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774B1 -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 및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 및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774B1
KR100901774B1 KR1020080123946A KR20080123946A KR100901774B1 KR 100901774 B1 KR100901774 B1 KR 100901774B1 KR 1020080123946 A KR1020080123946 A KR 1020080123946A KR 20080123946 A KR20080123946 A KR 20080123946A KR 100901774 B1 KR100901774 B1 KR 100901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ynchronous
channel
data
ma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텔레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텔레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텔레맥스
Priority to KR1020080123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8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83Add and drop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3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 및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매핑부는 상기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에 연결되고 상기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에서 생성된 비동기계위채널데이터를 동일한 개수의 비동기계위프레임을 갖는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으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각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에 비동기계위채널데이터의 양부 및 전송지연을 판단하기 위한 멀티프레임비트를 삽입하여 비트삽입채널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삽입된 멀티프레임비트에 대한 프레임비트삽입정보를 생성하는 채널프레이밍부와, 상기 비트삽입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데이터클럭을 생성하는 채널클럭생성부와, 입력측이 상기 채널프레이밍부에 연결되고 출력측은 상기 메인프레이밍부와 상기 예비프레이밍부에 연결된 수신탄성버퍼와, 상기 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채널데이터클럭에 따라 상기 채널프레이밍부로부터 입력되는 비트삽입채널데이터를 상기 수신탄성버퍼에 기록하고 상기 동기화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동기화클럭에 따라 상기 수신탄성버퍼에 저장된 비트삽입채널데이터를 독출하며 상기 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채널데이터클럭과 상기 동기화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동기화클럭사이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탄성버퍼로부터 독출되는 비트삽입채널데이터에 스터핑비트를 삽입하여 상기 동기화채널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삽입된 스터핑비트에 대한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생성하는 매핑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매핑부는 상기 메인디프레이밍부로부터 전송되는 동기화채널데이터로부터 상기 멀티프레임비트를 제거하여 메인비트제거채널데이터를 생성하 고 상기 메인디프레이밍부로부터 전송되는 프레임비트삽입정보 및 동기화채널데이터에 포함된 멀티프레임비트에 기초하여 메인데이터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와, 상기 예비디프레이밍부로부터 전송되는 동기화채널데이터로부터 상기 멀티프레임비트를 제거하여 예비비트제거채널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예비디프레이밍부로부터 전송되는 프레임비트삽입정보 및 동기화채널데이터에 포함된 멀티프레임비트에 기초하여 예비데이터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와, 상기 메인비트제거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메인채널데이터클럭을 생성하는 메인채널클럭생성부와, 상기 예비비트제거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예비채널데이터클럭을 생성하는 예비채널클럭생성부와,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메인데이터평가정보와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예비데이터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메인채널데이터클럭과 상기 예비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예비채널데이터클럭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상기 수신비동기클럭과 동일한 주파수의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는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와, 입력측이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에 연결된 메인송신탄성버퍼와, 입력측이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에 연결된 예비송신탄성버퍼와, 상기 메인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메인채널데이터클럭에 따라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로부터 입력되는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상기 메인송신탄성버퍼에 기록하고 상기 예비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예비채널데이터클럭에 따라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로부터 입력되는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상기 예비송신탄성버퍼에 기록하며 상기 메인송신탄성버퍼에 저장된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와 상기 예비송신탄성버퍼에 저장된 예비비동 기계위송신데이터를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수신비동기클럭에 따라 동시에 독출하며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로부터의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상기 메인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한 메인채널데이터클럭에 반영하여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도록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로부터의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상기 예비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한 예비채널데이터클럭에 반영하여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도록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를 제어하는 디매핑제어부와,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메인데이터평가정보와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예비데이터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송신탄성버퍼로부터 독출되는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와 상기 예비송신탄성버퍼로부터 독출되는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중 어느 일방을 상기 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로 선택하는 데이터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장애발생 시점부터 자동복구 후 재동기를 찾는 시간동안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순간적인 장애를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동기통신망, 탄성버퍼, 스터핑, 프레이밍

Description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 및 전송방법 {Transmission Equipment and Transmission Method for Synchronous Network}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가 설치된 통신망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의 송신측 기능별 블록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매핑부의 기능별 블록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채널프레이밍부에서 그룹핑된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의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의 수신측 기능별 블록도,
도6은 도5에 도시된 디매핑부의 기능별 블록도,
도7은 도6에 도시된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의 기능별 블록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의 타이밍도,
도9는 종래의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의 송신측 기능별 블록도,
도10은 종래의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의 수신측 기능별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1 : 동기화클럭생성부 12, 112 : 비동기망수신부
13, 113 : 수신비동기클럭생성부 14, 114 :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
15, 115 : 메인프레이밍부 16, 116 : 예비프레이밍부
17, 117 : 메인동기망송신부 18, 118 : 예비동기망송신부
19, 119 : 메인동기망수신부 20, 120 : 예비동기망수신부
21, 121 : 메인디프레이밍부 22, 122 : 예비디프레이밍부
23, 123 : 비동기망송신부 30, 130 : 매핑부
31 : 채널프레이밍부 32 : 채널클럭생성부
33, 133 : 수신탄성버퍼 34, 134 : 매핑제어부
40, 140 : 디매핑부 41 :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
42 :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 43 : 메인채널클럭생성부
44 : 예비채널클럭생성부 45, 145 :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
46 : 메인송신탄성버퍼 47 : 예비송신탄성버퍼
48, 148 : 디매핑제어부 49, 149 : 데이터선택부
143 : 채널클럭생성부 146 : 송신탄성버퍼
본 발명은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 및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 세하게는 하나의 시스템클럭을 통해 망 전체의 타이밍이 처리되고 비동기식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신호를 동기신호의 일부로 삽입하거나 역으로 동기신호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전송 인터페이스의 표준이 적용되고 자동복구 보호절체방식을 채용한 동기식통신망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전송장치 및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의 고속 디지털전송 능력의 비중이 커짐에 따라 하나의 시스템클럭을 통해 망 전체의 타이밍이 처리되고 비동기식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신호를 동기신호의 일부로 삽입하거나 역으로 동기신호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광전송 인터페이스의 표준(SONET/Synchronous Optical Network : 미국 ANSI,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 유럽 ITU-T)을 적용한 동기식통신망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들 동기식통신망은 선형망(Linear Network), 링형망(Ring Network), 메시망(Mesh Network)등의 형태로 구성되고, 각 망형태는 신호전송경로가 고장난 경우 우회전송경로를 통해 자동으로 전송하는 자동복구기능을 갖도록 구현되어 있다.
링형망의 동기통신망의 경우 자동복구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단일방향 자동복구 링경로보호방식(U-SHR-PP : Unidirectional Self Healing ring and Path Protection)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단일방향 자동복구 링경로보호방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현된다.
전송장치는 ADM(add/Drop Multiplexer)로 구성되고, 전송경로는 ADM을 링형태로 상호 연결하는 두개의 광섬유로 구성된다.
ADM은 브릿지(Bridge)동작을 통해 데이터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모두 전송한다.
그리고 ADM은 시계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반시계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스위칭(Switching) 동작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이를 위해 ADM은 스위칭동작을 위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신트래픽에 포함된 LOS(Loss-of-Signal), AIS(Alarm Indication Signal)을 통해 데이터의 양부를 감시한다.
데이터 감시결과 시계 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양호한 경우 시계방향경로의 데이터가 선택되고, 시계 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불량한 경우에는 반시계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선택된다.
도9는 종래의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의 송신측 기능별 블록도이고, 도10은 종래의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의 수신측 기능별 블록도이다.
종래의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동기식통신망(201)으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계위수신신호를 수신하는 비동기망수신부(112)와, 비동기망수신부(112)에 수신된 비동기계위수신신호에 대응하는 동기화클럭을 생성하는 동기화클럭생성부(111)와, 비동기식통신망(201)에 연결된 비동기망수신부(112)와, 비동기망수신부(112)에 연결된 수신비동기클럭생성부(113) 및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114)와,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114)와 동기화클럭생성부(111)에 연결된 매핑부(130)와, 매핑부(130)에 연결된 메인프레이밍부(115) 및 예비프레이밍부(116)와, 메인프레이밍부(115)에 연결된 메인동기망송신부(117)와, 메인동기망송신부(117)에 시계방향광전송로(202)를 통해 연결된 메인동기망수 신부(119)와, 메인동기망수신부(119)에 연결된 메인디프레이밍부(121)와, 예비프레이밍부(116)에 연결된 예비동기망송신부(118)와, 예비동기망송신부(118)에 반시계방향광전송로(203)를 통해 연결된 예비동기망수신부(120)와, 예비동기망수신부(120)에 연결된 예비디프레이밍부(122)와, 메인디프레이밍부(121)와 예비디프레이밍부(122)에 연결된 디매핑부(140)와, 디매핑부(140)와 비동기식통신망(201)에 연결된 비동기망송신부(123)를 갖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비동기식통신망(201)으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계위수신신호는 전송속도가 2.048Mbps(이하 "E1"이라고 함)이라고 하고, 비동기계위수신신호와 다중화될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는 전송속도가 155.520Mbps(이하 "STM-1"이라고 함)이라고 한다.
비동기망수신부(112)는 수신신호의 레벨 변환 극성의 변환 등의 신호정합동작을 수행한다.
동기화클럭생성부(111)는 155.520Mbps의 동기화클럭을 생성한다.
수신비동기클럭생성부(113)는 2.048Mbps의 수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한다.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114)는 수신비동기클럭생성부(113)에서 생성한 수신비동기클럭에 따라 비동기망수신부(112)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계위수신신호를 샘플링하여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를 재생한다.
매핑부(130)는 입력측이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114)에 연결되고 출력측이 메인프레이밍부(115)와 예비프레이밍부(116)에 연결된 수신탄성버퍼(133)와, 수신탄성버퍼(133)의 기록동작과 독출동작을 제어하는 매핑제어부(134)를 갖고 있 다.
수신탄성버퍼(133)는 선입선출(先入先出, FIFO) 방식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출력한다.
매핑제어부(134)는 수신비동기클럭생성부(113)에서 생성된 수신비동기클럭에 따라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114)로부터 출력되는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를 수신탄성버퍼(133)에 기록하고, 동기화클럭생성부(111)에서 생성된 동기화클럭에 따라 수신탄성버퍼(133)에 저장된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를 독출한다.
그리고 매핑제어부(134)는 수신비동기클럭생성부(113)에서 생성된 수신비동기클럭과 동기화클럭생성부(111)에서 생성된 동기화클럭사이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수신탄성버퍼(133)로부터 독출되는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에 스터핑비트를 삽입하여 동기화채널데이터를 생성한다. 상이한 클럭사이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동기화신호의 클럭주파수를 비동기신호의 클럭주파수보다 크게 하고 동기화신호에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스터핑비트(무효비트)를 삽입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는 스터핑비트를 제거하여 송신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은 종래 널려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매핑제어부(134)는 동기화채널데이터에 삽입된 스터핑비트에 대한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생성하여 메인프레이밍부(115)와 예비프레이밍부(116)에 전송한다.
메인프레이밍부(115)는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수신탄성버퍼(133)로부터의 동기화채널데이터를 155.520Mbps(이하 "STM-1"라고 함)속도로 변환한 후 타경로동 기계위데이터("STM-1" X 2)와 시분할방식으로 다중화하여 전송속도가 466.560Mbps(이하 "STM-3"이라고 함)인 동기프레임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동기프레임신호가 생성될 때 매핑제어부(134)에서 생성된 스터핑비트삽입정보와 LOS(Loss-of-Signal), AIS(Alarm Indication Signal)가 동기프레임신호의 경로오버헤드영역에 포함된다. 그리고 "STM-1"속도로 변환될 때 다른 경로의 비동기계위수신신호가 다중화될 수 있다.
예비프레이밍부(116)는 메인프레이밍부(1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신탄성버퍼(133)로부터의 동기화채널데이터를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와 시분할방식으로 다중화하여 전송속도가 466.560Mbps(이하 "STM-3"이라고 함)인 동기프레임신호를 생성한다.
메인동기망송신부(117)는 메인프레이밍부(115)에서 생성한 동기프레임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시계방향광전송로(202)를 통해 전송한다.
예비동기망송신부(118)는 예비프레이밍부(116)에서 생성한 동기프레임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반시계방향광전송로(203)를 통해 전송한다.
메인동기망수신부(119)는 시계방향광전송로(202)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메인디프레이밍부(121)로 전송한다.
예비동기망수신부(120)는 반시계방향광전송로(203)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예비디프레이밍부(122)로 전송한다. 예비동기망송신부(118)와 예비동기망수신부(120)사이의 광신호경로와 메인동기망송신부(117)와 메인동기망수신부(119)사이의 광신호경로의 차이 등으로 예비동기망수신부(120)로 전 송되는 광신호와 메인동기망수신부(119)로 전송되는 광신호는 소정의 시간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메인디프레이밍부(121)는 메인동기망수신부(119)에서 변환된 STM-3의 전기신호를 역다중화하여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STM-1" X 2)와 동기화채널데이터를 분리한다.
예비디프레이밍부(122)는 메인디프레이밍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STM-3의 전기신호를 역다중화하여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STM-1" X 2)와 동기화채널데이터를 분리한다.
메인디프레이밍부(121)와 예비디프레이밍부(122)에서 분리된 동기화채널데이터는 디매핑부(140)로 전송된다.
디매핑부(140)는 메인디프레이밍부(121)와 예비디프레이밍부(122)에 연결된 데이터선택부(149)와, 데이터선택부(149)에 연결된 채널클럭생성부(143)와, 채널클럭생성부(143)에 연결된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145)와, 입력측이 데이터선택부(149)에 연결된 송신탄성버퍼(146)와, 송신탄성버퍼(146)의 기록동작과 독출동작을 제어하는 디매핑제어부(148)를 갖고 있다.
데이터선택부(149)는 메인디프레이밍부(115)로부터 데이터선택부(149)로 입력되는 동기화채널데이터와 예비디프레이밍부(116)로부터 데이터선택부(149)로 입력되는 동기화채널데이터에 포함된 LOS(Loss-of-Signal)와 AIS(Alarm Indication Signal)를 조사하여 메인디프레이밍부(115)로부터 데이터선택부(149)로 입력되는 동기화채널데이터가 양호한 경우에는 메인디프레이밍부(115)로부터의 동기화채널데 이터를 선택하고, 메인디프레이밍부(115)로부터 데이터선택부(149)로 입력되는 동기화채널데이터가 불량하고 예비디프레이밍부(116)로부터 데이터선택부(149)로 입력되는 동기화채널데이터가 양호한 경우에는 예비디프레이밍부(116)로부터의 동기화채널데이터를 선택한다.
채널클럭생성부(143)는 데이터선택부(149)에서 선택된 동기화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데이터클럭을 생성한다.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145)는 채널클럭생성부(143)로부터의 채널데이터클럭에 기초하여 디매핑제어부(148)로부터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반영하여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한다.
송신탄성버퍼(146)는 선입선출(先入先出, FIFO) 방식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출력한다.
디매핑제어부(148)는 채널클럭생성부(143)에서 생성된 채널데이터클럭에 따라 데이터선택부(149)로부터의 동기화채널데이터를 송신탄성버퍼(146)에 기록하고, 송신탄성버퍼(146)에 저장된 동기화채널데이터를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145)에서 생성된 수신비동기클럭에 따라 독출되도록 송신탄성버퍼(146)를 제어한다.
그리고 디매핑제어부(48)는 데이터선택부(149)로부터의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채널클럭생성부(143)에서 생성한 채널데이터클럭에 반영하여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도록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145)를 제어한다.
비동기망송신부(123)는 디매핑부(140)에서 생성된 비동기계위송신신호에 대해 레벨 변환, 극성의 변환 등의 신호정합동작을 수행한 후, 비동기식통신망(201) 으로 전송한다.
그런데 종래의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에 따르면, 메인디프레이밍부(115)로부터 데이터선택부(149)로 입력되는 동기화채널데이터와 예비디프레이밍부(116)로부터 데이터선택부(149)로 입력되는 동기화채널데이터는 비트열과 클럭의 위상이 일치하지 않아(시계방향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와 반시계방향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전송경로의 차이, 신호처리시간의 차이(송신측과 수신측에서 각각 발생함) 등에 의해 데이터가 데이터선택부에 도달하는 시간이 달라짐) 자동복귀동작시 예비디프레이밍부(116)로부터 데이터선택부(149)로 입력되는 동기화채널데이터와 시스템클럭사이의 재동기를 찾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재동기를 찾는 시간동안(수백 마이크로초 내지 수 밀리초)만큼 장애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선형망(Linear Network), 메시망(Mesh Network)등과 같이 다른 형태의 동기통신망에서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경로 및 예비경로를 통하여 주경로의 장애 시 장애 발생시점부터 예비경로로의 자동복구동작시까지의 장애시간을 없는 자동복구기능을 통하여 에러없는 서비스를 수 있도록 한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 및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비동기식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계위수신신호를 수신하는 비동기망수신부와, 상기 비동기망수신부에 수신된 비동기계위수신신호에 대응하는 동기화클럭을 생성하는 동기화클럭생성부와, 상기 비동기망수신부에서 수신한 비동기계위수신신호로부터 수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는 수신비동기클럭생성부와, 상기 수신비동기클럭생성부에서 생성한 수신비동기클럭에 기초하여 상기 비동기망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계위수신신호로부터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와, 상기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에서 생성된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로부터 동기화채널데이터를 생성하는 매핑부와, 상기 동기화채널데이터를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와 시분할방식으로 다중화하여 동기프레임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메인프레이밍부 및 예비프레이밍부와, 상기 메인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동기프레임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메인동기망송신부와, 상기 예비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동기프레임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예비동기망송신부와, 상기 메인동기망송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메인동기망수신부와, 상기 예비동기망송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예비동기망수신부와, 상기 메인동기망수신부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동기프레임신호를 시분할방식으로 역다중화하여 상기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와 상기 동기화채널데이터를 분리하는 메인디프레이밍부와, 상기 예비동기망수신부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동기프레임신호를 시분할방식으로 역다중화하여 상기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와 상기 동기화채널데이터를 분리하는 예비디프레이밍부와, 상기 메인디프레이밍부와 상기 예비디프레이밍부에서 분리한 동기화채널데이터에 기초하여 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매핑부와, 상기 디매핑부에서 생성된 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비동기식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비동기망송신부를 갖는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핑부는 상기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에 연결되고 상기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에서 생성된 비동기계위채널데이터를 동일한 개수의 비동기계위프레임을 갖는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으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각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에 비동기계위채널데이터의 양부 및 전송지연을 판단하기 위한 멀티프레임비트를 삽입하여 비트삽입채널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삽입된 멀티프레임비트에 대한 프레임비트삽입정보를 생성하는 채널프레이밍부와, 상기 비트삽입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데이터클럭을 생성하는 채널클럭생성부와, 입력측이 상기 채널프레이밍부에 연결되고 출력측은 상기 메인프레이밍부와 상기 예비프레이밍부에 연결된 수신탄성버퍼와, 상기 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채널데이터클럭에 따라 상기 채널프레이밍부로부터 입력되는 비트삽입채널데이터를 상기 수신탄성버퍼에 기록하고 상기 동기화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동기화클럭에 따라 상기 수신탄성버퍼에 저장된 비트삽입채널데이터를 독출하며 상기 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채널데이터클럭과 상기 동기화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동기화클럭사이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탄성버퍼로부터 독출되는 비트삽입채널데이터에 스터핑비트를 삽입하여 상기 동기화채널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삽입된 스터핑비트에 대한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생성하는 매핑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매핑부는 상기 메인디프레이밍부로부터 전송되는 동기화채널데이터로부터 상기 멀티프레임비트를 제거하여 메인비트제거채널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디프레이밍부로부터 전송되는 프레임비트삽입정보 및 동기화채널데이터에 포함된 멀티프레임비트에 기초하여 메인데이터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와, 상기 예비디프레이밍부로부터 전송되는 동기화채널데이터로부터 상기 멀티프레임비트를 제거하여 예비비트제거채널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예비디프레이밍부로부터 전송되는 프레임비트삽입정보 및 동기화채널데이터에 포함된 멀티프레임비트에 기초하여 예비데이터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와, 상기 메인비트제거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메인채널데이터클럭을 생성하는 메인채널클럭생성부와, 상기 예비비트제거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예비채널데이터클럭을 생성하는 예비채널클럭생성부와,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메인데이터평가정보와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예비데이터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메인채널데이터클럭과 상기 예비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예비채널데이터클럭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상기 수신비동기클럭과 동일한 주파수의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는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와, 입력측이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에 연결된 메인송신탄성버퍼와, 입력측이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에 연결된 예비송신탄성버퍼와, 상기 메인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메인채널데이터클럭에 따라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로부터 입력되는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상기 메인송신탄성버퍼에 기록하고 상기 예비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예비채널데이터클럭에 따라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로부터 입력되는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상기 예비송신탄성버퍼에 기록하며 상기 메인송신탄성버퍼에 저장된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와 상기 예비송신탄성버퍼에 저장된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수신비동기클럭에 따라 동시에 독출하며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로부터의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상기 메인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한 메인채널데이터클럭에 반영하여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도록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로부터의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상기 예비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한 예비채널데이터클럭에 반영하여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도록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를 제어하는 디매핑제어부와,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메인데이터평가정보와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예비데이터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송신탄성버퍼로부터 독출되는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와 상기 예비송신탄성버퍼로부터 독출되는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중 어느 일방을 상기 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로 선택하는 데이터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데이터전송에러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멀티프레임비트는 상기 각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의 시작위치를 나타내는 멀티프레임시작위치비트와 상기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 상호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프레임순서비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적은 비용으로 정확한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는 출력단이 상기 메인송신탄성버퍼와 상기 예비송신탄성버퍼에 공통으로 연결된 위상동기루프회로부와,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메인데이터평가정보와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예비데이터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상동기루프회로부의 입력단과 상기 메인채널클럭생성부사이 또는 상기 위상동기루프회로부의 입력단과 상기 예비채널클럭생성부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럭선택입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가 설치된 통신망의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의 송신측 기능별 블록도이며, 도3은 도2에 도시된 매핑부의 기능별 블록도이며, 도4는 도3에 도시된 채널프레이밍부에서 그룹핑된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의 구성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의 수신측 기능별 블록도이며, 도6은 도5에 도시된 디매핑부의 기능별 블록도이며, 도7은 도6에 도시된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의 기능별 블록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의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1)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동기식통신망(201)으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계위수신신호를 수신하는 비동기망수신부(12)와, 비동기망수신부(12)에 수신된 비동기계위수신신호에 대응하는 동기화클럭을 생성하는 동기화클럭생성부(11)와, 비동기식통신망(201)에 연결된 비동기망수신부(12)와, 비동기망수신부(12)에 연결된 수신비동기클럭생성부(13) 및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14)와,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14)와 동기화클럭생성부(11)에 연결된 매핑부(30)와, 매핑부(30)에 연결된 메인프레이밍부(15) 및 예비프레이밍부(16)와, 메인프레이밍부(15)에 연결된 메인동기망송신부(17)와, 메인동기망송신부(17)에 시계방향광전송로(202)를 통해 연결된 메인동기망수신부(19)와, 메인동기망수신부(19)에 연결된 메인디프레이밍부(21)와, 예비프레이밍부(16)에 연결된 예비동기망송신부(18)와, 예비동기망송신부(18)에 반시계방 향광전송로(203)를 통해 연결된 예비동기망수신부(20)와, 예비동기망수신부(20)에 연결된 예비디프레이밍부(22)와, 메인디프레이밍부(21)와 예비디프레이밍부(22)에 연결된 디매핑부(40)와, 디매핑부(40)와 비동기식통신망(201)에 연결된 비동기망송신부(23)를 갖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비동기식통신망(201)으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계위수신신호는 전송속도가 2.048Mbps(이하 "E1"이라고 함)이라고 하고, 비동기계위수신신호와 다중화될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는 전송속도가 155.520Mbps(이하 "STM-1"이라고 함)이라고 한다.
비동기망수신부(12)는 수신신호의 레벨 변환 극성의 변환 등의 신호정합동작을 수행한다.
동기화클럭생성부(11)는 155.520Mbps의 동기화클럭을 생성한다.
수신비동기클럭생성부(13)는 2.048Mbps의 수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한다.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14)는 수신비동기클럭생성부(13)에서 생성한 수신비동기클럭에 따라 비동기망수신부(12)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계위수신신호를 샘플링하여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를 재생한다.
매핑부(30)는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14)에 연결된 채널프레이밍부(31)와, 채널프레이밍부(31)에 연결된 채널클럭생성부(32)와, 입력측이 채널프레이밍부(31)에 연결되고 출력측이 메인프레이밍부(15)와 예비프레이밍부(16)에 연결된 수신탄성버퍼(33)와, 수신탄성버퍼(33)의 기록동작과 독출동작을 제어하는 매핑제어부(34)를 갖고 있다.
채널프레이밍부(31)는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14)에서 생성된 비동기계위채널데이터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개의 비동기계위프레임을 갖는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으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각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에 비동기계위채널데이터의 양부를 판단하기 위한 멀티프레임비트를 삽입하여 비트삽입채널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멀티프레임비트는 각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의 시작위치를 나타내는 멀티프레임시작위치비트(도4의 F0, F1, F2, F3, F5, F6, F7)와,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 상호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프레임순서비트(도4의 S0, S1, S2, S3)를 포함한다.
멀티프레임시작위치비트는 각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에 대하여 동일한 값(예를 들면 F0=1, F1=0, F2=1, F3=0, F5=0, F6=1, F7=0)을 갖도록 삽입된다.
프레임순서비트는 2진값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개수(프레임순서비트가 4개인 경우 16개)의 연속되는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을 하나의 멀티프레임그룹이라고 할 때 각 멀티프레임그룹에 속하는 각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하나씩 증가하도록 삽입된다. 다른 멀티프레임그룹에 속하는 각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 상호간에는 동일한 프레임순서비트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채널프레이밍부(31)는 삽입된 멀티프레임비트에 대한 프레임비트삽입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프레임비트삽입정보에는 멀티프레임비트에 대한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채널클럭생성부(32)는 채널프레이밍부(31)에 생성된 비트삽입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데이터클럭을 생성한다.
수신탄성버퍼(33)는 선입선출(先入先出, FIFO) 방식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출력한다.
매핑제어부(34)는 채널클럭생성부(32)에서 생성된 채널데이터클럭에 따라 채널프레이밍부(31)로부터 출력되는 비트삽입채널데이터를 수신탄성버퍼(33)에 기록하고, 동기화클럭생성부(11)에서 생성된 동기화클럭에 따라 수신탄성버퍼(33)에 저장된 비트삽입채널데이터를 독출한다.
그리고 매핑제어부(34)는 채널클럭생성부(32)에서 생성된 채널데이터클럭과 동기화클럭생성부(11)에서 생성된 동기화클럭사이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수신탄성버퍼(33)로부터 독출되는 비트삽입채널데이터에 스터핑비트를 삽입하여 동기화채널데이터를 생성한다. 상이한 클럭사이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동기화신호의 클럭주파수를 비동기신호의 클럭주파수보다 크게 하고 동기화신호에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스터핑비트(무효비트)를 삽입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는 스터핑비트를 제거하여 송신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은 종래 널려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매핑제어부(34)는 동기화채널데이터에 삽입된 스터핑비트에 대한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생성하여 메인프레이밍부(15)와 예비프레이밍부(16)에 전송한다.
메인프레이밍부(15)는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수신탄성버퍼(33)로부터의 동기화채널데이터를 155.520Mbps(이하 "STM-1"라고 함)속도로 변환한 후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STM-1" X 2)와 시분할방식으로 다중화하여 전송속도가 466.560Mbps(이 하 "STM-3"이라고 함)인 동기프레임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동기프레임신호가 생성될 때 채널프레이밍부(31)에서 생성된 프레임비트삽입정보, 매핑제어부(34)에서 생성된 스터핑비트삽입정보, LOS(Loss-of-Signal) 및 AIS(Alarm Indication Signal)가 동기프레임신호의 경로오버헤드영역에 포함된다. 그리고 "STM-1"속도로 변환될 때 다른 경로의 비동기계위수신신호가 다중화될 수 있다.
예비프레이밍부(16)는 메인프레이밍부(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신탄성버퍼(33)로부터의 동기화채널데이터를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와 시분할방식으로 다중화하여 전송속도가 466.560Mbps(이하 "STM-3"이라고 함)인 동기프레임신호를 생성한다.
메인동기망송신부(17)는 메인프레이밍부(15)에서 생성한 동기프레임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시계방향광전송로(202)를 통해 전송한다.
예비동기망송신부(18)는 예비프레이밍부(16)에서 생성한 동기프레임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반시계방향광전송로(203)를 통해 전송한다.
메인동기망수신부(19)는 시계방향광전송로(202)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메인디프레이밍부(21)로 전송한다.
예비동기망수신부(20)는 반시계방향광전송로(203)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예비디프레이밍부(22)로 전송한다. 예비동기망송신부(18)와 예비동기망수신부(20)사이의 광신호경로와 메인동기망송신부(17)와 메인동기망수신부(19)사이의 광신호경로의 차이 등으로 예비동기망수신부(20)로 전송되는 광신호와 메인동기망수신부(19)로 전송되는 광신호는 소정의 시간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메인디프레이밍부(21)는 메인동기망수신부(19)에서 변환된 STM-3의 전기신호를 역다중화하여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STM-1" X 2)와 동기화채널데이터를 분리한다.
그리고 메인디프레이밍부(21)는 동기화채널데이터에 포함된 LOS(Loss-of-Signal)와 AIS(Alarm Indication Signal)를 조사하여 동기화채널데이터의 양부를 판단하고 양부판단정보를 생성하여 후술하는 데이터선택부(49)로 전달한다.
예비디프레이밍부(22)는 메인디프레이밍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STM-3의 전기신호를 역다중화하여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STM-1" X 2)와 동기화채널데이터를 분리한다.
그리고 예비디프레이밍부(22)는 동기화채널데이터에 포함된 LOS(Loss-of-Signal)와 AIS(Alarm Indication Signal)를 조사하여 동기화채널데이터의 양부를 판단하고 양부판단정보를 생성하여 후술하는 데이터선택부(49)로 전달한다.
메인디프레이밍부(21)와 예비디프레이밍부(22)에서 분리된 동기화채널데이터는 디매핑부(40)로 전송된다.
디매핑부(40)는 메인디프레이밍부(21)에 연결된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41)와, 예비디프레이밍부(22)에 연결된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42)와,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41)에 연결된 메인채널클럭생성부(43)와,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42)에 연결된 예비채널클럭생성부(44)와,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41)와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42)에 연결된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45)와, 입력측이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41)에 연결된 메인송신탄성버퍼(46)와, 입력측이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42)에 연결된 예비송신탄성버퍼(47)와, 메인송신탄성버퍼(46)와 예비송신탄성버퍼(47)의 기록동작과 독출동작을 제어하는 디매핑제어부(48)와, 메인송신탄성버퍼(46)와 예비송신탄성버퍼(47)에 연결된 데이터선택부(49)를 갖고 있다.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41)는 메인디프레이밍부(21)로부터 전송되는 동기화채널데이터로부터 멀티프레임비트를 제거하여 메인비트제거채널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41)는 메인디프레이밍부(21)로부터 전송되는 프레임비트삽입정보에 기초하여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의 동기를 찾은 다음 동기화채널데이터에 포함된 멀티프레임비트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메인데이터평가정보를 생성한다.
즉, 멀티프레임비트에 에러가 없는 경우 메인데이터평가정보가 양호한 것으로 생성하고 에러가 있는 경우 메인데이터평가정보가 불량한 것으로 생성한다. 여기서 프레임순서비트가 각 멀티프레임그룹에 속하는 각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하나씩 증가하도록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멀티프레임시작위치비트에 에러가 없으나 프레임순서비트에 에러가 있는 경우 다음 멀티프레임시작위치비트를 확인하기 전에 메인데이터평가정보가 불량인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비디프레이밍부(22)로부터 전송되는 동기화채널데이터로부터 멀티프레임비트를 제거하여 예비비트제거채널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42)는 예비디프레이밍부(22)로부터 전송되는 프레임비트삽입정보에 기초하여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의 동기를 찾은 다음 동기화채널데이터에 포함된 멀티프레임비트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예비데이터 평가정보를 생성한다.
즉, 멀티프레임비트에 에러가 없는 경우 예비데이터평가정보가 양호한 것으로 생성하고 에러가 있는 경우 예비데이터평가정보가 불량한 것으로 생성한다.
메인채널클럭생성부(43)는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41)에서 생성한 메인비트제거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메인채널데이터클럭을 생성한다.
예비채널클럭생성부(44)는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42)에서 생성한 예비비트제거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예비채널데이터클럭을 생성한다.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45)는 출력단이 메인송신탄성버퍼(46)와 예비송신탄성버퍼(47)에 공통으로 연결된 위상동기루프회로부(45a)와, 위상동기루프회로부(45a)의 입력단, 메인채널클럭생성부(43) 및 예비채널클럭생성부(44)에 연결된 클럭선택입력부(45b)를 갖고 있다.
위상동기루프회로부(45a)는 출력클럭이 디매핑제어부(48)에 의해 고정(Locked)된다.
클럭선택입력부(45b)는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41)에서 생성한 메인데이터평가정보와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42)에서 생성한 예비데이터평가정보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위상동기루프회로부(45a)의 입력단과 메인채널클럭생성부(43)사이 또는 위상동기루프회로부(45a)의 입력단과 예비채널클럭생성부(44)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즉,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41)에서 생성한 메인데이터평가정보가 양호할 때에는 위상동기루프회로부(45a)의 입력단과 메인채널클럭생성부(43)사이를 연결하 고,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41)에서 생성한 메인데이터평가정보가 불량할 때에는 위상동기루프회로부(45a)의 입력단과 예비채널클럭생성부(44)사이를 연결한다.
메인송신탄성버퍼(46)는 선입선출(先入先出, FIFO) 방식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출력한다.
그리고 메인송신탄성버퍼(46)는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의 저장율을 산출하여 디매핑제어부(48)로 전송한다.
예비송신탄성버퍼(47)는 선입선출(先入先出, FIFO) 방식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출력한다.
그리고 예비송신탄성버퍼(47)는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의 저장율을 산출하여 디매핑제어부(48)로 전송한다.
디매핑제어부(48)는 메인채널클럭생성부(43)에서 생성된 메인채널데이터클럭에 따라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41)에서 생성된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메인송신탄성버퍼(46)에 기록하고, 예비채널클럭생성부(44)에서 생성된 예비채널데이터클럭에 따라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42)에서 생성된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예비송신탄성버퍼(47)에 기록한다.
그리고 디매핑제어부(48)는 메인송신탄성버퍼(46)에 저장된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와 예비송신탄성버퍼(47)에 저장된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45)에서 생성된 수신비동기클럭에 따라 메인송신탄성버퍼(46)의 저장율과 예비송신탄성버퍼(47)의 저장율이 모두 소정의 기준저장율이상이 될 때 동시에 독출되도록 메인송신탄성버퍼(46)와 예비송신탄성버퍼(47)를 제어한다. 여기 서 기준저장율은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와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가 각각 메인송신탄성버퍼(46)와 예비송신탄성버퍼(47)에 기록될 때까지의 시간지연차를 측정하고 측정시간지연차동안 탄성버퍼에 기록되는 저장율보다 큰 값으로 선택할 수 있다.
메인송신탄성버퍼(46)와 예비송신탄성버퍼(47)의 동시 독출 동작은 인에이블신호를 동시에 메인송신탄성버퍼(46)와 예비송신탄성버퍼(47)에 인가하여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인에이블신호는 위상동기루프회로부(45a)의 출력이 정상적인 경우에만 인가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매핑제어부(48)는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41)로부터의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메인채널클럭생성부(43)에서 생성한 메인채널데이터클럭에 반영하여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도록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45)를 제어하고(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로부터의 스터핑비트삽입정보에 기초하여 위상동기루프회로부의 출력을 고정),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42)로부터의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예비채널클럭생성부(44)에서 생성한 예비채널데이터클럭에 반영하여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도록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45)를 제어한다(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로부터의 스터핑비트삽입정보에 기초하여 위상동기루프회로부의 출력을 고정).
데이터선택부(49)는 메인디프레이밍부(21)와 예비디프레이밍부(22)에서 생성한 양부판단정보,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41)에서 생성한 메인데이터평가정보 및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42)에서 생성한 예비데이터평가정보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메인송신탄성버퍼(46)로부터 독출되는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와 예비 송신탄성버퍼(47)로부터 독출되는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중 어느 일방을 비동기망송신부(23)로 전송한다.
즉, 메인디프레이밍부(21)에서 생성한 양부판단정보가 불량할 때는 예비송신탄성버퍼(47)로부터 독출되는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비동기망송신부(23)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인디프레이밍부(21)와 예비디프레이밍부(22)에서 생성한 양부판단정보가 모두 양호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메인송신탄성버퍼(46)로부터 독출되는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와 예비송신탄성버퍼(47)로부터 독출되는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중 어느 일방을 비동기망송신부(23)로 전송한다.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41)에서 생성한 메인데이터평가정보가 양호할 때에는 메인송신탄성버퍼(46)로부터 독출되는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비동기망송신부(23)로 전송하고,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41)에서 생성한 메인데이터평가정보가 불량할 때에는 예비송신탄성버퍼(47)로부터 독출되는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비동기망송신부(23)로 전송한다.
비동기망송신부(23)는 디매핑부(40)에서 생성된 비동기계위송신신호에 대해 레벨 변환, 극성의 변환 등의 신호정합동작을 수행한 후, 비동기식통신망(201)으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선택부(49)에 입력되는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와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는 비트열과 클럭의 위상이 일치하고 시스템클럭과 무관하게 자동복구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예비비동기계 위송신데이터와 시스템클럭사이의 재동기를 찾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복구동작시 재동기를 찾는 시간동안(수백 마이크로초 내지 수밀리초) 장애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선택부에 입력되는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와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는 비트열과 클럭의 위상이 일치하고 시스템클럭과 무관하게 자동복구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입자로 송신되는 데이터는 항시 일정하게 되고 기존의 방식에서 장애 시부터 자동복구까지에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50밀리초 동안의 장애시간이 없이 에러없는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비동기식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계위수신신호를 수신하는 비동기망수신부와, 상기 비동기망수신부에 수신된 비동기계위수신신호에 대응하는 동기화클럭을 생성하는 동기화클럭생성부와, 상기 비동기망수신부에서 수신한 비동기계위수신신호로부터 수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는 수신비동기클럭생성부와, 상기 수신비동기클럭생성부에서 생성한 수신비동기클럭에 기초하여 상기 비동기망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계위수신신호로부터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와, 상기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에서 생성된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로부터 동기화채널데이터를 생성하는 매핑부와, 상기 동기화채널데이터를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와 시분할방식으로 다중화하여 동기프레임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메인프레이밍부 및 예비프레이밍부와, 상기 메인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동기프레임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메인동기망송신부와, 상기 예비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동기프레임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예비동기망송신부와, 상기 메인동기망송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메인동기망수신부와, 상기 예비동기망송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예비동기망수신부와, 상기 메인동기망수신부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동기프레임신호를 시분할방식으로 역다중화하여 상기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와 상기 동기화채널데이터를 분리하는 메인디프레이밍부와, 상기 예비동기망수신부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동기프레임신호를 시분할방식으로 역다중화하여 상기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와 상기 동기화채널데이터를 분리하는 예비디프레이밍부와, 상기 메인디프레이밍부와 상기 예비디프레이밍부에서 분리한 동기화채널데이터에 기초하여 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매핑부와, 상기 디매핑부에서 생성된 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비동기식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비동기망송신부를 갖는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핑부는 상기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에 연결되고 상기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부에서 생성된 비동기계위채널데이터를 동일한 개수의 비동기계위프레임을 갖는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으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각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에 비동기계위채널데이터의 양부 및 전송지연을 판단하기 위한 멀티프레임비트를 삽입하여 비트삽입채널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삽입된 멀티프레임비트에 대한 프레임비트삽입정보를 생성하는 채널프레이밍부와, 상기 비트삽입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데이터클럭을 생성하는 채널클럭생성부와, 입력측이 상기 채널프레이밍부에 연결되고 출력측은 상기 메인프레이밍부와 상기 예비프레이밍부에 연결된 수신탄성버퍼와, 상기 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채널데이터클럭에 따라 상기 채널프레이밍부로부터 입력되는 비트삽입채널데이터를 상기 수신탄성버퍼에 기록하고 상기 동기화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동기화클럭에 따라 상기 수신탄성버퍼에 저장된 비트삽입채널데이터를 독출하며 상기 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채널데이터클럭과 상기 동기화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동기화클럭사이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탄성버퍼로부터 독출되는 비트삽입채널데이터에 스터핑비트를 삽입하여 상기 동기화채널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삽입된 스터핑비트에 대한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생성하는 매핑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매핑부는 상기 메인디프레이밍부로부터 전송되는 동기화채널데이터로부터 상기 멀티프레임비트를 제거하여 메인비트제거채널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디프레이밍부로부터 전송되는 프레임비트삽입정보 및 동기화채널데이터에 포함된 멀티프레임비트에 기초하여 메인데이터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와, 상기 예비디프레이밍부로부터 전송되는 동기화채널데이터로부터 상기 멀티프레임비트를 제거하여 예비비트제거채널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예비디프레이밍부로부터 전송되는 프레임비트삽입정보 및 동기화채널데이터에 포함된 멀티프레임비트에 기초하여 예비데이터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와, 상기 메인비트제거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메인채널데이터클럭을 생성하는 메인채널클럭생성부와, 상기 예비비트제거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예비채널데이터클럭을 생성하는 예비채널클럭생성부와,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메인데이터평가정보와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예비데이터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메인채널데이터클럭과 상기 예비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예비채널데이터클럭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상기 수신비동기클럭과 동일한 주파수의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는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와, 입력측이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에 연결된 메인송신탄성버퍼와, 입력측이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에 연결된 예비송신탄성버퍼와, 상기 메인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메인채널데이터클럭에 따라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로부터 입력되는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상기 메인송신탄성버퍼에 기록하고 상기 예비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예비채널데이터클럭에 따라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로부터 입력되는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상기 예비송신탄성버퍼에 기록하며 상기 메인송신탄성버퍼에 저장된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와 상기 예비송신탄성버퍼에 저장된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에서 생성된 수신비동기클럭에 따라 동시에 독출하며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로부터의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상기 메인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한 메인채널데이터클럭에 반영하여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도록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로부터의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상기 예비채널클럭생성부에서 생성한 예비채널데이터클럭에 반영하여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도록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를 제어하는 디매핑제어부와,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메인데이터평가정보와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예비데이터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송신탄성버퍼로부터 독출되는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와 상기 예비송신탄성버퍼로부터 독출되는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중 어느 일방을 상기 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로 선택하는 데이터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프레임비트는 상기 각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의 시작위치를 나타내는 멀티프레임시작위치비트와 상기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 상호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프레임순서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생성부는 출력단이 상기 메인송신탄성버퍼와 상기 예비송신탄성버퍼에 공통으로 연결된 위상동기루프회로부와,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메인데이터평가정보와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부에서 생성한 예비데이터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상동기루프회로부의 입력단과 상기 메인채널클럭생성부사이 또는 상기 위상동기루프회로부의 입력단과 상기 예비채널클럭생성부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럭선택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
  4. 비동기식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계위수신신호를 수신하는 비동기망수신단계와, 상기 비동기망수신단계에 수신된 비동기계위수신신호에 대응하는 동기화클럭을 생성하는 동기화클럭생성단계와, 상기 비동기망수신단계에서 수신한 비동기계위수신신호로부터 수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는 수신비동기클럭생성단계와, 상기 수신비동기클럭생성단계에서 생성한 수신비동기클럭에 기초하여 상기 비동기망수신단계에서 수신된 비동기계위수신신호로부터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단계와, 상기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단계에서 생성된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로부터 동기화채널데이터를 생성하는 매핑단계와, 상기 동기화채널데이터를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와 시분할방식으로 다중화하여 동기프레임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메인프레이밍단계 및 예비프레이밍단계와, 상기 메인프레이밍단계에서 생성한 동기프레임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메인동기망송신단계와, 상기 예비프레이밍단계에서 생성한 동기프레임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예비동기망송신단계와, 상기 메인동기망송신단계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메인동기망수신단계와, 상기 예비동기망송신단계에서 송신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예비동기망수신단계와, 상기 메인동기망수신단계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동기프레임신호를 시분할방식으로 역다중화하여 상기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와 상기 동기화채널데이터를 분리하는 메인디프레이밍단계와, 상기 예비동기망수신단계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동기프레임신호를 시분할방식으로 역다중화하여 상기 타경로동기계위데이터와 상기 동기화채널데이터를 분리하는 예비디프레이밍단계와, 상기 메인디프레이밍단계와 상기 예비디프레이밍단계에서 분리한 동기화채널데이터에 기초하여 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매핑단계와, 상기 디매핑단계에서 생성된 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비동기식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비동기망송신단계를 갖는 동기식통신망용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핑단계는 상기 비동기계위수신데이터재생단계에서 생성된 비동기계위채널데이터를 동일한 개수의 비동기계위프레임을 갖는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으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각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에 비동기계위채널데이터의 양부 및 전송지연을 판단하기 위한 멀티프레임비트를 삽입하여 비트삽입채널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삽입된 멀티프레임비트에 대한 프레임비트삽입정보를 생성하는 채널프레이밍단계와, 상기 비트삽입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데이터클럭을 생성하는 채널클럭생성단계와, 상기 채널클럭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채널데이터클럭에 따라 상기 채널프레이밍단계에서 생성된 비트삽입채널데이터를 수신탄성버퍼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화클럭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동기화클럭에 따라 상기 수신탄성버퍼에 저장된 비트삽입채널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클럭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채널데이터클럭과 상기 동기화클럭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동기화클럭사이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탄성버퍼로부터 독출되는 비트삽입채널데이터에 스터핑비트를 삽입하여 상기 동기화채널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된 스터핑비트에 대한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매핑단계는 상기 메인디프레이밍단계에서 생성된 동기화채널데이터로부터 상기 멀티프레임비트를 제거하여 메인비트제거채널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디프레이밍부단계에서 생성된 프레임비트삽입정보 및 동기화채널데이터에 포함된 멀티프레임비트에 기초하여 메인데이터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메인채널디프레이밍단계와, 상기 예비디프레이밍부단계에서 생성된 동기화채널데이터로부터 상기 멀티프레임비트를 제거하여 예비비트제거채널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예비디프레이밍단계에서 생성된 프레임비트삽입정보 및 동기화채널데이터에 포함된 멀티프레임비트에 기초하여 예비데이터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예비채널디프레이밍단계와, 상기 메인비트제거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메인채널데이터클럭을 생성하는 메인채널클럭생성단계와, 상기 예비비트제거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예비채널데이터클럭을 생성하는 예비채널클럭생성단계와,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단계에서 생성한 메인데이터평가정보와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단계에서 생성한 예비데이터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채널클럭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메인채널데이터클럭과 상기 예비채널클럭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예비채널데이터클럭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상기 수신비동기클럭과 동일한 주파수의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는 송신비동기클럭생성단계와, 상기 메인채널클럭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메인채널데이터클럭에 따라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단계에서 생성된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메인송신탄성버퍼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예비채널클럭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예비채널데이터클럭에 따라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단계에서 생성된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예비송신탄성버퍼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송신탄성버퍼에 저장된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와 상기 예비송신탄성버퍼에 저장된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를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수신비동기클럭에 따라 동시에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단계에서 생성한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상기 메인채널클럭생성단계에서 생성한 메인채널데이터클럭에 반영하여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단계에서 생성된 스터핑비트삽입정보를 상기 예비채널클럭생성단계에서 생성한 예비채널데이터클럭에 반영하여 상기 송신비동기클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채널디프레이밍단계에서 생성한 메인데이터평가정보와 상기 예비채널디프레이밍단계에서 생성한 예비데이터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송신탄성버퍼로부터 독출되는 메인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와 상기 예비송신탄성버퍼로부터 독출되는 예비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중 어느 일방을 상기 비동기계위송신데이터로 선택하는 데이터선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통신망용 전송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프레임비트는 상기 각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의 시작위치를 나타내는 멀티프레임시작위치비트와 상기 비동기계위멀티프레임 상호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프레임순서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통신망용 전송방법.
KR1020080123946A 2008-12-08 2008-12-08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 및 전송방법 KR100901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946A KR100901774B1 (ko) 2008-12-08 2008-12-08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 및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946A KR100901774B1 (ko) 2008-12-08 2008-12-08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 및 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774B1 true KR100901774B1 (ko) 2009-06-11

Family

ID=4098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946A KR100901774B1 (ko) 2008-12-08 2008-12-08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 및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7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546A (ja) * 1994-07-04 1996-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通信装置
KR19990056209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다수의 유니트간 상태정보 및 제어신호의 통신시스템
KR20000026042A (ko) * 1998-10-16 2000-05-06 서평원 고속데이터 전송장치에 구비되는 선입력선출력메모리를 이용한데이터 다중화/역다중화 회로
KR20010054700A (ko) * 1999-12-07 2001-07-02 김덕중 비동기 전송모드 시스템의 셀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546A (ja) * 1994-07-04 1996-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通信装置
KR19990056209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다수의 유니트간 상태정보 및 제어신호의 통신시스템
KR20000026042A (ko) * 1998-10-16 2000-05-06 서평원 고속데이터 전송장치에 구비되는 선입력선출력메모리를 이용한데이터 다중화/역다중화 회로
KR20010054700A (ko) * 1999-12-07 2001-07-02 김덕중 비동기 전송모드 시스템의 셀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9886B2 (en) Externally synchronized optical transport network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JPWO2007072921A1 (ja) 光伝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733766B2 (ja) ジッタ制御装置
JP2009246668A (ja) クロック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並びに伝送装置及び中継通信システム
US8767802B2 (en)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EP104385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
JPH11239113A (ja) Sdh伝送方式における擬似同期防止方法並びに擬似同期防止式sdh伝送システム及び擬似同期防止式sdh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送受信装置
JP3529713B2 (ja) 光伝送システム、同期多重伝送システム及び同期多重伝送方法
US5331630A (en) Renewal method and apparatus for AU-4 and TU-3 pointers of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JP5356865B2 (ja) 光伝送装置及び光伝送方法
KR0151908B1 (ko) 동기식 디지틀 회선분배 장치
US20030112463A1 (en) Path control method, a transmitter circuit, and a receiver circuit
US5870403A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establishing signal synchronization between lines
KR100901774B1 (ko) 동기식통신망용 전송장치 및 전송방법
JP2001168827A (ja) 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送信装置
JPH06268624A (ja) 同期確立チェック方式
JP4411111B2 (ja) 無瞬断切替装置
JP2008131063A (ja) トランスペアレント伝送装置
JP2001268089A (ja) Atmセルサービス装置及びその方法
JP3246423B2 (ja) 網同期装置
KR100284007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 계위단위그룹 신호와 ds1 신호 사이의 역다중화 장치
KR100289574B1 (ko) 동기식 전송장치에서 ds-3 신호와 관리단위신호 사이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장치
JP2005210623A (ja) 波長多重伝送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誤り訂正方法並びに誤り訂正送信装置及び誤り訂正受信装置
KR100198438B1 (ko) 신호프레임 정렬 및 신호감시기
JPH10262021A (ja) 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