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336B1 -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336B1
KR100906336B1 KR1020090010034A KR20090010034A KR100906336B1 KR 100906336 B1 KR100906336 B1 KR 100906336B1 KR 1020090010034 A KR1020090010034 A KR 1020090010034A KR 20090010034 A KR20090010034 A KR 20090010034A KR 100906336 B1 KR100906336 B1 KR 100906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belt
front plate
wel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성
박용구
Original Assignee
김희성
박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성, 박용구 filed Critical 김희성
Priority to KR102009001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1Ornamental buckles
    • A44B11/003Ornamental buckles covered with cloth or other material; Mak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의 버클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벨트는 종래 사용되어 온 구리나 구리합금으로 전면판과 가이드구를 제작하고 이를 납땜이나 용접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을 타파하고, 철판을 사용하여 전면판과 가이드구를 제작하여 이를 스팟용접이라는 가공을 통해 결합시킴으로 보다 견고하고 간편한 제조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이다.
버클, 벨트, 전면판, 가이드구, 절곡지지부, 돌기, 벨트결합구

Description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THE PRODUCT METHOD OF BELT BUCKLE}
본 발명은 벨트의 버클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벨트는 종래 사용되어 온 구리나 구리합금으로 전면판과 가이드구를 제작하고 이를 납땜이나 용접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을 타파하고, 철판을 사용하여 전면판과 가이드구를 제작하여 이를 스팟용접이라는 가공을 통해 결합시킴으로 보다 견고하고 간편한 제조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벨트는 버클과 가죽이나 합성수지 및 직물류로 제작되는 벨트를 합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버클의 경우 금속제로 제작되고 있는데, 그동안 그 제조방법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제작되는 버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집어 본다.
도시된 도 1에서처럼, 종래의 버클(1)은 대부분 그 펀칭공정의 용이성을 위해서 구리나 구리합금으로 제작된다. 즉, 도시된 전면판(2)과 가이드구(3) 및 벨트 결합구(4)를 별도의 공정으로 제작하고 나서, 이를 용접하는 방식으로 전체 결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구리나 구리합금으로 제작된 전면판(2), 가이드구(3) 및 벨트결합구(4)의 표면에 크롬이나 아연을 이용하여 표면코팅을 하여 광택을 내는 공정이 추가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버클(1)의 제조방법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첫째, 금속의 결합공정으로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는 스팟용접이 구리금속에는 적용될 수 없어, 어쩔 수 없이 납땜이나 구리 아연 용접을 통해서 결합을 달성해 왔다. 따라서 그 결합부위(5) 즉, 용접부위에 얼룩이 지고 지저분한 땜 자국이 남는다. 이는 결합된 상태에서도 그 용접부위가 외관으로 들어나 시각적 심미감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 종래의 버클(1)은 항상 용접이나 납땜 결합공정 후에 별도의 코팅이나 표면 전기도금의 공정을 수행해야만 한다. 즉, 전면판(2)과 가이드구(3)가 제작되고 나서 그 결합 전에 우선 전면판(2)과 가이드구(3) 각각을 별도의 코팅이나 표면 전기도금 공정을 수행한 상태일 지라도, 결합공정을 하고 나면 다시 별도의 코팅공정을 수행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는 공정이 번거롭고 또 그 공정으로 완벽하게 버클(1)의 미관을 살릴 수는 없었던 것이다.
둘째, 스팟용접이 아닌 납땜이나 용접 결합은 자칫 전면판(2)과 가이드구(3) 에 손상을 입힐 소지가 있어서 불량률이 높다.
셋째, 납땜이나 용접 결합을 위해서 좁은 공간인 전면판(2)과 가이드구(3)의 접촉부위에 용접봉을 끼워 넣어야만 하기에 자동화를 실현하기 힘들어 대량생산에 무리가 많고, 생산단가가 높다.
넷째, 구리나 구리합금으로 제작된 버클(1)은 금속의 특성상 그 견고성이 뒤떨어져 내구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벨트의 버클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벨트는 종래 사용되어 온 구리나 구리합금으로 전면판과 가이드구를 제작하고 이를 납땜이나 용접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을 타파하고, 철판을 사용하여 전면판과 가이드구를 제작하여 이를 스팟용접이라는 가공을 통해 결합시킴으로 보다 견고하고 간편한 제조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은, 제 1 단계: 철판을 펀칭하고 가압 절곡 가공을 통해서 버클(100)의 전면판(10)과 벨트수용 가이드구(20)를 형성시키는 단계; 제 2 단계: 상기 "ㄷ"자로 절곡된 벨트수용 가이드구(20)의 상단 절곡지지부(21)와 전면판(10)의 하단을 접촉시키고 스팟용접을 통해 용접 결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져 벨트의 버클(100)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제 1 단계에서 형성되는 벨트수용 가이드구(20)에는, 그 전면판(10)의 하단과 접촉되는 절곡지지부(21)에, 전기력선이 모이는 돌출된 돌기(22)를 좌우 각각 4개에서 8개까지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제 1 단계 또는 제 2 단계 후, 형성된 전면판(10)과 벨트수용 가이드구(20)에, 아연이나 크롬합금을 통해 코팅을 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스팟용접을 통해서 전면판과 가이드구를 체결하기에 그 작업속도가 빠르고, 안전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전면판과 가이드구를 구리나 구리합금으로 제작하지 않고, 철판을 이용하여 제작하기에 그 내구성이 높고, 오랜 사용을 통해서도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스팟용접을 통해서 전면판과 가이드구가 체결되기에 그 결합부위 즉, 이음매가 깔끔하고 견고하여 심미감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된 도 2와 3을 통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제 1 단계]
본 발명은 제 1 단계: 철판을 펀칭하고 가압 절곡 가공을 통해서 버클(100)의 전면판(10)과 벨트수용 가이드구(20)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즉, 본 발명의 버클(100)은 철판을 이용하여 전면판(10)과 벨트수용 가이드구(20)를 제작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금속인 철(Fe)을 이용하여 철판을 제작하고 이를 펀칭이나 가압공정을 통해서 도시된 도 2의 형태로 전면판(10)과 가이드구(20)를 제작된다. 사실 본 발명과 같은 버클(100)은 이미 공지된 형태가 있고, 이 형상의 형태로 제작함이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철판을 이용하여 종래의 버클과 유사한 형태의 버클 전면판(10)과 가이드구(20)를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면판(10)이란 전면에 일정한 무늬나 모양이 형성될 수 있도록 가압공정과 펀칭공정으로 가압된 상태이고, 약간 둥글게 라운드진 단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구(20)는 단면으로 봐서, "ㄷ"자 형태로 제작이되며, 이 가이드구(20)가 상기 전면판(10)에 결합되었을 경우에, 상기 가이드구(20)의 좌우 양단에 절곡시킨 절곡지지부(21) 사이로 가죽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벨트가 끼워지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서 중요한 요지는, 종래의 버클과 유사 내지는 동일한 버클의 형상을 유지시키되 철판을 이용하여 제작하기에 그 가압이나 펀칭공정으로 모양이나 형상의 형성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강하다는 것이다.
[제 2 단계]
그리고 본 발명은 제 2 단계: 상기 "ㄷ"자로 절곡된 벨트수용 가이드구(20)의 상단 절곡지지부(21)와 전면판(10)의 하단을 접촉시키고 스팟용접을 통해 용접 결합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즉, 상기 철판으로 형성된 전면판(10)과 가이드구(20)를 결합시키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팟용접을 통해서 용접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전면판(10)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구(20)가 끼워질 수 있는 약간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에 상기 절곡지지부(21)를 끼워 넣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10)이나 가이드구(20)에 연결된 전력선을 통해서 고압의 전류를 통전시키게 되면, 그 전류에 의해 일체로 융착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공지된 스팟용접을 통해서 용접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에 이미 공지된 공정인 스팟용접으로 버클(100)을 용접하는 것에 큰 기술적 특징이 있는 이유가 있다. 즉,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거의 모든 버클(100)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구리나 구리합금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왔다. 이러한 구리나 구리합금은 스팟용접이 불가능하여 어쩔 수 없이 납땜이나 아연용접을 통해서 결합되어 왔던 것이다. 그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모든 문제점을 철판을 이용하여 버클(100)을 제작한다는 작은 논리를 통해서 완벽하게 해결한 것이다.
철판을 이용하여 버클(100)을 제작함으로 종래처럼 납땜이나 아연용접을 통해서 결합할 필요가 없고, 단순하게 스팟용접을 통해서 체결하여도 보다 높은 내구성과 결합의 강도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종래 이 스팟용접에 대한 간단한 사항을 살펴본다.
스팟용접(점용접법)은 겹침 저항 용접법 중에서 점용접법이라 칭하는데, 접 합하고자 하는 판을 2개의 전극 사이에 끼워놓고 전류를 통 하면 접촉면의 전기저항이 크므로 발열하게 된다. 접촉면의 저항은 곧 소멸하게 되나 이 발열에 의하여 재료의 온도가 상승하여 모재 자체의 저항이 커져서 온도는 더욱 상승한다. 따라서 서로 융착 결합하는 것이다. 전극의 재질은 전기와 열전도도가 좋고 연속사용하더라도 내구성이 있으며 고온에서도 기계적인 성질이 유지되어야한다. 이러한 점용접은 저타소강, 고탄소강, 저합금강,알루미늄과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강(18Cr-8Ni), 주석도금판등 각종 금속들에게 사용되고 있다. 단지 문제점이라면 구리나 구리합금에 대한 용접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 1 단계에서 형성되는 벨트수용 가이드구(20)에는, 그 전면판(10)의 하단과 접촉되는 절곡지지부(21)에, 전기력선이 모이는 돌출된 돌기(22)를 좌우 각각 4개에서 8개까지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곡된 절곡지지부(21)의 전면으로 상기 전면판(10)과 용착 결합시키는 것이 아니고, 상기 절곡지지부(21)에 별도의 돌출된 돌기(22)를 형성하고 이 돌기(22)의 끝단과 상기 전면판(10)의 하단을 견고하게 체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전면판(10)과 돌기(22) 간의 견고한 결합을 달성하면서도 그 이음매 부위가 더욱 깨끗하게 나올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도체 주위의 전기력선의 분포는 사실상 뽀족한 곳에서 전기력선이 밀집하고, 오목한 곳에서는 전기력선이 드문드문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 사실이다. 따 라서 본 발명의 스팟용접에서 전류를 통전시키게 되면, 상기 돌기 부분에 전기력선이 집중할 것이고, 이 전기력선을 통해서 발생되는 전기저항에 따라 고온으로 서로 손쉽게 융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융착되는 지점을 상기 절곡지지부(21)의 상면에 고루 분포시키기 위해서, 좌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지지부(21)의 상단에 4개에서 8개까지를 형성시켜 놓는다. 그러면 상기 돌기(22)의 끝단과 상기 전면판(10)의 하단을 융착되어 견고히 결합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체결을 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이점도 발생된다. 즉, 종래의 버클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던 납땜이나 아연용접의 경우는 일단 전면판(10)이나 가이드구(20)가 형성되고 나서 별도의 크롬이나 아연도금을 실시하고, 다시 상기 전면판(10)과 가이드구(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과 납땜부위를 매끈하게 하기 위한 별도의 코팅공정이 수행되어야만 한다. 물론 그 후에는 특별한 색상톤의 코팅이나 도금의 과정이 수행되기도 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전혀 필요없다. 즉, 상기 제 1 단계 또는 제 2 단계 후, 형성된 전면판(10)과 벨트수용 가이드구(20)에, 아연이나 크롬합금을 통해 코팅을 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형성된 전면판(10)과 가이드구(20)를 일단 아연이나 크롬합금 코팅을 하고 이를 스팟용접하는 과정을 통해서 생산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2 단계를 거치고, 전면판(10)과 가이드구(2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코팅의 과정을 수행하여 생산할 수도 있다. 즉, 제 1 단계와 제 2 단계 작업 후 아무 때나 코팅공정을 수행하여도 그 스팟용접부위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견고한 것이다. 또 종래 기술에서처럼 용접부위를 가리기 위해서 별도의 도금공정을 거칠 필요도 없다. 결국 본 발명을 따르게 되면 그 작업도 간단하면서 보다 견고한 버클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버클(100)은 특별한 모양이나 장식에 코팅을 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 있고, 별도의 모양을 형성시키는 과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후가공 공정은 종래 기술과 동일 내지 유사하다. 그리고 미 설명된 부호 43은 벨트결합구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납땜이나 아연 용접을 통해서 체결되는 버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스팟용접으로 체결될 버클의 전면판과 가이드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버클이 체결된 밸트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전면판 20; 밸트수용 가이드구
21; 절곡지지부 22; 돌기
30; 벨트결합구 100; 버클

Claims (3)

  1. 삭제
  2. 철판을 펀칭하고 가압 절곡 가공을 통해서 벨트수용 가이드구(20)의 "ㄷ"자로 절곡된 상단 절곡지지부(21)와 전면판(10)의 하단을 접촉시키고 용접 결합시켜 버클(100)을 제조하는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벨트수용 가이드구(20)에는,
    그 전면판(10)의 하단과 접촉되는 절곡지지부(21)에, 전기력선이 모이는 돌출된 돌기(22)를 좌우 각각 4개에서 8개까지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
  3. 삭제
KR1020090010034A 2009-02-09 2009-02-09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 KR100906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034A KR100906336B1 (ko) 2009-02-09 2009-02-09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034A KR100906336B1 (ko) 2009-02-09 2009-02-09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6336B1 true KR100906336B1 (ko) 2009-07-06

Family

ID=4133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034A KR100906336B1 (ko) 2009-02-09 2009-02-09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8360A (zh) * 2020-09-30 2021-01-22 施尚君 一种腰带扣的制作方法及其腰带扣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2428A (en) * 1978-02-02 1980-11-11 Lars Johansson Belt buckle
US4747165A (en) * 1986-09-02 1988-05-31 Limbach Karl A Belt and buckle
KR200147874Y1 (ko) 1995-11-24 1999-06-15 황호환 버클
KR200367873Y1 (ko) * 2004-05-27 2004-11-17 이광일 벨트용 버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2428A (en) * 1978-02-02 1980-11-11 Lars Johansson Belt buckle
US4747165A (en) * 1986-09-02 1988-05-31 Limbach Karl A Belt and buckle
KR200147874Y1 (ko) 1995-11-24 1999-06-15 황호환 버클
KR200367873Y1 (ko) * 2004-05-27 2004-11-17 이광일 벨트용 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8360A (zh) * 2020-09-30 2021-01-22 施尚君 一种腰带扣的制作方法及其腰带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13543A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5938747B2 (ja) リベット、リベットを備えた異材接合用構造体、及び異材接合体の製造方法
JP2012028076A (ja) 電線付き端子金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579181A (zh) 电阻点焊装置、复合电极以及电阻点焊方法
CN102114573A (zh) 一种用于继电器组装的电阻点焊方法
KR100906336B1 (ko)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
JP2013030337A (ja) 端子付き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309042B (zh) 感应加热体及感应加热烹调器
JP2014089810A (ja) 端子金具
CN101829842A (zh) 一种专用于银带与铜带进行连续焊接的缝焊工艺
KR101173245B1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
JP2010176880A (ja) 端子金具付き電線
CN204810583U (zh) 线圈盘及电器产品
KR101923667B1 (ko) 이중복합 전극팁을 가지는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JP2015185283A (ja) 端子および該端子の電線接続構造
KR20130012812A (ko) 이차전지의 터미널리드와 버스바의 연결 방법
CN106113487A (zh) 塑料板或塑料薄膜涡流脉冲焊接机构
CN209632341U (zh) 膨胀补偿型电气玻璃焊料连接件
CN101847018A (zh) 弓型件/双金属件连接体及其制造方法
CN212342827U (zh) 电源端子、电源端子与发热丝的焊接结构及厨房电器
CN212851065U (zh) 一种加热管的管头连接结构
JP2575036Y2 (ja) 接続端子の溶接構造
CN209641589U (zh) 温度保险丝
JP4521756B2 (ja) スポット溶接用電極
CN213646297U (zh) 一种固定式电阻点焊机用电极转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