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352B1 - 케이블 배선 구조, 전자 기기, 그 제조 방법 및 케이블 - Google Patents

케이블 배선 구조, 전자 기기, 그 제조 방법 및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352B1
KR100907352B1 KR1020070009221A KR20070009221A KR100907352B1 KR 100907352 B1 KR100907352 B1 KR 100907352B1 KR 1020070009221 A KR1020070009221 A KR 1020070009221A KR 20070009221 A KR20070009221 A KR 20070009221A KR 100907352 B1 KR100907352 B1 KR 100907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ovable
electronic device
wiring structure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7106A (ko
Inventor
데쯔야 호리
도모유끼 나가미네
시게루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7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개폐부나 회전부 등의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케이블 배선에 관하여, 케이블의 손모를 억제하여 케이블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 등에 있다.
가동부[힌지 기구(10), 회전 기구(12)]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케이블 배선 구조이다. 케이블(18)은 여장부(76)를 구비한다. 이 여장부는 상기 가동부의 통과 등에 필요한 길이를 케이블에 부여하기 위한 것이고, 이 여장부는 케이블 수납부(74)에 수납된다. 이 케이블 수납부는 상기 전자 기기측에 설치되어 사행 형상으로 상기 여장부를 배치시키고, 또한 상기 가동부의 가동에 의한 상기 여장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구성이다.
힌지 기구, 회전 기구, 케이블, 여장부, 케이블 수납부

Description

케이블 배선 구조, 전자 기기, 그 제조 방법 및 케이블 {CABLE WIRING STRUCTURE, ELECTRONIC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CABLE}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3은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4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5는 개방 상태에 있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가동측 하우징부의 우회전(좌회전)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폐쇄 상태에 있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를 배면측에서 보고 도시한 도면.
도7은 폐쇄 상태에 있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가동측 하우징부의 우회전(좌회전)을 도시하는 도면.
도8은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구조 및 케이블 배선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9는 케이블의 배선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0은 가동 아암부의 케이블 수납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1은 케이블 수납부를 추출하여 각 부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가동 아암부 및 가동측 하우징부의 케이블의 통과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3은 케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세선 동축 케이블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15의 (A)는 방호 캡 및 케이블의 단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15의 (B)는 방호 캡을 장착한 케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1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케이블의 수납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7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케이블의 수납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케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퍼스널 컴퓨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20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퍼스널 컴퓨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휴대 전화 단말 장치
4 : 고정측 하우징부
6 : 가동측 하우징부
8 : 가동 아암부
10 : 힌지 기구(가동부, 개폐부)
12 : 회전 기구(가동부, 회전부)
18 : 케이블
28 : 관통 구멍
32 : 고정측 기판
34 : 커넥터
42 : 가동측 기판
44 : 커넥터
52 : 케이블 삽입 관통 구멍
74 : 케이블 수납부
76 : 여장부
88 : 적재부
90, 92 : 기립 벽부
130 : 방호 피복
170 : 퍼스널 컴퓨터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08300호 공보(요약 및 도4)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0657호 공보(요약 및 도1)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7-160364호 공보(요약 및 도8)
본 발명은 개폐나 회전 등을 위한 가동부에 걸쳐서 케이블이 배선되는 전자 기기의 케이블 배선 구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등의 각종 전자 기기의 가동부에 걸쳐지는 케이블 배선에 적합한 케이블 배선 구조, 전자 기기, 그 제조 방법 및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단말 장치나 퍼스널 컴퓨터(PC) 등의 휴대 가능한 각종 전자 기기에서는, 휴대성, 콤팩트화, 표시부의 방호성 등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하우징부를 힌지부로 연결하여 회전이나 개폐를 가능하게 한 기기가 알려져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회전시켜 시인성을 높이는 등의 형태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동부를 구비하는 기기에 있어서는 케이블의 배치나 보유 지지에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케이블 배선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기기 본체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에 대해, 기기 본체에 외주 홈을 형성하고, 이 외주 홈에 케이블을 압입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본체와 덮개를 힌지 기구에 의해 개폐 가능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본체측에 외부 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을 수납하는 홈부를 마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본체와 인력 표시부와 연결 아암을 구비하고, 연결 아암은 본체에 제1 힌지 기구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입력 표시부는 연결 아암에 제2 힌지 기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배선 재료에는 케이블 외에,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이 알려져 있지만, PC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복수의 신호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실드 효과가 있는 세선(細線) 동축 케이블 등의 케이블이 다용되고 있다. 특 히, 가동부를 구비하는 기기에 있어서, 가동부를 걸쳐서 설치되는 배선 부분에는 FPC보다도 비틀림 내력이 있는 케이블이 적합하다.
또한, 가동부를 걸쳐서 케이블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기기 내부에 그 케이블을 수납하는 케이블 수납부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이와 같은 케이블 수납 공간은 기기 내부에 대해 큰 공간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부를 조립할 때에, 그 조립의 용이화를 도모하기 위해 케이블을 길게 설정하면, 조립시에 하우징부의 접합 부분에 케이블을 끼워 넣어 버릴 우려가 있고, 또한 그 케이블을 수납하기 위한 여장 공간(余長空間)이 기기 사이즈를 크게 하여 기기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나 과제에 대해, 특허문헌 1, 2, 3에는 그 개시나 시사는 없고, 그것을 해결하는 구성 등에 대한 개시나 시사는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부나 회전부 등의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케이블 배선에 관하여, 케이블의 손모를 억제하여 케이블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기기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레이아웃 기능을 높이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기기의 조립성을 높이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기기의 소형화에 기여하는 것에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 및 각 실시 형태를 참조함으로써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또는 2 이상의 가동부로서 개폐부나 회전부 등을 구비하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를 통과시켜 배선되는 케이블에 여장부(余長部)를 마련한다. 이 여장부는 기판부간에 접속되는 케이블에 대해, 그 중간 부분에 여유 길이를 설정한 부분이다. 이와 같은 여장부에 의해 전자 기기의 조립 등의 제조나 가동부의 가동 조작 등에 의한 기계적 부하(응력)로부터의 방호와 함께, 기기의 조립시의 부재 조작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여장부는 전자 기기측에 설치된 케이블 수납부에 사행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 형태에 의해, 상기 가동부의 가동에 수반하는 상기 여장부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에 의해, 케이블의 수납성이나 기기의 소형화가 도모되는 동시에, 가동부의 가동 조작에 수반하는 응력의 집중을 피할 수 있고, 케이블의 손모 방지, 그 내구성의 향상이나 제품간의 내구성의 변동도 방지된다. 그로 인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그래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케이블 배선 구조이며, 상기 가동부를 통과시키는 케이블에 형성된 여장부와, 상기 전자 기기측에 설치되어 상기 여장부를 사행 형상으로 배치시켜 수납하고, 또한 상기 가동부의 가동에 의한 상기 여장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케이블 수납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블 배선 구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전자 기기를 개폐하는 힌지 기구이며, 상기 힌지 기구에 상기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블 배선 구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전자 기기의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이며, 상기 회전 기구에 상기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블 배선 구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블 수납부는 상기 여장부를 90도 이하로 구부리는 만곡 안내부, 90도 이상의 원호로 구부리는 만곡 안내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블 배선 구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여장부의 일부 또는 전체부에 방호 피복을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블 배선 구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블 수납부는 상기 케이블의 폭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확대 개구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블 배선 구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블 수납부는 상기 케이블을 적재하는 적재부와, 이 적재부에 적재되는 상기 여장부를 제한하고 사행 배치시키는 기립 벽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이며, 상기 가동부를 통과시키는 케이블에 설정된 여장부를 상기 가동부로 안내하는 케이블 수납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가동부를 통과하는 케이블에 여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 설치된 케이블 수납부에 상기 여장부를 수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배선되는 케이블이며, 상기 전자 기기의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부분에 여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여장부가 상기 전자 기기에 설치된 케이블 수납부로 안내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3은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4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5는 개방 상태에 있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가동측 하우징부의 우회전(좌회전)을 나타내는 도면, 도6은 폐쇄 상태에 있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를 배면측에서 보고 도시한 도면, 도7은 폐쇄 상태에 있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가동측 하우징부의 우회전(좌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전화 단말 장치(2)는 개폐부나 회전부 등의 복수의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일례이며,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부로서 고정측 하우징부(4)와, 제2 하우징부로서 가동측 하우징부(6)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측 하우징부(4)에는 가동 아암부(8)가 개폐부(제1 가동부)인 힌지 기구(10)에 의해 설치되고, 또한 가동 아암부(8)에는 회전부(제2 가동부)로서의 회전 기구(12)를 사이에 두고 가동측 하우징부(6)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기구(12)는 가동 아암부(8)에 가동 프레임으로서의 가동측 하우징부(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수단이다. 가동 아암부(8)는 후술하는 케이블(18)(도8)을 설치하는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다.
고정측 하우징부(4)에는 부호 키나 커서 키 등의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입력 조작부(14) 등이 설치되고, 또한 가동측 하우징부(6)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소자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휴대 전화 단말 장치(2)에 따르면, 가동부로서 힌지 기구(10) 및 회전 기구(12)를 구비함으로써, 가동측 하우징부(6)를 가동 아암부(8)와 함께 개폐시키거나, 또는 가동측 하우징부(6)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 하우징부(6)는 고정측 하우징부(4)에 대해 가동 아암부(8)와 함께 폐쇄되거나, 또는 도3의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하고,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아암부(8) 및 가동측 하우징부(6)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에 이르는 도중에 정지, 유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 하우징부(6)는 개방 상태에 있어서 중심 위치(B)로부터 화살표 C의 방향(우측)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중심 위치(B)로부터 화살표 D의 방향(좌측)으로 회전시켜 고정측 하우징부(4)에 대해 L자형으로 변형시킬 수 있고, 또한 가동측 하우징부(6)는 좌우의 회전 종점에 이르는 도중에 정지, 유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가동측 하우징부(6)는 가동 아암부(8)측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도6에 도시하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도,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 위치(B)로부터 화살표 C의 방향(우측)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중심 위치(B)로부터 화살표 D의 방향(좌측)으로 회전시켜 고정측 하우징부(4)에 대해 L자형으로 변형시킬 수 있고, 또한 가동측 하우징부(6)는 좌우의 회전 종점에 이르는 도중에 정지, 유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회전 조작에 의해, 고정측 하우징부(4)의 배면측으로부터 가동측 하우징부(6)에 있는 표시부(16)의 표시 내용을 시인(視認)할 수 있다.
이 휴대 전화 단말 장치(2)의 구조 및 케이블 배선 구조에 대해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8은 휴대 전화 단말 장치(2)의 구조 및 케이블 배선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9는 케이블의 배선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8에 있어서, 도1 내지 도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휴대 전화 단말 장치(2)의 구조 및 케이블 배선 구조는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케이블 배선 구조의 일례이며, 이 실시 형태는 케이블(18)이 가동부로서 힌지 기구(10) 및 회전 기구(12)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힌지 기구(10)의 개폐, 회전 기구(12)의 회전에 의한 응력을 받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고정측 하우징부(4)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전방 케이스부(20)와 고정측 후방 케이스부(22)를 구비하고, 고정측 전방 케이스부(20)에는 입력 조작부(14)의 각 키 창(24)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부측에는 힌지 기구(10)의 베어링부(26)가 고정측 전방 케이스부(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시켜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26)에는 관통 구멍(28)이 마련되고, 이 관통 구멍(28)의 측면부에는 케이블(18)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케이블 삽입 관통부(30)가 예를 들어 절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26)에는 베어링 부재(31)가 설치되고, 이 베어링 부재(31)의 기대부(基臺部)(33)는 고정측 전방 케이스부(20)의 결합 오목부(35)에 끼워 넣어져 고정측 전방 케이스부(20)에 설치된다.
고정측 후방 케이스부(22)에는 고정측 기판(32)이 탑재되고, 이 고정측 기판(32)에는 케이블(18)의 일단부측 커넥터(34)와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부(36)는 케이블(18)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 힌지 기구(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가동측 하우징부(6)는 가동측 전방 케이스부(38)와 가동측 후방 케이스부(40)를 구비하고, 가동측 전방 케이스부(38)에는 표시부(16)(도4)와 함께 가동측 기판(42)이 탑재되어 있다. 이 가동측 기판(42)에는 케이블(18)의 타단부측 커넥터(44)와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부(46)는 케이블(18)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 회전 기구(12)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블(18)은 커넥터부(46)의 근방에 설치된 고정부인 클립(47)에 파지되어 가동측 기판(42)에 고정되어 있다. 클립(47)은 조립시 케이블(18)을 인장해도 커넥터 부(46)가 빠지지 않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가동측 후방 케이스부(40)의 원형부(48)측에는 회전 기구(12)의 회전 모듈(50)이 설치되고, 이 회전 모듈(50)에는 케이블(18)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부로서 케이블 삽입 관통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18) 및 커넥터(44)는 케이블 삽입 관통 구멍(52)으로부터 가동측 기판(42)으로 유도되어, 커넥터(44)를 커넥터부(46)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고정측 기판(32)과 가동측 기판(42)은 힌지 기구(10)의 베어링부(26) 및 회전 모듈(50)을 통과시킨 케이블(18)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가동 아암부(8)는 아암부(54)와 아암 커버부(56)를 구비하고, 아암부(54)의 원형부(55)측에는 이미 서술한 회전 모듈(50)과 함께 가동측 하우징부(6)의 가동측 후방 케이스부(40)가 고정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복수의 나사(58)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케이블(18)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케이블 삽입 관통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 아암부(8)에는 힌지 기구(10)의 베어링부(60, 62)가 형성되고, 각 베어링부(60, 62)의 간격(64) 내에 고정측 하우징부(4)의 베어링부(26)가 삽입된다. 베어링부(60)에는 고정측 하우징부(4)의 베어링부(26)에 도달하는 힌지축으로서의 힌지 모듈(66)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또한 베어링부(62)는 케이블(18)을 통과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이 베어링부(62)에는 케이블 가이드(68)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아암부(54)의 상면으로 케이블(18)을 유도하기 위한 절결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가이드(68)는 베어링부(62)에 설치되어 베어링부(26)에 도달하는 힌 지축을 구성하는 동시에, 케이블(18)을 삽입시키고, 또한 베어링부(26)의 관통 구멍(28)을 막는 커버를 구성한다. 그래서, 케이블 가이드(68)에는 베어링부(26)의 케이블 삽입 관통부(30)로부터 삽입된 케이블(18)을 아암부(54)의 상면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절결부(7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아암부(8)의 아암부(54)의 배면부[가동측 후방 케이스부(40)가 고정되지 않은 측]에는 케이블 수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수납부(74)는 힌지 기구(10)를 통과시킨 케이블(18)을 회전 기구(12)로 유도하여, 회전 기구(12)를 통과시켜 가동측 하우징부(6)로 유도하는 통로인 동시에, 케이블(18)의 중도 부분을 수납하는 기능부이다.
아암 커버부(56)는 가동 아암부(8)의 아암부(54)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78)와, 각 베어링부(60, 62)를 덮는 피복부(80, 82)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부(78)는 아암부(54)에 접합되어 아암부(54)의 상면을 방호하고, 피복부(80, 82)는 각 베어링부(60, 62)의 주위 벽부를 덮어 각 베어링부(60, 62)를 보강하여 방호한다.
힌지 기구(10)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고정측 하우징부(4)의 베어링부(26)와, 가동 아암부(8)의 베어링부(60, 62)와, 힌지 모듈(66)과, 케이블 가이드(68)로 구성되고, 고정측 하우징부(4)에 가동 아암부(8)를 개폐 가능(이 실시 형태에서는, 180도로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케이블(18)의 통과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회전 기구(12)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회전 모듈(50)로 구성되고, 가동 아암부(8)에 가동측 하우징부(6)를 회전 가능(이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각 90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케이블(18)의 통과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케이블(18)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커넥터(34), 타단부에 커넥터(44)를 구비하고, 중간부에 여장부(76)가 설정되어 있다. 이 여장부(76)는 고정측 기판(32)의 커넥터부(36)와, 가동측 기판(42)의 커넥터부(46) 사이에 필요한 접속간 거리를 구비하고, 전자 기기, 즉 휴대 전화 단말 장치(2)의 조립 등에 필요한 길이를 포함하여 가동 조작의 응력 분산에 필요한 길이를 케이블(18)에 부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의 여장부(76)에는 90도 이하로 구부러지는 만곡부(84), 90도 이상의 원호로 구부러지는 만곡부(86)가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케이블(18)의 수납 구조에 대해 도10, 도11 및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0은 가동 아암부(8)의 아암부(54) 및 케이블 수납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1은 케이블 수납부(74)를 추출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12는 가동 아암부(8) 및 가동측 하우징부(6)의 케이블(18)의 통과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0 내지 도12에 있어서, 도8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가동 아암부(8)의 아암부(54)에는, 아암부(54)와 예를 들어 합성 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해 이미 서술한 케이블 수납부(7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케이블 수납부(74)는 케이블(18)의 여장부(76)를 사행 형상으로 배치시켜 수납하고, 또한 여장부(76)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케이블(18) 및 그 여장부(76)를 사행 형상으로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88)와, 이 적재부(88)에 케이블(18)을 사행 형상으로 배치시키는 기립 벽부(90, 9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블 수납부(74)의 중도 부분에는 기립 벽부(90, 92)의 간격을 다르게 하고, 케이블(18)의 폭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 기 위해 1 또는 2 이상의 부위에 확대 개구부(94, 96)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케이블(18)을 보유 지지하기 위해 기립 벽부(90, 92)의 간격을 좁혀 형성된 보유 지지부(9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 수납부(74)에는 케이블(18)의 여장부(76)를 90도 이하로 구부리는 만곡 안내부(100), 90도 이상의 원호로 구부리는 만곡 안내부(102, 104, 10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치 형태를 더욱 상세하게 서술하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부(62)의 절결부(70)로부터 케이블(18)을 회전 모듈(50)의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유도하는 직선부(108)로부터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만곡부(110), 직선부(112), 만곡부(114), 직선부(116), 만곡부(118), 직선부(120), 만곡부(122), 확대 개구부(124) 및 주위부(126)를 경유하여 케이블 삽입 관통 구멍(52)에 이른다. 케이블 삽입 관통 구멍(52)의 개구 근방, 즉 주위부(126)에 이르는 부분에 형성된 확대 개구부(124)는, 기립 벽부(90, 92)의 간격을 케이블 삽입 관통 구멍(52)의 내경에 맞추어 확대 개방되어 케이블(18)의 폭 방향의 이동을 허용한다. 또한, 주위부(126)는 케이블 삽입 관통 구멍(52)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기립 벽부(90, 92)는 아암 커버부(56)와 함께 케이블(18)을 케이블 수납부(74)의 적재부(88) 상에 구속하여 케이블 수납부(74)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한다. 요컨데, 베어링부(62)의 절결부(70)와 케이블 삽입 관통 구멍(52)과의 사이의 직선 거리(L)에 대해, 베어링부(62)의 절결부(70)와 케이블 삽입 관통 구멍(52)과의 간격(d)과, 가동 아암부(8)의 아암부(54)의 이용 가능 폭(w)으로 이루어지는 면부 내에 있어서, 케이블(18)의 여장부(76)를 극단적인 굴곡을 생기게 하지 않고, 휴대 전화 단말 장치(2)의 조립 작업에 필요한 길이와, 가동부로부터의 응력 분산을 도모하기 위해 필요하고 또한 충분한 길이의 여장부(76)를 사행 형상으로 배치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 수납부(74)에 수납되어 유도된 케이블(18)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모듈(50)의 케이블 삽입 관통 구멍(52)을 삽입 관통시켜 가동측 하우징부(6)로 유도되어 배선되어 있다.
다음에, 케이블(18)에 대해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3은 케이블(18)을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케이블(18)에 이용되는 세선 동축 케이블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케이블(18)은 복수개, 예를 들어 수십 개의 세선 동축 케이블(128)의 다발이며, 방호 피복(130)을 씌운 피복부(132)와, 방호 피복(130)을 씌우지 않은 케이블 노출부(134, 136, 138)를 구비하고 있다. 각 세선 동축 케이블(128)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내부 도체(140)의 주위에 절연체(142)를 사이에 두고 복수개의 외부 도체(144)가 배치되고, 이 외부 도체(144)의 주면부에 외부 피복(146)이 설치된 것이다.
케이블(18)의 일단부에는 커넥터(34), 그 타단부에는 커넥터(44)가 접속되어 있고, 커넥터(34)의 접속부 근방에는 미끄럼 이동성이 우수한 방호 피복(130)을 씌우지 않은 케이블 노출부(134)가 형성되고, 커넥터(34)에 접속된 각 세선 동축 케이블(128)은, 커넥터(34)의 접속부 근방으로부터 방호 피복(130)이 씌워지는 동시에, 결속부(148)에 의해 묶이고, 또한 방호 피복(130)은 결속부(150, 152)에 의해 긴장 체결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 노출부(136, 138)의 중간부도 결속부(154)에 의해 묶여 있다. 방호 피복(130)은 미끄럼 이동성을 갖는 합성 수지 테이프가 스파이럴 형상으로 권취되고, 그 권취 시단부, 권취 중간부 및 권취 종단부에 있는 결속부(148, 150, 152, 154)에는 미끄럼 이동성을 갖는 합성 수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결속 테이프가 권취되어 방호 피복(130)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미끄럼 이동성이 좋은 방호 피복(130) 및 결속부(148, 150, 152, 154)에 따르면, 이들이 각 세선 동축 케이블(128)의 결속과 함께, 방호 피복(130) 및 결속부(148, 150, 152, 154)와 각 세선 동축 케이블(128)과의 사이의 미끄럼 이동성이 유지되어, 케이블(18)에 작용하는 응력에 따라서 각 세선 동축 케이블(128)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휴대 전화 단말 장치(2)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8, 도9, 도10, 도12, 도13 및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5는 케이블(18)의 커넥터의 방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휴대 전화 단말 장치(2)의 제조 방법에는, 이하의 휴대 전화 단말 장치(2)의 제조 및 케이블(18)의 배선 공정 등이 포함된다.
(1) 케이블(18)과 고정측 기판(32)의 접속 공정
고정측 기판(32)의 커넥터부(36)에 케이블(18)의 커넥터(34)를 결합시켜 고정측 기판(32)에 케이블(18)을 접속한다.
(2) 가동 아암부(8)와 가동측 하우징부(6)의 결합 공정
가동 아암부(8)와 가동측 하우징부(6)의 가동측 후방 케이스부(40)와의 사이에 회전 모듈(50)을 끼워 넣고, 가동 아암부(8), 회전 모듈(50) 및 가동측 후방 케 이스부(40)를 복수 부위에서 나사(58)로 고정하고, 가동 아암부(8)와 가동측 하우징부(6)를 합체시켜 회전 모듈(5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한다.
(3) 고정측 전방 케이스부(20)와 가동 아암부(8)와의 연결 공정
고정측 전방 케이스부(20)의 베어링부(26)와, 가동 아암부(8)의 베어링부(60, 62)와의 위치 맞춤을 하고, 각 베어링부(60, 62)에 힌지 모듈(66)을 장착하여 고정측 전방 케이스부(20)와 가동 아암부(8)를 연결시킨다.
(4) 케이블(18)의 도선 공정
케이블 배선시, 배선 조작측 케이블(18)의 커넥터(44)에는 도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18)의 일부 및 커넥터(44)를 방호하는 방호 캡(156)이 씌워진다. 방호 캡(156)은 케이블(18)의 일부 및 커넥터(44)에 씌워 보유 지지하는 튜브이며, 일단부를 폐색하고, 그 선단부에 원뿔부(158)가 형성되어 있다.
도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18)의 커넥터(44)측에 방호 캡(156)을 설치한 후, 이 케이블(18)의 커넥터(44)를 고정측 전방 케이스부(20)의 베어링부(26)의 케이블 삽입 관통부(30)로부터 관통 구멍(28) 및 가동 아암부(8)의 베어링부(62)를 통과시켜, 회전 모듈(50)의 케이블 삽입 관통 구멍(52)을 통과시킨다. 이 조작에서는, 케이블 수납부(74)에 대해 여장부(76)는 이탈한 상태로 한다.
(5) 케이블(18)과 가동측 기판(42)과의 접속 공정
케이블 삽입 관통 구멍(52)으로부터 가동측 하우징부(6)의 가동측 기판(42)으로 유도된 케이블(18)의 커넥터(44)로부터 방호 캡(156)을 제거하고, 그 커넥터(44)를 가동측 기판(42)의 커넥터부(46)에 결합시켜 케이블(18)을 가동측 기 판(42)에 접속한다. 이 결과, 고정측 기판(32)과 가동측 기판(42)이 케이블(18)에 의해 연결된다. 케이블(18)은 2개의 가동부, 즉 힌지 기구(10) 및 회전 기구(12)를 통과하여 배선되어 있다.
(6) 케이블(18)의 수납 공정
케이블(18)의 여장부(76)를 가동 아암부(8)의 아암부(54)에 맞추어 배치하여 케이블 수납부(74)에 수납한다.
(7) 케이블(18)의 아암부(54)로의 구속 공정
가동 아암부(8)의 베어링부(62)에는 케이블 가이드(68)를 장착함으로써, 케이블(18)을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아암부(54)에 아암 커버부(56)를 설치하여 케이블 수납부(74)에 수납된 케이블(18) 및 그 여장부(76)를 구속한다.
이와 같은 순서를 거쳐서 휴대 전화 단말 장치(2)가 조립되는 동시에, 케이블(18)이 배선되고, 그 여장부(76)가 케이블 수납부(74)에 수납된다.
이와 같은 실시 형태에 관하여, 휴대 전화 단말 장치(2), 케이블 배선 구조, 휴대 전화 단말 장치(2)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특징 사항이나 이점 등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a) 휴대 전화 단말 장치(2)의 조립에는 케이블(18)의 커넥터(34, 44)를 각 기판(32, 42)의 커넥터부(36, 46)에 접속하므로, 케이블(18)에는 충분한 길이가 필요하다. 표시부(16)측에 커넥터를 배치하면 장치 사이즈가 커지므로, 가동측 기판(42)도 커지고, 그로 인해 케이블(18)에는 이들에 따라서 충분한 길이가 필요해진다. 그래서, 충분한 길이의 케이블(18)에 대해, 그것을 여장부(76)로서 확보하 고, 이 여장부(76)를 수납하는 케이블 수납부(74)를 힌지 기구(10)와 회전 기구(12) 사이에 있는 가동 아암부(8)로 설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충분한 길이의 여장부(76)가 케이블 수납부(74)에 수납된다. 또한, 커넥터(34, 44)의 접속 후, 그 접속부에 힘을 가하지 않고 여장부(76)만을 케이블 수납부(74)에 수납할 수 있다.
b) 케이블 수납부(74)는 사행 형상의 수납 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충분한 길이의 여장부(76)를 수납할 수 있고, 소위 케이블 여장의 흡수를 행할 수 있어 휴대 전화 단말 장치(2)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가동 아암부(8)의 배면 공간부의 유효 활용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 장치(2)의 콤팩트화,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하고 있다.
c) 힌지 기구(10)와 회전 모듈(50) 사이에는 케이블 수납부(7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케이블 수납부(74)에는 각 가동부 사이를 통과시키는 케이블(18)의 여장부(76)가 수납되므로, 힌지 기구(10)의 개폐에 의한 부하와, 회전 모듈(50)의 회전에 의한 부하는 케이블(18)에 집중하지 않고 분산되고, 게다가 배선에 필요한 여장부(76)에 의해 내구성이 도모되어 있다. 그로 인해, 커넥터(34, 44)의 근방에 있어서의 케이블(18)의 여장의 적정화가 도모되어 내구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d) 케이블(18)에 개폐나 회전의 응력이 작용한 경우, 케이블 수납부(74)에서는 그 응력에 대응하여 케이블(18)을 이동시킬 수 있고, 케이블(18)의 손모가 방지되어 내구성의 향상, 제품간의 내구성의 변동도 억제할 수 있다.
e) 케이블 수납부(74)로의 여장부(76)의 수납에는 90도 이상 케이블(18)을 만곡시키는 부위가 설치되고,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측 및 회전측의 2군데이고, 이와 같은 만곡부(84, 86)의 설정에 의해 케이블(18)에 대한 과잉된 응력을 회피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 가동 아암부(8)의 케이블 수납부(74)에 수납되는 여장부(76)에는 방호 피복(130) 및 결속부(148, 150, 152, 158)로 결속되어 있으므로, 케이블(18)의 배선 작업의 효율화, 휴대 전화 단말 장치(2)의 조립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g) 회전 모듈(50)의 케이블 삽입 관통 구멍(52)을 통과하는 부분을 세선 동축 케이블(128)의 노출부(136)(소위, 다발선)로 함으로써, 케이블(18)에 대한 응력의 집중을 회피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특히, 회전 모듈(50)의 회전 각도가 180도로 큰 경우에는, 그 회전에 의한 응력으로부터 케이블(18)을 방호할 수 있어 내구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h) 케이블 수납부(74)에 대해, 가동 아암부(8)에 고정된 회전 모듈(50)의 케이블 삽입 관통 구멍(52)의 입구부에는 확대 개구부(124)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에 의한 비틀림으로부터 케이블(18)을 개방할 수 있는 등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비틀림 각도의 저감이 도모되어 케이블(18)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6은 가동 아암부(8)의 아암부(54)의 케이블 수납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6에 있어서, 도10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 수납부(74)의 기립 벽부(90, 92)의 대향면부에 복수의 리브 등의 돌기부(160)를 형성하고, 각 돌기부(160)의 간격 내에서 케이블(18)을 파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돌기부(160)는 기립 벽부(90, 92)의 대향면부의 동일 위치라도 좋고, 다른 위치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돌기부(160)의 간격 내에 케이블(18)을 끼워 넣으면, 조립시의 케이블(18)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돌기부(160)와는 별도로, 가동 아암부(8)의 아암부(54)에 아암 커버부(56)를 씌움으로써, 케이블(18)을 케이블 수납부(74)의 적재부(88)와 아암 커버부(56)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 보유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케이블 수납부(74)에 케이블(18)을 설치한 후, 접착 테이프를 고정하여 보유 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케이블(18)을 압축시키는 등을 병용하면 더 효과적이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7은 가동 아암부(8)의 아암부(54)의 케이블 수납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7에 있어서, 도10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 수납부(74)에는 연속하는 기립 벽부(90, 92)가 이용되고 있지만,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부 등에 불연속 벽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기립 벽부(90, 92)를 형성하고, 케이블(18)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케이블(18)에 작용하는 응력에 대응하여 케이블(18)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8은 케이블(18)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8에 있어서, 도13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의 케이블(18)은 케이블(18)의 단부에 설치된 커넥터(34, 44)의 근방 부분에 케이블 노출부(134, 138)를 형성하고, 다른 부분을 피복부(162)로 하고, 피복부(162)의 단부에 결속부(164, 166), 그 중간부에 결속부(168)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18)의 대부분을 피복해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로서 휴대 전화 단말 장치(2)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19 및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PC)(170)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19 및 도20에 있어서, 도1 내지 도8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경우, 이 PC(170)에서는 고정측 하우징부(4)에 대해 가동측 하우징부(6)를 가로로 길게 배치(도19), 또는 고정측 하우징부(4)에 대해 가동측 하우징부(6)를 세로로 길게 배치(도20)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가동부로서, 힌지 기구(10) 및 회전 기구(12)를 거쳐서 케이블(18)이 배선되어 있는 점은 휴대 전화 단말 장치(2)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로서 휴대 전화 단말 장치(2)나 PC(170)를 예시하였지만, 가동부를 구비하는 리모콘 장치나 게임 기기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가동부로서 개폐부, 즉 힌지 기구(10), 제2 가동부로서 회전부, 즉 회전 기구(12)를 예시하였지만, 단일 또는 2 이상의 가동부를 구비한 구성이라도 좋고, 각 가동부가 힌지 기구만 또는 회전 기구만이라도 좋다.
다음에, 이상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부터 추출되는 기술적 사상을 청구항의 기재 형식에 준하여 부기로서 열거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기술적 사상은 상위 개념부터 하위 개념까지 다양한 레벨이나 변화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며, 이하의 부기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기 1)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케이블 배선 구조이며,
상기 가동부를 통과시키는 케이블에 형성된 여장부와,
상기 전자 기기측에 설치되어 상기 여장부를 사행 형상으로 배치시켜 수납하고, 또한 상기 가동부의 가동에 의한 상기 여장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케이블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부기 2) 부기 1의 케이블 배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전자 기기를 개폐하는 힌지 기구이며, 상기 힌지 기구에 상기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부기 3) 부기 1의 케이블 배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전자 기기의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이며, 상기 회전 기구에 상기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부기 4) 부기 1의 케이블 배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납부는 상기 여장부를 90도 이하로 구부리는 만곡 안내부, 90도 이상의 원호로 구부리는 만곡 안내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부기 5) 부기 1의 케이블 배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여장부의 일부 또는 전체부에 방호 피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부기 6) 부기 1의 케이블 배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납부는 상기 케이블의 폭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확대 개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부기 7) 부기 1의 케이블 배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납부는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부기 8) 부기 1의 케이블 배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납부는 상기 케이블을 적재하는 적재부와, 이 적재부에 적재되는 상기 여장부를 제한하고 사행 배치시키는 기립 벽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부기 9) 부기 5의 케이블 배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호 피복은 스파이럴 형상으로 권취한 수지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부기 10) 부기 5의 케이블 배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여장부는 상기 가동부의 통과 부분, 또는 그 근방 부분을 상기 방호 피복으로부터 노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부기 11) 제1 및 제2 가동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복수의 기판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케이블 배선 구조이며,
상기 제1 가동부 및 상기 제2 가동부를 통과시켜 상기 기판부에 접속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형성된 여장부와,
상기 전자 기기측에 설치되어 사행 형상으로 상기 여장부를 배치시키고, 또한 상기 제1 가동부 또는 상기 제2 가동부의 가동 조작에 수반하는 상기 여장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케이블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부기 12)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이며,
상기 가동부를 통과시키는 케이블에 설정된 여장부를 상기 가동부로 안내하는 케이블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3) 부기 12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에 의해 가동측 하우징부를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 아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아암부에 상기 케이블 수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전자 기기.
(부기 14) 부기 12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프레임을 개폐하는 힌지 기구이며, 상기 힌지 기구에 상기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5) 부기 12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이며, 상기 회전 기구에 상기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6) 부기 12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납부는 상기 여장부를 90도 이하로 구부리는 만곡 안내부, 90도 이상의 원호로 구부리는 만곡 안내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7) 부기 12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여장부의 일부 또는 전체부에 방호 피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8) 부기 12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납부는 상기 케이블의 폭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확대 개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9) 부기 12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납부는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20) 부기 12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납부는 상기 케이블을 적재하는 적재부와, 이 적재부에 적재되는 상기 여장부를 제한하여 사행 배치시키는 기립 벽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21) 부기 17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방호 피복은 스파이럴 형상으로 권취된 수지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22) 부기 17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여장부는 상기 가동부의 통과 부분, 또는 그 근방 부분을 상기 방호 피복으로부터 노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23) 제1 및 제2 가동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복수의 기판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이며,
상기 제1 가동부 및 상기 제2 가동부를 통과시켜 상기 기판부에 접속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형성된 여장부와,
상기 전자 기기측에 설치되어 사행 형상으로 상기 여장부를 배치시키고, 또한 상기 제1 가동부 및 상기 제2 가동부의 가동 조작에 수반하는 상기 여장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케이블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24)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가동부를 통과하는 케이블에 여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 설 치된 케이블 수납부에 상기 여장부를 수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조 방법.
(부기 25) 제1 및 제2 가동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복수의 기판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제조 방법 또는 케이블 배선 방법이며,
상기 제1 및 제2 가동부를 통과시켜 상기 기판부에 케이블을 접속하는 공정과,
상기 케이블에 형성된 여장부를 사행 형상으로 배치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조 방법 또는 케이블 배선 방법.
(부기 26)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배선되는 케이블이며,
상기 전자 기기의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부분에 여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여장부가 상기 전자 기기에 설치된 케이블 수납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기 27) 제1 및 제2 가동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복수의 기판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배선되는 케이블이며,
상기 제1 및 제2 가동부를 통과시켜 상기 기판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여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여장부가 상기 전자 기기에 형성된 케이블 수납부에 의해 사행 형상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가동부 또는 상기 제2 가동부의 가동 조작에 수반하는 상기 여장부의 이동이 허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 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 되거나, 또는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요지를 기초로, 당업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개폐부나 회전부 등의 가동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나 그 케이블 배선에 관한 것으로, 개폐나 회전 등의 가동 조작에 의한 케이블의 손모를 억제할 수 있어, 케이블 배선의 용이화나 전자 기기의 조립성에 기여하여 케이블의 내구성의 향상이나 내구성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등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개폐부나 회전부 등의 가동부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나 그 케이블 배선에 관하여, 개폐나 회전 등의 가동 조작에 의한 케이블의 손모를 억제할 수 있어, 케이블의 내구성의 향상이나 내구성의 변동의 억제에 기여한다.
(2)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대한 케이블의 수납성을 높일 수 있다.
(3)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등의 각종 전자 기기의 조립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4)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등의 각종 전자 기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5) 전자 기기의 조립 등의 제조에 있어서, 케이블의 취급이 용이해져 제조 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0)

  1.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케이블 배선 구조이며,
    상기 가동부를 통과시키는 케이블에 형성된 여장부와,
    상기 전자 기기측에 설치되어 상기 여장부를 사행(蛇行) 형상으로 배치시켜 수납하고, 또한 상기 가동부의 가동에 의한 상기 여장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사행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전자 기기를 개폐하는 힌지 기구이며, 상기 힌지 기구에 상기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전자 기기의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이며, 상기 회전 기구에 상기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납부는 상기 여장부를 90도 이하로 구부리는 만곡 안내부, 90도 이상의 원호로 구부리는 만곡 안내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상기 여장부의 일부 또는 전체부에 방호 피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납부는 상기 케이블의 폭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확대 개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납부는 상기 케이블을 적재하는 적재부와, 이 적재부에 적재되는 상기 여장부를 제한하고 사행 배치시키는 기립 벽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 구조.
  8.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이며,
    상기 가동부를 통과시키는 케이블에 형성된 여장부와,
    상기 전자 기기측에 설치되어 상기 여장부를 사행 형상으로 배치시켜 수납하고, 또한 상기 가동부의 가동에 의한 상기 여장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사행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 수납부를 갖는 케이블 배선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제조 방법이며,
    여장부가 형성된 케이블을 상기 가동부에 통과시키는 공정과,
    상기 여장부를, 상기 전자 기기측에 설치되고, 사행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 수납부에 사행 형상으로 배치하여, 상기 가동부의 가동에 의한 상기 여장부의 이동을 허용 가능하게 수납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조 방법.
  10. 가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배선되는 케이블이며,
    상기 전자 기기의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사행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 수납부에 사행 형상으로 배치되어 수납되는 여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를 통과하고, 상기 가동부의 가동에 의한 상기 여장부의 이동이 상기 케이블 수납부에 의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KR1020070009221A 2006-09-22 2007-01-30 케이블 배선 구조, 전자 기기, 그 제조 방법 및 케이블 KR100907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57320 2006-09-22
JP2006257320A JP2008078471A (ja) 2006-09-22 2006-09-22 ケーブル配線構造、電子機器、その製造方法及びケーブ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106A KR20080027106A (ko) 2008-03-26
KR100907352B1 true KR100907352B1 (ko) 2009-07-10

Family

ID=3922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221A KR100907352B1 (ko) 2006-09-22 2007-01-30 케이블 배선 구조, 전자 기기, 그 제조 방법 및 케이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82170B2 (ko)
JP (1) JP2008078471A (ko)
KR (1) KR100907352B1 (ko)
CN (1) CN1011509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6756B2 (ja) * 2005-10-26 2008-11-0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線支持装置
JP2008153901A (ja) * 2006-12-15 2008-07-03 Fujitsu Ltd 電子機器
US8229524B2 (en) * 2008-06-27 2012-07-24 Nokia Corporation Clip shaped electronic device with swivelling panels
JP2010056705A (ja) 2008-08-27 2010-03-11 Fujitsu Ltd 電子装置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CN102282630A (zh) * 2009-02-12 2011-12-14 株式会社藤仓 电子设备配线用线束及电子设备
CN102379073B (zh) * 2009-02-25 2015-01-21 联想创新有限公司(香港) 滑动框体的电缆容纳构造、滑动单元、电子设备、以及电缆容纳方法
JP5177054B2 (ja) * 2009-03-30 2013-04-03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GB2472598B (en) 2009-08-11 2013-10-09 Ge Aviat Systems Ltd Electrical hinge connector
JP4896234B2 (ja) * 2010-01-06 2012-03-14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携帯端末装置、フレキシブル基板の設置方法、閉操作矯正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基板の損傷防止方法
CN102436287B (zh) * 2010-09-29 2016-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便携移动终端
US9007757B2 (en) 2010-03-30 2015-04-14 Beijing Lenovo Software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8982542B2 (en) * 2010-11-17 2015-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JP6306986B2 (ja) * 2014-08-29 2018-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配線構造及び情報処理端末装置
CN109075545B (zh) * 2016-03-11 2021-10-29 卡博菲公司 瀑布型线缆布线器
US10301858B2 (en) 2016-06-14 2019-05-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US9840861B1 (en) 2016-06-14 2017-12-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with snap open lock
US10501973B2 (en) 2016-06-14 2019-12-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with free-stop function
US10061359B2 (en) 2016-07-28 2018-08-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with living hinge
CN106527590B (zh) * 2016-11-16 2019-05-03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射频电缆的固定结构及移动终端、平板电脑
CN110324459B (zh) * 2018-03-30 2021-04-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0324059B (zh) * 2018-03-30 2021-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0324460B (zh) * 2018-03-30 2021-04-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0324458B (zh) * 2018-03-30 2021-04-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0324457B (zh) * 2018-03-30 2021-04-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0324060B (zh) * 2018-03-30 2021-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2392850B (zh) * 2019-08-16 2022-03-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支撑铰链装置、柔性屏用折叠装置和移动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292A (ko) * 1999-09-13 2001-04-06 구자홍 평판형 모니터의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20020037886A (ko) * 2000-11-15 2002-05-23 홍성인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5271A (en) * 1958-07-10 1960-10-04 Collins Radio Co Multiturn cable connection
US3936026A (en) * 1975-03-24 1976-02-03 Ultronic Systems Corporation Swivel base assembly
JPH02126218U (ko) * 1989-03-27 1990-10-17
US5363089A (en) * 1992-09-24 1994-11-08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osition hinged mechanism
US5844543A (en) 1993-05-14 1998-12-01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895372B2 (ja) 1993-12-10 1999-05-24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H0946066A (ja) * 1995-07-31 1997-02-14 Hitachi Ltd 渡りケーブルの架設機構
KR19980034365A (ko) * 1996-11-06 1998-08-05 김광호 균형유지가 되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
JPH10268976A (ja) * 1997-03-27 1998-10-09 Toshiba Corp 携帯形電子機器
JP2000010657A (ja) 1998-06-23 2000-01-14 Citizen Watch Co Ltd ポータブル電子装置
KR100470172B1 (ko) * 2001-06-22 2005-02-04 주식회사 임팩트라 디스플레이부를 수직 및 수평으로 변환가능한 이동단말기
JP2003108300A (ja) 2001-09-28 2003-04-11 Pentel Corp ケーブル付き入力ペンの収納構造
JP3719221B2 (ja) * 2002-02-25 2005-11-24 オムロン株式会社 信号中継用回動構造
KR100465961B1 (ko) * 2002-07-23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7248903B2 (en) * 2002-12-25 2007-07-24 Kyocera Corporation Mobile instrument with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JP4082353B2 (ja) * 2004-01-23 2008-04-30 ソニー株式会社 回動ヒンジ機構及び撮像装置
JP2006093461A (ja) * 2004-09-24 2006-04-06 Sharp Corp 折畳み式電子機器
JP4575185B2 (ja) * 2005-02-15 2010-11-0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KR100684997B1 (ko) * 2005-03-08 200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292A (ko) * 1999-09-13 2001-04-06 구자홍 평판형 모니터의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20020037886A (ko) * 2000-11-15 2002-05-23 홍성인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0938A (zh) 2008-03-26
CN101150938B (zh) 2011-05-18
KR20080027106A (ko) 2008-03-26
JP2008078471A (ja) 2008-04-03
US7682170B2 (en) 2010-03-23
US20080074858A1 (en)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352B1 (ko) 케이블 배선 구조, 전자 기기, 그 제조 방법 및 케이블
EP1427174B1 (en) Wiring structure for folding portable device
US8153896B2 (en) Electrical-wire support apparatus
JP4960480B2 (ja) 電子機器
US841658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wiring harness having a flat U-shape
JP4752563B2 (ja) 電子機器、そのフレキシブル基板
JP4575185B2 (ja) 電子機器
US8195256B2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JP5128141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配線用ハーネス
US20080102907A1 (en) Hinge mechanism combined with electric wire, portable end device, and cellular phone
US7974667B2 (en) Mobile terminal device
US6568947B2 (en) Apparatus for routing a flexible circuit
KR200466631Y1 (ko) 소경 동축 케이블 하네스
EP2060803A1 (en) Hinge structure, and folding type mobile terminal using the structure
JP4604015B2 (ja) 携帯機器
JP2006329408A (ja) 接続部材及び電子機器
JP2007158236A (ja)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組立方法
JP2004207447A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型電子機器
JP4926913B2 (ja) 携帯電子機器
KR200141231Y1 (ko) 이어폰 선 정리용 고정장치
JP2006186638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023034A (ja) フレキシブル基板保持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機器
WO2004075613A1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