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233B1 -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233B1
KR100898233B1 KR1020080034432A KR20080034432A KR100898233B1 KR 100898233 B1 KR100898233 B1 KR 100898233B1 KR 1020080034432 A KR1020080034432 A KR 1020080034432A KR 20080034432 A KR20080034432 A KR 20080034432A KR 100898233 B1 KR100898233 B1 KR 100898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lectrical equipment
air conditioner
main body
equipmen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035A (ko
Inventor
세이이찌 고가
노부히로 오구라
가즈히로 히우가노
아끼라 오까다
아끼히로 노나까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2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건물의 천장 공간에 설치되는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된 전장 상자를 간단하게 냉각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송풍 팬(29A, 29B) 및 실내 열교환기를 수용한 유닛 본체(5)의 외측면에 전장 상자(41)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전장 상자(41)가, 제어 기판(42)을 수납한 수납부(45)와, 이 수납부(45)에 연접되고 서로의 내부가 연통하고 공기의 도입구(46) 및 배출구(47)를 갖는 돌출부(48)를 구비하고, 전장 상자(41)를, 돌출부(48)를 유닛 본체(5)의 외측면에 형성한 개구(52)에 삽입하고, 당해 돌출부(48)를 송풍 팬의 송풍 경로 내에 돌출시킨 상태에서, 유닛 본체(5)의 외측면에 장착했다.
Figure R1020080034432
송풍 팬, 유닛 본체, 전장 상자, 수납부, 돌출부, 개구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건물의 천장 공간에 설치되는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전장 상자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물의 천장 공간에 설치되고, 열교환기 및 송풍 팬을 수용한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전장 상자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류의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유닛 본체는 천장 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 유닛 본체 내의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예를 들어 분출 덕트를 통해 실내의 적절한 위치로 유도하여 실내에 분출할 수 있으므로, 실내의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공기 조화를 실현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2562675호 공보
그런데, 전장 상자에는, 송풍 팬이나 열교환기에 접속되는 전자 팽창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이 수용되어 있다. 이 제어 기판은, 상기 송풍 팬이나 전자 팽창 밸브의 운전 동작에 수반하여 발열하여, 전장 상자 내의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당해 전장 상자를 냉각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장 상자는 유닛 본체와 함께 천장 공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전장 상자에 천장 공간과 연통하는 개구를 형성했다고 해도, 당해 전장 상자를 충분히 냉각할 수 없고, 또한, 천장 공간의 공기는 일반적으로 진애를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전장 상자의 개구에 진애를 제거하는 필터를 필요로 하여, 전장 상자의 구성이 번잡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건물의 천장 공간에 설치되는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된 전장 상자를 간단하게 냉각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송풍 팬 및 실내 열교환기를 수용한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전장 상자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장 상자가, 제어 기판을 수납한 수납부와, 이 수납부에 연접되고 서로의 내부가 연통하고 공기의 도입구 및 배출구를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장 상자가, 상기 돌출부를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한 개구에 삽입하고, 당해 돌출부를 상기 송풍 팬의 송풍 경로 내에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전장 상자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라도, 상기 전장 상자가, 제어 기판을 수납한 수납부와, 이 수납부에 연접되고, 서로의 내부가 연통하고, 공기의 도입구 및 배출구를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장 상자가, 상기 돌출부를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한 개구에 삽입하고, 당해 돌출부를 상기 송풍 팬의 송풍 경로 내에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 팬의 송풍에 의해 돌출부에 유입된 공기가, 서로의 내부가 연통한 수납부에 유입되고, 이 공기에 의해 수납부 내의 제어 기판이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송풍 팬의 흡입구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공기의 배출구는 상기 송풍 팬의 흡입구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공기 도입구는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전장 상자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라도, 전장 상자가, 전자 부품을 수납한 수납부와, 이 수납부에 연접되고, 서로의 내부가 연통하고, 공기의 도입구 및 배출구를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전장 상자가, 돌출부를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한 개구에 삽입하고, 당해 돌출부를 송풍 팬의 송풍 경로 내에 돌출시킨 상태에서,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 팬의 송풍에 의해 돌출부에 유입된 공기가, 서로의 내부가 연통한 수납부에 유입되고, 이 공기에 의해 수납부 내의 전자 부품이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따라서, 건물의 천장 공간에 설치되는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된 전장 상자를 간단하게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빌트인형 공기 조화 장치(이하, 공기 조화 장치와 부름)를 도시하고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1)는, 건물의 천장 공간(3) 내에 볼트를 통해 현수하여 배치되는 강판제 상자형의 유닛 본체(5)를 구비하고 있다.
유닛 본체(5)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 배치되어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설치된 4매의 측판(11)을 구비하고, 각 측판(11)의 상부 모서리부에 천장판(13)이 고정되고, 각 측판(11)의 하부 모서리부에 바닥판(15)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의 측판(11), 천장판(13) 및 바닥판(15)의 일부에는 단열재가 점착되어 있다. 이 측판(11) 중, 짧은 변측의 측판(11A, 11B)의 양단부에, 현수 금속 부재(17)가 고정 장착되고, 이 현수 금속 부재(17)가, 건물의 천장으로부터 수직 하강된 현수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고정 장착되고, 이에 의해, 유닛 본체(5)가 천장에 현수되어 있다.
이 유닛 본체(5)의 내부는,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획판(7)에 의해 도면 중 좌측의 기계실(9)과, 도면 중 우측의 열교환실(10)로 나누어져 있고, 우측의 열교환실(10)에는, 실내 열교환기(21)와, 이 실내 열교환기(21)의 하방에 당해 실내 열교환기(21)로부터 흘러 내려지는 드레인수를 받는 드레인 팬(23)과, 이 드레인 팬(23)에 저류된 드레인수를 기기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펌프(25)가 배치되어 있다. 좌측의 기계실(9)에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풍 팬 구동 모터(27)와, 유닛 본체(5)의 길이 방향으로 송풍 팬 구동 모터(27)를 통해 직렬로 결합되는 송풍 팬(29A, 29B)[예를 들어 약 50매의 날개열(列)로 이루어지는 시로코 팬(sirroco fan)]이 배치되어 있다.
드레인 팬(23)의 하방은, 도1 및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바닥판(15)으로 덮이고, 송풍 팬(29A, 29B)의 하방은 개방되고, 여기서는 도시를 생략한 흡입 그릴이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개방된 부분이, 유닛 본체(5)로의 흡입구(30)로 되어 있고, 유닛 본체(5)로부터의 분출구(40)는 측판(11C)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1 및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5)의 도면 중 우측의 측판(11B)으로부터는, 냉매(액체) 배관 접속구(31), 냉매(기체) 배관 접속구(32), 드레인 배관 접속구(33)가 연장되고, 냉매(액체) 배관 접속구(31), 냉매(기체) 배관 접속구(32)는 일단부가 실내 열교환기(21)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도시하지 않은 실외기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드레인 배관 접속구(33)는 일단부가 드레인 펌프(25)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도시하지 않은 드레인 호스에 접속되고, 드레인 호스는 옥외에 도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짧은 변측의 측 판(11B)에 있어서의 기계실(9)측의 외면에 전장 상자(41)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전장 상자(41)는, 도4 및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자형의 수납부(45)와, 이것에 연통, 연접된 상자형의 돌출부(48)를 구비하고 있다. 상자형의 수납부(45)에는, 송풍 팬(29A, 29B)이나 실내 열교환기(21)에 접속되는 전자 팽창 밸브(도시하지 않음)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42), 전장 부품(43) 및 히트 싱크(44) 등이 수납되고, 상기 제어 기판(42)은, 수납부(45)와 돌출부(48)를 연통하는 연통 개구(49)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이 개구(49)보다도 큰 판면을 갖고, 복수의 고정 부재(50)에 의해, 수납부(45)의 벽면(45A)에, 당해 벽면(45A)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K)을 두고 고정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48)의 하방에는, 상기 제어 기판(42), 전장 부품(43)에 접속되는 배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 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상자형의 돌출부(48)는, 수납부(45)에 대해, 히트 싱크(44)측으로 치우쳐 연접되고, 서로의 내부가 상기 개구(49)를 통해 연통하고 있고, 또한, 공기의 도입구(슬릿)(46) 및 배출구(슬릿)(47)를 갖고 있다. 돌출부(48)는 수납부(45)와 서로 유사한 것으로, 상사비(相似比) 3분의 1 정도의 크기이며, 그 용적은 수납부(45)보다도 상당히 작고, 그 내측은 중공이고, 상기 중공부는 송풍 경로로 된다.
이 전장 상자(41)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브래킷(51)을 갖고, 상기 돌출부(48)를 유닛 본체(5)의 측판(11B)에 형성한 개구(52)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유닛 본체(5)의 외측면에 대해, 브래킷(51)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측판(11B)의 개구(52) 내에 삽입된 돌출부(48)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 이, 한쪽의 송풍 팬(29B)에 의한 송풍 경로(55) 내로 돌출되고, 이 상태에서, 공기의 도입구(슬릿)(46)를 도면 중 아래를 향해, 배출구(슬릿)(47)를 송풍 팬(29B)의 흡입 축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도입구(46)는 돌출부(48)의 측판(48A)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구(47)는, 측판(48A)에 인접하는 동시에, 상기 송풍 팬(29B)의 흡입구(60)에 대향하는 측판(48B)의 도입구(46)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도입구(46)로부터 들어간 공기가, 제어 기판(42)의 이면을 냉각하고, 도입구(46)로부터 먼, 측판(48B)에 형성한 배출구(47)로부터, 송풍 팬(29B)의 흡입 축 방향으로 분출되고, 당해 송풍 팬(29B)에 흡인된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 팬(29A, 29B)이 구동되면, 유닛 본체(5)로의 공기의 흡입구(30)로부터 유닛 본체(5)에 공기가 흡입되고, 이 공기가, 실내 열교환기(21)에서 열교환되어, 유닛 본체(5)의 분출구(40)로부터 분출되고, 이 분출구(40)에 덕트 접속된 실내측의 분출구를 통해 실내에 조화 공기가 분출된다.
이 과정에 있어서, 송풍 팬(29B)의 흡입 경로에는, 수납부(45)로부터 돌출된 돌출부(48)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돌출부(48)에 형성한 도입구(46)로부터, 돌출부(48)의 내부에 들어가고, 돌출부(48)에 들어간 공기는, 슬릿(46)을 통과할 때에 박리하여 난류로 된다.
수납부(45) 내에는 제어 기판(42)의 이면이 노출되고, 공기는 기판 이면을 통과할 때에, 강제 대류에 의해 열교환하고, 열교환하여 고온으로 된 공기는, 그 후, 돌출부(48)의 측판(48B)의 슬릿(47)으로부터 돌출부(48) 밖으로 나와, 흡입 압력에 의해 송풍 팬(29B)의 흡입구(60)의 외주부로 유도된다.
본 구성에서는, 도입구(46)로부터 들어간 공기가, 도입구(46)로부터 먼 배출구(47)로부터 분출되기 때문에, 이 공기는 돌출부(48)의 내부를 넓게 순환하여, 제어 기판(42)의 이면을 효과적으로 냉각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닛 본체(5)가 설치된 천장 이면 공간보다도 온도가 낮은 실내 공기에 의해, 기판 이면이 항상 강제 대류에 노출되기 때문에, 종래의 것에 비해 전장 상자(41)를 더욱 간단하게 냉각할 수 있다. 전장 상자(41)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량이 증대되어, 전장 상자(41)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48)에 슬릿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의 전장 상자(41)의 온도와 비교하면, 부위에 따라서는 최대 약 40 ℃의 온도차가 발생한다고 하는 실험 데이터가 있다.
이상, 일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 본체가 직방체이며, 개구부로서 세로로 새긴 슬릿을 예로 들었으나, 돌출부 본체를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슬릿을 메쉬 형상의 구조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도1을 아래로부터 본 평면도.
도3은 유닛 본체의 사시도.
도4는 전장 상자의 측면도.
도5는 전장 상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조화 장치
5 : 유닛 본체
7 : 구획판
9 : 기계실
10 : 열교환실
21 : 실내 열교환기
29A, 29B : 송풍 팬
41 : 전장 상자
42 : 제어 기판
45 : 수납부
46 : 도입구(슬릿)
47 : 배출구(슬릿)
48 : 돌출부
60 : 흡입구

Claims (4)

  1. 송풍 팬 및 실내 열교환기를 수용한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전장 상자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장 상자가, 제어 기판을 수납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연접되고, 서로의 내부가 연통하고, 공기의 도입구 및 배출구를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장 상자가, 상기 돌출부를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한 개구에 삽입하고, 당해 돌출부를 상기 송풍 팬의 송풍 경로 내에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닛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송풍 팬의 흡입구의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배출구는 상기 송풍 팬의 흡입구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도입구는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KR1020080034432A 2007-07-25 2008-04-15 공기 조화 장치 KR100898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92790A JP2009030829A (ja) 2007-07-25 2007-07-25 空気調和装置
JPJP-P-2007-00192790 2007-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035A KR20090012035A (ko) 2009-02-02
KR100898233B1 true KR100898233B1 (ko) 2009-05-18

Family

ID=39924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432A KR100898233B1 (ko) 2007-07-25 2008-04-15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25413A1 (ko)
EP (1) EP2023048B1 (ko)
JP (1) JP2009030829A (ko)
KR (1) KR100898233B1 (ko)
CN (1) CN10057810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9399B2 (ja) * 2009-09-07 2011-12-21 株式会社長府製作所 空気温調機
JP4852639B2 (ja) * 2009-10-14 2012-01-11 株式会社長府製作所 空気温調機
JP5587060B2 (ja) * 2010-06-30 2014-09-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装置
JP5549817B2 (ja) * 2010-12-28 2014-07-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ダクト型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827741B2 (ja) * 2012-02-28 2015-12-0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447569B2 (ja) 2012-03-26 2014-03-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装置
JP5464225B2 (ja) * 2012-03-26 2014-04-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EP2846107B1 (en) * 2012-03-29 2018-11-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devic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comprising same
JP6185346B2 (ja) * 2013-09-18 2017-08-23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ヒートポンプ
KR102168584B1 (ko) * 2013-11-12 2020-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PL3091304T3 (pl) * 2013-12-20 2021-04-06 Toshiba Carrier Corporation Klimatyzator
USD785151S1 (en) * 2014-08-13 2017-04-25 Atm Beyaz Esya Parcalari Sanayi Ve Ticaret Limited Sirketi Condenser
CN108700310B (zh) * 2016-02-17 2021-03-12 东芝开利株式会社 空调用室内单元和空调装置
US10731875B2 (en) * 2016-05-12 2020-08-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KR20190017506A (ko) * 2017-08-11 2019-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102091255B1 (ko) * 2017-09-14 202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JP6940453B2 (ja) * 2018-05-10 2021-09-29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フィルタ付き送風装置
EP3842705A4 (en) * 2018-08-24 2022-08-10 Fujitsu General Limited AIR CONDITIONING EMBEDDED IN A ROOM CEIL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569A (ja) 1998-02-12 199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天井埋込形空気調和装置
KR100323516B1 (ko) 1999-06-05 2002-02-07 구자홍 표시창과 콘트롤 박스가 일체로 구비된 공기 조화기
KR20060007612A (ko) 2004-07-20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60110932A (ko) 2005-04-20 200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639A (ja) * 1983-07-18 1985-02-04 Toshiba Corp エコ−キヤンセラ−装置
JP2562675B2 (ja) * 1988-10-17 1996-12-11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3103921A (ja) * 1989-09-19 1991-04-30 Toshiba Corp ウィンドウ表示装置
JP3148276B2 (ja) * 1991-05-20 2001-03-19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322778B2 (ja) * 1995-08-22 2002-09-09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H1194291A (ja) * 1997-09-24 1999-04-09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H11148685A (ja) * 1997-11-20 1999-06-0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4582972B2 (ja) * 2001-08-09 2010-11-1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CN100425918C (zh) * 2003-09-25 2008-10-15 东芝开利株式会社 空调机的室外机单元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569A (ja) 1998-02-12 199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天井埋込形空気調和装置
KR100323516B1 (ko) 1999-06-05 2002-02-07 구자홍 표시창과 콘트롤 박스가 일체로 구비된 공기 조화기
KR20060007612A (ko) 2004-07-20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60110932A (ko) 2005-04-20 200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54160A (zh) 2009-01-28
JP2009030829A (ja) 2009-02-12
EP2023048A1 (en) 2009-02-11
KR20090012035A (ko) 2009-02-02
CN100578100C (zh) 2010-01-06
EP2023048B1 (en) 2015-03-04
US20090025413A1 (en)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233B1 (ko) 공기 조화 장치
JP5786086B2 (ja)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機
JP2010216798A (ja) 室外機及び冷凍装置
JP5464225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5310887B2 (ja) 室外機及び冷凍装置
US11131479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indoor unit
JP2011137610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7172930A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
WO2004042287A1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及び室外ユニットの電装品箱
JP2013050283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410594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005416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2233613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WO2009088010A1 (ja) 風向調整ユニットならびに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JP5449950B2 (ja) 外気処理空気調和機
JP2012167862A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H10197004A (ja) 空気調和機
JP2005098625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5071573B2 (ja) 空気調和機
JP2014240713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109957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WO2019159360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060269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6974754B2 (ja) 冷凍装置の室外機
JP2001324174A (ja) 冷凍機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