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390B1 -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 - Google Patents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390B1
KR100898390B1 KR1020080068037A KR20080068037A KR100898390B1 KR 100898390 B1 KR100898390 B1 KR 100898390B1 KR 1020080068037 A KR1020080068037 A KR 1020080068037A KR 20080068037 A KR20080068037 A KR 20080068037A KR 100898390 B1 KR100898390 B1 KR 100898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vehicle
rear floor
upper pad
disa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권
Original Assignee
창림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림정공(주) filed Critical 창림정공(주)
Priority to KR1020080068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휠체어, 전동휠체어 등을 탄 채로 승하차가 가능한 장애인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의 탑재가 수월하도록 자동차의 차동기어 하우징에 의한 리어 플로워의 돌출부 높이를 낮추어 휠체어의 바닥면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장애인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후측으로 휠체어 탑재용 리프트나 슬로프가 장착되는 일정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일정공간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리어 플로워와, 상기 리어 플로워의 하부면과 상기 리어 플로워가 서로 접하는 어퍼패드와, 상기 어퍼패드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리어 플로워를 지지하는 리어 서스펜션부가 장착된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에 있어서, 상기 어퍼패드와 코일스프링 사이에 일측으로 상기 코일스프링이 삽입되는 안착부와, 타측으로 어퍼패드에 삽입되고 일정높이를 가지는 높이보정대로 구성된 높이보정어퍼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어 플로워는 휠체어 고정수단을 갖는 휠체어 탑재부와, 상기 휠체어 탑재부에 휠체어를 진입시키고 양 측면으로 휠체어용 리프트 또는 슬로프의 구동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휠체어 탑재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휠체어 진입부와 상기 휠체어 탑재부와 휠체어 진입부 사이를 테이퍼(taper)지게 연결하는 휠체어 가이드부로 구성되되, 상기 휠체어 탑재부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휠체어, 리어 플로워, 어퍼패드, 장애인차량

Description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Vehicle for mounting a Wheel Chair}
본 발명은 수동휠체어, 전동휠체어 등을 탄 채로 승하차가 가능한 장애인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의 탑재가 수월하도록 자동차의 차동기어 하우징에 의한 리어 플로워의 돌출부 높이를 낮추어 휠체어의 바닥면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장애인 차량에 관한 것이다.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장애인이나 몸이 불편하여 거동이 힘든 환자 등이 이용하는 휠체어는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할 경우에는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휠체어를 일반 차량에 싣기 에는 공간부족에 따른 어려움이 있어 일반 차량에 실을 수 있는 접이식 휠체어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일반 차량에 실을 수 있는 휠체어는 잦은 고장과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많이 사용되지 못하였다.
최근에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변화와 기술의 발달로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차 량에 탑승할 수 있는 차량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휠체어를 탑재할 수 있는 장애인차량은 차량 후측에 리프트나 슬로프를 장착하여 장애인이나 환자가 휠체어를 탄 상태로 차량에 탑승가능하도록 리어 플로워를 최대한 낮게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차량의 후미의 차동기어 하우징에 의해 리어 플로워 중간에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수동휠체어를 탑재할 때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전동식 휠체어는 바닥면이 낮게 형성되어 리어 플로워의 돌출부로 인해 탑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 후측에 장착되는 리프트나 슬로프의 작동시키는 구동장치는 휠체어가 들어가는 공간을 좁게 하여 리프트나 슬로프 작동시 휠체어나 탑승자가 구동장치에 걸려 탑승자가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의 리어 플로워의 돌출부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수동 휠체어 뿐만 아니라 전동 휠체어도 손쉽게 탑재하고, 차량의 리어 플로워에 리프트나 슬로프를 작동시키는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휠체어의 출입공간을 넓혀 휠체어를 안전하게 탑재하도록 하는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후측으로 휠체어 탑재용 리프트나 슬로프가 장착되는 일정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일정공간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리어 플로워와, 상기 리어 플로워의 하부면과 상기 리어 플로워가 서로 접하는 어퍼패드와, 상기 어퍼패드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리어 플로워를 지지하는 리어 서스펜션부가 장착된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에 있어서, 상기 어퍼패드와 코일스프링 사이에 일측으로 상기 코일스프링이 삽입되는 안착부와, 타측으로 어퍼패드에 삽입되고 일정높이를 가지는 높이보정대로 구성된 높이보정어퍼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어 플로워는 휠체어 고정수단을 갖는 휠체어 탑재부와, 상기 휠체어 탑재부에 휠체어를 진입시키고 양 측면으로 휠체어용 리프트 또는 슬로프의 구동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휠체어 탑재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휠체어 진입부와 상기 휠체어 탑재부와 휠체어 진입부 사이를 테이퍼(taper)지게 연결하는 휠체어 가이드부로 구성되되, 상기 휠체어 탑재부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의 차량 내부 측면에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2개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상기 2개의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에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스페어 타이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은 차량 후미의 차동기어 하우징과 리어 플로워의 간격을 이격시키기 위한 돌출부의 높이를 낮게 하여 바닥면이 낮은 전동 휠체어를 타고 차량을 이용할 수 있어 장애인 차량의 편의성을 높였으며, 장애인 차량의 리어 플로워의 휠체어 진입부에 휠체어 리프트 및 슬로프의 구동장치를 설치공간을 마련하여 휠체어 리프트 및 슬로프의 구동장치에 의한 휠체어를 진입공간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휠체어가 휠체어 리프트 및 슬로프의 구동장치에 걸려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장애인이나 환자가 휠체어를 탄 채로 승하차가 가능한 장애인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리어 플로워의 높이를 상승시켜 돌출부의 높이를 낮게 하여 수동 휠체어나 전동 휠체어를 쉽게 탑재할 수 있는 장애인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과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리어 서스팬스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리어 서스팬스부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리어 플로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리어 플로워의 다른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리어 플로워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리어 플로워가 장착된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에 지지프레임의 설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지지프레임에 스페어타이어의 장착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 후측으로 휠체어 탑재용 리프트나 슬로프가 장착되는 일정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일정공간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가이드프레임(50)이 구비되며, 돌출부(30)가 형성된 리어 플로워(20)와 상기 리어 플로워(20)의 하단으로 리어 플로워(20)의 하부면과 상기 리어플로워(20)가 서로 접하는 어퍼패드(10)와, 상기 어퍼패드(10)와 코일스프링(12)으로 구성되어 상기 리어 플로워(20)를 지지하는 리어 서스펜션부(40)가 장착된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의 상기 어퍼패드(10)와 코일스프링(12) 사이에 높이보정 어퍼패드(100)가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보정 어퍼패드(100)는 상기 어퍼패드(10)와 코일스프링(12)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리어 플로워(20)를 높이를 높여주도록 보정시키는 구조물로 일측으로 상기 코일스프링(12)이 삽입되는 안착부(102)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어퍼패드(10)에 삽입되고 일정높이를 가지는 높이보정대(104)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102)는 원형의 뚜컹 형태로 코일스프링(12)을 덮을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12)의 크기에 맞도록 제조되어야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02)에 안착된 코일스프링(12)이 안착부(102)안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코일스프링(12)의 중앙 통공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삽입돌기(103)를 형성하여 차량의 운행중에 코일스프링(12)이 안착부(102) 안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높이보정대(104)는 상기 어퍼패드(10)의 코일스프링(12)이 삽입되는 위치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 1,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容器)형상으로 중앙에 지지대(105)가 형성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보정대(104)의 형상은 속이 꽉 찬 용기형상 등 상기 어퍼패드(10)에 삽입되고 높이를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높이보정대(104)는 상기 어퍼패드(10)에 삽입되어 상기 리어 플로워(20)를 높이보정대(104)의 높이 만큼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 안착부(102)와 높이보정대(104)로 구성된 높이보정 어퍼패드(100)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안착부(102)와 높이보정대(104)을 각각 제조하여 결합하여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어퍼패드(10)와 코일스프링(12) 사이에 높이보정 어퍼패드(100)를 결합시킴으로써, 리어 플로워(20)의 높이가 상기 높이보정대(104)의 높이 만큼 높아져서 상기 돌출부(30)의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플로워(20)는 휠체어 탑재부(202), 휠체어 진입부(204)와 휠체어 가이드부(206)로 구성되며, 휠체어 탑재부(202)와 휠체어 가이드부(206) 사이에 돌출부(30)가 형성된다.
상기 휠체어 탑재부(202)는 휠체어가 탑재되는 공간으로 탑재된 휠체어가 차량의 운행 중에 흔들리거나 이동하지 못하도록 휠체어 고정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휠체어 진입부(204)는 차량의 후미에서 휠체어가 진입되는 공간으로 양측면에 휠체어를 탑재하는 리프트나 슬로프의 구동장치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휠체어 탑재부(202)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휠체어 가이드부(206)는 상기 휠체어 탑재부(202)와 휠체어 진입부(204)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부로 폭이 넣은 휠체어 진입부(204)에서 휠체어 탑재부(202)로 테이퍼(taper)지게 연결하는 연결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어 플로워는 휠체어 리프트나 슬로프의 구동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휠체어 리프트나 슬로프의 구동장치가 휠체어 진입공간을 좁게 하지 않아 휠체어를 탑재하기 쉽게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보정어퍼패드(100)로 인해 리어 플로워의 높이가 높아져서 휠체어 리프트나 슬로프의 작동거리 및 시간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휠체어 탑재부(202)의 후미에서 휠체어 가이드부(206)와 휠체어 진입부의 접합면까지 리어 플로워(20)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휠체어 진입부(204)의 높이를 낮추어 휠체어 리프트나 슬로프의 작동을 원활히 하여 휠체어의 탑재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보정어퍼패드(100)의 높이에 따라 돌출부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돌출부(30)는 상기 리어 플로워에 일체로 형성시키지 않고, 리어 플로워에서 분리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높이보정 어퍼패드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차량은 차량 후미의 차동기어 하우징과 리어 플로워의 간격을 이격시키기 위한 돌출부(30)를 어퍼패드(10)와 코일 스프링(12) 사이에 높이보정어퍼패드(100)를 결합하여 리어 플로워(20)의 높이를 높여 돌출부(30)의 높이를 낮게 하여 바닥면이 낮은 전동 휠체어 및 휠체어의 탑재를 쉽고 편안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리어 플로워가 장착된 차량의 배면도로 장애인 차량의 리어 플로워(20)의 휠체어 진입부(204)의 양 측면에 휠체어 리프트 및 슬로프의 구동장치를 설치공간을 마련하여 휠체어 리프트 및 슬로프의 구동장치에 의한 휠체어를 진입공간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휠체어의 탑재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장애인 차량 중 리어 서스펜션부(40)가 어퍼패드(10)와 코일 스프링(12)으로 구성될 경우 본 발명의 리어 플로워(20)와 높이보정 어퍼패드(100)를 장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차량으로 개조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차량의 내부에 스페어타이어(32)를 장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페어타이어(320)는 차량 후측의 트렁크 바닥면에 설치된 스페어타이어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수납하던가, 트렁크가 없는 지프형 차량은 차량 후측의 외부에 스페어타이어를 장착할 수 있는 프레임을 설치하여 스페어타이어를 장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차량은 일반차량보다 리어 플로워(20)가 낮게 형성되어 스페어타이어(320)의 수납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고, 차량 후측문에는 일반적으로 많은 장치가 설치되어 일반 차량의 후측문 보다 무겁기 때문에 스페어타이어를 설치하게 되면 후측문이 과도한 무게증가로 고장의 위험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차량 내측의 측면부에 스페어타이어(32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차량 내측의 측면에 스페어타이어(320)를 안전히 장착하기 위해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 측면에 2개의 지지프레임(300)을 나란하게 종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300) 상단에는 2개의 지지프레임(300)을 연결하는 연결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10)에는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스페어타이어(320)와 볼트결합으로 장착된다. 또한 연결부(310)를 차량 측면과 연결하여 상기 지지프레임(300)이 더욱 견고히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량의 후측 타이어에 의해 차량 내부 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위에 설치하여 돌출부위로 인해 낭비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위에 지지프레임(300)을 설치할 때에는 돌출부위를 따라 지지프레임을 설치될 수 있도록 돌출부위의 형태로 지지프레임을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리어 서스팬스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리어 서스팬스부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리어 플로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리어 플로워의 다른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리어 플로워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리어 플로워가 장차된 차량의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에 지지프레임의 설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차량의 지지프레임에 스페어타이어의 장착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어퍼패드 12 : 코일스프링
30 : 돌출부 100 : 높이보정 어퍼패드
102 : 안착부 104 : 높이보정대
202 : 휠체어 탑재부 204 : 휠체어 진입부
206 : 휠체어 가이드부 300 : 지지프레임
310 : 연결부 320 : 스페어타이어

Claims (6)

  1. 차량 후측으로 휠체어 탑재용 리프트나 슬로프가 장착되는 일정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일정공간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가이드프레임(50)이 구비되며, 돌출부(30)가 형성된 리어 플로워(20)와, 상기 리어 플로워(20)의 하부면과 상기 리어 플로워(20)가 서로 접하는 어퍼패드(10)와, 상기 어퍼패드(10)와 코일스프링(12)으로 구성되어 상기 리어 플로워(20)를 지지하는 리어 서스펜션부(40)가 장착된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에 있어서,
    상기 어퍼패드(10)와 코일스프링(12) 사이에 일측으로 상기 코일스프링(12)이 삽입되는 안착부(102)와, 타측으로 어퍼패드(10)에 삽입되고 일정높이를 가지는 높이보정대(104)로 구성된 높이보정어퍼패드(1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02)에 안착된 코일스프링(12)이 안착부(102)안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코일스프링(12)의 중앙 통공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삽입돌기(10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워는 휠체어 고정수단을 갖는 휠체어 탑재부(202)와, 상기 휠체어 탑재부(202)에 휠체어를 진입시키고 양 측면으로 휠체어용 리프트 또는 슬로프의 구동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휠체어 탑재부(202)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휠체어 진입부(204)와 상기 휠체어 탑재부(202)와 휠체어 진입부(204) 사이를 테이퍼(taper)지게 연결하는 휠체어 가이드부(206)로 구성되되,
    상기 휠체어 탑재부(202)에 돌출부(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탑재부(202)의 후미에서 휠체어 가이드부(206)와 휠체어 진입부의 접합면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의 차량 내부 측면에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2개의 지지프레임(300)과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상단에 상기 2개의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310)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310)에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스페어 타이어(320)가 장착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차량의 후측 타이어에 의해 차량 내부 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위를 따라 절곡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
KR1020080068037A 2008-07-14 2008-07-14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 KR100898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037A KR100898390B1 (ko) 2008-07-14 2008-07-14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037A KR100898390B1 (ko) 2008-07-14 2008-07-14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390B1 true KR100898390B1 (ko) 2009-05-18

Family

ID=4086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037A KR100898390B1 (ko) 2008-07-14 2008-07-14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308A (ko) 2018-12-11 2020-06-19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3212A (ja) 1997-10-23 1999-05-11 Daihatsu Motor Co Ltd 車椅子固定装置
JP2000272551A (ja) 1999-03-23 2000-10-03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におけるスペアタイヤの支持構造
JP2006263286A (ja) 2005-03-25 2006-10-05 Nissan Motor Co Ltd 防振ベッド
KR100814684B1 (ko) 2007-07-11 2008-03-18 주식회사 오텍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3212A (ja) 1997-10-23 1999-05-11 Daihatsu Motor Co Ltd 車椅子固定装置
JP2000272551A (ja) 1999-03-23 2000-10-03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におけるスペアタイヤの支持構造
JP2006263286A (ja) 2005-03-25 2006-10-05 Nissan Motor Co Ltd 防振ベッド
KR100814684B1 (ko) 2007-07-11 2008-03-18 주식회사 오텍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308A (ko) 2018-12-11 2020-06-19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390B1 (ko)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
US11052003B2 (en) Wheelchair with integrated transfer device
KR101424388B1 (ko) 장애인 차량용 리프트 장치
KR100847065B1 (ko)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CN201719508U (zh) 带婴儿座椅的康复行走车
JP2004067077A (ja) 車輌用乗降補助装置
KR200492028Y1 (ko) 산소 용기 거치대
KR102186013B1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KR101528795B1 (ko) 휠체어의 탑재가 가능한 장애인용 그네
KR20070009026A (ko) 승강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CN112773616A (zh) 一种多功能轮椅床
JP5033436B2 (ja) 車椅子入浴装置
JP4996374B2 (ja) 車椅子のフットレストの固定具
JP2008295656A (ja) 車椅子の走行姿勢の調整機構
JP2019182126A (ja) 階段昇降機構
JP3115632U (ja) 介助用車椅子
JP2012045300A (ja) 車椅子ストッパーおよび車椅子静止方法
JP6670529B2 (ja) 小型トラック
CN108883021B (zh) 轮椅用踏板装置及安全装置
JP6731962B2 (ja) 車椅子固定装置
JP2009279120A (ja) 車いすおよびブレーキ機構
JP2010268915A (ja) 車いす用座板
JP2018121846A (ja) 入浴介助装置
KR100961908B1 (ko) 절첩식 휠체어
KR200465695Y1 (ko)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