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874Y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874Y1
KR200147874Y1 KR2019960041178U KR19960041178U KR200147874Y1 KR 200147874 Y1 KR200147874 Y1 KR 200147874Y1 KR 2019960041178 U KR2019960041178 U KR 2019960041178U KR 19960041178 U KR19960041178 U KR 19960041178U KR 200147874 Y1 KR200147874 Y1 KR 200147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uckle
buckle body
side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537U (ko
Inventor
황호환
Original Assignee
황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호환 filed Critical 황호환
Publication of KR9700205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5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8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sliding wedg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지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바지의 흘러내림을 예방하기 위하여 혁대를 착용하게 되는데, 이때 혁대의 견고한 체결력과 간편한 착·탈작업을 수행할수 있도록한 버클에 관한 것으로 버클 몸체의 양변에 각각의 안내홈을 형성시키고, 이 안내홈에는 혁대신축장치의 절곡부를 억지 끼워맞춤하며, 상기 버클 몸체의 이면 즉 혁대가 출입하는 면에는 혁대 받침구를 형성시켰고, 상기 혁대 신축 장치의 후방에는 혁대를 체결하는 절첩레버를 직접 연결설치 하여서 된 것 이다.

Description

버클
본 고안은 바지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바지의 홑러내림을 예방하기 위하여 혁대를 착용하게 되는데, 이때 혁대의 견고한 체결력과 간편한 착·탈작업을 수행 할수 있도록한 버클에 판한 것으로, 특히 혁대를 버클 몸체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고, 상기 버클 몸체와 혁대신축장치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 며, 혁대의 신축조정시 혁대의 이면을 받쳐줄수 있는 혁대 받침구를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종래의 버클(10)은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 몸체(11)와 혁대신축 장치 (12)그리고 혁대체결장치(13)로 이루어 지는바, 상기 혁대체결장치(13)는 혁대신축장치(12)의 후방에 설치된 회동축(12a)에 연결설치하여 절첩레버(13a)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였고, 혁대신축장치(12)는 버클 몸체(11)의 이면에 용착하여 혁대고정레버작동핀(12c)의 작동에 의해 혁대고정레버(12b)가 작동되면서 절곡부 (12d)부가 혁대(40)의 레치(41a)부를 고정 및 와해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버클(10)은 혁대체결장치(13)에 의하여 버클(10)의 전체 적인 크기가 커지고 또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버클 몸체(11)와 혁대신축장치(12)는 용접의 방법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버클신축장치(12)의 구성품중 어느 일 구성품이 훼손되거나 고장나면 버클(10)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버클몸체와 혁대신축장치를 분해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되, 한번 체결하면 견고한 체결력을 갖도록 하였으며, 혁대를 체결하는 절첩레버는 혁대 신축 장치의 후방에 직접 설치하여 버클의 간편성을 제공하였고, 버클 몸체의 이면 즉 혁대가 출입되는 면에는 혁대의 안전한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혁대 받침구를 형성시켜서된 버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버클 몸체의 양변에 각각의 안내홈을 형성시키고, 이 안내홈에는 혁대신축장치의 절곡부를 억지끼워 맞춤하며, 상기 버클 몸체의 이면 즉 혁대가 출입하는 면에는 혁대 받침구를 형성시켰고, 상기 혁대신축 장치 의 후방에는 혁대를 체결하는 절첩레버를 직접 연결설치함에 의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버클 몸체의 양변에 형성된 각각의 안내홈 끝단부분에 요홈을 형성시키고 이에 고정핀이 연결설치된 스프링을 안착시켜 상기 고정핀이 혁대신축장치의 양측에 형성된 절곡부의 요홈에 삽입되어 체결 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버클 본체의 배면에 혁대 신축 장치를 용접 고정하고 상기 버클 본체의 일측 끝단에 혁대 고정장치를 고정핀으로 힌지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버클 배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버클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버클 결합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5도의 A-A선 결합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제7도의 B-B선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혁대신축 장치 12a : 회동축
12b : 혁대고정 레버 12c : 혁대고정레버 작동편
12d : 절곡부 13 : 고정장치
13a : 절첩레버 20, 30 : 버클 몸체
21, 21a : 안내홈 22, 22a : 절곡부
23 : 혁대받침구 31, 31a : 안내홈
32, 32a : 요흠 33, 38 : 고정핀
34 : 스프링 35 : 절곡부
35a : 절첩부 36 : 요홈
37 : 돌기 40 : 혁대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은 먼저 제2도 및 제3도와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혁대신축 장치 (12)에 회동축(12a)과 절곡부(12d)를 갖는 혁대고정레버 (12b), 그리고 혁대고정레버(12b)를 작동시키는 혁대고정레버작동핀(12c)를 설치하여서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버클 몸체(2O)의 양변에는 각각의 안내홈(21)(21a)을 형성하고, 이에 상기 혁대신축장치(12)의 양변에 형성된 절곡부(22)(22a)를 억지 끼워 맞춤하며, 상기 버클 몸체(20)의 이면 즉, 혁대(40)가 출입하는 면에는 혁대받침구(23)을 형성시키고,
상기 혁대신축장치(12)의 후방에는 혁대(40)를 체결하는 절첩레버(25)를 직접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버클 몸체(30)의 양변에 형성된 각각의 안내홈(31)(31a)끝단부분에 요홈(32)(32a)를 형성시키고, 이에 고정핀(33)이 연결 설치된 스프링(34)과 절곡부(35a)에 형성된 돌기(37)를 안착시켜 상기 고정핀 (33) 및 돌기(37)가 혁대신축장치(12)의 양측변에 형성된 절곡부(35)의 요홈(32) 및 일측의 안내홈(31a)끝단부에 형성된 요홈(32a)에 긴밀히 삽입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먼저 제2도 및 제3도와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 몸체 (20)의 양변에 형성된 각각의 안내홈(21)(21a)에 혁대신축장치(12)의 양변에 형성된 절곡부(22)(22a)를 억지 끼워 맞춤하게 되면, 혁대신축장치(l2)는 버클 몸체 (20)에 견고히 체결된 상태가 됨으로 사용도중에 이완되거나 분해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혁대신축장치(12)를 버클 몸체(20)로 부터 분해하고자 할 때에는 공구(도면 미도시)를 이용하여 혁대신축장치(12)를 버클 몸체(20)로 부터 빼내면 된 다.
단, 상기 혁대신축장치(12)를 버클 몸체(20)로 부터 분리시키는 이유는 혁대신측장치(12)의 구성품중 일부가 훼손되거나 마모되었을때 혁대신축장치(12)를 교환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혁대신축장치(12)의 후방에는 혁대(40)를 체결시키는 절첩레버 (13a)를 직접 설치하므로서 버클이 간편해지고 크기가 작아져 미관상 수려함을 제공하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버클 몸체(2O)의 이면 즉 혁대(40)가 출입하는 면에는 혁대 받침구(23)를 형성시킴으로써 혁대(40)를 고정시킬때에 혁대고정레버(12b)의 끝단부분에 형성된 절곡부(12d)가 혁대(40)에 형성된 레치(41)부분에 견고히 걸리게 된다.
따라서 혁대(40)의 안전한 고정을 이룰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제5도 및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버클 몸체(30)의 양변에 형성된 각각의 안내홈(31)(31a)끝단부분에 요홈(32)(32a)을 형성시켜, 이에 고정핀(33)이 설치된 스프링(34)과 절곡부(35a)에 형성된 돌기 (37)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스프링(34)의 탄성에 의해 고정핀(33)이 혁대신축장치 (12)의 일측변에 형성된 절곡부(35)의 요홈(32)과 타측의 절곡부(35a)에 형성된 돌기(37)가 긴밀히 삽입되어 안전한 고정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7도 및 제8도에서 도시된 바과 같이 버클 몸체(30)의 배면에 혁대 신축 장치(12)를 용접 고정하고 상기 버클 몸체(30)의 양변 끝단에는 고정홈(25)을 형성하며, 혁대 고정장치(13)의 양변에는 상기 고정 홈(25)에 대응하는 삽입공(13b)을 형성하였다.
상기 버클 몸체(30)에 형성된 고정홈(25)과 혁대 고정장치(13)에 형성된 삽입공(13b)을 일치시키고 이에 고정핀(38)을 삽입하여 상기 버클 몸체(30)의 일측에 혁대 고정장치(13)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 몸체(30)에 혁대를 고정하면 상기 혁대(40)의 고정부가 굴곡되지 않고 고정 되므로 혁대(40)의 변형이 방지되고 견고히 걸리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버클 몸체에 혁대신축장치를 분해결합 할수 있도록하되 결합시에는 견고한 결합력을 갖도록 하고, 또한 혁대를 체결하는 절첩레버를 혁대체결장치의 후방에 직접 설치하여 버클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였으며, 상기 버클 몸체의 이면 즉, 혁대가 출입하는 면에는 혁대 받침구를 형성시켜 혁대를 고정시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도록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혁대신축 장치 (12)에 회동축(12a)와 절곡부(12d)를 갖는 혁대 고정레버(12b), 그리고 혁대고정레버(12b)를 작동시키는 혁대고정레버작동편(12c) 를 설치하여서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버클 몸체(20)의 양변에는 각각의 안내홈(21)(21a)을 형성하고, 이에 상기 혁대신축장치(12)의 양변에 형성된 절곡부(22)(22a)를 억지 끼워 맞춤하며,상기 버클 몸체(20)의 이면 즉 혁대(40)가 출입하는 면에는 혁대받침구(23)을 형성시키 고, 상기 혁대신축장치(12)의 후방에는 혁대(40)를 체결하는 절첩레버(13a)를 직 접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버클을 형성하되, 버클 몸체(30)의 양변에 형성된 각각의 안내홈(31)(31a) 끝단부분에는 요홈(32)(32a)를 형성시키고,이에 고정핀(33)이 연결설치된 스프링 (34)과 절첩부(35a)에 형성된 돌기(37)을 안착시켜 상기 고정핀(33)및 돌기 (37) 가 혁대신축장치(12)의 양측변에 형성된 절곡부(35)의 요홈(36) 및 일측의 안내홈 (31a)끝단부에 형성된 요홈(32a)에 긴밀히 삽입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버클을 형성하되, 버클 몸체(30)의 배면에 혁대 신축 장치(12)를 응접 고 정하고, 상기 버클 몸체(30)의 일측 끝단에는 혁대 고정장치(13)가 고정핀(3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2019960041178U 1995-11-24 1996-11-21 버클 KR20014787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50035618 1995-11-24
KR201995035618 1995-11-24
KR201996013644 1996-05-29
KR19960013644 1996-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537U KR970020537U (ko) 1997-06-18
KR200147874Y1 true KR200147874Y1 (ko) 1999-06-15

Family

ID=2734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178U KR200147874Y1 (ko) 1995-11-24 1996-11-21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8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36B1 (ko) 2009-02-09 2009-07-06 김희성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36B1 (ko) 2009-02-09 2009-07-06 김희성 벨트의 버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537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3657B1 (ko) 손목시계 케이스에 손목 시계 끈을 고정시키는 방법
EP0552962B1 (en) A clip assembly
KR200145340Y1 (ko) 조절용 벨트 파스너
US6023791A (en) Swimming goggle structure
JP2013126544A (ja) 回動防止連結具
KR20010022547A (ko) 1개 또는 2개의 끈을 구비한 여과용 안면 마스크
EP1024729B1 (en) Belt clip
KR970014627A (ko) 미세조정 버클수단이 구비된 벨트
KR200147874Y1 (ko) 버클
US6658705B2 (en) Exchangeable self-adjusting device for use in belt
JP3964492B2 (ja) 時計用バンドの取付構造
KR20090008035A (ko) 의자의 메쉬형 쿠션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0162859Y1 (ko)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RU2220635C2 (ru) Пряжка для ремня
WO2019179877A1 (en) A watch anti-theft device and watch strap combination, and a device for the combination
KR960009455Y1 (ko) 혁대용 버클
KR100461829B1 (ko) 차량 시트벨트 텅의 위치조절장치
KR200469383Y1 (ko) 허리 벨트 조임쇠 장치
KR200320795Y1 (ko) 혁대용 버클
JPH09299117A (ja) 装身具の止め金具
KR19980062310U (ko)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JPH07303505A (ja) 紐調節用固定具
CN106108292A (zh) 一种便于更换表带的简易功能表扣
KR970005446Y1 (ko) 혁대
JP3076525B2 (ja) ベルト用バックル及び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