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146B1 - 리어뷰미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리어뷰미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146B1
KR100904146B1 KR1020057006263A KR20057006263A KR100904146B1 KR 100904146 B1 KR100904146 B1 KR 100904146B1 KR 1020057006263 A KR1020057006263 A KR 1020057006263A KR 20057006263 A KR20057006263 A KR 20057006263A KR 100904146 B1 KR100904146 B1 KR 100904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irror assembly
opening
mirror
gu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2530A (ko
Inventor
다니엘 뒤몽
Original Assignee
비지오코프 페이턴츠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지오코프 페이턴츠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비지오코프 페이턴츠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050052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6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6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Abstract

본 발명은 브래킷이 없는 미러 조립체(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미러 조립체는 비싸지 않으며 상기 미러 조립체를 자동차(12)의 측면에 부착하는 용이한 조립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 미러 조립체는 반사 미러(16) 및 가이드 장치(26)를 구비한 케이스(14)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12)는 내측면(48)과 외측면(50) 사이에 배치된 개구(52)를 구비한 마운팅 표면(46)을 포함한다. 커넥터(42)가 상기 케이스(14) 및 상기 차량의 마운팅 표면(46)의 내측면(48) 사이에 배치된다. 조정 장치(20)는 상기 가이드 장치(26) 및 상기 커넥터(42)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로부터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내측면(48)으로 연장된다. 상기 조정 장치(20)는 전기적으로 조정된 미러용 전자 컨트롤들을 둘러싸기 위한 하니스(84) 또는 수동 조정을 위한 핸들(6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러 조립체(10)는 또한 상기 차량(12)을 향해 안쪽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가이드 장치(26) 및 조정 장치(20) 주위에서 상기 케이스(14)가 움직이는 것을 허용한다.

Description

리어뷰미러 조립체{REARVIEW MIRROR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에 미러 조립체를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이 없는 마운팅 특징을 갖는 리어뷰미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여러 조정 기구에 적합한 마운팅 특징을 갖는 리어뷰미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사이드 리어뷰미러 조립체들은 값이 비싸고 대량 제조 환경에서 조립하는 것이 어렵다. 그들은 자동차의 측면에 미러 조립체의 하우징을 부착시키는 마운팅 브래킷(mounting bracket)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브래킷은 미러 조립체의 전체 가격에 추가된다. 추가로, 브래킷의 디자인은 그것이 외장 부품(exterior trim piece)이고 차량의 전체 디자인 설계와 협동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하나의 특정 차량에 대해 특유하게 된다. 다른 차량에 대해 다른 브래킷을 생성하는 것은 미러 조립체의 비용에 포함된다.
심미적인 이유로 특정 디자인을 갖는 브래킷에 더하여, 브래킷은 다른 미러 조정 장치들을 수용하도록 그것의 디자인을 또한 변화시킬 수 있다. 현재, 일부 차량은 미러로부터 차량의 내부로 연장되는 단순한 핸들(handle)을 구비한 수동 조정 장치를 이용한다. 보다 고가의 차량은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사이드 리어뷰미러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가의 차량은 미러를 조정하기 위한 추가 구성요소들을 이용 한다. 조정 장치가 차량에 바람직한지에 따라서, 별도의 마운팅 브래킷이 각각의 조정 장치의 필수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해서 필요하게 된다.
또한, 마운팅 브래킷의 사용은 차량에 대한 미러의 조립을 어렵게 하고 시간이 소모된다. 마운팅 브래킷의 사용을 제거한 조립체가 매우 바람직하다.
사이드 리어뷰미러 조립체(side rearview mirror assembly)를 제조하는데 비용이 덜 들고, 조립이 쉽고 다양한 조정 장치들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 여전히 자동차 산업에서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요구들을 달성한다.
본 발명은 내측면(inner side)과 외측면(outer side) 및 상기 측면들 사이에 배치된 개구(opening)를 갖는 마운팅 표면(mounting surface)을 구비한 미러 조립체(mirror assembly)를 제공한다. 상기 미러 조립체는 또한 케이스(case)와 함께 배치되는 반사 미러(reflective mirror)를 구비한 케이스를 포함한다. 커넥터(connector)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마운팅 표면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개구(aperture)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미러 조립체는 또한 조정 장치(adjustment mechanism)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과 함께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의 설명에 의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고려될 때 이하의 상세한 설 명들을 참조하여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러 조립체를 구비한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미러의 수동 조정을 위한 핸들 조정 장치를 구비한 미러 조립체의 전개도.
도 3은 미러의 전기적 조정을 위한 하니스 조정 장치(harness adjustment mechanism)를 구비한 미러 조립체의 전개도.
도 4A는 미러 조립체의 커넥터의 외부 사시도.
도 4B는 미러 조립체의 커넥터의 내부 사시도.
도 5는 자동차의 마운팅 표면의 내측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미러 조립체의 가이드 장치(guide mechanism)의 사시도.
도 7은 미러 조립체의 핸들 조정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커넥터를 통하여 연장되고 자동차의 마운팅 표면의 내측면 안으로 연장되는 핸들 조정 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9는 핸들 조정 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미러 조립체의 사시도.
도 10은 하니스 조정 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미러 조립체의 사시도.
도 11은 하니스 조정 장치 및 이동식 케이스를 구비한 본 발명의 미러 조립체의 사시도.
도 12는 미러 조립체의 케이스의 사시도.
도면들을 참조함에 있어, 유사한 도면 번호들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 1에서 미러 조립체는 10으로 나타낸다. 상기 미러 조립체(10)는 자동차(12)의 측면에 부착된다. 본 발명은 세 개의 구별되는 실시예들을 갖는 미러 조립체(10)를 포함한다 - 핸들 미러 조립체(10), 전기 작동 미러 조립체(electrically actuated mirror assembly)(10) 및 이동식 케이스 미러 조립체(moving case mirror assembly)(10). 모든 세 개의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기술되고 도 2 및 3에 나타낸 구성요소(component)들을 갖는다.
상기 미러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사각 형상을 갖는 케이스(14) 및 상기 케이스(14) 안에 배치된 반사 미러(1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반사 미러(16) 및 케이스(14)의 형상은 어떠한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 미러(16)는 조정 장치(20)에 연결되는 뒤판(back plate)(18)을 포함한다. 상기 조정 장치(20)는 제1 단부(22) 및 제2 단부(24)를 갖는다. 상기 조정 장치(20)의 제1 단부(22)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용되는 일반적인 수단에 의해 상기 반사 미러(16)의 뒤판(18)에 부착된다.
상기 케이스(14)는 또한 가이드 장치(guide mechanism)(26)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장치(26)는 제1 개구(aperture)(28)를 갖는다. 상기 반사 미러(16)의 뒤판(18)에 연결된 조정 장치(20)의 제1 단부(22)와 함께, 상기 제2 단부(24)는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제1 개구(28)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14)의 외측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장치(26)는 또한 상기 제1 개구(28)의 각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윙(wing)들(3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내측면(inner side)(32)은 상기 반사 미러(16)에 면하여 있으며 한편 외측면(outer side)(34)은 자동차에 면하 여 있다.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외측면(34)은 리브(rib)(36) 및 노브(knob)(38)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rib)(36)는 핸들 미러 조립체(10)에서 상기 가이드 장치(26)를 상기 케이스(14)에 고정 배치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케이스(14)는 슬롯(slot)(미도시) 안에 상기 리브(36)를 수용하여 상기 케이스(14) 내에서 상기 가이드 장치(26)를 고정 배치시킨다. 상기 노브(38)는 이동식 케이스 미러 조립체(10)의 제3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이동식 케이스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4)는 복수의 그루브(groove)(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그루브들(40)은 상기 케이스(14)가 상기 가이드 장치(26) 및 조정 장치(20) 주변을 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노브(38)를 수용한다. 케이스(14)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미러 조립체(10)가 차량(12)의 외부 측면에 대해서 안쪽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미러 조립체(10)가 안쪽으로 접혀지면 차량의 전체 폭이 줄어들고, 이로써 한정된 공간에 차량(12)을 주차하거나 차량(12)을 선적할 때 도움이 된다.
상기 미러 조립체(10)의 케이스(14)를 차량(12)에 부착하기 위해서 커넥터(connector)(42)가 상기 케이스(14) 및 차량(1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커넥터(42)는 상기 조정 장치(20)의 제2 단부(24)를 수용하는 제2 개구(44)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12)는 내측면(48) 및 외측면(50)을 가진 마운팅 표면(46)을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 표면(46)은 차량(12)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마운팅 표면(46)은 개구(opening)(52)를 포함한다. 이러한 개구(52)는 상기 커넥터(42) 및 상기 조정 장치(20)의 제2 단부(24)를 수용한다. 상기 커넥터(42)는 또한 나사(screw)(56)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산 홀(threaded hole)(54)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56)는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내측면(48)에 배치되고 상기 나사산 홀(54)과 나사산 결합하여 차량(12)의 커넥터(42)를 고정 부착시킨다. 상기 커넥터(42)를 차량(12)에 더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커넥터(42)는 상기 마운팅 표면(46) 내 익스텐션(extension)(60)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노브(locking knob)(58)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마운팅 표면(46) 내 두 개의 익스텐션들(60)과 결합하는 두 개의 로킹 노브들(58)을 도시하고 있지만, 단지 하나의 로킹 노브(58)가 요구되기도 한다. 상기 로킹 노브(58)는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개구(52)를 통한 삽입을 위해 상기 커넥터(42)가 적절히 배향되는 것을 요구한다. 일단 상기 개구(52)를 통하여 삽입되면, 상기 커넥터(42)는 회전되고 그런 다음 상기 차량(12)에 고정된다. 상기 나사(56)에 더하여, 상기 커넥터(42)는 또한 로킹 보스(locking boss)(64)를 가진 립(lip)(62)을 포함한다. 상기 로킹 보스(64)는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외측면(50) 상에서 로킹 엠보스먼트(locking embossment)(66)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미러 조립체(10)를 차량(12)에 적절히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로킹 노브(58)가 상기 마운팅 표면(46) 내 익스텐션(60)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커넥터(42)는 마운팅 표면(46)의 개구(52)를 통하여 삽입되도록 배향된다. 일단 적절히 삽입되면, 상기 커넥터(42)는 회전되고 상기 로킹 보스(64)가 상기 로킹 엠보스먼트(66) 안에 수용된다. 상기 립(62)은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외측면(50)에 대하여 평평하게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나사(56)가 상기 커넥터(42)의 나사산 홀(54)과 나사산 결합된다.
모든 세 개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조정 장치(20)는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제1 개구(28), 상기 커넥터(42)의 제2 개구(44) 및 상기 마운팅 표면 내 개구(52)를 통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조정 장치(20)의 제2 단부(24)는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내측면(48) 상에 배치되고 이로써 상기 차량(12) 안에서 운전자(operator)가 접근가능하게 된다.
제1 실시예, 핸들 미러 조립체(10)에서, 상기 조정 장치(20)는 핸들(68)이다. 상기 핸들(68)은 일반적으로 관 모양(tubular shape)을 가지며 제2 단부(24)에서 구부러진 익스텐션(angled extension)(70)을 구비한다. 상기 구부러진 익스텐션(70)은 상기 핸들(68)이 마운팅 표면(46)의 내측면(48)에 도달할 때 시작된다. 상기 익스텐션(70)은 상기 반사 표면(16)의 수동 조정을 위하여 상기 차량(12)의 운전자를 향해 구부러진다. 상기 핸들(68)은 또한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내측면(48)에 배치된 로킹 장치(locking mechanism)(72)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 장치(72)는 반사 표면(16)의 수직 조정을 제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로킹 장치(72)는 핸들(68) 상에 사각 익스텐션으로 나타나 있다. 상기 로킹 장치(72)는 상부 또는 하부 위치들로 이동될 때 상기 커넥터(42)와 간섭한다. 상기 간섭은 상기 반사 표면(16)의 더 이상의 수직 조정을 방지한다. 상기 커넥터(42)의 제2 개구(44)의 폭은 상기 케이스(14) 내에서 반사 표면(16)의 수평 조정을 제한한다. 핸들(68)이 커넥터(42)의 제2 개구(44)의 측면 표면에 접촉할 때 상기 핸들(68)의 수평 스트로크(horizontal stroke)가 제한된다. 상기 케이스(14) 안에 핸들(68)을 배치시키기 위해서 상기 조정 장치(20)는 립(74)을 포함한다. 상기 립(74) 및 가이드 장치(26)의 내측면(32) 사이에 바이어스 장치(biasing device)(76)가 배치된다. 가장 일반적으로는 스프링인, 상기 바이어스 장치(76)는 상기 케이스(14)에 대하여 가이드 장치(26)를 죄어치고 상기 커넥터(42)에 대하여 상기 핸들(68)의 로킹 장치(72)를 죄어치며, 이로써 상기 미러 조립체(10)의 구성요소들이 적절히 배치된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제1 개구(28) 안에 배치된 핸들(68)의 부분은 상기 관상 핸들(68)의 일 측면 상에서 평평한 표면(flattened surface)(78)을 갖는다. 이러한 평평한 표면(78)은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제1 개구(28) 안에서 평면(plane)(80)에 대하여 짝을 이룬다. 상기 평평한 표면(78) 및 평면(80)의 메이팅(mating)은 상기 미러 조립체(10) 안에서 핸들(68)의 회전을 방지한다. 다시, 이것은 상기 미러 조립체(10)의 구성요소들이 적절히 배치되게 한다.
제2 실시예,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미러 조립체(10)에서, 상기 조정 장치(20)는 전기 모터(electric motor)(82) 및 하니스(harness)(84)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모터(82)는 상기 케이스(14) 안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 미러(16)의 뒤판(18)에 연결된다. 상기 전기 모터(82)는 상기 케이스(14) 안에서 반사 미러(16) 및 뒤판(18)의 움직임을 가동시킨다. 상기 전기 모터(82)는 전기 컨트롤(electrical control)들(86)을 통하여 동력과 제어 신호들을 받는다. 상기 전기 컨트롤들(86)은 상기 하니스(84) 안에 포함된다. 상기 하니스(84)는 상기 전기 컨트롤들(86)을 둘러싸고 상기 전기 모터(82)로부터 차량(12)의 안쪽으로 연장된다. 대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상기 하니스(84)는 또한 복수의 강화 리브(strengthening rib)들을 포함한다. 핸들(68)의 구성과 유사하게, 상기 하니스(84)는 립(74) 및 평평한 표면(78)을 포함한다. 바이어스 장치(76)가 상기 립(74) 및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내측면(3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핸들(68)에서와 같이, 상기 평평한 표면(78)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제1 개구(28)의 평면(80)에 대해서 짝을 이룬다. 상기 전자 컨트롤들(86)이 상기 하니스(84)를 통하여 상기 차량(12) 안으로 연장된다. 상기 차량(12)은 제어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것이며, 상기 제어 장치에서 운전자는 상기 케이스(14) 내 반사 미러(16)의 움직임을 명령하고 신호가 상기 전기 컨트롤들(86)을 통하여 보내지고 상기 전기 모터(82)에 의해 수신된다.
마지막 실시예, 이동식 케이스 미러 조립체(10)에서, 상기 미러 조립체(10)의 구성요소들을 적절히 배치하기 위해서 단지 조정 장치(20)만이 사용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하니스(84)만을 포함한다. 상기 하니스(84)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미러 조립체(10)에서와 같이 배치된다. 바이어스 장치(76)가 상기 립(74) 및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내측면(3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립체(10)의 구성요소들을 적절히 배치시킨다. 상기 하니스(84)는 중공(hollow)으로 남는다. 플러그(plug)(미도시)가 상기 차량(12) 안에 배치된 하니스(84)의 제2 단부(24)를 감춘다. 상기 플러그는 엄밀히 말하자면 심미감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미러 조립체(10)는 상기 가이드 장치(26) 주위에서 상기 케이스(14)를 이동시킴으로써 조정된다.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외측면(34) 상에 배치된 노브(38)는 상기 케이스(14)의 복수의 그루브들(40) 중 하나에 수용된다. 운전자는 수동으로 상기 미러 조립체(10)를 조정한다. 제어 장치 또는 핸들은 없다. 최대 위치에서, 상기 미러 조립체(10)는 상기 차량(12)의 측면에 대하여 평평해진다.
모든 세 개의 실시예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이용하며, 이로써 상기 차량 (12)을 생산하기 위한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모든 조립체들(10)은 동일한 케이스(14), 가이드 장치(26) 및 커넥터(42)를 이용한다. 변화하는 유일한 구성요소는 조정 장치(20)의 형태-핸들(68), 하니스(84)를 갖춘 전기 모터(82) 또는 하니스(84) 단독이다. 각 차량(12)에 여러 옵션(option)들을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조정 장치(20)의 간단한 변경은 전체 생산 비용 및 조립 노고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대해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42)

  1. 내측면(48)과 외측면(50) 및 상기 측면들 사이에 배치된 개구(52)를 갖는 마운팅 표면(46);
    케이스(14);
    상기 케이스(14) 안에 배치된 반사 미러(16);
    조정 장치(20);
    상기 케이스(14) 안에 배치되며 제 1 개구를 갖는 가이드 장치(26); 및
    제2 개구(44)를 구비하되 상기 케이스(14) 및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상기 내측면(48) 사이에 배치되는 커넥터(42)를 포함하되, 상기 조정 장치(20)는 상기 케이스(14) 안에 적절히 배치된 상기 가이드 장치(26) 및 상기 조정 장치(20)를 유지하기 위한 바이어스 장치(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20)가 상기 반사 미러(16)에 연결된 제1 단부(22) 및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상기 제1 개구(28)와, 상기 커넥터(42)의 상기 제2 개구(44)와,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상기 개구(52)를 통하여 연장되는 제2 단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20)는 상기 케이스(14) 안에서 상기 반사 미러(16)의 수동 조정을 위한 핸들(6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26)는 상기 케이스(14) 안에서 상기 가이드 장치(26)를 고정 배치시키기 위한 리브(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68)은 상기 반사 미러(16)의 수직 조정을 제한하기 위한 로킹 장치(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20)는 상기 케이스(14) 안에서 상기 반사 미러(16)를 조정하기 위한 전기 컨트롤들을 둘러싸는 하니스(harness)(84) 및 전기 모터(8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26)는 상기 케이스(14) 안에서 상기 가이드 장치(26)를 고정 배치시키기 위한 리브(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는 상기 조정 장치(20) 및 상기 가이드 장치(26) 주위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는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노브(38)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그루브(4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0. 삭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42)는 내부 단부 및 외부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42)는 상기 외부 단부에서 로킹 보스(64)를 갖는 립(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표면(46)은 상기 커넥터(42)의 상기 로킹 보스(64)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면(50) 상에 로킹 엠보스먼트(6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표면(46)은 상기 커넥터(42)를 상기 마운팅 표면(46)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면(48)에서 나사(5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42)의 내부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노브(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42)의 상기 내부 단부는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상기 나사(56)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산 홀(5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상기 개구(52)는 상기 로킹 노브(58)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익스텐션(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상기 제1 개구(28)는 상기 제1 개구(28) 안에 있는 동안에 상기 조정 장치(20)의 회전을 방지하는 평면(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9. 자동차 상에서 사이드 리어뷰미러로 사용하기 위한 미러 조립체에 있어서,
    내측면(48)과 외측면(50) 및 상기 측면들 사이에 배치된 개구(52)를 구비하되 상기 자동차(12)와 일체를 이루는 마운팅 표면(46);
    그 안에 배치된 반사 미러(16)를 가지는 케이스(14);
    상기 케이스(14) 안에 배치되며, 제1 개구(28)를 가지는 가이드 장치(26);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상기 내측면(48) 및 상기 케이스(14)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개구(44)를 가지는 커넥터(42); 및
    상기 반사 미러(16)에 연결된 제1 단부(22) 및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상기 제1 개구(28), 상기 커넥터(42)의 상기 제2 개구(44) 및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상기 개구(52)를 통하여 연장되는 제2 단부(24)를 구비하며, 상기 반사 미러(16)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조정 장치(20)를 포함하되, 상기 조정 장치(20)는 상기 케이스(14) 안에서 상기 반사 미러(16)의 수동 조정을 위한 핸들(68)이며, 상기 핸들(68)은 상기 반사 미러(16)의 수직 조정을 제한하기 위한 로킹 장치(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0. 삭제
  21. 삭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26)는 상기 케이스(14)에 상기 가이드 장치(26)를 고정 위치시키기 위한 리브(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20)는 상기 케이스(14) 안에서 상기 반사 미러(16)를 조정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들을 둘러싸는 하니스(harness)(84) 및 전기 모터(8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26)는 상기 케이스(14)에 상기 가이드 장치(26)를 고정 배치시키기 위한 리브(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는 상기 가이드 장치(26) 및 상기 조정 장치(20) 주위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는 상기 가이드 장치(26) 상에서 노브(38)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그루브(4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20)는 상기 케이스(14) 안에서 상기 가이드 장치(26) 및 상기 조정 장치(20)를 적절히 배치시키기 위한 바이어스 장치(7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42)는 내부 단부 및 외부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단부는 나사산 홀(54) 및 적어도 하나의 로킹 노브(58)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단부는 로킹 보스(64)를 구비한 립(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상기 내측면(48)은 상기 커넥터(42)의 나사산 홀(54)을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42)를 상기 마운팅 표면(46)에 부착시키기 위한 나사(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상기 외측면(50)은 상기 커넥터(42)의 상기 로킹 보스(64)를 수용하는 로킹 엠보스먼트(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상기 개구(52)는 상기 커넥터(42)의 상기 로킹 자동차(12)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익스텐션(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3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상기 제1 개구(28)는 상기 제1 개구(28) 안에서 상기 조정 장치(2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평면(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33. 삭제
  34. 삭제
  3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68)은 상기 제2 단부(24)에서 구부러진 익스텐션(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3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68)의 상기 제1 단부(22)는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상기 평면(80)과 짝을 이루기 위한 평평한 표면(78) 및 립(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37. 삭제
  38. 자동차 상에 사용하기 위한 미러 조립체에 있어서,
    내측면(48)과 외측면(50) 및 상기 측면들 사이에 배치된 개구(52)를 가지는 마운팅 표면(46);
    케이스(14);
    상기 케이스(14) 안에 배치된 반사 미러(16);
    평면(80)과 함께 제1 개구(28)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14) 안에 고정 배치된 가이드 장치(26);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상기 내측면(48)과 상기 케이스(14)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개구(44)를 가지는 커넥터(42); 및
    상기 반사 미러(16)에 연결된 제1 단부(22) 및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상기 제1 개구(28), 상기 커넥터(42)의 상기 제2 개구(44) 및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상기 개구(52)를 통하여 연장되는 제2 단부(24)를 가지는 하니스(harness)(84)를 포함하는 미러 조립체.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12) 내부에 배치된 전자 제어 장치를 통하여 상기 반사 미러(16)의 이동을 가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4) 안에 배치된 전기 모터(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하니스(84)가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며, 복수의 강화 리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 안에서 상기 하니스(84) 및 상기 가이드 장치(26)를 적절히 배치시키기 위한 바이어스 장치(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42. 자동차 상에 사용하기 위한 미러 조립체에 있어서,
    내측면(48)과 외측면(50) 및 상기 측면들 사이에 배치된 개구(52)를 가지는 마운팅 표면(46);
    케이스(14);
    상기 케이스(14) 안에 배치된 반사 미러(16);
    평면(80)과 함께 제1 개구(28) 및 노브(38)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14) 안에 배치된 가이드 장치(26);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상기 내측면(48)과 상기 케이스(14)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개구(44)를 가지는 커넥터(42); 및
    상기 반사 미러(16)에 연결된 제1 단부(22) 및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상기 제1 개구(28), 상기 커넥터(42)의 상기 제1 개구(28) 및 상기 마운팅 표면(46)의 상기 개구(52)를 통하여 연장되는 제1 단부(22)를 가지는 하니스(84)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4)가 상기 가이드 장치(26)의 상기 노브(38)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그루브(40)들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4)가 조정 장치(20) 및 상기 가이드 장치(26) 주위에서 이동가능한 미러 조립체.
KR1020057006263A 2002-10-15 2003-10-15 리어뷰미러 조립체 KR100904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865202P 2002-10-15 2002-10-15
US60/418,652 2002-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530A KR20050052530A (ko) 2005-06-02
KR100904146B1 true KR100904146B1 (ko) 2009-06-24

Family

ID=3210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263A KR100904146B1 (ko) 2002-10-15 2003-10-15 리어뷰미러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152831A1 (ko)
EP (1) EP1551667B1 (ko)
JP (1) JP2006502908A (ko)
KR (1) KR100904146B1 (ko)
AU (1) AU2003276536B2 (ko)
DE (1) DE60320433T2 (ko)
WO (1) WO2004035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93520T3 (es) 2005-05-27 2008-03-16 C.R.F. Societa' Consortile Per Azioni Unidad de espejo retrovisor exterior para un vehiculo automovil con unos medios de accionamiento con memoria de forma.
DE102011077648B4 (de) * 2011-06-16 2023-04-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elektrisch zwischen einer Funktionsstellung und einer eingeklappten Stellung verstellbaren Außenspiegelmoduls bei einem Kraftfahrzeug
KR101500161B1 (ko) 2013-10-08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6045A (en) * 1983-09-01 1987-01-13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Manual adjusting device for tiltable outer mirror
WO1996023676A1 (en) * 1995-02-01 1996-08-08 Rover Group Limited Vehicle mirror assemblies
WO2002076791A1 (en) 2001-03-26 2002-10-03 Schefenacker Vision Systems Australia Pty Ltd Vehicle external mirror wiring integration
US20020145816A1 (en) 2001-01-26 2002-10-10 Volker Nickel Motor vehicle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06491D0 (en) * 1999-03-22 1999-05-12 Britax Wingard Ltd Vehicle exterior mirr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6045A (en) * 1983-09-01 1987-01-13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Manual adjusting device for tiltable outer mirror
WO1996023676A1 (en) * 1995-02-01 1996-08-08 Rover Group Limited Vehicle mirror assemblies
US20020145816A1 (en) 2001-01-26 2002-10-10 Volker Nickel Motor vehicle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02076791A1 (en) 2001-03-26 2002-10-03 Schefenacker Vision Systems Australia Pty Ltd Vehicle external mirror wiring integ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20433D1 (de) 2008-05-29
AU2003276536B2 (en) 2009-01-15
EP1551667A1 (en) 2005-07-13
EP1551667B1 (en) 2008-04-16
JP2006502908A (ja) 2006-01-26
KR20050052530A (ko) 2005-06-02
WO2004035351A1 (en) 2004-04-29
US20060152831A1 (en) 2006-07-13
AU2003276536A1 (en) 2004-05-04
DE60320433T2 (de)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5837A (en) Actuator unit housing for rearview mirror
US5042932A (en) Electrically operated rearview mirror for motor-vehicles
EP1243472B1 (en) Mirror device for vehicle
US20060266151A1 (en) Power adjust tilt-telescope steering column
JP4116557B2 (ja) 調節可能なハウジングのための保持装置
JPS5937396Y2 (ja) 自動車のアウタ−ミラ−の角度調整装置
KR100904146B1 (ko) 리어뷰미러 조립체
US7144065B2 (en) Vehicle liftgate with accessory component module
EP2212155B1 (en) Mounting construction for an outside mirror unit
JP3624125B2 (ja) 補器の車体取付用ブラケット
JP2001171553A (ja) クロスメンバへのフロントクォーターの固定
EP3524474B1 (en) Connecto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rear-view mirror
JP7283968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
CA2337974C (en) External rearview mirror
US7270429B2 (en) Vehicle mirror with powered extension incorporating slip clutch
CN115667017A (zh) 用于车辆的外部视觉单元的调节设备
CN219740496U (zh) 车载监控装置及车辆
US5949596A (en) Exterior rear view mirror with cable pull adjustment
JP2001322495A (ja) 車両用ミラー装置
KR100260303B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용 조절부재
KR200179130Y1 (ko) 자동차 실내 전면의 차폐막 고정 장치
JP2002344218A (ja) アンテナ可倒部の取り付け構造
KR100200158B1 (ko) 차량 인사이드 미러의 미러 스테이 결합구조
JPH0614441B2 (ja) 自動車用ランプ組立体
KR19980024540U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미러 체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