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179A - 비오톱 이식장치 - Google Patents

비오톱 이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179A
KR20070099179A KR1020060030230A KR20060030230A KR20070099179A KR 20070099179 A KR20070099179 A KR 20070099179A KR 1020060030230 A KR1020060030230 A KR 1020060030230A KR 20060030230 A KR20060030230 A KR 20060030230A KR 20070099179 A KR20070099179 A KR 20070099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biotope
fork
plate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탁
오구균
정종일
카즈미치 쿠리야마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이앤엘유토
후쿠유 료쿠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이앤엘유토, 후쿠유 료쿠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이앤엘유토
Priority to KR102006003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9179A/ko
Publication of KR20070099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4Transplanting machines for deeper setting or shifting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01G23/046Transplanting devices using elements to be driven into the ground for making a container around the root bal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6Uprooting or pulling up trees; Extracting or eliminating stumps
    • A01G23/062Pulling up trees or stum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 및 수목의 생장 토대가 되는 토양을 함께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골프장 및 택지조성, 도로건설 등의 개발에 의해 소실되는 산림의 수목 및 초본식물, 저습지의 습지식물군 등을 이식하여 녹지 생태계의 복원 및 재생을 목적으로 하는 녹지 조성사업에 사용되어지는 비오톱 이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인력에 의존한 이식방법에서 행해지는 수목의 분뜨기에서 수목심기까지 일련의 이식 공정을 기계화한 것으로서, 이식대상 식물을 분뜨기하여 운반하고 심기까지의 작업공정을 굴취지와 이식지가 근거리일 경우와 원거리일 경우를 구분하여, 각각의 이식공정을 본 발명 비오톱 이식 장치로써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식물군, 비오톱, 이식장치, 식생, 초본식물, 수목, 습지식물군

Description

비오톱 이식장치{Apparatus for transplanting of biotope}
도 1 은 본 발명의 비오톱 이식장치를 중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2a 는 도 1 의 비오톱 이식장치의 굴취 버켓을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b 는 도 2a 의 좌측면도,
도 3a 는 도 1 의 비오톱 이식장치의 굴취 버켓을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3b 는 도 3a 의 좌측면도,
도 4a 는 도 1 의 비오톱 이식장치의 리프트용 포크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b 는 비오톱 이식장치의 좌측면도,
도 5a 는 도 1 의 비오톱 이식장치의 리프트용 포크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b 는 비오톱 이식장치의 좌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유닛트 틀 및 측면 폐쇄판을 나타내는 입체도,
도 7a 는 본 발명의 팔레트의 평면도이고, 도 7b 는 팔레트의 정면도,
도 8 은 굴취 버켓의 평면도, A-A 선 단면도와 정면도,
도 9 는 리프트용 포크의 평면도, 좌측면도와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유닛트 틀을 굴취 버켓 안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비오톱 이식장치의 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좌측면도와 가이드 봉을 부착한 상태의 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좌측면도,
도 12 는 굴취한 수목의 곤포(梱包)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 은 수목을 굴취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 는 수목의 굴취 개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 내지 도 16 은 수목을 이식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 및 도 18 은 본 발명의 굴취 버켓과 리프트용 포크를 이식기 몸체에 함께 부설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7 은 굴취 버켓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8 은 리프트용 포크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비오톱 이식장치 2; 좌측면판
3; 우측면판 4; 배면판
6; 굴취 버켓
7; 저면판 8; 저면판 보강날
9; 굴취버켓 포크면 10; 굴취버켓 유압실린더
11; 연결핀 12; 연결판
13; 배면 보강판 14; 핀 구멍
15; 비오톱 이식장치 몸체 16; 유닛트 틀
17; 유닛트 틀 폐쇄판 18; 유닛트 틀 배면판
19; 유닛트 틀 측면판 20; 보강 각재
21; 팔레트 22; 판재
23; 보강 각재 24; 토양유실방지 매트
25; 링크 고정판 26; 리프트용 포크
27; 포크 28; 리프트용 포크 수평판
29; 리프트용 포크 수직판 30; 측면 보강판
31,32,33,34; 리프트용 포크 고정핀
35; 리프트용 포크 유압실린더 36; 리프트용 포크 링크
37; 리프트용 포크 안내판 38; 유압실린더 고정판
40; 대상 수목 41; 굴삭 절단면
51; 가이드 봉 52; 삽입관
53; 조절 나사
BH; 중기(굴삭기) A; 암
본 발명은 수목 뿐만 아니라 수목이 생장하고 있는 산림의 하부식생, 예를 들면 관목 및 초본 식물과 그 식생군을 함께 옮겨심는 이식 전용 장치인 비오톱(biotope) 이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목의 분뜨기로부터 수목 심기까지의 일련의 이식 공정을 기계화한 이식 전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비오톱 이식장치의 주된 이식 대상은 골프장 및 택지 조성, 도로 건설 등의 개발에 의해 소실되는 산림의 수목 및 초본 식물과 저습지의 습지 식물군 등을 대상으로 하는 식물군 및 이의 하부 식생을 포함한 비오톱(biotope, 소생물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녹지 생태계의 복원 및 재생을 목적으로 하는 녹지 조성 사업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식물군을 이식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대상 수목의 분돌리기, 분뜨기, 뿌리분의 양생, 굴취, 수간(樹幹)부의 전정 및 양생, 운반, 식혈 파기, 수목 심기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공정은 인력 작업과 기계 작업을 병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식 방법의 문제점을 공정별로 개조식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분돌리기: 대상 수목 흉고 직경의 3∼5 배 정도의 뿌리 돌림을 하는 공정으로서, 수목의 잔뿌리의 생육을 발달시켜 이식후의 활착을 돕기 위한 공정이다. 이 공정은 최소한 수목 이식의 1∼2 년 전에 행하여야 하므로 이식이 최종적으로 완료되기까지 소요되는 이식 기간 장기화의 주된 원인을 제공한다.
2) 분뜨기, 뿌리분의 양생, 굴취, 수간부의 전정 및 양생: 이 공정들은 주로 기계와 인력의 병행 작업에 의해 이루어진다. 우선 분돌리기를 한 수목의 주변부를 굴삭기 등을 사용하여 개략적으로 굴삭한 후, 수목의 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작업인부의 수작업을 통하여 뿌리분의 형태를 마무리 손질한다. 그리고, 녹화 테잎 및 녹화끈(새끼 끈)등을 이용하여 뿌리분이 부숴지지 않도록 양생한 후 굴취를 하며, 굴취한 수목을 비스듬히 눕히고 나서 수간부의 수분 손실을 막기위한 양생 및 전정 작업을 행한다. 이러한 작업 공정의 대부분은 작업 인부의 수작업에 의한 의존도가 높으며, 이식 공정에 있어서 기계화가 어려운 부분이며 작업 시간의 대부분이 이 공정에서 소요된다.
또한, 이식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뿌리분의 크기를 작게하는 것이 관례이며, 축소된 뿌리 부분에서 흡수할 수 있는 수분량과 수관부(수목잎)의 증산량과의 수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간부의 과도한 전정을 행하여야 하 므로 수목 본래의 수형을 유지하기 어렵다.
3) 운반, 식혈 파기, 수목 심기: 이 공정은 기계와 인력의 병행 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며, 비교적 기계에 의한 의존도가 높다. 크레인 장착 트럭 및 굴삭기 등에 의한 수목의 적재 및 운반, 짐내림이 이루어진다. 굴삭기로 식혈(식재 구덩이)을 판 후, 식혈에 수목을 세워놓기 위해 인력 및 기계가 보조 역활을 하며, 식혈의 되뭍이 공정에서는 흙의 충진과 관수를 번갈아가며 뿌리 분의 주위에 빈공간(공기층)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되뭍이가 끝난 후 지주등을 설치함으로써 이식 공정이 완료된다. 이 공정은 복수의 기계가 번갈아 가며 이식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중복 과정에서 수목이 손상을 입기 쉬우며, 특히 되뭍이 작업에 있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4) 기타 문제점: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목 이식 방법은 아교목 이상의 수목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관목 및 초본 등의 뿌리분을 만들기에는 기술적으로 충분하지 않으며, 그 방법도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초본 군락 및 저습지의 습지 식물군의 분뜨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목 이식 방법은 실질적인 이식 작업에 앞서 몇년 전부터 분돌리기 작업을 선행하는 등 체계적인 이식 계획을 필요로하며, 수목의 분뜨기에서 수목 심기까지 일련의 이식 공정은 인력에 의한 의존도가 높아 품질 관리 및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첫째, 비오톱 이식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분돌리기를 하지않고 수목을 굴취하며, 굴취한 상태로 수목을 운반하여 수목 심기를 하거나, 굴취한 뿌리분을 목재로 만든 틀 속에 넣고 팔레트에 셋팅한 곤포 상태의 수목을 운반하여 심기를 하는 일련의 이식 공정을 기계화함으로써 종래의 이식 공법에 비교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둘째, 뿌리분을 크게 뜨므로 뿌리(잔뿌리)부분을 많이 확보할 수 있고, 수분의 흡수 능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관부의 전정을 생략할 수 있어 대상 수목의 본래 수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셋째, 수목 심기에 있어서 식혈을 파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조성된 지반위에 굴취된 곤포 상태의 수목을 배열한 후 흙을 충진하는 것만으로 되뭍기를 완료하여 작업 공정을 간편화하고,
넷째, 종래의 이식 공법으로는 이식하기 어려웠던 대상물, 예를 들면 관목 및 초본 식물, 저습지의 습지식물군 등을 이식할 수 있으며,
다섯째, 이식 대상 식물군 이외에 토양속에 저장되어 있는 매토 종자 및 토양 미생물 등을 함께 이식할 수 있어 지역의 식물 유전자 보전 및 복원을 기대할 수 있으며,
여섯째, 수목 굴취 및 적재, 짐내림, 이식 장소에서의 이식에 투입되는 기계 및 작업 인부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비오톱 이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중기등에 장착하여 수목등을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장치에 있어서, 비오톱 이식장치 내에 수목의 뿌리분을 굴취할 수 있는 전ㆍ후방 슬라이드형 굴취 버켓과, 굴취된 수목을 곤포한 유닛트를 적재하고 짐내림 및 이식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전ㆍ후방 슬라이드형 리프트용 포크를 장착하여, 굴취지와 이식지가 근거리일 경우에는 굴취 버켓만을 사용하여 뿌리분을 굴취한 채로 이동하여 이식할 수 있도록 하였고, 원거리일 경우에는 리프트용 포크를 이용하여 목재로 된 틀과 팔레트에 셋팅한 곤포된 상태의 대상 수목을 이동 차량에 적재하고 짐내림 및 유닛트 설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비오톱 이식장치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비오톱 이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비오톱 이식장치를 중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2a 는 도 1 의 비오톱 이식장치의 굴취 버켓을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상 태의 평면도이고, 도 2b 는 도 2a 의 좌측면도, 도 3a 는 도 1 의 비오톱 이식장치의 굴취 버켓을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3b 는 도 3a 의 좌측면도이고, 도 8 은 굴취 버켓의 평면도, A-A 선 단면도와 정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비오톱 이식장치(1)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기(BH)의 작업 암(A)에 비오톱 이식장치(1)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때, 비오톱 이식장치(1)의 장착은 이식장치(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판(12)에 형성된 핀구멍(14)에 연결핀(11)을 삽입하여 상기 암(A)과 연결하는 방식으로 장착한다. 또한, 비오톱 이식장치(1)는 좌측면판(2), 우측면판(3) 및 배면판(4)으로 이루어져 전방이 개구되고, 상기 배면판(4)측으로부터 버켓(6) 내부 저면에 부착되는 저면판(7)이 구비된 굴취버켓(6)을 가진다.
상기 저면판(7)의 선단에는 버켓 삽입시의 토양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요출면을 형성한 굴취버켓 포크면(9)을 다수개 형성하고, 저면판(7)의 하측면에는 선단이 예각의 모따기 형상을 이루고 일정 두께를 가지는 저면판 보강날(8)을 다수개 부설한다.
또한, 대상 수목의 굴취와 굴취된 수목의 곤포, 설치에 있어서 굴취된 토양의 물리적 구조를 흐트리지 않기 위해 버켓(6)이 전후로 슬라이드 하는 구조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버켓(6)의 좌우측에는 저면판(7)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굴취버켓 유압실린더(10)를 장착한다.
상기 좌우측면판(2,3)은 굴취된 토양의 측면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도 6 에 도시된 유닛트틀(16)을 장착하였을 때 이 틀(16)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 며, 상기 굴취버켓 포크면(9)은 버켓 삽입시 토양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저면판(7)은 굴취된 토양이 버켓 하부로 흘러내려 유실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저면판 보강날(8)은 굴취된 토양과 수목의 중량에 견딜수 있으며 버켓 삽입시의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선단이 예각의 모따기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4a 는 본 발명 실시예의 리프트용 포크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b 는 도 4a 의 좌측면도, 도 5a 는 리프트용 포크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b 는 좌측면도이고, 도 9 는 리프트용 포크의 평면도, 좌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리프트용 포크(26)는 도 4 및 도 5 와 도 9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판모양으로 형성되며 도 13 에서 나타낸 곤포된 대상 수목을 들어올릴 때 원활히 삽입되게 하기 위하여 예각의 모따기 처리가 된 쐐기 형상의 첨단 부분을 가지는 포크(27)와, 상기 포크(27)의 일측 말단이 부착되는 리프트용포크수평판(28)과, 상기 리프트용포크수평판(28)과 수직으로 부착되는 리프트용포크수직판(29)과, 리프프용포크수직판(29)의 양측에 부착되는 측면보강판(30)과, 상기 리프트용포크수직판(29)의 배면에 장착되어 리프트용포크링크(36)의 연결핀(32)의 회동을 안내하는 장공(37a)이 형성된 리프트용포크안내판(37)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리프트용 포크(26)는 몸체(15)의 전면수직판(15a)의 상측에 형성된 유압실린더 고정판(38)에 연결핀(31)으로 결합된 리프트용포크 유압 실린더(35)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데, 이를 위하여 몸체(15)의 내부 중앙부에 연결핀(33)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리프트용포크링크(36)가 부착되고, 상기 링크(36)의 일측은 연결핀(34)을 통하여 상기 유압실린더(35)의 실린더축과 연결되고, 상기 링크(36)의 타측은 연결핀(32)에 의하여 리프트용포크안내판(37)의 장공(37a)에 의하여 안내되게 되므로, 도 4a 와 같이 유압실린더(35)가 그 축을 외측으로 밀어줄 때는 링크(36)가 전면수직판(15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링크(36)의 말단이 장공(37a)을 따라 안내되어 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상승하는 링크(36)의 미는 힘에 의하여 리프트용포크안내판(37)에 부착된 리프트용 포크(26)가 전진한다.
반대로 도 4b 와 같이 유압실린더(35)가 그 축을 내측으로 당길때는 링크(36)가 전면수직판(15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링크(36)의 말단이 장공(37a)을 따라 안내되어 하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렇게 하강하는 링크(36)의 당기는 힘에 의하여 리프트용포크안내판(37)에 부착된 리프트용 포크(26)가 후진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유닛트 틀 및 측면 폐쇄판을 나타내는 입체도, 도 7a 는 본 발명의 팔레트의 평면도이고, 도 7b 는 팔레트의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유닛트 틀을 굴취 버켓 안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유닛트 틀(16)은 상기 굴취 버켓(6) 내부에 장착하고 이식 대상 수목과 일체화시켜 굴취하여 목적 장소에 심을 때에 사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판재로된 배면판(18)과 좌우측면판(19)을 조합하여 굴취 버켓(6)의 내면벽을 따라서 배치할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형성하고, 유닛트 틀(16)의 개방된 전면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폐쇄판(17)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면판(19)과 배면판(18) 및 측면폐쇄판(17)과의 결합 상태를 공고하게 하기 위하여 각 모서리 부분에 보강각재(20)를 부설한다. 이러한 유닛트 틀(16)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개방된 전면 부분을 부분을 전방으로 향하게 하여 굴취버켓(6) 내에 배치시킨다.
팔레트(21)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22)와 보강 각재(23)를 조합하여 형성하고, 판재(22)는 팔레트(21)의 바닥면에 간격을 두고 부착하되, 상기 팔레트(21)는 그 상측에 유닛트 틀(16)이 여유있게 적재될 수 있도록 유니트틀(16)의 외형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레트(21)의 사용 방법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식 대상 수목과 일체화시킨 유닛트 틀(16)의 개방된 전면 부분을 폐쇄판(17)으로 폐쇄시킨 후 유닛트 틀(16)을 팔레트(21) 위에 적재하면 수목이 곤포(梱包) 상태가 되어 원거리의 운반과 이전이 가능해진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21)의 상부에 일정한 크기의 모눈이 형성된 토양유실방지매트(24)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토양유실방지매트(24)는 팔레트(21) 위에 놓인 곤포된 대상 수목의 뿌리부의 토양 유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11 은 본 발명 비오톱 이식장치의 몸체(15)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1a 및 도 11b 를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 실시예의 비오톱 이식장치(1)는 굴취버켓(6) 또는 리프트용 포크(26)중 하나가 상기 몸체(15)에 부착된 상태에서 각각 사용되나, 바람직하게는 중기(BH)에 이식장치를 장착하고 탈착하는 과정을 생략하기 위하여 굴취버켓(6) 및 리프트용 포크(26)가 함께 상기 몸체(15)에 부착되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몸체(15)는 상기 굴취버켓(6) 또는 리프트용 포크(26)를 부착하기 위하여 상측에는 중기(BH)의 암(A)에 장착되는 부착 부위를 형성한 연결판(12)을 가지고, 상기 연결판(12)에는 암(A)에 결합되는 연결핀(11)이 관통되는 핀구멍(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5)의 정면부는 전면 수직판(15a)가 형성되고, 이 전면수직판(15a)의 상측에는 리프트용 포크(26)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리프트용포크 유압실린더(35)가 부착되는 유압실린더고정판(38)이 형성되고, 몸체의 내측의 양측면에는 상기 유압실린더(35)와 연결되는 리프트용포크 링크(36)가 부착되는 링크고정판(25)이 형성된다.
한편, 몸체(15)의 양측면부에는 굴취버켓(6)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굴취버켓 유압실린더(10)를 부착하는 굴취버켓 유압실린더 부착편(10a)가 장착된다.
또한, 도 11c 및 도 11d 는 가이드 봉을 부착한 상태의 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좌측면도로서, 몸체(15)이 양측면부에 설치되어 굴취버켓(6)의 좌우측면부분과 배면 부분에 실려진 대상 수목이 좌우로 기울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ㄷ자 형상의 가이드봉(5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51)은 몸체(15) 좌우측면에 부착된 파이프 형상의 삽입관(52)에 삽입되어 몸체(15)에 고정되되, 상기 가이드봉(51)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나사구 멍(미도시)을 일정 간격을 두어 천공하고, 조절나사(53)를 이 나사구멍에 삽입하여 가이드봉(51)을 삽입관(52)과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조절나사(53)가 삽입되는 나사구멍의 위치에 따라서 가이드봉(51)의 외부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굴취버켓(6)에 실려진 대상 수목의 흉고 직경에 따라서 적절한 가이드봉의 길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실시예의 비오톱 이식장치의 이식 공정을 도 13 내지 도 16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대상 수목의 이식 장소까지의 운반 거리가 근거리일 경우와 원거리일 경우를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대상 수목의 이식 장소까지의 운반 거리가 근거리일 경우를 설명한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취 작업 개시 전에, 대상 수목(40)의 전면을 대략 30~40cm 파서 굴삭절단면(41)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비오톱 이식장치(1)는 미리 중기(BH)에 장착해 두고 유압실린더(10)의 실린더 축을 연장시켜 굴취버켓(6)을 전방으로 슬라이드시켜둔다.
굴취를 개시할 때는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기(BH)의 암(A)의 미는 압력에 의하여 굴취버켓(6)을 대상 수목(40)의 굴삭절단면(41)을 통하여 토양에 삽입하고,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A)을 작동시켜 대상 수목(40)과 함께 굴취버켓(6)을 들어 올려 주위의 토양으로부터 수목(40)을 들어 올려 굴취한 후,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수목(40)을 이식 장소까지 운반하여 유압 실린더(10)의 실린더 축을 수축시켜 굴취버켓(6)을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대상 수목(40)을 이식 장치(1)로부터 이탈시킨 후, 암(A)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이식장치(1) 전체를 이식 장소에서 이탈시킨후 대상 수목(40)의 뿌리부를 토사 등으로 매설하여 이식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대상 수목의 이식 장소까지의 운반 거리가 원거리일 경우를 설명한다. 운반 거리가 원거리일 경우에는 근거리일 경우와 달리 굴취버켓(6) 내부에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닛트 틀(16)을 장착하여 위에서 상술한 근거리일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대상 수목(40)의 굴취 작업을 수행하고 유닛트 틀(16)의 개방된 전면 부분을 폐쇄판(17)으로 폐쇄시키고, 유니트 틀(16)과 폐쇄판(21)을 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굴취한 대상 수목(40)을 팔레트(21) 위에 적재한 상태에서 굴취버켓(6)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대상 수목(40)과 유닛트 틀(16)을 이탈시킨 후, 암(A)을 후방에 이동시켜 이식장치(1) 전체를 대상 수목(40)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러면, 대상 수목(40)의 뿌리부가 토양과 함께 유닛트 틀(16)로 포장되어 팔레트(21) 상에 놓여진 상태가 되어 대상 수목(40)의 곤포가 완료된다.
곤포가 완료된 상태의 대상 수목(40)을 이식 장소까지 운반 이송하기 위하여 차량 등에 적재할 경우에는, 이식장치(1)의 리프트용 포크(31)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포크(31)의 상부에 곤포 완료된 대상 수목(40)의 뿌리부를 들어 올려 차량의 화물함까지 이동한 다음 포크(31)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화물함에 대상 수목(40)을 적재한다.
이후 이식 장소까지 운반한 대상 수목(40)을 적재할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대상 수목(40)을 차량으로부터 하차시켜 이식 장소로 옮긴 다음, 대상 수목(40)으 로부터 유닛트 틀(16)을 제거하여, 수목의 뿌리부를 토사 등으로 매설하면 이식이 완료된다. 이때, 유닛트 틀(16)을 목재 등의 흙속에서 분해 가능한 소재로 형성하면 유닛트 틀(16)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이식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팔레트(21)는 제거하지 않은채 토양 속에 함께 매설하는것이 좋은데, 이를 위하여 팔레트(21)는 수목 뿌리의 생장 저해 및 수분의 투수성 저하, 토양 동물의 이동저해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판재(22)간의 간격을 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팔레트(21) 상부에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유실방지 매트(24)를 설치하면 장거리 운반시의 토양유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팔레트(21)의 구성 재료는 유닛트의 적재 및 운반등의 작업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는 강도를 지니면서도 장기적으로는 부식되어 토양으로 환원되게 하기 위하여 목재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토양유실방지 매트(24) 또한 토양으로 환원되기 쉬운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7 및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비오톱 이식장치는 몸체(15)에 굴취 버켓(6) 및 리프트용 포크(26)를 함께 부설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비오톱 이식장치는 도 2 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의 굴취버켓(6)의 구성 및 도 4 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의 리프트용 포크(26)의 구성이 몸체(15)에 함께 설치된 구성이며, 이들 굴취버켓(6)의 구성 및 리프트용 포크(26)의 구성과 작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도 17 및 도 18 에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굴취버켓(6)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굴취버켓 유압실린더(10)와 리프트용포크(26)을 슬라이드 이 동시키는 리프트용 유압실린더(35)의 유압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수단을 설치하되, 어느 일방의 유압실린더가 작동할 때는 타방의 유압실린더의 작동은 중지시키는 기능을 가진 밸브 수단을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비오톱 이식장치의 효과는, 종래의 인력에 의존하던 수목이식 방법의 작업공정을 기계화 함과 동시에 분뜨기에서 수목 심기까지 일련의 공정을 본 발명 비오톱 이식장치 한대로 해결할 수 있으므로, 수목이식 작업의 수행에 투입되는 기계 및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기존의 조경 식재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대상 수목의 뿌리분을 크게하여 굴취하므로 수목의 수분 흡수를 위한 잔뿌리를 많이 확보할 수 있어 잎과 가지의 전정을 최소화하여 수목 본래의 수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는 이식이 곤란하였던 초본식물 및 저습지의 습지식물군 등을 이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군의 생육기반이 되는 토양의 물리적인 구조를 흐트리지 않은 채 토양속에 있는 매토종자 및 미생물 등을 함께 이식할 수 있어 지역의 녹지 생태계 복원 및 식물 유전자 자원등의 보전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9)

  1. 수목등을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장치에 있어서,
    중기(BH)의 암(A)에 장착되는 몸체(15)에 수목의 뿌리분을 굴취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굴취 버켓(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오톱 이식장치.
  2. 수목등을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장치에 있어서,
    중기(BH)의 암(A)에 장착되는 몸체(15)에 굴취된 수목을 곤포시킨 상태의 수목을 적재하거나 이식을 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리프트용 포크(2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오톱 이식장치.
  3. 수목등을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장치에 있어서,
    중기(BH)의 암(A)에 장착되는 몸체(15)에 수목의 뿌리분을 굴취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굴취 버켓(6); 및 굴취된 수목을 곤포시킨 상태의 수목을 적재하거나 이식을 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리프트용 포크(2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오톱 이식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취 버켓(6)은,
    좌·우측과 배면에 굴취된 토양이 흐트러지지 않게 지지해 주는 좌측면판(2), 우측면판(3), 배면판(4)이 부착되어 전방이 개구되고, 상기 배면판(4)측으로부터 버켓(6) 내부 저면에 부착되는 저면판(7)이 구비되고, 상기 저면판(7)의 선단에는 버켓 삽입시의 토양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요출면을 형성한 굴취버켓 포크면(9)을 다수개 형성하고, 저면판(7)의 하측면에는 선단이 예각의 모따기 형상을 이루고 일정 두께를 가지는 저면판 보강날(8)을 다수개 부설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비오톱 이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굴취 버켓(6)의 좌우측(2,3)에는 저면판(7)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굴취버켓 유압실린더(10)를 장착하고, 대상 수목의 굴취와 굴취된 수목의 이동과 설치시 굴취된 토양의 물리적 구조를 보존하기 위하여 버켓(6)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비오톱 이식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용 포크(26)는,
    판모양으로 형성되며 곤포된 대상 수목의 적재 및 짐내림, 설치를 위하여 대상 수목을 들어올릴 때 원활히 삽입되도록 예각의 모따기 처리가 된 쐐기 형상의 첨단 부분을 가지는 포크(27)와, 상기 포크(27)의 일측 말단이 부착되는 리프트용포크수평판(28)과, 상기 리프트용포크수평판(28)과 수직으로 부착되는 리프트용포크수직판(29)과, 리프프용포크수직판(29)의 양측에 부착되는 측면보강판(30)과, 몸체(15)의 전면수직판(15a)의 상측에 형성된 유압실린더 고정판(38)에 연결핀(31)으로 결합된 리프트용포크 유압실린더(35)와, 상기 리프트용포크수직판(29)의 배면에 장착되어 리프트용포크링크(36)의 연결핀(32)의 회동을 안내하는 장공(37a)이 형성된 리프트용포크안내판(37)을 포함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리프트용 포크(26)는 리프트용포크 유압실린더(35)와 리프트용포크링크(36)에 의하여 구동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오톱 이식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 수목의 이식 장소까지의 운반 거리가 원거리일 경우에는 상기 굴취버켓(6) 내에 유닛트틀(16)을 장착하여 대상 수목의 굴취 작업을 수행하고, 굴취가 종료되면 유닛트틀(16)의 전면 패쇄판(17)을 유닛트 틀(16)에 조립한 후, 팔레트(21) 위에 적재하여 대상 수목을 곤포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비오톱 이식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21)의 상부에 일정한 크기의 모눈이 형성된 토양유실방지매트(24)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오톱 이식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5)이 양측면부에 설치되어 굴취버켓(6)에 실려진 대상 수목이 좌우로 기울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ㄷ자 형상의 가이드봉(51)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51)은 몸체(15) 좌우측면에 부착된 파이프 형상의 삽입관(52)에 삽입되어 몸체(15)에 고정되되, 상기 가이드봉(51)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나사구멍을 일정 간격을 두어 천공하고, 조절나사(53)를 이 나사구멍에 삽입하여 가이드봉(51)을 삽입관(52)과 결합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비오톱 이식장치.
KR1020060030230A 2006-04-03 2006-04-03 비오톱 이식장치 KR20070099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230A KR20070099179A (ko) 2006-04-03 2006-04-03 비오톱 이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230A KR20070099179A (ko) 2006-04-03 2006-04-03 비오톱 이식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201U Division KR200439113Y1 (ko) 2008-02-19 2008-02-19 비오톱 이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179A true KR20070099179A (ko) 2007-10-09

Family

ID=3880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230A KR20070099179A (ko) 2006-04-03 2006-04-03 비오톱 이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91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113Y1 (ko) * 2008-02-19 2008-03-20 유한회사 이앤엘유토 비오톱 이식장치
KR100933883B1 (ko) * 2009-05-01 2009-12-28 후쿠유 료쿠치 가부시키가이샤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113Y1 (ko) * 2008-02-19 2008-03-20 유한회사 이앤엘유토 비오톱 이식장치
KR100933883B1 (ko) * 2009-05-01 2009-12-28 후쿠유 료쿠치 가부시키가이샤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977B1 (ko) 수목 굴취 및 이식 장치
CN108605788B (zh) 大树高成活率全冠移植体系及施工方法
KR101874434B1 (ko) 수목 이식용 절삭 장치
CN108174736A (zh) 一种古茶树的复壮方法
KR20160107542A (ko) 굴삭기용 나무 옮겨심기 장치
KR101162885B1 (ko) 수목 굴취 및 이식 장치
CN105325259A (zh) 一种大规格苗木的移植方法
CN209314391U (zh) 一种育苗容器
CN105660310A (zh) 用双层托底复合灯笼法对大型乔木全冠平移的施工方法
KR20070099179A (ko) 비오톱 이식장치
KR200439113Y1 (ko) 비오톱 이식장치
CN205344667U (zh) 树木移植车
CN205337083U (zh) 挖树机
AU2014218384B2 (en) A method for producing turf segments
CN107223509B (zh) 乔木树球孤岛法土壤原位改良修复的施工方法
KR100933886B1 (ko) 토양블럭 이송용 파레트
CN110249961A (zh) 一种移植林木用开合式根系挖掘结构
JP3623158B2 (ja) 植物群移植工法
JPH06294132A (ja) 法面保護緑化工及び植生部材
WO2020179846A1 (ja) 育苗用具、植付け移動体及び長根苗の植付け方法
JP3005532B1 (ja) 樹木移植機
CN214282534U (zh) 一种大树移植装置
JP3428947B2 (ja) 樹木移植機
KR100425923B1 (ko) 척박한 토양의 녹화방법
CN111657091A (zh) 一种绿化树木种植方法及该方法用支护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