후, 표토 이식구의 바닥면 부재를 떼어내어 개방함으로써 표토층을 이식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3939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61412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따르면, 중기에 의해 컨테이너의 전방부를 지상에 댄 상태에서, 후방부를 들어올려 컨테이너를 기울여, 표토 블록을 미끄러져 나오게 하면, 표토 블록이 무너질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따르면, 표토 이식구에 표토층을 만재한 상태에서, 일단 이식 목적지의 이식 지면 상에 그대로 내려 둔 후에, 표토 이식구의 바닥면 부재를 떼어내어 개방하여 표토층을 이식하므로, 수고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임상토 블록을 무너뜨리는 일 없이, 재빠르게 이식하는 것이 가능한 식물군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물군 이식기는 중기에 장착하여 사용되고, 식물군이 식생한 표토층을 파낸 임상토 블록을 이식처에 이식하는 식물군 이식기이며, 이식기 본체와, 바닥판과 이 바닥판을 둘러싸면서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임상토 블록이 수납된 컨테이너의 바닥판을 지지하는, 수평판 및 수직판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를 슬라이드시켜 상기 컨테이너의 프레임 부재로부터 상기 바닥판을 이탈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군 이식기는, 구동부에 의해 지지부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지지부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컨테이너의 바닥판이 프레임 부재로부터 이탈하여, 컨테이너에 수납된 임상토 블록을 프레임 부재로부터 취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임상토 블록을 컨테이너의 프레임 부재로부터 그대로의 상태로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군 이식기는 중기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것이므로, 임상토 블록을 수납한 컨테이너를 지지부에 탑재한 상태로 중기를 이식처까지 이동시키고, 이식처에서 컨테이너의 바닥판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임상토 블록을 취출할 수 있으므로, 노력과 시간을 들이지 않고 이식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가 슬라이드할 때에,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판과 함께 이동하는 프레임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충돌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상토 블록은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바닥판을 프레임 부재로부터 슬라이드시킬 때에, 컨테이너 전체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지지부의 슬라이드와 함께 이동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컨테이너의 프레임 부재에 접촉하는 충돌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지지부를 슬라이드시켜도 컨테이너는 이 충돌부에 충돌되어 이동이 규제되므로, 확실하게 컨테이너의 바닥판을 슬라이드시켜 임상토 블록을 취출할 수 있다.
중기의 아암(A)의 선단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이식기 본체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판을 수납하는 수납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지지부가 슬라이드하여 컨테이너의 바닥판을 떼어낼 때에 컨테이너의 바닥판이 수납부에 수납되므로, 컨테이너로부터 임상토 블록을 취출한 후에, 불필요해진 컨테이너의 바닥판을 소정의 위치까지 용이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적어도 2개의 포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를 적어도 2개의 포크로 함으로써, 지지부 전체를 1매의 판 부재로 하는 것보다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수직판에는 연결판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고, 이 케이블의 양단에는 걸기 가능한 훅이 설치되어 하나의 훅은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판의 하부에 설치된 잔목에 걸려 있고, 다른 하나의 훅은 상기 연결판에 걸려 있다. 컨테이너의 바닥판을 떼어내어 임상토 블록을 취출할 때에, 컨테이너측의 부착 위치와 지지부측의 부착 위치의 거리가 길어지거나 짧아지거나 다소 바뀌어도, 케이블이면 약간 굴곡시켜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지지부와 컨테이너의 바닥판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군 이식기는, 컨테이너의 프레임 부재로부터 그대로의 상태로 임상토 블록을 취출할 수 있으므로, 임상토 블록을 무너뜨리는 일 없이 컨테이너로부터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임상토 블록의 이식 작업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식처에서의 컨테이너의 배치와, 임상토 블록의 취출을 본 발명의 식물군 이식기만으로 행할 수 있어, 노력과 시간을 들이지 않고 이식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이식 작업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식물군 이식기에 대해, 도1 내지 도8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식물군 이식기를 중기(重機) 아암의 선단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임상토 블록을 수납하는 컨테이너의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도1에 도시하는 식물군 이식기가 포크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하는 식물군 이식기의 평면도이다. 도5는 식물군 이식기의 구동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포크가 전방으로 슬라이드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6은 식물군 이식기의 구동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포크가 후방으로 슬라이드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7은 연결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8은 포크에 컨테이너를 탑재한 식물군 이식기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9는 포크를 슬라이드시켜 컨테이너의 바닥판을 떼어낸 식물군 이식기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물군 이식기(이하, 이식기라 함)(1)는, 중기(H)의 아암(A)의 선단부에 장착하여 사용되고, 수목이나 초본 등이 식생하고 있는 표토층을 블록 형상으로 뿌리째 파낸 임상토 블록(B)을 수납한 컨테이너(10)를 이식처까지 반송하여 심는 것이다.
여기서, 컨테이너(10)의 구성에 대해 도2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10)는 이식을 행하기 위한 목제의 상자이다. 컨테이너(10)는 프레임 부재인 유닛 프레임(11)과 바닥판(12)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닛 프레임(11)은 장방 형상의 프레임판재(11a) 및 수직 목재(11b)를 조합하여, 평면에서 보아 정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12)은 정방 형상의 바닥판재(12a)와, 잔목(12b)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닛 프레임(11)과 바닥판(12)은 L자 형상의 고정 부재(14)와 도시하지 않은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이 볼트는 고정 부재(14)의 측면측과 바닥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식기(1)는 이식기 본체(2)와, 컨테이너(10)의 바닥판(12)(도2 참조)을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포크(3)와, 포크(3)를 슬라 이드시키는 구동부(4)(도4 및 도5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식기 본체(2)는, 바닥면판(2a)과, 바닥면판(2a)의 양측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측면판(2b)과, 측면판(2b)의 전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전방면판(2c)과, 측면판(2b)의 후단부끼리를 접속하는 후방면판(2d)과, 아암(A)과 접속하는 접속부(21)가 형성된 상면판(2e)에 의해,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면판(2c)은, 포크(3)가 슬라이드할 때에 컨테이너(10)의 바닥판(12)과 함께 이동하는 유닛 프레임(11)에 접촉하여, 유닛 프레임(11)의 이동을 규제하는 충돌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전방면판(2c)은 슬라이드하는 포크(3)와 컨테이너(10)의 바닥판(12)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바닥면판(2a)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판(2a)은 컨테이너(10)의 바닥판(12)보다 외형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면판(2a)은 포크(3)를 바닥판(12)의 후단부까지 슬라이드시키면, 컨테이너(10)의 바닥판(12) 전체가 바닥면판(2a) 상에 위치한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크(3)는 이식기 본체(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띠 형상의 수평판(31)을 병렬로 배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포크(3)의 후단부에는 수직판(32)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4)는 포크(3)를 전후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동부(4)는 수직판(32)의 좌우에 설치된 안내판(40)과, 요동하는 링크(41)와, 삽입시에 포크(3)가 되돌려지지 않도록 로크 기구가 부착된 것으로 한 실린더(4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링크(41) 단부의 한쪽은 핀(43)에 의해 안내판(40)의 상하 방향으로 마련된 안내 홈(40a)과 접속되고, 다른 한쪽은 실린더(42)의 한쪽의 단부에 핀(44)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42)의 다른 쪽의 단부는 측면판(2b)에 핀(4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링크(41)의 도중은 핀(46)에 의해 이식기 본체(2)에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42)를 중기(H)의 유압 장치로 신장 압축시킴으로써 핀(46)을 중심으로 하여 링크(41)가 요동하여, 포크(3)를 전후로 슬라이드시킨다. 이때, 핀(43)은 안내 홈(40a)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한다. 포크(3)가 전방 단부까지 슬라이드할 때에는 이식기 본체(2)의 전방면판(2c)에 충돌하고, 후방 단부까지 슬라이드할 때에는 후방면판(2d)에 충돌하기 때문에, 포크(3)는 이들 사이를 전후로 슬라이드한다.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5)는 포크(3)를 슬라이드시켜 컨테이너(10)의 유닛 프레임(11)으로부터 바닥판(12)을 떼어내기 위해, 포크(3)와 컨테이너(10)의 바닥판(12)을 연결하는 것이다. 연결부(5)는 포크(3)의 수직판(32)에 고정된 연결판(51)과, 컨테이너(10)의 바닥판(12)이 슬라이드하는 방향을 따라 마련된 잔목(12b)에 부착된 연결구(52)를 연결하는 금속 세선을 합쳐서 꼰 와이어(5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53)의 양단부에는 훅(53a, 53a)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한쪽의 훅(53a)이, 연결판(51)에 설치된 역U자 형상의 부착부(51a)에 걸리고, 다른 쪽의 훅(53a)이 연결구(52)에 설치된 U자 모양의 부착부(52a)에 걸려 있음으로써, 포크(3)와 컨테이너(10)가 연결된다. 이 연결부(5)는 포크(3)의 2개의 수평판(31)의 외측에 각각 2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제의 와이어(53)에 의해 포크(3)와 바닥판(12)을 연결하고 있지만, 케이블로 연결 가능한 것이면, 마(麻)나 면 등의 식물 섬유 또는 합성 섬유에 의해 형성된 로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이식기(1)의 사용 방법에 대해,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미리 이식기(1)의 포크(3)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로 해 둔다. 다음에, 중기(H)의 아암(A)을 조작하여, 파낸 임상토 블록(B)이 수납된 컨테이너(10)의 잔목(12b)에 의해 생긴 공간에, 포크(3)를 삽입한다. 중기(H)의 아암(A)을 조작하여 포크(3)에 의해 컨테이너(10)를 지지시켜 들어올리고, 소정의 이식처까지 중기(H)를 이동시킨다.
소정의 이식처까지 중기(H)를 이동시켰으면, 중기(H)의 아암(A)을 내려, 도7 및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53)의 한쪽의 단부에 설치된 훅(53a)을 포크(3)측인 연결판(51)의 부착부(51a)에 걸고, 다른 쪽의 단부에 설치된 훅(53a)을 컨테이너(10)의 바닥판(12)측이 되는 연결구(52)의 부착부(52a)에 걺으로써, 포크(3)와 바닥판(12)을 연결한다. 포크(3)를 컨테이너(10)의 바닥부에 삽입하였을 때에, 포크(3)측이 되는 연결판(51)의 부착부(51a)와, 컨테이너(10)측이 되는 연결구(52)의 부착부(52a)의 거리가 길어지거나 짧아지거나 다소 바뀌어도, 와이어(53)라면, 약간 굴곡시키면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포크(3)와 바닥판(12)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전방면판(2c)이 유닛 프레임(11)에 접촉할 때까지, 포크(3)를 컨테이너(10)의 바닥부에 삽입한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을 하기 어려운 잔목(12b)의 연결구와, 이식기 본체(2) 내의 연결판(51)의 부착부(51a)와의 연결을, 와이어(53)라면 휘게 하면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와이어(53)에 의한 포크(3)와 바닥판(12)의 연결이 완료되면, 컨테이너(10)의 고정 부재(14)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를 풀고, 컨테이너(10)를 이식처의 지면에 둔다.
포크(3)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와이어(53)에 의해 연결된 컨테이너(10)의 바닥판(12)은 포크(3)의 슬라이드와 함께 당겨진다. 그때, 바닥판(12)은 임상토 블록(B)의 중량이 걸려 있으므로, 바닥판(12)만이 슬라이드되지 않고 컨테이너(10) 전체가 포크(3)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해 버린다. 그러나, 포크(3)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컨테이너(10) 전체가 이동해도, 이식기 본체(2)의 전방면판(2c)에 유닛 프레임(11)이 접촉하여, 유닛 프레임(11)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바닥판(12)만이 유닛 프레임(11)으로부터 슬라이드되어 떼어내어진다.
바닥판(12)이 슬라이드됨으로써, 서서히 유닛 프레임(11)의 바닥이 개방되면, 임상토 블록(B)이 이식처의 지면에 낙하한다. 그러나, 임상토 블록(B)은 바닥판(12)과 포크(3)의 두께 정도의 높이로부터 낙하하고, 또한 유닛 프레임(11)이 임상토 블록(B)의 외주면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원형이 변하는 일 없이, 그 모양을 유지한 상태로 낙하한다.
바닥판(12)에는 측면의 볼트가 풀린 고정 부재(14)가 양측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 고정 부재(14)가 바닥판(12)을 슬라이드시킬 때의 가이드가 되어, 슬라이드하는 바닥판(12)이 비스듬히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한 바닥판(12)은 포크(3)와 함께 이식기 본체(2) 내에 수납된다. 바닥판(12)은 수납부로서 기능하는 이식기 본체(2) 내에 수납되므로, 이 상태로 소정의 위치까지 중기(H)를 조작하여 이식기(1)를 이동시킴 으로써, 불필요해진 컨테이너(10)의 바닥판(12)을 용이하게 반송할 수 있다.
이식기(1)를 유닛 프레임(11)으로부터 멀리하면, 임상토 블록(B)으로부터 유닛 프레임(11)을 떼어낸다. 유닛 프레임(11)을 임상토 블록(B)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바닥판(12)과 함께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유닛 프레임(11)이 임상토 블록(B)을 둘러싼 상태 그대로, 흙을 쌓아 유닛 프레임(11) 전체를 덮어 가리도록 해도 좋다. 유닛 프레임(11)은 목제이므로, 그대로의 상태로 매립해도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에 의해 부식되므로 문제는 없으며, 임상토 블록(B)으로부터 유닛 프레임(11)을 떼어내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식기(1)에 의한 임상토 블록(B)의 이식을 행할 수 있으므로, 임상토 블록(B)을 컨테이너(10)의 유닛 프레임(11)으로부터 그대로의 상태로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임상토 블록(B)을 무너뜨리는 일 없이, 재빠르게 이식이 가능하다. 또한, 이식기(1)는 중기(H)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것이므로, 임상토 블록(B)을 수납한 컨테이너(10)를 포크(3)에 탑재한 상태로 중기(H)를 이식처까지 이동시키고, 이식처에서 컨테이너(10)의 바닥판(12)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임상토 블록(B)을 취출할 수 있으므로, 노력과 시간을 들이지 않고 이식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이식기(1)에서는, 이식기 본체(2)의 전방면판(2c)을 유닛 프레임(11)의 이동을 규제하는 충돌부로 하고 있지만, 연결부(5)로 포크(3)와 컨테이너(10)를 연결하였을 때의 위치 관계에 의해 크게 간극이 생길 것 같으면, 전방면판(2c)에 충돌부로서 기능하는 1개 이상의 볼록부를 형성하거나, 전 방면판(2c)을 가공하여 돌출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포크(3)를 2개의 수평판(31)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3개 이상으로 해도 좋고, 전체를 1매의 판 부재로 해도 좋다. 그러나, 포크를 수평판으로 한 것이 포크를 1매의 판 부재로 하는 것보다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2개 이상의 포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개로 하는 것이 최적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5)를 양단부에 훅(53a)이 설치된 와이어(53)로 하였지만, 포크(3)의 슬라이드와 함께, 컨테이너(10)의 바닥판(12)이 유닛 프레임(11)으로부터 이동하여 떼어낼 수 있으면, 와이어(53) 대신에 막대 형상 부재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식기 본체(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포크(3)가 돌출되어 있지만, 반대로 이식기 본체(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포크(3)가 돌출되도록, 이식기(1)가 중기(H)의 아암(A)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은, 수목이나 초본 등이 식생하고 있는 표토층을 블록 형상으로 파낸 임상토 블록을, 이식처에 이식하기 위해 중기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식물군 이식기에 적합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식물군 이식기를 중기 아암의 선단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임상토 블록을 수납하는 컨테이너의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도1에 도시하는 식물군 이식기가 포크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하는 식물군 이식기의 평면도.
도5는 식물군 이식기의 구동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포크가 전방으로 슬라이드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6은 식물군 이식기의 구동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포크가 후방으로 슬라이드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7은 연결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
도8은 포크에 컨테이너를 탑재한 식물군 이식기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도9는 포크를 슬라이드시켜 컨테이너의 바닥판을 떼어낸 식물군 이식기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식물군 이식기
2 : 이식기 본체
2a : 바닥면판
2b : 측면판
2c : 전방면판
2d : 후방면판
2e : 상면판
3 : 포크
4 : 구동부
5 : 연결부
10 : 컨테이너
11 : 유닛 프레임
11a : 프레임판재
11b : 수직 목재
12 : 바닥판
12a : 바닥판재
12b : 잔목
21 : 접속부
31 : 수평판
32 : 수직판
40 : 안내판
40a : 안내 홈
41 : 링크
42 : 실린더
43, 44, 45, 46 : 핀
51 : 연결판
51a, 52a : 부착부
52 : 연결구
53 : 와이어
53a : 훅
A : 아암
H : 중기
B : 임상토 블록

Claims (5)

  1. 중기에 장착하여 사용되고, 식물군이 식생한 표토층을 파낸 임상토(林床土) 블록을 이식처에 이식하는 식물군 이식기이며,
    이식기 본체와,
    바닥판과 이 바닥판을 둘러싸면서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임상토 블록이 수납된 컨테이너의 바닥판을 지지하는, 수평판 및 수직판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를 슬라이드시켜, 상기 컨테이너의 프레임 부재로부터 상기 바닥판을 이탈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가 슬라이드할 때에,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판과 함께 이동하는 프레임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충돌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군 이식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2개의 포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군 이식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에는 연결판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고, 이 케이블의 양단에는 걸기 가능한 훅이 설치되어 하나의 훅은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판의 하부에 설치된 잔목에 걸려 있고, 다른 하나의 훅은 상기 연결판에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군 이식기.
KR1020070085213A 2006-12-27 2007-08-24 식물군 이식기 KR100908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52341A JP4799398B2 (ja) 2006-12-27 2006-12-27 植物群植付機
JPJP-P-2006-00352341 2006-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243A KR20080061243A (ko) 2008-07-02
KR100908544B1 true KR100908544B1 (ko) 2009-07-20

Family

ID=3969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213A KR100908544B1 (ko) 2006-12-27 2007-08-24 식물군 이식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799398B2 (ko)
KR (1) KR100908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1265B (zh) * 2013-07-21 2015-07-08 日照市东港区水岩基础工程处 拱形隧道挖掘机
KR101606637B1 (ko) 2014-06-19 2016-03-25 박창호 굴삭기를 이용한 황토블럭 성형장치
CN105557452A (zh) * 2014-10-06 2016-05-11 北京时代沃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模块化沙漠植树机器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0324A (ja) 1998-08-20 2000-02-29 Fukuyuu Ryokuchi:Kk 樹木移植機
JP2002017183A (ja) 2000-07-03 2002-01-22 Fukuyuu Ryokuchi:Kk 樹木移植機
JP2004187507A (ja) 2002-12-06 2004-07-08 Marujun Heavy Industry Co Ltd 樹木移植装置
JP2006296225A (ja) 2005-04-18 2006-11-02 Hagakure Ryokka Kensetsu:Kk 樹木移植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3158B2 (ja) * 2000-10-23 2005-02-23 株式会社フクユー緑地 植物群移植工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0324A (ja) 1998-08-20 2000-02-29 Fukuyuu Ryokuchi:Kk 樹木移植機
JP2002017183A (ja) 2000-07-03 2002-01-22 Fukuyuu Ryokuchi:Kk 樹木移植機
JP2004187507A (ja) 2002-12-06 2004-07-08 Marujun Heavy Industry Co Ltd 樹木移植装置
JP2006296225A (ja) 2005-04-18 2006-11-02 Hagakure Ryokka Kensetsu:Kk 樹木移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99398B2 (ja) 2011-10-26
JP2008161091A (ja) 2008-07-17
KR20080061243A (ko)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3845B2 (ko)
KR100908544B1 (ko) 식물군 이식기
KR20160107542A (ko) 굴삭기용 나무 옮겨심기 장치
KR100813442B1 (ko) 묘삼 이식기
KR101815469B1 (ko) 수목 홀딩부를 구비하는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
US6341568B1 (en) Expandable stinger planter
US6401831B2 (en) Tine structure for bare root tree and stump extracting tool
KR100998981B1 (ko) 자동 묘목 이식기
KR100605501B1 (ko) 이식장치
JP2020054259A (ja) 苗移植機
JP4553791B2 (ja) 樹木移植工法
KR100933886B1 (ko) 토양블럭 이송용 파레트
EP3569060B1 (fr) Pince pour l&#39;arrachage et le plantage de plant
USRE43197E1 (en) Expandable stinger planter
JP3623158B2 (ja) 植物群移植工法
KR200439113Y1 (ko) 비오톱 이식장치
JP3794992B2 (ja) 樹木植付機
KR20070099179A (ko) 비오톱 이식장치
JP2691259B2 (ja) 樹木の掘り取り移送方法と樹木の掘り取り移送車両
JP4102217B2 (ja) 移植機
CN212911080U (zh) 一种苗木挖取装置
JP3005532B1 (ja) 樹木移植機
CA2975745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a root ball
JPH05304843A (ja) 樹木掘り取り方法及び装置
JPH01309627A (ja) 樹木の移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