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152B1 -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152B1
KR100902152B1 KR1020080104864A KR20080104864A KR100902152B1 KR 100902152 B1 KR100902152 B1 KR 100902152B1 KR 1020080104864 A KR1020080104864 A KR 1020080104864A KR 20080104864 A KR20080104864 A KR 20080104864A KR 100902152 B1 KR100902152 B1 KR 100902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aw material
material pipe
inner diame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승
Original Assignee
유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승 filed Critical 유태승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152B1/ko
Priority to JP2009204324A priority Critical patent/JP5241656B2/ja
Priority to US12/584,530 priority patent/US9108240B2/en
Priority to CN 200910170528 priority patent/CN101672516B/zh
Priority to EP09169823.3A priority patent/EP2161083A3/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6/00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 B21D26/02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 B21D26/033Deforming tubul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확대되는 직경을 갖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적어도 일측에 다른 파이프가 연결되도록 연결파이프가 용기몸체에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또한, 본원발명은 원자재 파이프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자재 파이프의 적어도 일측의 직경을 축소시켜 연결파이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결파이프를 절곡하는 단계로서 이루어 진다.
이에 따라서, 용기몸체 및 그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파이프를 일체로 형성하여 용기몸체와 연결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공정등을 제거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도록 하는 것이다.
용기몸체, 금형, 내경형성구, 원재료

Description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a container for loosen fluid-shock or mechanical-shock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본 발명은 확대되는 직경을 갖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파이프가 하나의 몸체를 갖는 일체형 구조로서 이루어져 용기몸체와 연결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공정등을 제거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도록 하는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 컴프레셔(air-con compressor)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며 증발기에서 저압기체로 된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응축기로 보내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에어컨 컴프레서(1)는 등록특허 제41285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패널(2)을 관통하는 냉매이동수단(3)을 매개로 실내측에 설치되는 에어컨유니트(도시않됨)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냉매이동수단(3)은 에어컨 컴프레셔(1)와 연결되는 컴프레셔파이프(13)와, 이 컴프레셔파이프(13)와 연결되는 연결호스(23)와, 이 연결호스(23)와 연결되면서 대시패널(2)을 관통하는 실내측에 설치된 에어컨유니트와 연결되는 에 어컨유니트파이프(33)로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컴프레셔파이프(13)의 소정부위에는 제1,2컴프레셔파이프(130)(230)로서 양측이 연결되는 용기(50)가 설치되는데, 상기 용기(50)는 냉매이동수단(3)을 통해 이동되는 냉매의 유동음을 없애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컴프레셔파이프(13)와 용기(50)의 연결상태는 도1b에서와 같이, 컴프레셔파이프(13)의 소정부위에 용기(50)가 설치되면, 상기 에어컨 컴프레셔(1)와 연결되는 제1컴프레셔파이프(130)는 용기(50)의 입구플랜지(51)와 용접으로 접합되어 결합되고, 상기 연결호스(23)와 연결되는 제2컴프레셔파이프(230)는 용기(50)의 출구플랜지(53)와 용접으로 접합되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용기는 특허등록 제311465호에서와 같은 냉장고의 어큐뮬레이터(5)에서 동일형상으로 적용되며, 그 구성은 도2에서와 같이 어큐뮬레이터 몸체(5a)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부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어큐뮬레이터 몸체(5a)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부를 상기 입구부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작동유의 회수효율을 증대시키고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용기 및 어큐뮬레이터는, 컴프레셔파이프(13)의 양측에 연결되는 제1,2컴프레셔파이프(130)(230)를 통하여 냉매이동수단(3)에 연결되거나, 냉장고용 압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용기나 어큐뮬레이터의 제작시 복수의 용접공정 및 세척작업을 필요로 하여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용기의 제조에 관련된 공개특허공보 제2008-10849호에 용기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3에서와 같이, 프레스 압출로 만든 원형의 중공관 상단부의 직경을 축소하는 상단부 포밍단계; 상기 원형 중공관의 하단부 직경을 축소하는 하단부 포밍단계; 상기 상, 하단부 포밍을 마친 원형 중공관의 배관 인/아웃부를 필요 길이로 절단하고 거스름을 없애기 위해 드릴링 가공하며, 끝단을 라운딩 가공하는 끝단절단 및 다듬질단계로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용기 제조방법은, 포밍에 의해서는 관을 축소토록 하여 상기와 같은 제1,2컴프레셔파이프의 연결시 관의 두께 차이가 발생되어 냉매의 흐름을 저하시키게 됨은 물론 압력차로 인한 소음을 발생으로 용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비용 및 소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용기몸체 및 그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파이프를 일체로 형성하여 용기몸체와 연결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공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며, 컴프레셔등이 연결되는 다른 파이프와 연결파이프의 연결부에서 관 연결부의 턱에 의한 소음발생 및 흐름저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외관 이미지를 더욱 더 매끄럽고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되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확대되는 직경을 갖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파이프가 하나의 몸체를 갖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 진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은, 원자재 파이프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자재 파이프의 적어도 일측의 직경을 축소시켜 연결파이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결파이프를 절곡하는 단계로서 이루어 진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비용 및 소재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중량을 저감하고, 용기몸체 및 그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파이프를 일체로 형성하여 용기몸체와 연결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공정을 최소화 하며, 컴프레셔가 연결되는 다른 파이프와의 연결부에서 관 연결이 불필요하여 종래의 연결부 턱에 의한 소음발생 및 흐름저하현상을 방지하고, 외관 이미지를 더욱 더 매끄럽고 균일하게 되어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제조공정도 이며, 도6a,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조공정도 이고,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조공정도 이다.
본 발명의 용기(300)는, 확대되는 직경을 갖는 용기몸체(310)와 상기 용기몸체(310)의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파이프(330)가 하나의 몸체를 갖는 일체로 구조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용기는, 냉장고용 어큐뮬레이터나 자동차용 머플러에 사용토록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용기(300)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용기(300)의 외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일정 길이의 원자재 파이프(P)를 준비한다.
또한, 상기 원자재 파이프(P)는, 용기(300)보다 적은 외경을 갖는 파이프를 준비한 후 원하는 외경의 용기몸체형성부(320)를 갖는 서브금형(M1)에 삽입한 후 그 내경측에 유압배관(507)으로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통해 파이프를 확경시켜 원하는 외경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원자재 파이프(P)의 단부를 테이퍼면(401)의 일측에 일정길이의 파이프제조부(403)가 연장되는 금형(M)에 압입하여 원자재 파이프 양측의 관경(D)을 축소시킨다.
이때, 상기 금형(M)의 내측에는 용기(300)의 내경을 형성하도록 단부에 압착부(510)를 구비하는 내경형성구(500)가 이동가능토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금형(M)의 내측에는 외경형성부(403)가 테이퍼면(401)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경형성구(500)의 일측으로 원자재 파이프(P)에 유압을 공급토록 유압공급관(507)이 더 구비되어도 된다.
상기와 같은 금형을 통하여 원자재 파이프(P)의 적어도 일측에 컴프레셔파이프(330)를 일체로 형성한 후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용기(300)를 완성한다.
다른 한편, 상기 내경형성구(500)에 대응토록 테이퍼면(401)의 일측에 돌출되면서 테이퍼면에 연장되는 라운드부(405)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 및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 내지 도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300)는 확대되는 직경을 갖는 용 기몸체(310)와 상기 용기몸체(310)의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파이프(330)가 하나의 몸체를 갖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 져 종래의 용기몸체(310)에 연결파이프를 별도로 연결하여야 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한다.
본원발명의 용기(300)는, 용기몸체(310)와 그 적어도 일측에 돌출되는 연결파이프(330)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용기(300)의 외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일정 길이의 원자재 파이프(P)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원자재 파이프(P)는, 용기(300)보다 적은 외경을 갖는 파이프를 준비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적은 외경을 갖는 파이프로서 용기(300)를 제조할 경우 원하는 직경과 대응되는 용기몸체형성부(320)를 갖는 서브금형(M1)의 내측에 원자재파이프(P)를 삽입한 후 유압배관(507)을 통하여 원자재파이프(P)의 내측에 압력을 공급하여 원자재파이프의 직경을 원하는 직경으로 확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확경작업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내경형성구(500)에 유압배관(507)을 설치하여 내경형성과 확경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용기몸체(31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되는 원자재 파이프(P)를 용기(300)의 용기몸체(310)와 연결파이프(330)에 대응되도록 테이퍼면(401)과 파이프제조부(403)가 연장되는 금형(M)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금형(M)의 내측에는 용기(300)의 내경을 형성하도록 단부에 볼상의 압착부(510)를 구비하는 내경형성구(500)가 미리 준비된다.
계속하여, 상기 금형(M)을 반복하여 압입하면서 관경(D)을 축소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인 관경의 축소작업은 하나의 금형에 의해 수행하여도 되며, 직경이 점차로 축소되는 각각의 금형을 통하여 점차로 관경을 축소하여도 된다.
계속하여, 상기 원자재파이프(P)의 적어도 일측의 관경이 축소되면 상기 금형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경형성구(500)를 외측으로 당긴다.
이때, 상기 내경형성구(500)가 원자재파이프(P)의 내경측을 팽창시키면서 원하는 내경을 얻도록 되어 용기몸체(310)와 연결파이프(330)를 일체로 성형되는 용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자재파이프(P)는, 상기에서 설명드린 바와같이 원하는 용기몸체보다 축소되는 외경을 사용할 경우 상기 원자재파이프(P)의 양측에서 그 외경을 금형(M)에 의해 축소시킨 후 내경형성구(500)를 후진시켜 원자재파이프(P)의 내경측에 밀착시킨 후 유압배관(507)을 통하여 원자재파이프(P)의 내측에 압력을 공급하여 원자재파이프의 직경을 원하는 직경으로 확대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와 같은 연결파이프(330)의 제작을 위한 축경작업은 도5에서와 같이 원자재파이프(P)의 양측에서 동시에 수행하여도 되며, 도6a 및 도6b에서와 같이 일측면을 축경시킨 후 다른 일측면을 축경토록 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금형을 통하여 원자재 파이프(P)를 성형하여 용기몸체(310)와 연결파이프(330)를 일체로 제조한 후 상기 연결파이프(330)를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종래와 같은 별도의 용접작업이 없이도 에어컨 컴프레셔나 냉장고용 압축기등에 용이하게 연결하는 용기(300)를 완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금형(M)은, 상기 내경형성구(500)에 대응토록 테이퍼면(401)의 일측에 돌출되면서 테이퍼면에 연장되는 라운드부(405)가 구비되어 내경형성구와 금형이 원자재 파이프를 중심으로 동시에 이동하면서 연결파이프(330)의 내경을 형성되는 것이다.
도1a,b는 각각 종래의 에어컴프레셔 및 용기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2는 종래의 냉장고 어큐물레이터에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3은 종래의 용기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제조공정도 이다.
도6a,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조공정도 이다.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제조공정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용기 310...용기몸체
330...연결파이프 401...외경성형부
507...유압배관

Claims (7)

  1. 삭제
  2. 원자재 파이프를 준비하는 단계;
    원자재 파이프의 반복적으로 압입할 때 용기몸체와 연결파이프를 동시에 형성하도록 하면서 내경의 형성이 가능토록 내경형성구를 갖는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원자재 파이프를 금형에 삽입한 후 반복적으로 압입하여 원자재 파이프의 적어도 일측의 외경을 축소시켜 용기몸체의 적어도 일측에 연결파이프를 연장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내경형성구를 후진시켜 연결파이프의 내경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루어진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테이퍼면과 파이프제조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테이퍼면과 파이프제조부가 구비되어 용기몸체와 연결파이프를 일체로 제조하고, 내경형성구를 후진시켜 연결파이프의 내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내경형성구에 대응토록 테이퍼면의 일측에 돌출되는 라운드부가 구비되어 내경형성구와 금형을 동시에 후진시켜 연결파이프의 내경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재 파이프를 준비하는 단계는, 원하는 용기몸체와 동일직경의 원자재 파이프를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재 파이프를 준비하는 단계는, 원하는 용기몸체보다 적은 직경의 파이프를 준비한 후 원하는 직경의 용기몸체형성부를 갖는 서브금형에 삽입한 후 그 내경측에 공급되는 유압으로 확경시켜 원자재 파이프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제조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재 파이프를 준비하는 단계는, 외경형성부를 갖는 금형에 원하는 용기몸체보다 적은 직경의 파이프를 준비한 후 유압배관이 연결되는 내경형성구를 후진시켜 원자재파이프에 밀착하고, 공급되는 유압으로 확경시켜 원자재 파이프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제조방법
KR1020080104864A 2008-09-09 2008-10-24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902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04324A JP5241656B2 (ja) 2008-09-09 2009-09-04 流体ショックまたは機械的ショック緩和用容器の製造方法
US12/584,530 US9108240B2 (en) 2008-09-09 2009-09-08 Method of manufacturing container for absorbing fluid shock or mechanical shock
CN 200910170528 CN101672516B (zh) 2008-09-09 2009-09-08 用于吸收流体震动或机械震动的容器的制造方法
EP09169823.3A EP2161083A3 (en) 2008-09-09 2009-09-09 Method of manufacturing container for absorbing fluid shock or mechanical sh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9000 2008-09-09
KR1020080089000 2008-09-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152B1 true KR100902152B1 (ko) 2009-06-10

Family

ID=4098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864A KR100902152B1 (ko) 2008-09-09 2008-10-24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6586A1 (ja) * 2010-02-04 2011-08-1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ハイドロフォーム成形方法及びハイドロフォーム成形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6538A (en) * 1981-06-15 1982-12-17 Hitachi Ltd Manufacture of exhaust silencer
JPH07310520A (ja) * 1994-05-13 1995-11-28 Futaba Sangyo Kk マフラ、段付パイプ及び縮管方法
JPH10317941A (ja) 1997-05-14 1998-12-02 Nakagawa Sangyo Kk 自動車用マフラーの製造方法
KR100630598B1 (ko) 2005-07-29 2006-10-02 (주)휘일 차량용 에어컨 머플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6538A (en) * 1981-06-15 1982-12-17 Hitachi Ltd Manufacture of exhaust silencer
JPH07310520A (ja) * 1994-05-13 1995-11-28 Futaba Sangyo Kk マフラ、段付パイプ及び縮管方法
JPH10317941A (ja) 1997-05-14 1998-12-02 Nakagawa Sangyo Kk 自動車用マフラーの製造方法
KR100630598B1 (ko) 2005-07-29 2006-10-02 (주)휘일 차량용 에어컨 머플러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6586A1 (ja) * 2010-02-04 2011-08-1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ハイドロフォーム成形方法及びハイドロフォーム成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873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iping having joining portion
US10371453B2 (en) Double pipe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391635Y (zh) 四通阀及具有四通阀的空调器
KR20170051632A (ko) 하이드로 성형방법을 활용한 시스템 에어컨 설치용 유자(u)형 분지관의 성형 방법
CN101274344B (zh) 液压成形环形管状结构的方法
JP2016095132A (ja) 二重管の製造方法
JP2007327706A (ja) 溝付き管、二重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50246896A1 (en) Initial setting method of refrigerant entrance/exit (inlet/outlet) pipe onto header pipe for heat exchanger
KR100902152B1 (ko) 유체 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943720B1 (ko) 유체쇼크 또는 기계적 쇼크 완화용 용기 제조방법
KR101506797B1 (ko) 관 플랜징 방법
JPH07148536A (ja) バルジ形状配管の製造方法
KR20080021907A (ko)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및 이의 제조방법
JP5241656B2 (ja) 流体ショックまたは機械的ショック緩和用容器の製造方法
US910824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tainer for absorbing fluid shock or mechanical shock
CN101458016B (zh) 制冷剂管道单元和制造制冷剂管道单元的管的方法
KR102091990B1 (ko) 차량의 배기가스용 열교환 케이스 제조방법
JP2002372316A (ja) 冷凍装置
KR101069718B1 (ko) 충격을 완화시키는 용기
JP2024501916A (ja) 集気管アセンブリ
JP2014055748A (ja) 内部熱交換器とその製造方法
KR20070115039A (ko)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머플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3142A (ko) 열교환기용 파이프 제작방법
KR20090092918A (ko) 머플러 제조방법
JP5124104B2 (ja) 配管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