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883B1 -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 - Google Patents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883B1
KR100933883B1 KR1020090038672A KR20090038672A KR100933883B1 KR 100933883 B1 KR100933883 B1 KR 100933883B1 KR 1020090038672 A KR1020090038672 A KR 1020090038672A KR 20090038672 A KR20090038672 A KR 20090038672A KR 100933883 B1 KR100933883 B1 KR 100933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biotope
soil block
excavation bucket
exca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미치 쿠리야마
송재탁
정종일
오구균
Original Assignee
후쿠유 료쿠치 가부시키가이샤
유한회사 이앤엘유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유 료쿠치 가부시키가이샤, 유한회사 이앤엘유토 filed Critical 후쿠유 료쿠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90038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01G23/043Transplanting devices for grasping, undercutting or transporting the root bal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비오톱 공간의 생물적 요소(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와 비생물적 요소(토양)를 굴취 대상 수목 등을 기준으로 주위 지표면을 사각형으로 구획한 토양블럭 형태로 굴취하고 이식 전의 원형에 가깝게 이식하여 비오톱 공간의 생태적 기능을 조기에 회복시키는 복원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굴취 대상 토양블럭을 일정 범위 내에서 세로폭이나 가로폭 또는 세로폭 및 가로폭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굴취버켓을 중기 운행장비에 장착한 한 대의 비오톱 이식장치에 의하여 다양한 크기의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할 수 있게 하여 비오톱 공간내에서 생장하는 식물군집의 원형복원의 정밀도를 높이고 작업 수행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이며 굴취버켓의 전단부 또는 전단부와 좌,우측단부에 낙토방지편을 장착함으로써 이동 중의 수목의 전도 및 이식 후의 생육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에 의하면, 굴취 대상 토양블럭의 크기에 따라 가로폭 또는 세로폭, 가로폭 및 세로폭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굴취버켓이 장착된 한 대의 비오톱 이식장치에 의하여 다양한 크기의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할 수 있게 하여 비오톱 공간의 원형복원의 정밀도를 높이고 작업 수행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이며 굴취버켓의 전단부 또는 전단부와 좌,우측단부에 낙토방지편을 장착함으로써 이동 중의 수목의 전도 및 이식 후의 생육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비오톱 공간, 식물군집, 토양블럭, 굴취버켓, 가변식 후방지지판, 가변식 측면지지판, 낙토방지편

Description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lanting of biotope}
본 발명은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비오톱 공간의 생물적 요소(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와 비생물적 요소(토양)을 이식 전의 원형에 가깝게 굴취 대상 수목 등을 기준으로 주위 지표면을 사각형으로 구획한 토양블럭 형태로 굴취하고 이식하여 비오톱 공간의 생태적 기능을 조기에 회복시키는 복원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굴취 대상 토양블럭을 일정 범위 내에서 세로폭이나 가로폭 또는 세로폭 및 가로폭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굴취버켓을 중기 운행장비에 장착한 한 대의 비오톱 이식장치에 의하여 다양한 크기의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할 수 있게 하여 비오톱 공간의 원형복원의 정밀도를 높이고 작업 수행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이며 굴취버켓의 전단부 또는 전단부와 좌,우측단부에 낙토방지편을 장착함으로써 이동 중의 수목의 전도 및 이식 후의 생육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의 주된 이식 대상은 골프장 및 택지 조성, 도로 건설 등의 토지개발사업에 의해 소실되는 산림의 수목 및 초본 식물과 저습지의 습지 식물군 및 이의 하부 식생을 포함한 비오톱(biotope, 소생물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녹지 생태계의 복원 및 재생을 목적으로 하는 녹지 조성 사업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식물군을 이식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대상 수목의 분돌리기, 분뜨기, 뿌리분의 양생, 굴취, 수간(樹幹)부의 전정 및 양생, 운반, 식혈 파기, 수목 심기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공정은 인력 작업과 기계 작업을 병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목 이식방법은 실질적으로 이식 작업에 앞서 몇 년 전부터 분돌리기 작업을 선행하는 등 체계적인 이식 계획을 필요로 하며, 수목의 분뜨기에서 수목을 심기까지 일련의 이식 공정은 인력에 의한 의존도가 높아 품질 관리 및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목 뿐만 아니라 수목이 생장하고 있는 하부 식생을 함께 굴취하여 옮겨 심는 소위 비오톱 이식공법이 개발되었다. 비오톱 이식공법은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비오톱 공간의 생물적 요소(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와 비생물적 요소(토양)을 이식 전의 원형에 가깝게 일정한 크기의 토양블럭 형태로 굴취하고 이식하여 비오톱 공간의 생태적 기능을 조기에 회복시키는 복원공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자연 상태의 비오톱 공간에는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식물들이 불규칙하게 생장하고 있어 굴취 대상이 되는 토양블럭의 크기가 매우 다양하게 달라 이러한 다양한 크기의 토양블럭을 굴취할 수 있는 전용 굴취버켓이 필요하다.
즉, 종래의 비오톱 이식공법에 있어서 사용하는 비오톱 이식장치는 중기 운행장비에 전용 굴취버켓을 장착한 것으로서 굴취 대상이 되는 토양블럭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 다양한 크기의 토양블럭 굴취계획을 수립하기 매우 어렵고 이를 위해서는 굴취버켓의 크기별로 여러 대의 중기 운행장비를 굴취작업 현장에 반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비오톱공간에서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전하는 작업공간의 대부분이 경사지거나 협소한 공간이어서 여러 대의 중기 운행장비가 작업을 수행할 경우, 시공단가가 높아지며 중기 운행장비 투입 대비 작업효율이 저하되며 중기 운행장비간 접촉사고 및 작업인력과의 안전사고 위험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용 굴취버켓의 전단부는 개방되어 있어 굴취한 토양블럭의 전단부를 양생하기 위해 작업하기 쉬운 평탄한 작업장으로 이동하거나, 공사 부지내 직접이식을 위해 이동할 경우 중기 운행장비의 주행 진동에 의해 개방된 전단부의 토양이 흘러내리게 된다. 이러한 토양의 흘러내림은 토양이 갖는 수목 지지력 약화를 유발하여 이동 중에 수목이 넘어지는 수목 전도(轉倒) 및 이식 후의 생육 불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변형 굴취버켓이 장착된 한대의 비오톱 이식장치에 의하여 다양한 크기의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할 수 있게 하여 비오톱 공간의 원형복원의 정밀도를 높이고 작업 수행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이며 굴취버켓의 전단부 또는 전단부와 좌,우측단부에 낙토방지편을 장착함으로써 이동 중의 수목의 전도 및 이식 후의 생육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는 비오톱 공간의 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 등의 생물적 요소와 토양의 비생물적 요소를 포함하는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는 중기의 암에 장착되고 굴취버켓을 수용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단으로 장착되고 전,후면과 상면이 개구된 굴취버켓과; 상기 굴취버켓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굴취버켓의 내부 후면에는 가변식 후방지지판이 가로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토양블럭의 세로폭에 따라 상기 굴취버켓의 세로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는 비오톱 공간의 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 등의 생물적 요소와 토양의 비생물적 요소를 포함하는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는 중기의 암에 장착되고 굴취버켓을 수용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단으로 장착되고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굴취버켓과; 상기 굴취버켓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굴취버켓의 내부 측면에는 가변식 측면지지판이 세로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토양블럭의 가로폭에 따라 상기 굴취버켓의 가로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는 비오톱 공간의 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 등의 생물적 요소와 토양의 비생물적 요소를 포함하는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는 중기의 암에 장착되고 굴취버켓을 수용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단으로 장착되고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굴취버켓과; 상기 굴취버켓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굴취버켓의 내부 후면에는 가변식 후방지지판이 가로방향으로 장착되고 내부 측면에는 가변식 측면지지판이 세로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토양블럭의 가로폭과 세로폭에 따라 상기 굴취버켓의 가로폭과 세로폭을 각각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는 상기 굴취버켓의 전단부 또는 전단부와 좌,우측단부에 상기 토양블럭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한 써레 또는 판재 형상의 낙토방지편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공법은 비오톱 공간의 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 등의 생물적 요소와 토양의 비생물적 요소를 포함하는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공법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수목의 주위로 홈을 파고 뿌리를 절단하는 토양블럭 형성 단계와; 상기 토양블럭 전면으로 굴삭절단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토양블럭의 세로폭이나 가로폭 또는 세로폭 및 가로폭에 맞춰 가변식 후방지지판이나 가변식 측면지지판 또는 가변식 후방지지판 및 가변식 측면지지판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의 구동부를 작동하여 상기 굴취버켓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상기 굴취버켓을 상기 토양블럭의 상기 굴삭절단면을 통하여 토양에 삽입하고 상기 중기의 암을 작동시켜 상기 토양블럭과 함께 상기 굴취버켓을 들어올려 굴취하는 단계와; 상기 중기를 이식 장소까지 이동하여 중기의 암을 작동하여 상기 토양블럭과 함께 상기 굴취버켓을 내려놓은 다음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의 구동부를 작동하여 상기 굴취버켓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토양블럭을 이식 장소에 내려놓는 단계와; 상기 토양블럭의 뿌리부를 토사로 매설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공법은 비오톱 공간의 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 등의 생물적 요소와 토양의 비생물적 요소를 포함하는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공법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수목의 주위로 홈을 파고 뿌리를 절단하는 토양블럭 형성 단계와; 상기 토양블럭 전면으로 굴삭절단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의 굴취버켓에 상기 토양블럭의 세로폭 및 가로폭에 대응하고 전면, 상면, 바닥면이 개방된 토양블럭 유니트를 탑재한 다음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를 가변식 후방지지판이나 가변식 측면지지판 또는 가변식 후방지지판 및 가변식 측면지지판으로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의 구동부를 작동하여 상기 굴취버켓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상기 굴취버켓을 상기 토양블럭의 상기 굴삭절단면을 통하여 토양에 삽입하고 중기의 암을 작동시켜 상기 토양블럭과 함께 상기 굴취버켓을 들어올려 굴취하는 단계와; 상기 중기를 토양블럭 유니트 셋팅장소까지 이동하여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시키고 상기 중기의 암을 작동하여 상기 토양블럭과 함께 상기 굴취버켓을 팔레트 위에 내려놓은 다음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의 구동부를 작동하여 상기 굴취버켓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와 상기 토양블럭을 팔레트에 내려놓는 단계와;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를 차량으로 운반하여 이식 장소에 내려놓는 단계와;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를 제거하고 토양블럭의 뿌리부를 토사로 매설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에 의하면, 굴취 대상 토양블럭 의 크기에 따라 가로폭 또는 세로폭, 가로폭 및 세로폭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굴취버켓이 장착된 한 대의 비오톱 이식장치에 의하여 다양한 크기의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할 수 있게 하여 비오톱 공간의 원형복원의 정밀도를 높이고 작업 수행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이며 굴취버켓의 전단부 또는 전단부와 좌,우측단부에 낙토방지편을 장착함으로써 이동 중의 수목의 전도 및 이식 후의 생육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비오톱 공간의 굴취 대상 토양블럭의 굴취 과정 모식도이고 도2는 비오톱 공간의 굴취 대상 토양블럭의 이식 과정 모식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의 가변식 후방지지판의 확대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의 가변식 측면지지판의 확대도이며, 도7는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8a 내지 8b는 본 발명에 의한 이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는 비오톱 공간의 식물군, 토양동물, 미생 물, 매토종자 등의 생물적 요소와 토양의 비생물적 요소를 포함하는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는 중기(BH)의 암(A)에 장착되고 굴취버켓(20)을 수용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전단으로 장착되고 전,후면과 상면이 개구된 굴취버켓(20)과; 상기 굴취버켓(20)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굴취버켓(20)의 내부 후면에는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이 가로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토양블럭(100)의 세로폭에 따라 상기 굴취버켓(20)의 세로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오톱 이식장치는 도1 내지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기(BH)의 작업 암(A)에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굴취버켓(20)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수용하는 공간이며 상기 굴취버켓(20)은 좌측면판(22), 우측면판(23) 및 저면판(24)으로 이루어져 전,후면 및 상면이 개방되며, 상기 저면판(24)의 전단부에는 토양에 삽입하는 경우에 토양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요출면을 형성한 포크면(241)이 다수개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전단이 예각의 모따기 형상을 이루고 일정 두께를 갖는 저면판 보강날이 다수개 부설된다. 또한, 상기 굴취버켓(20)은 전후로 이동하는 구조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굴취버켓(20)의 좌, 우측면판(22, 23)에는 상기 굴취버켓(10)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굴취버켓 유압실린더(21)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부(미도시)에 위해 작동하게 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굴취버켓 유압실린더(21)를 작동하여 상기 굴취버켓(20)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다음 굴취 대상 수목 등을 기준으로 주위 지표면을 사각형으로 구획한 토양블럭(100)을 굴취하고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 장소로 이동하여 내려놓은 다음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굴취버켓 유압실린더(21)를 작동하여 상기 굴취버켓(20)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이식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은 도3 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굴취버켓(20)의 내부 후면에 가로방향으로 장착되어 굴취 대상 상기 토양블럭(100)의 세로폭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굴취버켓(20) 내부의 세로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은 전후로 이동하도록 장착되는데 상기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은 후측으로 회동축(301)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편(309)에 연결봉(308)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동축(301)의 양단에는 피니언기어(302)가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기어(302)는 상기 굴취버켓(20)의 좌,우측면판의 내측 단턱부에 형성된 래크기어(303)에 안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302)가 상기 래크기어(303)를 따라 전후로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이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의 중앙부에는 고정손잡이(304)가 출입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손잡이(304)는 후측으로 상기 회동축(301)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피고정편(305)을 붙잡아 고정하거나 이와 분리하여 상기 회동축(301)이 회전할 수 있도록 'ㄷ' 자 형상의 고정편(306)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손잡이(304)를 전방으로 당겨 상기 피고정편(305)과 상기 고정편(306)을 분리하고 더욱 당기게 되면 상기 회동축(301)이 회전하면서 상기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이 전방으로 이동되게 되고 다음으로 상기 고정손잡이(304)를 상기 고정홈으로 밀어넣어 상기 고정편(306)이 상기 피고정편(305)을 붙잡아 고정함으로써 상기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여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을 상기와 같이 전후로 이동, 고정함으로써 상기 굴취버켓(20) 내부의 세로폭을 조절하여 굴취 대상 상기 토양블럭(100)의 세로폭에 맞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는 비오톱 공간의 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 등의 생물적 요소와 토양의 비생물적 요소를 포함하는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는 중기(BH)의 암(A)에 장착되고 굴취버켓(20)을 수용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전단으로 장착되고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굴취버켓(20)과; 상기 굴취버켓(20)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굴취버켓(20)의 내부 측면에는 가변식 측면지지판(40)이 세로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토양블럭(100)의 가로폭에 따라 상기 굴취버켓(20)의 가로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오톱 이식장치는 도1 내지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기(BH)의 작업 암(A)에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굴취버켓(20)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수용하는 공간이며 상기 굴취버켓(20)은 좌측면판(22), 우측면판(23) 및 저면판(24)으로 이루어져 전,후면 및 상면이 개방되며, 상기 저면판(24)의 전단부에는 토양에 삽입하는 경우에 토양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요출면을 형성한 포크면(241)이 다수개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전단이 예각의 모따기 형상을 이루고 일정 두께를 갖는 저면판 보강날이 다수개 부설된다. 또한, 상기 굴취버켓(20)은 전후로 이동하는 구조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굴취버켓(20)의 좌, 우측면판(22, 23)에는 상기 굴취버켓(10)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굴취버켓 유압실린더(21)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부(미도시)에 위해 작동하게 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굴취버켓 유압실린더(21)를 작동하여 상기 굴취버켓(20)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다음 굴취 대상 수목 등을 기준으로 주위 지표면을 사각형으로 구획한 토양블럭(100)을 굴취하고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 장소로 이동하여 내려놓은 다음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굴취버켓 유압실린더(21)를 작동하여 상기 굴취버켓(20)을 후방으로 슬 라이드 이동시켜 이식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가변식 측면지지판(40)은 도5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굴취버켓(20)의 내부 측면에 세로방향으로 장착되어 굴취 대상 상기 토양블럭(100)의 가로폭에 따라 상기 가변식 측면지지판(4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굴취버켓(20) 내부의 가로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가변식 측면지지판(40)은 상기 굴취버켓(40)의 일측면판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돌부(411)에 결합되는 고정판(41)과, 상기 굴취버켓(20)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판(42)과, 상기 고정판(41)과 상기 이동판(42)을 연결하고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판(43)으로 구성되며, 상기 길이조절판(43)은 후면에 상하로 가이드돌부(432)가 형성되고 고정핀공(436)이 형성되는 제1길이조절판(430)과, 상기 제1길이조절판(430)의 후측으로 연결되며 전,후면에 상기 가이드돌부(432)가 삽입되는 가이드홈부(434)가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공(436)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고정공(435)이 형성되는 제2길이조절판(440)과, 상기 제2길이조절판(440)의 후측으로 연결되며 전면에 상하로 가이드돌부(432)가 형성되고 고정핀공(436)이 형성되는 제3길이조절판(45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가변식 측면지지판(40)의 상기 제1 내지 제3길이조절판(430, 440, 450)을 최단의 길이로 조절하여 상기 고정공(435)과 상기 고정핀공(436)에 고정 핀(433, 예를 들어 보울트)를 체결하여 고정한 상태로 장착하고 굴취 대상 상기 토양블럭(100)의 가로폭에 따라 먼저 상기 제3길이조절판(450)에 체결된 상기 고정핀(433)을 풀고 그 길이를 연장, 조절하여 상기 가변식 측면지지판(30)의 길이를 연장하고 그 폭이 부족한 경우 다음으로 상기 제2길이조절판(440)을 조절하여 상기 가변식 측면지지판(40)의 길이를 추가로 연장한 다음 최종 상기 고정핀(433)으로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굴취버켓(20) 내부의 가로폭을 조절하여 굴취 대상 상기 토양블럭(100)의 가로폭에 맞출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비이톱 이식장치는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오톱 공간의 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 등의 생물적 요소와 토양의 비생물적 요소를 포함하는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는 중기(BH)의 암(A)에 장착되고 굴취버켓(20)을 수용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전단으로 장착되고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굴취버켓(20)과; 상기 굴취버켓(20)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굴취버켓(20)의 내부 후면에는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이 가로방향으로 장착되고 내부 측면에는 가변식 측면지지판(40)이 세로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토양블럭(100)의 가로폭과 세로폭에 따라 상기 굴취버켓(20)의 가로폭과 세로폭을 각각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가변식 후방지지판(30)과 상기 가변식 측면지지판(40)을 상기 굴취버켓(20)에 함께 장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이들을 이용하여 굴취 대상 상기 토양블럭(100)의 세로폭 및 가로폭에 대응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굴취버켓의 내부 세로폭 및 가로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굴취 대상 상기 토양블럭(100)의 크기에 따라 필요에 따라서 세로폭 또는 가로폭만을 조절할 수도 있고 세로폭 및 가로폭을 동시에 조절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는 도8a 내지 도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굴취버켓(20)의 전단부 또는 전단부와 좌,우측단부에 상기 토양블럭(100)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한 써레 또는 판재 형상의 낙토방지편(5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굴취버켓(20)의 좌,우측면판의 전단부에 상하로 다수개의 상기 낙토방지편 삽입통(51)을 형성하고 써레(harrow) 또는 판재 형상의 상기 낙토방지편(50)을 도8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굴취버켓(20)의 전단부에 삽입하여 전면을 막음으로써 전면이 개방된 상기 굴취버켓(20)에 굴취되어 적재된 상기 토양블럭(100)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낙토방지편 삽입통(51)을 좌,우측면판 후단부에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굴취버켓(20)의 좌,우측단부에 삽입하여 측면을 막음으로써 상기 굴취버켓(20)에 굴취되어 적재된 상기 토양블럭(1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방법은 비오톱 공간의 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 등의 생물적 요소와 토양의 비생물적 요소를 포함하는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공법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수목의 주위로 사각형으로 구획한 홈을 파고 뿌리를 절단하는 토양블럭(100) 형성 단계와; 상기 토양블럭(100) 전면으로 굴삭절단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토양블럭(100)의 세로폭이나 가로폭 또는 세로폭 및 가로폭에 맞춰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이나 가변식 측면지지판(40) 또는 가변식 후방지지판(30) 및 가변식 측면지지판(40)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의 구동부를 작동하여 상기 굴취버켓(20)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상기 굴취버켓(20)을 상기 토양블럭(100)의 상기 굴삭절단면을 통하여 토양에 삽입하고 중기(BH)의 암(A)을 작동시켜 상기 토양블럭(100)과 함께 상기 굴취버켓(20)을 들어올려 굴취하는 단계와; 상기 중기를 이식 장소까지 이동하여 상기 중기의 암을 작동하여 상기 토양블럭과 함께 상기 굴취버켓을 내려놓은 다음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의 구동부를 작동하여 상기 굴취버켓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토양블럭을 이식 장소에 내려놓는 단계와; 상기 토양블럭(100)의 뿌리부를 토사로 매설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를 이용하여 비교적 근거리에 이동, 이식하는 경우에 대한 비오톱 이식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굴취 대상 수목 등을 기준으로 주위 지표면을 사각형으로 구획한 토양블럭(100)을 굴취함에 있어서 상기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이나 가변식 측면지지판(40) 또는 가변식 후방지지판(30) 및 가변식 측면지지판(40)을 이용하여 굴취 대상이 되는 상기 토양블럭(100)의 크기에 맞게 조절함으로써 한 대의 비오톱 이식장치만으로 다양한 크기의 상기 토양블럭(100)을 굴취, 이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공법은 비오톱 공간의 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 등의 생물적 요소와 토양의 비생물적 요소를 포함하는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공법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수목의 주위로 사각형으로 구획한 홈을 파고 뿌리를 절단하는 토양블럭 형성 단계와; 상기 토양블럭(100) 전면으로 굴삭절단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의 굴취버켓(20)에 상기 토양블럭(100)의 세로폭 및 가로폭에 대응하고 전면, 상면, 바닥면이 개방된 토양블럭 유니트를 탑재한 다음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를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이나 가변식 측면지지판(40) 또는 가변식 후방지지판(30) 및 가변식 측면지지판(40)으로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의 구동부를 작동하여 상기 굴취버켓(20)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상기 굴취버켓(20)을 상기 토양블럭(100)의 상기 굴삭절단면을 통하여 토양에 삽입하고 중기(BH)의 암(A)을 작동시켜 상기 토양블럭(100)과 함께 상기 굴취버켓(20)을 들어올려 굴취하는 단계와; 상기 중기(BH)를 토양블럭 유니트 셋팅장소까지 이동하여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시키고 상기 중기(BH)의 암(A)을 작동하여 상기 토양블럭(100)과 함께 상기 굴취버켓(20)을 팔레트 위에 내려놓은 다음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의 구동부를 작동하여 상기 굴취버켓(20)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와 상기 토양블럭(100)을 팔레트에 내려놓는 단계와;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를 차량으로 운반하여 이식 장소에 내려놓는 단계와;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를 제거하고 상기 토양블럭(100)의 뿌리부를 토사로 매설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를 이용하여 비교적 원거리에 이동, 이식하는 경우에 대한 비오톱 이식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굴취 대상 수목 등을 기준으로 주위 지표면을 사각형으로 구획한 토양블럭(100)을 굴취함에 있어서 목재 등으로 구성되고 굴취 대상 토양블럭의 크기에 대응하는 별도의 토양블럭 유니트(미도시)를 상기 굴취버켓(20)에 먼저 장착한 다음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를 상기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이나 가변식 측면지지판(30) 또는 가변식 후방지지판(30) 및 가변식 측면지지판(40)을 이용하여 고정, 지지함으로써 한 대의 비오톱 이식장치만으로 다양한 크기의 상기 토양블럭(100)을 굴취, 이식할 수 있고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를 별도로 채용함으로써 비교적 원거리에 이동, 이식하는 경우에도 중기 운행장비의 주행 진동에 따른 상기 토양블럭(100)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그에 관한 최선의 구성상태를 열거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이전까지 서술된 구성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은 비오톱 공간의 굴취 대상 토양블럭의 굴취 과정 모식도.
도2는 비오톱 공간의 굴취 대상 토양블럭의 이식 과정 모식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의 사시도.
도4는 본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의 가변식 후방지지판의 확대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의 가변식 측면지지판의 확대도.
도7는 본 발명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8a 내지 8b는 본 발명에 의한 이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부 20. 굴취버켓
21. 굴취버켓 유압실린더 22. 좌측면판
23. 우측면판 24. 저면판
241. 포크면 25. 배면판
30. 가변식 후방지지판 301. 회동축
302. 피니언기어 303. 래크기어
304. 고정손잡이 305. 피고정편
306. 고정편 307. 고정봉
308. 연결봉 309. 연결편
40. 가변식 측면지지판 41. 고정판
42. 이동판 43. 길이조절판
430. 제1길이조절판 432. 가이드돌부
433. 고정핀 434. 가이드홈부
435. 고정공 436. 고정핀공
440. 제2길이조절판 450. 제3길이조절판
50. 낙토방지편 51. 낙토방지편 삽입통
100. 토양블럭
BH. 중기(굴착기, 운행장비) A. 암

Claims (6)

  1. 비오톱 공간의 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 등의 생물적 요소와 토양의 비생물적 요소를 포함하는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는 중기(BH)의 암(A)에 장착되고 굴취버켓(20)을 수용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전단으로 장착되고 전,후면과 상면이 개구된 굴취버켓(20)과; 상기 굴취버켓(20)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굴취버켓(20)의 내부 후면에는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이 가로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토양블럭(100)의 세로폭에 따라 상기 굴취버켓(20)의 세로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오톱 이식장치.
  2. 비오톱 공간의 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 등의 생물적 요소와 토양의 비생물적 요소를 포함하는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는 중기(BH)의 암(A)에 장착되고 굴취버켓(20)을 수용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전단으로 장착되고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굴취버켓(20)과; 상기 굴취버켓(20)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 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굴취버켓(20)의 내부 측면에는 가변식 측면지지판(40)이 세로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토양블럭(100)의 가로폭에 따라 상기 굴취버켓(20)의 가로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오톱 이식장치.
  3. 비오톱 공간의 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 등의 생물적 요소와 토양의 비생물적 요소를 포함하는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는 중기(BH)의 암(A)에 장착되고 굴취버켓(20)을 수용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전단으로 장착되고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굴취버켓(20)과; 상기 굴취버켓(20)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굴취버켓(20)의 내부 후면에는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이 가로방향으로 장착되고 내부 측면에는 가변식 측면지지판(40)이 세로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토양블럭(100)의 가로폭과 세로폭에 따라 상기 굴취버켓(20)의 가로폭과 세로폭을 각각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오톱 이식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굴취버켓(20)의 전단부 또는 전단부와 좌,우측단부에 상기 토양블럭(100)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한 써레 또는 판재 형상의 낙토방지편(5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오톱 이식 장치.
  5. 비오톱 공간의 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 등의 생물적 요소와 토양의 비생물적 요소를 포함하는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공법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수목의 주위로 사각형으로 구획한 홈을 파고 뿌리를 절단하는 토양블럭(100) 형성 단계와;
    상기 토양블럭(100) 전면으로 굴삭절단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토양블럭(100)의 세로폭이나 가로폭 또는 세로폭 및 가로폭에 맞춰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이나 가변식 측면지지판(40) 또는 가변식 후방지지판(30) 및 가변식 측면지지판(40)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의 구동부를 작동하여 상기 굴취버켓(20)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상기 굴취버켓(20)을 상기 토양블럭(100)의 상기 굴삭절단면을 통하여 토양에 삽입하고 중기(BH)의 암(A)을 작동시켜 상기 토양블럭(100)과 함께 상기 굴취버켓(20)을 들어올려 굴취하는 단계와;
    상기 중기를 이식 장소까지 이동하여 상기 중기의 암을 작동하여 상기 토양블럭과 함께 상기 굴취버켓을 내려놓은 다음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의 구동부를 작동하여 상기 굴취버켓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토양블럭을 이식 장소에 내려놓는 단계와;
    상기 토양블럭(100)의 뿌리부를 토사로 매설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오톱 이식공법.
  6. 비오톱 공간의 식물군, 토양동물, 미생물, 매토종자 등의 생물적 요소와 토양의 비생물적 요소를 포함하는 토양블럭을 굴취하여 이식하는 비오톱 이식공법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수목의 주위로 사각형으로 구획한 홈을 파고 뿌리를 절단하는 토양블럭 형성 단계와;
    상기 토양블럭(100) 전면으로 굴삭절단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비오톱 이식장치의 굴취버켓(20)에 상기 토양블럭(100)의 세로폭 및 가로폭에 대응하고 전면, 상면, 바닥면이 개방된 토양블럭 유니트를 탑재한 다음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를 가변식 후방지지판(30)이나 가변식 측면지지판(40) 또는 가변식 후방지지판(30) 및 가변식 측면지지판(40)으로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의 구동부를 작동하여 상기 굴취버켓(20)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상기 굴취버켓(20)을 상기 토양블럭(100)의 상기 굴삭절단면을 통하여 토양에 삽입하고 중기(BH)의 암(A)을 작동시켜 상기 토양블럭(100)과 함께 상기 굴취버켓(20)을 들어올려 굴취하는 단계와;
    상기 중기(BH)를 토양블럭 유니트 셋팅장소까지 이동하여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시키고 상기 중기(BH)의 암(A)을 작동하여 상기 토양블럭(100)과 함께 상기 굴취버켓(20)을 팔레트 위에 내려놓은 다음 상기 비오톱 이식장치의 구동부를 작동하여 상기 굴취버켓(20)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와 상기 토양블럭(100)을 팔레트에 내려놓는 단계와;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를 차량으로 운반하여 이식 장소에 내려놓는 단계와;
    상기 토양블럭 유니트를 제거하고 상기 토양블럭(100)의 뿌리부를 토사로 매설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오톱 이식공법.
KR1020090038672A 2009-05-01 2009-05-01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 KR100933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672A KR100933883B1 (ko) 2009-05-01 2009-05-01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672A KR100933883B1 (ko) 2009-05-01 2009-05-01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883B1 true KR100933883B1 (ko) 2009-12-28

Family

ID=4168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672A KR100933883B1 (ko) 2009-05-01 2009-05-01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8618A (zh) * 2022-05-11 2022-08-09 北京世纪立成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乔木移植技术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4843A (ja) * 1992-04-28 1993-11-19 Yoshimi Furukawa 樹木掘り取り方法及び装置
JP2002017183A (ja) * 2000-07-03 2002-01-22 Fukuyuu Ryokuchi:Kk 樹木移植機
KR20070099179A (ko) * 2006-04-03 2007-10-09 유한회사 이앤엘유토 비오톱 이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4843A (ja) * 1992-04-28 1993-11-19 Yoshimi Furukawa 樹木掘り取り方法及び装置
JP2002017183A (ja) * 2000-07-03 2002-01-22 Fukuyuu Ryokuchi:Kk 樹木移植機
KR20070099179A (ko) * 2006-04-03 2007-10-09 유한회사 이앤엘유토 비오톱 이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8618A (zh) * 2022-05-11 2022-08-09 北京世纪立成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乔木移植技术装置
CN114868618B (zh) * 2022-05-11 2024-01-05 北京世纪立成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一种采用园林乔木移植技术装置的园林乔木移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01847A (zh) 丘陵区土地整理表土剥离与回填施工方法
CN111066617A (zh) 一种自动种树机
CN110337971A (zh) 矿区边坡立体绿化生态修复方法
KR101162885B1 (ko) 수목 굴취 및 이식 장치
KR100933883B1 (ko) 비오톱 이식장치 및 이식공법
Polster et al. Natural processes for the restoration of drastically disturbed sites
KR100813442B1 (ko) 묘삼 이식기
KR100933886B1 (ko) 토양블럭 이송용 파레트
Moffat et al. Replacement of soil and soil‐forming materials by loose tipping in reclamation to woodland
KR100605494B1 (ko) 식물 굴삭장치
KR101716364B1 (ko) 굴삭기용 삽
CN112492913A (zh) 一种潮间带立体修复方法
KR100998981B1 (ko) 자동 묘목 이식기
KR20070099179A (ko) 비오톱 이식장치
Polster Restoration of landslides and unstable slopes: considerations for bioengineering in interior locations
KR200439113Y1 (ko) 비오톱 이식장치
CN208850336U (zh) 林业可调式移苗车
JP4553791B2 (ja) 樹木移植工法
CN215011981U (zh) 一种用于植被修复的基质型容器苗种植设备
CN217038232U (zh) 一种山地平地两用植树车
El Pebrian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prototype trailed type oil palm seedling transplanter
Harsiga et al. CALCULATION OF PIT 2 PRODUCED OVERBURDEN VOLUME AND THE ANALYSIS OF PREPARATION OF PIT 1 MINE VOID UTILIZATION AT SUPAT BLOCK PT. BATURONA ADIMULYA MUSI BANYUASIN, SOUTH SUMATERA
CN213462946U (zh) 一种植物移植器
WO2021256944A1 (pt) Equipamento agrícola e florestal para plantação e adubagem
CN117569290A (zh) 一种侵蚀沟治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