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065B1 -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065B1
KR100847065B1 KR1020080000640A KR20080000640A KR100847065B1 KR 100847065 B1 KR100847065 B1 KR 100847065B1 KR 1020080000640 A KR1020080000640 A KR 1020080000640A KR 20080000640 A KR20080000640 A KR 20080000640A KR 100847065 B1 KR100847065 B1 KR 100847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eadrest
slider
lock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록
Original Assignee
(주)디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디디 filed Critical (주)디디디
Priority to KR102008000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3)에 내장되는 서포트 브라켓(10)과, 상기 서포트 브라켓(10)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에는 지지대 결합부(22)가 형성된 슬라이더(20)와, 상기 슬라이더(20) 양측의 상기 지지대 결합부(22)에 하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는 헤드레스트(1)가 구비된 지지대(30)와, 상기 슬라이더(20)의 상기 지지대 결합부(22)에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대(30)의 하측 둘레부에 결합된 록커 스프링(40)과, 상기 슬라이더(20)의 상기 지지대 결합부(22) 위치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 작동됨에 따라 상기 록커 스프링(40)을 상기 지지대(30)의 하측 둘레부에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하는 작동핀(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헤드레스트, 지지대, 록커 스프링, 록킹홈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Car seat headrest electric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 이동시 전동식으로 구동하게 하고, 탈착시에는 사람의 적은 힘으로도 쉽게 헤드레스트가 빠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시트에는 탑승자의 두부를 지지하여 안전성 및 안락감을 높이기 위한 헤드레스트가 장착되며, 이 헤드레스트는 시트에 착석하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장 간소화된 구조로는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 한 쌍의 결합홀더가 내장되고, 이 결합홀더에 하단부가 삽입되는 지지대의 상측을 헤드레스트에 내장되고, 지지대는 결합홀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에 상측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결합홀더에는 지지대의 걸 림홈에 걸려 고정력을 가하도록 내측으로 출몰되는 스톱퍼가 설치된다.
따라서, 지지대와 이에 결합된 헤드레스트를 시트의 등받이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킨 다음, 결합홀더에 구비된 스톱퍼가 지지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헤드레스트를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헤드레스트를 시트의 등받이에서 탈거시기 위해서는 먼저 결합홀더에 구비된 스톱퍼를 누른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를 상측으로 당겨주어 탈거시켜야 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의 탈거시 많은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동식으로 헤드레스트를 승강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있는데, 이러한 전동 승강식으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형태는 헤드레스트의 탈거 구조가 비교적 복잡한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코스트도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레스트의 상하 이송을 전동식(motor)으로 하고, 탈착시 사람의 적은 힘으로도 헤드레스트를 빼낼 수 있도록 구성하여, 헤드레스트의 탈부착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한 새로운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에 내장되는 서포트 브라켓과, 상기 서포트 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에는 지지대 결합부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양측의 상기 지지대 결합부에 하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는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지지대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지지대 결합부에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대의 하측 둘레부에 결합된 록커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지지대 결합부 위치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 작동됨에 따라 상기 록커 스프링을 상기 지지대의 하측 둘레부에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하는 작동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켜 정상적으로 작동할 시에는 록커 스프링이 지지대에 록킹되고, 이 록킹 상태는 작동핀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헤드레스트를 시트에서 분리하기 위해 헤드레스트를 최상단으로 상승시킨 경우 시트의 등받이에 내장된 백프레임에 작동핀이 눌려지면서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지지대에서 록커 스프링이 옆으로 빠질 수 있도록 된 구성되어, 헤드레스트를 상측으로 들어서 분리하고자 할 때 사람의 적은 힘으로도 헤드레스트를 시트의 상측으로 쉽게 인출하여 빼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헤드레스트의 탈거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지지대의 외주면에 록킹홈을 형성하고, 이 록킹홈에 록커 스프링이 삽입되어 헤드레스트를 록킹하는 구조인데, 록킹홈이 삼각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헤드레스트와 지지대를 시트의 상측으로 인출하여 빼내는 순간 삼각홈 형상의 록킹홈을 부드럽게 타고 넘어가면서 록커 스프링이 보다 용이하게 빠질 수 있으므로, 헤드레스트의 분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레스트를 시트 등받이에 다시 결합하기 위해 헤드레스트와 이에 결합된 지지대를 슬라이더의 양측 지지대 결합부에 눌러서 끼우는 순간 지지대의 하측에 구비된 테이퍼부에 의해 록커 스프링이 가이드되어 지지대의 옆으로 쉽게 밀려나므로, 헤드레스트를 다시 시트 등받이에 결합하는 것이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헤드레스트를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서 종래의 전동 승강식 헤드레스트에 비하여 헤드레스트 탈부착 구조가 상대적 으로 간소화되는 장점이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코스트도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슬라이더의 승강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서포트 브라켓과 슬라이더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서포트 브라켓과 슬라이더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우측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일부 절개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9a 내지 도 9h는 본 발명에 의해 지지되는 헤드레스트 탈부착시의 록킹과 언록킹 작동 원리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3)에 내장되는 서포트 브라켓(10)에 슬라이더(20)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더(20)의 양측 지지대 결합부(22)에는 상측에 헤드레스트(1)를 구비한 지지대(30)가 결합되며, 지지대(30)는 록커 스프링(40)과 작동핀(50)에 의해 슬라이더(20)에서 탈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브라켓(10)은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3)에 내장 설치된 것으로, 상측에는 구동모터(4)(도 2와 도 3에 도시됨)가 장착된다. 이 구동모터(4)는 자동차의 전원공급부에 미도시된 전선이나 커넥터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자동차의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포트 브라켓(10)의 양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레일(13)이 구비된다. 다시 말해, 가이드레일(13)은 서포트 브라켓(10)의 좌우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20)는 중앙부에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홈(22a)(도 4에 도시됨)이 서포트 브라켓(10)의 좌우측 가이드레일(13)에 결합되어 슬라이더(20)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된다. 이때, 슬라이더(20)는 구동모터(4)의 회전축에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4)의 구동에 따라 슬라이더(20)가 서포트 브라켓(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4)의 회전축의 회전력을 슬라이더(20)가 승하강 운동할 수 있도록 직선운동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은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데, 구동모터(4)의 회전축에는 웜과 웜기어가 연결되고, 웜과 웜기어의 중심부에는 스크류축이 나사식으로 결합되며, 스크류축에는 슬라이더(20)가 연결되어, 구동모터(4)의 회전축의 회전력이 웜과 웜기어 및 스크류축에 의해 슬라이더(20)에 직선운동으로 전달되므로, 슬라이더(20)가 구동모터(4)의 구동에 의해 서포트 브라켓(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0)는 양측에 지지대 결합부(22)가 형성되어, 이 지지대 결합부(22)에 지지대(30)가 결합된다. 즉, 지지대 결합부(22)는 원형의 공간부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원형봉 형상의 지지대(30) 하측이 지지대 결합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0)는 중간바아(33)의 양단에 연결된 한 쌍의 바아 형상의 지지대(30)로 구성된다. 즉, 슬라이더(20)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 결합부(22)에 각각 한 쌍의 지지대(30)의 하부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대(30)의 상부에는 헤드레스트(1)가 장착된다. 다시 말해, 한 쌍의 지지대(30)를 연결하는 중간바아(33)와 지지대(30)의 상부가 헤드레스트(1)에 매입되어 헤드레스트(1)가 한 쌍의 지지대(30)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대(30)의 하측 외주면에는 록킹홈(32)이 형성되어, 이 록킹홈(32)에 후술할 록커 스프링(40)이 결합된다. 이 록킹홈(32)은 지지대(30)의 외주면은 노칭 가공하여 삼각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록커 스프링(40)의 일측은 슬라이더(20)의 양측 지지대 결합부(22)에 전후면으로 관통된 스프링 결합공(22a)에 결합되고 록커 스프링(40)의 타측부는 슬라이더(20)의 양측 지지대 결합부(22) 둘레부에 결합된 구비된 것으로, 슬라이더(20)의 지지대 결합부(22)에 형성된 스프링 결합공(22a)은 내측으로 개방되어, 록커 스프링(40)의 일측부가 지지대(30)의 하측 외주면에 형성된 록킹홈(32)에 끼워져 지지대(30)가 슬라이더(20)의 양측 지지대 결합부(22)에 고정되도록 한다.
즉, 록커 스프링(40)은 탄성을 갖는 링형상의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으로, 록커 스프링(40)의 일측부가 슬라이더(20)의 지지대 결합부(22)에 전후면 및 내측으로 관통된 관통된 스프링 결합공(22a)에 끼워져서 지지대 결합부(2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대(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록킹홈(32)에 록커 스프링(40)의 일측부가 끼움 결합되므로, 지지대(30)가 록커 스프링(40)에 의해 슬라이더(20)의 지지대 결합부(22)에 록킹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핀(50)은 슬라이더(20)의 지지대 결합부(22)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작동핀(50)은 슬라이더(20)의 양측 지지대 결합 부(22)에 인접된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연동되도록 형성된 핀수용홈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슬라이더(20)의 핀수용홈에 내장된 록킹 지지부(52)와, 이 록킹 지지부(52)의 상단에 일체화되어 슬라이더(20)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의자의 등받이(3)에 내장된 백프레임(55)에 접촉되는 푸싱 작동부(54)로 구성된다.
이러한 푸싱 작동부(54)는 록킹 지지부(52)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된 것으로, 슬라이더(20)가 최상단으로 상승하였을 때, 백프레임(55)에 접촉되어 작동핀(50)이 하측으로 눌려지도록 작동하며, 이처럼 작동핀(50)이 하측으로 눌려지면 록킹 지지부(52)도 하측으로 밀려나므로, 록커 스프링(40)의 일측부가 지지대(30)의 외측으로 밀려날 수 있는 스페이스(S)를 형성한다. 즉, 백프레임(55)에 의해 작동핀(54)이 하측으로 눌려진 상태에서는 푸싱 작동부(54)와 지지대(30) 사이에 스페이스(S)가 형성된다.
또한, 작동핀(50)의 하단부, 즉, 작동핀(50)의 록킹 지지부(52) 저면에는 스프링(57)이 설치되고, 이 스프링(57)은 슬라이더(20)의 핀수용홈 하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엔드커버(59)에 지지된다. 즉, 작동핀(50)의 하단부와 엔드커버(59) 사이에 스프링(57)이 개재된 구조를 이루어서, 평상시에는 스프링(57)에 의해 작동핀(50)이 상향 탄지되어 작동핀(50)의 푸싱 작동부(54)가 슬라이더(20)의 상측으로 완전히 노출되며, 동시에 작동핀(50)의 록킹 지지부(52)의 상단부는 슬라이더(20)의 핀수용홈 상측 둘레벽에 걸려지므로 작동핀(50)이 슬라이더(20)의 핀수용홈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작동핀(50)을 슬라이더(20)의 하부에서 핀수용홈에 삽입하고, 이어서 작동핀(5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스프링(57)을 슬라이더(20)의 핀수용홈에 삽입한 다음, 슬라이더(20)의 핀수용홈 하부에 나사식으로 엔드커버(59)를 결합하면, 작동핀(50)이 슬라이더(20)의 핀수용홈에서 스프링(57)에 의해 상향 탄지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동핀(50)이 스프링(57)에 의해 상향탄지되어 아래로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동핀(50)의 하부를 이루는 록킹 지지부(52)가 록커 스프링(40)과 마주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록커 스프링(40)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물론, 록커 스프링(40)은 지지대(30) 외주면에 형성된 록킹홈(32)에 끼워져 지지대(30)가 슬라이더(20)의 지지대 결합부(22)에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한 상태이다.
또한,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3)에는 슬라이더(20)가 구동모터(4)의 구동에 의해 최상단으로 상승하였을 때 작동핀(50)을 눌러주는 백프레임(55)(시트의 등받이(3)에 내장되어 등받이(3)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설치된다. 즉, 슬라이더(20)가 최상단으로 상승하였을 때, 시트 등받이(3)에 구비된 백프레임(55)에 의해 작동핀(50)이 자동으로 눌려지는 구조이다.
이처럼 작동핀(50)이 백프레임(55)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푸싱 작동부(54)가 록커 스프링(40)과 마주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작동핀(50)의 푸싱 작동부(54)와 록커 스프링(40) 사이에 스페이스(S)가 형성되고, 이처럼 스페이스(S)가 형성되면 록커 스프링(40)이 지지대(30)의 외측으로 밀려날 수 있는 언록킹 상태로 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작동핀(50)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록킹 지지부(52)가 록커 스프링(40)과 마주하여 록커 스프링(40)이 외측으로 밀려날 수 없는 록킹 상태가 되는 한편, 작동핀(50)이 눌려진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얇은 푸싱 작동부(54)가 록커 스프링(40)과 마주하여 록커 스프링(40)이 외측으로 밀려날 수 있는 스페이스(S)를 형성하는 언록킹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모터(4)가 전원공급부의 전원에 의해 구동하면, 슬라이더(20)가 서포트 브라켓(10)의 가이드레일(1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지지대(30)와 이에 장착된 헤드레스트(1)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부를 이루는 주요 구성을 참조하여 헤드레스트를 탈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h는 본 발명에 의해 지지되는 헤드레스트 탈부착시의 록킹과 언록킹 작동 원리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9a는 정상 작동시의 단면도이고, 도 9b와 도 9c는 헤드레스트 탈거시의 단면도이며, 도 9d 내지 도 9h는 헤드레스트를 다시 장착할 때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슬라이더(20)의 지지대 결합부(22)에 끼워진 지지대(30)의 록킹홈(32)에 록커 스프링(40)이 끼워짐과 동시에 작동핀(50)의 록킹 지지부(52)가 록커 스프링(40)과 마주하여 록커 스프링(40)을 막고 있기 때문에, 지지대(30)를 상측으로 당기려 하여도 록커 스프링(40)이 작동 핀(50)의 록킹 지지부(52)에 맞닿아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지지대(30)와 이에 장착된 헤드레스트(1)가 빠지지 않는 록킹 상태가 된다.
도 9b와 도 9c는 지지대(30)와 헤드레스트(1)를 탈거할 수 있는 언록킹 상태를 보여준다. 즉, 슬라이더(20)와 지지대(30) 및 헤드레스트(1)가 최상단으로 상승하면, 의자의 등받이(3)에 내장된 백프레임(55)에 의해 작동핀(50)이 하측으로 눌려지면서 작동핀(52)의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푸싱 작동부(54)가 록커 스프링(40)과 마주하는 위치에 오게 된다.
그러면, 작동핀(50)의 푸싱 작동부(54)와 지지대(30) 사이에 록커 스프링(40)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는 스페이스(S)가 형성되는 언록킹 상태가 된다. 이처럼 스페이스(S)가 형성된 상태에서 지지대(30)와 헤드레스트(1)를 상측으로 당겨주면, 지지대(30)의 록킹홈(32)에 걸려있던 록커 스프링(40)이 지지대(3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미리 확보된 스페이스(S) 방향으로 벌어지므로 지지대(30)와 이에 장착된 헤드레스트(1)를 상측으로 탈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대(30)가 슬라이더(20)의 지지대 결합부(22)에서 거의 완전히 빠지면 록커 스프링(40)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가 된다. 도 9c는 이러한 상태를 보여준다.
한편, 도 9d 내지 도 9h는 헤드레스트(1)를 다시 장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주요부를 이루는 록커 스프링(40)과 작동핀(50)이 록킹되는 원리를 보여준다.
도 9d는 삽입 1단계로서, 헤드레스트(1)를 장착된 지지대(30)를 다시 슬라이 더(20)의 지지대 결합부(22)에 밀어서 끼우려할 때, 지지대(30)의 하측에 구비된 엔드캡(38)에 의해 록커 스프링(40)이 스페이스(S) 방향으로 다시 벌어진다. 한편, 도 9d에서 좌측 부분도 마찬가지로 우측 부분과 같은 작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도 9d에서 좌측 부분은 도 2의 B 부분이고, 도 9d에서 우측 부분은 도 2의 A 부분이다.
이때, 도 9d의 우측 부분에서 도시된 엔드캡(38)의 하측 외주면에 테이퍼부(38a)가 형성되고, 도 9d의 좌측 부분에서 도시된 지지대(30) 하측 외주면에 테이퍼부(36a)가 형성되므로, 록커 스프링(40)이 테이퍼부(36a,38a)를 타고 부드럽게 벌어질 수 있게 된다. 도 9b에 지지대(30) 하측의 테이퍼부(36a)와 엔드캡(38)의 테이퍼부(38a)가 도시되어 있다.
도 9e는 삽입 2단계, 도 9f는 삽입 3단계로서, 엔드캡(38)의 테이퍼부(38a)와 다른쪽 지지대(30)의 테이퍼부(36a)를 타고 벌어진 록커 스프링(40)이 테이퍼부(36a,38a)를 지난 상태를 보여주며, 이러한 상태에서 헤드레스트(1)와 지지대(30)를 계속 하측을 밀어 내리면,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어졌던 록커 스프링(40)이 다시 지지대(30) 외주면의 록킹홈(32)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므로, 지지대(30)와 이에 장착된 헤드레스트(1)를 다시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0)를 다시 하측으로 내리면, 의자 등받이(3) 내부의 백프레임(55)에 의해 눌려졌던 작동핀(50)이 하측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복원되면서 작동핀(50)의 록킹 지지부(52)가 다시 록커 스프링(40)과 마주하여 록커 스프링(40)의 외측에 스페이스(S)를 만들지 않고 막은 상태(록킹 상태)가 되며, 이러한 록킹 상태에서는 부착된 지지대(30)와 헤드레스트(1)를 다시 탈거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레스트(1)를 정상적인 상태에서 승강시킬 때에는 슬라이더(20)에 구비된 록커 스프링(40)이 지지대(30)의 록킹홈(32)에 삽입되고, 아울러, 작동핀(50)이 록커 스프링(40)이 벌어지지 않도록 록킹시키는 한편, 헤드레스트(1)를 탈거하고자 할 때에는 슬라이더(20)를 최상단으로 상승시키면 자동으로 작동핀(50)이 눌려지면서 록커 스프링(40)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는 스페이스(S)를 확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지지대(30)와 헤드레스트(1)를 탈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록커 스프링(40)의 외측에 스페이스(S)를 확보하여 헤드레스트(1)와 지지대(30)를 적은 힘으로 당겨도 록커 스프링(40)이 쉽게 벌어지므로, 헤드레스트(1)의 탈거가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록커 스프링(40)이 결합되는 록킹홈(32)은 지지대(30)의 하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32a)와, 이 제1경사부(32a)와 대칭되도록 상향 경사진 제2경사부(32b)로 이루어져, 지지대(30)를 당겨서 빼내려는 순간 제1경사부(32a)를 타고 록커 스프링(40)이 보다 원활하게 벌어지므로, 지지대(30)와 이에 장착된 헤드레스트(1)의 탈거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헤드레스트(1)를 다시 결합하는 순간에는 록커 스프링(40)이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지지대(30) 외주면의 록킹홈(32)에 원터치식으로 탄성 결합되어 지지대(30)와 헤드레스트(1)를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종래에 비하여 헤드레스트(1)의 부착 작업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h의 우측 부분(도 2의 A 부분)에 도시된 미설명 부호 11는 플러그로서, 이 플러그(11)는 전선(5)을 통해 커넥터(6)(도 6에 도시됨)에 연결되고, 이 커넥터(6)는 자동차의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엔드캡(38)도 전선을 통해 플러그(11)에 접속되며, 헤드레스트(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차 전원공급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헤드레스트(1) 내부의 각종 기계장치에 전달하여 가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상기 엔드캡(38)은 탄성후크가 구비되고, 지지대(30)에는 후크결합공이 형성되어, 탄성후크를 후크결합공에 끼움으로써, 엔드캡(38)을 지지대(30)의 하단부에 원터치식으로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러한 탄성후크와 후크결합공은 도 9a에서 우측 부분에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슬라이더의 승강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서포트 브라켓과 슬라이더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서포트 브라켓과 슬라이더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우측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일부 절개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9a 내지 도 9h는 본 발명에 의해 지지되는 헤드레스트 탈부착시의 록킹과 언록킹 작동 원리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3)에 내장되는 서포트 브라켓(10)과, 상기 서포트 브라켓(10)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에는 지지대 결합부(22)가 형성된 슬라이더(20)와, 상기 슬라이더(20) 양측의 상기 지지대 결합부(22)에 하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는 헤드레스트(1)가 구비된 지지대(30)와, 상기 슬라이더(20)의 상기 지지대 결합부(22)에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대(30)의 하측 둘레부에 결합된 록커 스프링(40)과, 상기 슬라이더(20)의 상기 지지대 결합부(22) 위치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 작동됨에 따라 상기 록커 스프링(40)을 상기 지지대(30)의 하측 둘레부에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하는 작동핀(50)을 포함하고,
    상기 록커 스프링(40)은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일측부가 상기 슬라이더(20)의 상기 지지대 결합부(22)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대(30)의 외주면에는 오목한 홈 형상의 록킹홈(32)이 형성되어, 상기 록킹홈(32)에 상기 록커 스프링(40)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30)가 상기 록커 스프링(40)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0)의 지지대 결합부(22)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더(20)의 양측에 구비된 상기 지지대 결합부(22)에는 상기 록커 스프링(40)의 일측부에 인접되도록 작동핀(50)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핀(50)은 상기 슬라이더(20)에 내장된 록킹 지지부(52)와, 상기 록킹 지지부(52)의 상단에 일체화되며 상기 록킹 지지부(52)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록커 스프링(40)의 일측부가 상기 지지대(30)의 외측으로 밀려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푸싱 작동부(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는 중간바아(33)의 양단에 연결된 한 쌍의 바아 형상의 지지대(30)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30)의 하측 외주면에는 록킹홈(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홈(32)은 상기 지지대(30)의 하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32a)와, 상기 제1경사부(32a)와 대칭되도록 상향 경사진 제2경사부(32b)로 이루어져, 상기 제1경사부(32a)와 제2경사부(32b)에 의해 상기 록킹홈(32)이 삼각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는 하단부에 테이퍼부(36a,38a)가 형성되어, 상기 록커 스프링(40)이 상기 테이퍼부(36a,38a)에 의해 외측으로 원활하게 벌어지도록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의 양측 지지대 결합부(2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대 결합부(22) 하단부에는 플러그(11)가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11)에는 상기 헤드레스트(1)의 작동부를 자동차의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6)가 전선(5)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대(30) 하단부에는 상기 플러그(11)에 끼워져 상기 헤드레스트(1)의 작동부와 상기 커넥터(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소켓 기능을 하는 엔드캡(38)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양측 지지대(3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대(30)에 결합된 상기 엔드캡(38)에는 테이퍼부(38a)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지지대(30) 중에서 다른 하나의 지지대(30)의 하단부에도 테이퍼부(36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KR1020080000640A 2008-01-03 2008-01-03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KR100847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640A KR100847065B1 (ko) 2008-01-03 2008-01-03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640A KR100847065B1 (ko) 2008-01-03 2008-01-03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065B1 true KR100847065B1 (ko) 2008-07-18

Family

ID=3982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640A KR100847065B1 (ko) 2008-01-03 2008-01-03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0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994B1 (ko) 2008-02-11 2009-01-22 (주)디디디 개선된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KR200451787Y1 (ko) 2008-08-22 2011-01-12 다이모스(주) 전동식 헤드레스트의 탈부착 장치
KR200451786Y1 (ko) 2008-08-19 2011-01-12 다이모스(주) 전동식 헤드레스트의 탈부착 장치
CN108116279A (zh) * 2018-02-05 2018-06-05 安徽永驰婴童安全科技有限公司 头枕高度调节机构及儿童安全座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017A (ja) * 1992-02-29 1993-09-24 Tachi S Co Ltd 着脱式ヘッドレストの電装品結線方法および電装品結線構造
JP2005212653A (ja) 2004-01-30 2005-08-11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
KR100789890B1 (ko) 2007-01-26 2007-12-28 (주)디디디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017A (ja) * 1992-02-29 1993-09-24 Tachi S Co Ltd 着脱式ヘッドレストの電装品結線方法および電装品結線構造
JP2005212653A (ja) 2004-01-30 2005-08-11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
KR100789890B1 (ko) 2007-01-26 2007-12-28 (주)디디디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994B1 (ko) 2008-02-11 2009-01-22 (주)디디디 개선된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KR200451786Y1 (ko) 2008-08-19 2011-01-12 다이모스(주) 전동식 헤드레스트의 탈부착 장치
KR200451787Y1 (ko) 2008-08-22 2011-01-12 다이모스(주) 전동식 헤드레스트의 탈부착 장치
CN108116279A (zh) * 2018-02-05 2018-06-05 安徽永驰婴童安全科技有限公司 头枕高度调节机构及儿童安全座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0401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取付構造
KR100847065B1 (ko)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CN110497826B (zh) 安全座椅底座操控组件、安全座椅底座、套件和操控方法
CN210161967U (zh) 一种车用杯托
KR101353959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US9452694B2 (en) Juvenile vehicle seat
CN207345601U (zh) 具有两向调节功能的按钮式座椅头枕
KR100999144B1 (ko) 탈착 가능한 전동식 헤드레스트
CN109398193B (zh) 头枕锁止机构及汽车座椅
KR101837428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0879994B1 (ko) 개선된 자동차 시트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결합구조
CN110435491B (zh) 一种改进型汽车座椅
CN209776253U (zh) 座椅头枕升降正面解锁机构
KR102122867B1 (ko) 누름식 노브로 동작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카시트
JP2018001982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CN207015302U (zh) 安全带锁扣
JP2009201533A (ja) ヘッドレストのロック機構
KR101716981B1 (ko) 시트 폴딩 래치장치
CN214450444U (zh) 电动易进入座椅抬升控制机构
CN212172013U (zh) 一种汽车座椅及汽车
KR100898390B1 (ko)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
KR102060156B1 (ko)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CN218176955U (zh) 一种汽车扶手箱的锁紧结构
KR20050023095A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CN207136399U (zh) 一种安全带锁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