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703B1 -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703B1
KR100906703B1 KR1020070067269A KR20070067269A KR100906703B1 KR 100906703 B1 KR100906703 B1 KR 100906703B1 KR 1020070067269 A KR1020070067269 A KR 1020070067269A KR 20070067269 A KR20070067269 A KR 20070067269A KR 100906703 B1 KR100906703 B1 KR 100906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or housing
locking
striking
lock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403A (ko
Inventor
히로유키 히라마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4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큰 타격음을 생성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잠금 아암(15)이 외팔보 형태를 하며, 타격부(25)가 잠금부(20)보다 잠금 아암(15)의 자유단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잠금 아암(15)의 탄성 변형의 지지점[다리부(17)]에서부터 타격부(25)까지의 거리는 시소 형태의 잠금 아암에 비교할 때에 더 길어질 수 있다. 이는 잠금 아암(15)이 탄성 변형될 때에 타격부(25)의 큰 모멘트 힘을 보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30)이 적절히 연결될 경우 큰 타격음을 생성할 수 있다.
커넥터, 커넥터 하우징, 타격음, 잠금 아암

Description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연결 방법{A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AND A CONNECTING METHOD}
본 발명은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이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쌍의 커넥터 하우징을 연결할 때에 타격음을 생성하고, 이에 의해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이 적절히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5-158417호 참조). 이러한 커넥터는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이 시소 형태의 탄성 변형을 겪을 수 있는 잠금 아암을 구비하며, 다른 커넥터 하우징이 잠금 돌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 중에, 잠금 아암의 전방 단부의 잠금부는 잠금 돌기상으로 이동하여 잠금 아암을 탄성 변형시키며, 이에 의해 잠금 아암에 탄성력을 축적시킨다. 잠금 아암에 축적된 그러한 탄성력은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히 연결될 때에 잠금 아암을 초기 형상으로 복원시키기 위한 구동력으로서 작용하며, 잠금 아암의 잠금부는 잠금 아암의 복원 운동시에 다른 커넥터 하우징을 타격하게 된다. 이러한 식으로, 타격음이 생성된다.
전술한 경우, 잠금 아암은 시소 형태의 탄성 변형을 겪고 이러한 탄성 변형의 지지점이 실질적으로 잠금 아암의 길이 방향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 아암의 탄성 변형의 지지점으로부터 타격 지점(잠금부)까지의 거리는 짧게 되어, 잠금 아암이 탄성 변형될 때에 타격점에서 모멘트 힘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 결과, 타격음이 조용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항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결 과정 중에 큰 타격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전술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커넥터는,
대응 커넥터 하우징과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이 커넥터 하우징과 대응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외팔보 형태의 잠금 아암과, 자유단보다 탄성 변형의 지지점에 근접하는 잠금 아암의 위치에 형성된 잠금부와, 이 잠금부보다 자유단에 근접하는 잠금 아암의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타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아암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대응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 중 에 대응 커넥터 하우징의 맞물림부와 간섭하여 이 맞물림부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대응 커넥터 하우징과 적절히 연결되어 잠금 아암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대응 커넥터 하우징을 분리할 수 없게 유지하도록 상기 맞물림부와 맞물리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격부는 잠금 아암이 탄성 복원될 때에 적어도 하나의 받이부를 타격할 수 있다.
잠금 아암이 외팔보 형태를 하며, 타격부가 잠금부보다 자유단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잠금 아암의 탄성 변형의 지지점으로부터 타격부까지의 거리는 시소 형태의 잠금 아암과 비교할 때에 더 길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잠금 아암이 탄성 변형될 때에 타격부의 보다 큰 모멘트 힘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이 대응 커넥터 하우징과 실질적으로 적절히 연결될 때에 큰 타격음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격부는 잠금부로부터 폭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 쌍의 타격부가 잠금부의 실질적으로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잠금부를 맞물림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잠금부를 탄성 변형시키도록 작동되는 작동부가, 잠금부를 형성하는 영역보다 넓도록 잠금 아암의 자유단에 또는 그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받이부를 타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타격부의 타격면이 작동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 형태를 하고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타격부의 내면은 커넥터 하우징과 대응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여, 타격면이 실질적으로 상이한 길이의 경사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을 갖는 본 발명 또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연결할 수 있는 대응 커넥터 하우징을 갖는 대응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제공되는 커넥터 조립체는,
서로 연결할 수 있는 한쌍의 커넥터 하우징
을 포함하며,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은,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외팔보 형태의 잠금 아암과, 자유단보다 탄성 변형의 지지점에 근접하는 잠금 아암의 위치에 형성된 잠금부와, 이 잠금부보다 자유단에 근접하는 잠금 아암의 위치에 배치된 타격부를 포함하며,
다른 커넥터 하우징은,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 중에 잠금부와 간섭함으로써 잠금 아암을 탄성 변형시키는 한편,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히 연결되고 잠금 아암이 탄성 복원되는 경우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을 분리할 수 없게 유지하도록 잠금부와 맞물리는 맞물림부와, 잠금 아암이 탄성 복원될 때에 타격부에 의해 타격되는 받이부를 포함한다.
잠금 아암이 외팔보 형태를 하며, 타격부가 잠금부보다 자유단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잠금 아암의 탄성 변형의 지지점으로부터 타격부까지의 거 리는 시소 형태의 잠금 아암과 비교할 때에 더 길어 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잠금 아암이 탄성 변형될 때에 타격부의 보다 큰 모멘트 힘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히 연결될 때에 큰 타격음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격부는 잠금부로부터 폭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 배치된다.
타격부가 잠금부로부터 폭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잠금 아암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격부의 위치를 설정할 때에 자유도가 커지게 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타격부가 잠금부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타격부가 잠금부로부터 폭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잠금 아암이 폭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잠금부와 맞물림부가 맞물리게 되면, 타격부는 받이부와 접촉할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쌍의 타격부가 잠금부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잠금 아암이 기울어지는 경우라도 적어도 어느 한쪽의 타격부가 받이부와 확실히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타격음을 신뢰성 있게 생성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잠금부를 맞물림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잠금부를 탄성 변형시키도록 작동되는 작동부가, 잠금부를 형성하는 영역보다 넓도록 잠금 아암의 자유단에 형성되며,
받이부를 타격하기 위한 타격부의 타격면이 작동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평탄한 표면 형태를 하고 있다.
작동부는 넓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잠금부를 맞물림부로부터 분리시키는 잠금 해제 작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받이부를 타격하기 위한 타격부 의 타격면을, 작동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평탄한 표면으로 형성함으로써, 타격면의 면적을 증가시켜, 잠금부의 형성 영역과 작동부 간의 폭의 차이로부터 초래되는 무용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식으로, 타격음의 크기 증가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 또는 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연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러한 방법은,
서로 연결할 수 있는 한쌍의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외팔보 형태의 잠금 아암과, 자유단보다 탄성 변형의 지지점에 근접하는 잠금 아암의 위치에 형성된 잠금부와, 이 잠금부보다 자유단에 근접하는 잠금 아암의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타격부를 포함하는 것인 한쌍의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와,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 중에 잠금 아암을 다른 커넥터 하우징의 맞물림부와 간섭하게 하여 그 잠금 아암을 변형시키는 단계와,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히 연결되고 잠금 아암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대응 커넥터 하우징을 분리할 수 없게 유지하도록 잠금부와 맞물림부를 맞물리는 단계와,
잠금 아암이 탄성 복원될 때에 적어도 하나의 타격부가 적어도 하나의 받이부를 타격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 형 태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고려할 때에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 형태들을 개별적으로 설명하지만, 그 실시 형태들의 개개의 특징은 추가의 실시 형태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 아암이 외팔보 형태를 하며, 타격부가 잠금부보다 자유단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잠금 아암의 탄성 변형의 지지점으로부터 타격부까지의 거리는 시소 형태의 잠금 아암과 비교할 때에 더 길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잠금 아암이 탄성 변형될 때에 타격부의 보다 큰 모멘트 힘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이 대응 커넥터 하우징과 실질적으로 적절히 연결될 때에 큰 타격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의 커넥터에는 서로 연결 할 수 있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10)(바람직한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에 해당)과 수형 커넥터 하우징(30)(바람직한 다른 커넥터 하우징에 해당)이 마련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암형 및 수형 하우징(10, 30)이 연결되는 쪽을 전후 방향(FBD) 또는 연결 방향(CD)과 관련하여 전방측으로 지칭한다.
암형 커넥터 하우징(10)은 하우징 본체(11)와 잠금 아암(15)의 일체형 또는 단일체의 조립체이다. 하우징 본체(11)는 바람직하게는 거의 전체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긴 블록 형태를 하며,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13)가 하우징 본체(11)의 공 동(1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고, 암형 단자(13)와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선(14)이 하우징 본체(11)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잠금 아암(15)은 하우징 본체(11)의 측면(바람직하게는 상면)에 일체형 또는 단일체로 형성된다. 이 잠금 아암(15)에는 아암 본체(16)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본체(11)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30)의 연결 방향(CD)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외팔보 형태로 연장하는 한편, 잠금 아암(15)의 전방 단부의 또는 그 근방의 다리부(17)에서 하우징 본체(11) 상에 지지되어 있다. 이 잠금 아암(15)은 다리부(17)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30)의 연결 방향(CD)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 및/또는 하우징 본체(11)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고 그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잠금 아암(15)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 아암 본체(16)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30)의 연결 방향(CD)[하우징 본체(11)의 측면(상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아암 본체(16)의 외면(상면)에는 그 폭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폭방향에 있어서의 실질적으로 중앙부)가 아암 본체(16)의 전방 단부에서부터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 중앙 위치)까지 잘라내어져,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전방홈(18)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아암 본체(16)의 외면(상면)에는 그 폭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폭방향에 있어서의 실질적으로 중앙부)가 전방홈(18)의 약간 뒤쪽 위치에서부터 아암 본체(16)의 후방 단 부를 향해 또는 그 후방 단부까지 잘라내어져,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후방홈(19)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 본체(16)의 외면(상면)부에 있어서의 전방홈(18)과 후방홈(19)을 분할하는 부분은 잠금부(20)로서 기능한다. 이 잠금부(20)에는 그 폭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폭방향에 있어서의 실질적으로 중앙부)가 잘라내어져 중앙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홈(21)은 잠금부(20)의 상면 및 후방면으로 개방되어 있어, 후방홈(19)과 실질적으로 연통한다. 잠금부(20)의 외면, 즉 말단면(상면)은 바람직하게는 아암 본체(16)의 상면보다 약간 높도록 설정되어 있다.
잠금 아암(15)의 자유 단부에 또는 그 근방에는 아암 본체(16)의 후방 단부로부터 실질적으로 더 후방으로 연장하는 작동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작동부(22)는 바람직하게는 아암 본체(16)와 유사하게 실질적으로 가로 대칭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 아암 본체(16)의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 에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 에지들)에서부터 위쪽[하우징 본체(11)에 반대측을 향해]으로 새워지고 아암 본체(16)의 후방 단부로부터 더 후방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지지부(23)와, 양 지지부(23)의 상단 에지에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아암 본체(16)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거의 플레이트 형상의 핑거 플레이싱부(finger-placing portion)(24)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잠금 아암(15)에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가로 대칭)의 타격부(25)가 형성되어 있고, 이 타격부는 후방홈(19)의 측벽의 일부를 구성, 즉 형성하고, 작동부(22)의 지지부(23)의 전방 단부에 실질적으 로 연속하고 있다. 다시 말해, 타격부(25)(한쌍)는 잠금 아암(15)의 길이 방향[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30)의 연결 방향(CD)]에 대해 잠금부(20)의 뒤[즉, 잠금 아암(15)에 있어서 탄성 변형의 지지점으로서의 다리부(17)에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잠금부(20)에 대해 폭방향(WD)[또는 연결 방향(CD)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각도를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어 있다. 타격부(25)의 외면, 즉 상면은 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30)의 연결 방향(CD)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으로 된 하나 이상이 타격면(25S)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타격면(25S)은 잠금부(20)의 상면보다 약간 높게 위치한다. 아암 본체(16)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그 아암 본체(16)의 전방 단부에서부터 잠금부(20)의 길이 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 중앙부)까지 실질적으로 일정하지만, 상기한 작동부(22)는 바람직하게는 아암 본체(16)보다 더 넓다. 잠금부(20)의 길이 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부터 작동부(22)의 전방 단부까지 또는 그 전방 단부를 향해 연장하는 영역에서, 아암 본체(16)의 폭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타격부(25)는 후방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그러한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타격면(25S)[타격부(25)]은 전방 단부에서 후방 단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넓어진다. 여기서, 타격면(25S)은 지지부(23)의 내면과 타격부(25)의 내면이 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30)의 연결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및/또는 서로 실질적으로 연속하여 동일면으로 맞춰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길이의 경사변을 갖는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수형 커넥터 하우징(30)은 개방 전방측[암형 커넥터 하우징(10)을 향함]을 갖는 리셉터클(31)을 포함하며, 이 리셉터클(31) 내에 하나 이상의 좁고 긴 수형 단자(3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또, 암형 커넥터 하우징(10)이 리셉터클(3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리셉터클(31)의 측벽(바람직하게는 상부벽)에는 리셉터클(31)의 개방 에지 근방의 위치에서부터 내측, 즉 하측으로 돌출하는 맞물림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부(34)의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부(좌측 및 우측)들에 있는 상부벽(33)의 부분은 한쌍의 받이부(35)로서 기능한다. 받이부(35)의 하면[즉, 리셉터클(31)의 내면]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30)의 연결 방향(CD)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으로 된 받이면(35S)으로서 기능한다.
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30)을 연결할 때에, 암형 커넥터 하우징(10)은 리셉터클(3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진다. 암형 커넥터 하우징(1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때에, 잠금부(20)와 맞물림부(34)는 서로 간섭하고, 이에 의해 잠금 아암(15)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 즉 하우징 본체(11)를 향해 탄성 변형되어, 잠금 아암(15)에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게 된다. 이 때에, 타격부(25)는 받이부(35)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게(또는 실질적으로 아래에) 위치한다. 암형 커넥터 하우징(10)가 더 끼워져, 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30)이 실질적으로 적절히 연결된 상태에 도달함에 따라, 잠금부(20)는 맞물림부(34)를 통과하고, 잠금 아암(15)은 원래의 자세를 향해 또는 그 자세까지 탄성 복원되며,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타격부(25)가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받이부(35) 를 타격, 즉 그와 충돌하거나 맞닿게 되어, 타격음을 생성한다. 이 때에, 타격면(25S)(실질적으로 평탄함)이 받이면(35S)(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평탄함)과 실질적으로 면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큰 충돌음이 생성된다. 적절히 연결된 상태에서, 잠금부(20)와 맞물림부(34)는 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30)을 서로의 안에 분리될 수 없게 잠그도록 맞물린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잠금 아암(15)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30)의 연결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외팔보 형태를 하며, 잠금부(20)는 바람직하게는 잠금 아암(15)의 자유단보다 탄성 변형의 지지점[다리부(17)]에 보다 근접한 위치에서 배치되며, 그리고 타격부(들)(25)는 바람직하게는 잠금부(20)보다 자유단에 보다 근접한 위치(들)에 배치된다. 따라서, 잠금 아암(15)의 탄성 변형의 지지점에서부터 타격부(25)까지의 거리는 잠금 아암(15)이 시소 형태를 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에 더 길게 된다. 다시 말해, 잠금 아암(15)의 탄성 변형의 지지점[다리부(17)] 상에 중심을 갖는 타격부(25)의 큰 모멘트 힘이 잠금 아암(15)의 탄성 변형시에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30)이 적절히 연결되는 경우 큰 타격음이 생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타격부(25)가 폭방향(WD)으로 잠금부(20)로부터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잠금 아암(15)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격부(25)의 위치를 설정하는 데에 자유도가 더 커지게 된다.
하나 이상의 타격부(25)가 폭방향(WD)으로 잠금부(20)로부터 변위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잠금 아암(15)이 폭방향(WD)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잠금부(20)와 맞 물림부(34)가 맞물리는 경우 타격부(25)는 받이부(35)와 접촉하지 않게 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한쌍 이상의 타격부(25)가 바람직하게는 잠금부(20)의 실질적으로 폭방향(WD) 양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잠금 아암(15)이 기울어지는 경우라도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격부(25)가 받이부(35)와 실질적으로 확실하게 접촉하게 되고, 이에 의해 타격음을 신뢰성 있게 생성한다.
적절히 연결된 상태에서 잠금부(20)를 맞물림부(34)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잠금 아암(15)을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작동부(22)가 잠금 아암(15)의 자유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 작동부(22)는 바람직하게는 잠금부(20)가 형성된 영역보다 넓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부(20)를 맞물림부(34)로부터 분리시키는 잠금 해제 작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 넓게 된 작동부(22)에 유의하여, 받이부(35)를 타격하기 위한 타격부(25)의 타격면(25S)은 본 실시 형태에서 타격면(25S)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작동부(22)를 향해 실질적으로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넓어지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으로 형성되어, 잠금부(20)의 형성 영역과 작동부(22) 간에 폭의 차이로부터 초래되는 무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식으로, 타격음의 크기 증가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큰 타격음을 생성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해, 잠금 아암(15)이 실질적으로 외팔보 형태를 하고, 하나 이상의 타격부(25)가 잠금부(20)보다 잠금 아암(15)의 자유단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잠금 아암(15)의 탄성 변형의 지지점[다리부(17)]에서부터 하나 이상의 타격부(25)까지의 거리는 시소 형태의 잠금 아암과 비교할 때에 더 길어질 수 있다. 이는 잠금 아암(15)이 탄성 변형될 때에 타격부(25)의 큰 모멘트 힘 또는 큰 운동량을 보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2개의 커넥터 하우징(10, 30)이 적절히 연결된 경우 큰 타격음을 생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전술하고 도시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음의 실시 형태도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또는 3개의 이상의 타격부가 마련될 수 있다.
(2) 본 발명에 따르면, 한쌍의 타격부는 폭방향(WD)에 대해 비대칭일 수 있다.
(3) 본 발명에 따르면, 타격부의 타격면의 형상은 상이한 길이의 경사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이등변 사다리꼴, 사다리꼴 이외의 사각형, 삼각형 등의 형상일 수 있다.
(4) 맞물림부, 받이부 및 타격부가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잠금 아암의 길이 방향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맞물림부는 길이 방향으로 받이부 및 타격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히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는 2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의 중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암형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며,
도 4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6은 타격부와 받이부의 접촉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암형 커넥터 하우징(하나의 커넥터 하우징)
15 : 잠금 아암
20 : 잠금부
22 : 작동부
25 : 타격부
25S : 타격면
30 : 수형 커넥터 하우징(대응 커넥터 하우징)
34 : 맞물림부
35 : 받이부

Claims (8)

  1. 대응 커넥터 하우징(30)과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10)
    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은 실질적으로 이 커넥터 하우징(10)과 대응 커넥터 하우징(30)의 연결 방향(CD)을 따라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외팔보 형태의 잠금 아암(15)과, 자유단보다 탄성 변형의 지지점에 근접하는 잠금 아암(15)의 위치에 형성된 잠금부(20)와, 이 잠금부(20)보다 자유단에 근접하는 잠금 아암(15)의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타격부(25)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아암(15)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과 대응 커넥터 하우징(30)의 연결 작업 중에 대응 커넥터 하우징(30)의 맞물림부(34)와 간섭하여 이 맞물림부(34)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상기 잠금부(2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이 대응 커넥터 하우징(30)과 적절히 연결되어 잠금 아암(15)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와 대응 커넥터 하우징(30)을 분리할 수 없게 유지하도록 상기 맞물림부(34)와 맞물리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격부(25)는 잠금 아암(15)이 탄성 복원될 때에 적어도 하나의 받이부(35)를 타격할 수 있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25)는 잠금부(20)로부터 폭방향(WD)으로 변위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타격부(25)가 잠금부(20)의 실질적으로 폭방향(WD) 양측에 실질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20)를 맞물림부(34)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잠금부(20)를 탄성 변형시키도록 작동되는 작동부(22)가, 잠금부(20)를 형성하는 영역보다 넓도록 잠금 아암(15)의 자유단에 또는 그 근방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35)를 타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타격부(25)의 타격면(25S)이 작동부(22)를 향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 형태를 하고 있는 것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25)의 내면은 커넥터 하우징(10)과 대응 커넥터 하우징(30)의 연결 방향(CD)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여, 타격면(25S)이 실질적으로 상이한 길이의 경사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을 하는 것인 커넥터.
  7. 커넥터 하우징(10)을 갖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과 연결할 수 있는 대응 커넥터 하우징(30)을 갖는 대응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커넥터 조립체의 연결 방법으로서,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10) 및 대응 커넥터 하우징(30)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은, 실질적으로 상기 한쌍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방향(CD)을 따라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외팔보 형태의 잠금 아암(15)과, 자유단보다 탄성 변형의 지지점에 근접하는 잠금 아암(15)의 위치에 형성된 잠금부(20)와, 이 잠금부(20)보다 자유단에 근접하는 잠금 아암(15)의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타격부(25)를 포함하는 것인, 한쌍의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한쌍의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 작업 중에 잠금 아암(15)을 상기 대응 커넥터 하우징(30)의 맞물림부(34)와 간섭하게 하여 그 잠금 아암(15)을 변형시키는 단계와,
    상기 한쌍의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히 연결되어 잠금 아암(15)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대응 커넥터 하우징(30)을 분리할 수 없게 유지하도록 잠금부(20)와 맞물림부(34)를 맞물리는 단계와,
    잠금 아암(15)이 탄성 복원될 때에 적어도 하나의 타격부(25)가 적어도 하나의 받이부(35)를 타격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연결 방법.
KR1020070067269A 2006-07-04 2007-07-04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연결 방법 KR100906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84704 2006-07-04
JP2006184704A JP4816290B2 (ja) 2006-07-04 2006-07-04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403A KR20080004403A (ko) 2008-01-09
KR100906703B1 true KR100906703B1 (ko) 2009-07-07

Family

ID=3891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269A KR100906703B1 (ko) 2006-07-04 2007-07-04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45492B2 (ko)
JP (1) JP4816290B2 (ko)
KR (1) KR100906703B1 (ko)
CN (1) CN100594644C (ko)
DE (1) DE10200703001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96533A1 (en) 2008-01-28 2009-08-06 Axis Co., Ltd. Shopping bag made of nonwoven fabric
JP5526286B2 (ja) * 2010-05-27 2014-06-18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拡張されたコンテンツタグ共有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5578909A (zh) * 2013-09-12 2016-05-11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烟充电装置
JP6276788B2 (ja) * 2016-01-25 2018-02-0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収容確認構造、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2432324B1 (ko) * 2017-12-13 2022-08-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잠금장치
JP2020080270A (ja) * 2018-11-14 2020-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4529A (ja) 2000-12-18 2002-06-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6196227A (ja) 2005-01-11 2006-07-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181Y2 (ja) * 1982-09-01 1985-04-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嵌合ロツク装置
JPS60183380U (ja) * 1984-05-17 1985-12-05 アムプ インコ−ポレ−テッド 電気接続子ハウジング
JPH0168677U (ko) * 1987-10-28 1989-05-02
US4915643A (en) * 1987-10-28 1990-04-10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JPH0424621Y2 (ko) * 1987-12-25 1992-06-10
JP2907377B2 (ja) * 1994-06-03 1999-06-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JP3144464B2 (ja) * 1995-11-27 2001-03-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
JP3800312B2 (ja) * 2000-10-31 2006-07-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89602B2 (ja) * 2003-11-25 2008-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11808B2 (ja) * 2005-11-25 2011-06-2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4529A (ja) 2000-12-18 2002-06-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6196227A (ja) 2005-01-11 2006-07-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403A (ko) 2008-01-09
US20080009172A1 (en) 2008-01-10
US7445492B2 (en) 2008-11-04
CN101102026A (zh) 2008-01-09
JP2008016260A (ja) 2008-01-24
DE102007030014A1 (de) 2008-02-14
JP4816290B2 (ja) 2011-11-16
CN100594644C (zh) 2010-03-17
DE102007030014B4 (de) 201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9255C (en) Electrical connector latch
KR100906703B1 (ko)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연결 방법
US7033207B2 (en) Connector
EP133914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1089393B1 (en) A connector
JP3301530B2 (ja) コネクタ
JP2007165195A (ja) コネクタ
JP2002190336A (ja) 端子金具
JPH1041018A (ja) 短絡用端子金具
JP4613747B2 (ja) コネクタ
JP5482557B2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KR101676884B1 (ko) 커넥터
JP5265494B2 (ja) 取り付け構造、及び取り付け具
JP4475122B2 (ja) コネクタ
JP2008146912A (ja) コネクタ
JP4591194B2 (ja) コネクタ
JP2005071846A (ja) コネクタ
JP2007207676A (ja) コネクタ
JP7487674B2 (ja) 端子金具
WO2023026689A1 (ja) コネクタ
JP2002184529A (ja) コネクタ
JP2009134872A (ja) コネクタ
JP2020140852A (ja) 電気コンタクト
JP2014056780A (ja) コネクタ構造
WO2013088767A1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