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559B1 - 좌석 냉방을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 - Google Patents

좌석 냉방을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559B1
KR100897559B1 KR1020080068757A KR20080068757A KR100897559B1 KR 100897559 B1 KR100897559 B1 KR 100897559B1 KR 1020080068757 A KR1020080068757 A KR 1020080068757A KR 20080068757 A KR20080068757 A KR 20080068757A KR 100897559 B1 KR100897559 B1 KR 100897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evaporator
seat
vehicl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용
김동한
김한경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8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559B1/ko
Priority to PCT/KR2009/003802 priority patent/WO20100081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35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는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응축기와, 팽창 장치 및 증발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냉매와 송풍기에 의해 상기 증발기 표면을 거치는 송풍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송풍 공기를 냉기로 바뀌어 차량 실내로 토출하는 실내 냉방 유닛 및 서브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서브 응축기와, 서브 팽창 장치 및 상기 차량의 좌석에 내장된 관형의 서브 증발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저온 상태로 변환된 채로 다시 서브 압축기로 순환하는 냉매에 의해 상기 차량의 좌석 및/또는 등받이를 냉방하는 좌석 냉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차량의 좌석 및/또는 상기 좌석의 등받이에 서브 증발기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뿐만 아니라 운전자 등이 앉는 좌석 및/또는 등받이에까지 냉방이 제공되어 쾌적한 상태에서 차량을 운전할 수 있다.
차량, 공조, 냉방, 좌석

Description

좌석 냉방을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IN COOLING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승차자가 앉는 좌석의 냉방을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 시스템 및 차량의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공조 장치는 일체형의 사출 조립체인 공조 덕트(duct)가 구비되고, 상기 공조 덕트의 일측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과 실내 공기의 순환 제어를 위한 공기흡입도어와 유입된 공기의 강제 송풍을 위한 블로워 유니트(blower unit)가 구비된다.
상기 블로워 유니트의 전방에는 증발기와 히터 코어(heater core)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와 히터 코어는 온도조절도어에 의하여 그 통로가 구획된다.
상기 증발기와 히터 코어의 전방에는 분배도어에 의하여 자동차의 실내와 연접되는 디플로스터(defroster)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nel) 상에 구비되는 벤트 홀(vent hole)을 통하여 냉, 난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구성이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공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공조 장치(10)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가스로 변환하는 압축기(11) → 고온 고압의 가스를 액화하는 응축기(12) → 증발기(14)에서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저온 저압의 연무와 같은 형태로 만드는 팽창 장치(13) → 송풍기(미도시)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14)로 구성되며, 증발기(14)를 거친 냉매는 다시 압축기(11)로 순환된다.
상기 증발기(14)에서 열을 빼앗긴 차가워진 공기는 덕트를 통하여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 공조 장치(10)의 경우, 차량 실내의 더워진 공기는 용이하게 냉각시킬 수 있으나, 탑승자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좌석(seat) 및 좌석의 등받이의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냉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여름철과 같은 더운 날씨에 좌석에 앉은 승차자는 등과 엉덩이 부분에 땀이 차는 등의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이러한 불쾌감이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어 차량의 운전성이나 승차감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승차자가 앉게 되는 좌석 및/또는 등받이의 경우에도 냉방 효과가 제공될 수 있는 개선된 차량용 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는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응축기와, 팽창 장치 및 증발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냉매와 송풍기에 의해 상기 증발기 표면을 거치는 송풍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송풍 공기를 냉기로 바뀌어 차량 실내로 토출하는 실내 냉방 유닛 및 서브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서브 응축기와, 서브 팽창 장치 및 상기 차량의 좌석에 내장된 관형의 서브 증발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저온 상태로 변환된 채로 다시 서브 압축기로 순환하는 냉매에 의해 상기 차량의 좌석 및/또는 등받이를 냉방하는 좌석 냉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 증발기를 통과 시 상기 냉매는 압력 강하가 발생되되, 상기 서브 증발기의 입구측 압력을 5kg/㎠ 로 하였을 경우, 상기 서브 증발기의 입구측 압력과 상기 서브 증발기의 출구측 압력의 차이가 3.5kg/㎠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 증발기의 단면적이 0.8㎟ ~ 33㎟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 증발기의 길이는 1m ~ 9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 응축기와 상기 서브 팽창 장치 사이, 상기 서브 팽창 장치와 상기 서브 증발기 사이, 상기 서브 증발기와 상기 서브 압축기 사이 중 어느 한 구간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 증발기에서의 냉매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 증발기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서브 증발기에서의 냉매 유동을 각 좌석별로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좌석 및/또는 상기 좌석의 등받이에 서브 증발기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뿐만 아니라 운전자 등이 앉는 좌석 및/또는 등받이에까지 냉방이 제공되어 쾌적한 상태에서 차량을 운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냉매를 이용하여 좌석 및/또는 등받이를 냉방함으로써, 기존의 블로워를 이용한 냉방방법보다 높은 냉방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차량용 공조 장치 중 서브 증발기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 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 냉방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 냉방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용 공조 장치(100)는 실내 냉방 유닛(110) 및 좌석 냉방 유닛(120)을 포함한다.
상기 실내 냉방 유닛(110)은 팽창된 냉매와 외부 공기 사이의 열교환에 의하여 차량 실내로 냉기를 공급한다.
상기 실내 냉방 유닛(110)은 폐쇄 회로 형태로서, 압축기(111)와, 응축기(112)와, 팽창 장치(113) 및 증발기(114)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 냉방 유닛(110)으로 공급되는 냉매는 상기 압축기(111)와, 상기 응축기(112)와, 상기 팽창 장치(113) 및 상기 증발기(114)를 순차적으로 이동해 저온 저압 상태로 변환되어 송풍기(미도시)에 유입된 외부 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차량 실내로 토출하고, 상기 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111)로 보내져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즉, 상기 실내 냉방 유닛(110)에서 상기 냉매는 압축기(111)에 의하여 고온 고압 상태가 되어 상기 응축기(112)로 보내진다.
상기 응축기(112) 내에서는 열교환기에 의해 상기 냉매는 저온 고압 상태로 변환되고, 상기 팽창 장치(113)를 지나면서 압력이 낮아져 상기 증발기(114)로 보내진다.
상기 증발기(114)에서는 상기 저온 저압 상태의 냉매와 상기 송풍기에 의하 여 유입된 송풍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차가워진 공기는 차량 실내의 냉방을 위해 공급된다.
상기 송풍 공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진 상기 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111)로 보내져 상기와 같은 순환이 다시 이루어진다.
상기 좌석 냉방 유닛(120)은 상기 좌석 냉방 유닛(120)을 순환하는 냉매의 온도 감소에 의하여 차량의 좌석(131) 및/또는 좌석(131)의 등받이(132)를 냉방한다.
상기 좌석 냉방 유닛(120)은 서브 압축기(121)와, 서브 응축기(122)와, 서브 팽창 장치(123) 및 서브 증발기(124)를 포함한다.
상기 좌석 냉방 유닛(120)에서도 상기 실내 냉방 유닛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좌석 냉방 유닛(120) 내를 순환하는 냉매가 서브 압축기(121)에 의해 고온 고압 상태로 변환되고, 서브 응축기(122)로 보내져 저온 고압 상태로 변환된 후, 상기 서브 팽창 장치(123)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 상태로 변환되어 서브 증발기(124)로 공급된다.
상기 서브 증발기(124)로 유입된 저온 저압의 냉매는 상기 서브 증발기(124)를 통과하면서 압력 강하에 의해 온도가 더 내려가면서 다시 서브 압축기(121)로 보내져 상기의 과정이 되풀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증발기(124)의 경우, 관형 형태로 차량의 좌석(131) 및/또는 상기 좌석(131)의 등받이(132) 내에 설치되어 온도가 하강된 냉매에 의하여 차량의 좌석(131) 및/또는 등받이(132)에 냉방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브 증발기(124)는 차량 실내의 좌석(131) 혹은 등받이(132) 혹은 좌석(131)과 등받이(132)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증발기(124)는 그 길이가 1m ~ 9m 이내이고, 그 단면적은 0.8㎟ ~ 33㎟ 이내이다.
상기 단면적은 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상기 서브 증발기(124)의 단면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서브 증발기(124)의 전 범위에 걸쳐 상기 단면적은 0.8㎟ ~ 33㎟ 이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서브 증발기(124)의 길이 및 그 단면적의 값은 상기 냉매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길이에 따른 냉매의 압력 강하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증발기(124)의 길이가 1m 미만이면, 길이가 너무 짧아서 좌석(131) 및/또는 등받이(132) 모두에 균일한 냉방 효과를 얻기가 어렵게 된다.
상기 서브 증발기(124)의 길이가 9m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서브 증발기(124)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냉매의 압력차가 너무 커지게 되어 냉방 효과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균일한 냉방 효과를 얻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서브 증발기(124)의 단면적이 0.8㎟ 미만이면, 냉매가 상기 서브 증발기(124)를 통과할 때, 상기 서브 증발기(124)의 입구측과 출구측 사이의 냉매 압력차가 너무 커지게 되어, 냉방 효과가 감소 또는 불균일해질 수 있다.
상기 서브 증발기(124)의 단면적이 33㎟을 초과하게 되면, 차량의 좌석(131)에 앉는 탑승자가 이물감을 느낄 수 있고, 제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증발기(124)에서의 상기 냉매는 상기 서브 증발기(124)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갈수록 압력이 강하되되, 상기 서브 증발기(124)의 입구측 압력을 5kg/㎠ 로 하였을 경우, 상기 서브 증발기(124)의 입구측 압력과 출구측 압력의 차이가 3.5kg/㎠ 이내이어야 한다.
상기 서브 증발기(124)의 입구측과 출구측 사이의 압력 차가 3.5kg/㎠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차량의 좌석(131) 및/또는 좌석(131)의 등받이(132)에서의 균일한 냉방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전체적인 좌석(131) 및 등받이(132)에서의 냉방 효과가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응축기(122)와 상기 서브 팽창 장치(123) 사이, 상기 서브 팽창 장치(123)와 상기 서브 증발기(124) 사이, 상기 서브 증발기(124)와 상기 서브 압축기(121) 사이 중 어느 한 구간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 증발기(124)에서의 냉매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기(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서브 증발기(124)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서브 증발기(124)에서의 냉매 유동을 각 좌석별로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기(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140)의 조절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실내 냉방 시 탑승자는 좌석(131) 및/또는 등받이(132)로의 냉방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차량용 공조 장치(100)에 의하면, 더운 날씨에 의해 상기 차량의 실내 온도가 상승한 경우, 차량 실내의 냉방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착석에 의해 냉기가 공급되지 않는 좌석(131) 및/또는 등받이(132)도 냉방할 수 있어 쾌적한 상태에서 운전을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공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차량용 공조 장치 중 서브 증발기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 냉방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 냉방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량용 공조 장치 110... 실내 냉방 유닛
111... 압축기 112... 응축기
113... 팽창 장치 114... 증발기
120... 좌석 냉방 유닛 121... 서브 압축기
122... 서브 응축기 123... 서브 팽창 장치
124... 서브 증발기 131... 좌석
132... 등받이 140... 개폐기

Claims (6)

  1.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응축기와, 팽창 장치 및 증발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냉매와 송풍기에 의해 상기 증발기 표면을 거치는 송풍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송풍 공기를 냉기로 바뀌어 차량 실내로 토출하는 실내 냉방 유닛; 및
    서브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서브 응축기와, 서브 팽창 장치 및 상기 차량의 좌석에 내장된 관형의 서브 증발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저온 상태로 변환된 채로 다시 서브 압축기로 순환하는 냉매에 의해 상기 차량의 좌석 및/또는 등받이를 냉방하는 좌석 냉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증발기의 단면적이 0.8㎟ ~ 33㎟ 이내이며,
    상기 서브 증발기의 길이는 1m ~ 9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증발기를 통과 시 상기 냉매는 압력 강하가 발생되되,
    상기 서브 증발기의 입구측 압력을 5kg/㎠ 로 하였을 경우, 상기 서브 증발기의 입구측 압력과 상기 서브 증발기의 출구측 압력의 차이가 3.5kg/㎠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응축기와 상기 서브 팽창 장치 사이, 상기 서브 팽창 장치와 상기 서브 증발기 사이, 상기 서브 증발기와 상기 서브 압축기 사이 중 어느 한 구간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 증발기에서의 냉매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브 증발기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서브 증발기에서의 냉매 유동을 각 좌석별로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KR1020080068757A 2008-07-15 2008-07-15 좌석 냉방을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 KR100897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757A KR100897559B1 (ko) 2008-07-15 2008-07-15 좌석 냉방을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
PCT/KR2009/003802 WO2010008158A1 (ko) 2008-07-15 2009-07-10 좌석 냉방을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757A KR100897559B1 (ko) 2008-07-15 2008-07-15 좌석 냉방을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559B1 true KR100897559B1 (ko) 2009-05-15

Family

ID=4086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757A KR100897559B1 (ko) 2008-07-15 2008-07-15 좌석 냉방을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5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599A (ko) * 2002-08-13 2004-02-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냉각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599A (ko) * 2002-08-13 2004-02-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냉각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951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JP200904030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028943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421574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8265490A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0008158A1 (ko) 좌석 냉방을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
JP6078575B2 (ja) 車両用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装置
JP554963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443836B2 (ja) 座席用空調装置
CN109747373B (zh) 车辆用空调装置
KR100897559B1 (ko) 좌석 냉방을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
JP2006076503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648226B1 (ko) 차량 후석용 보조 냉난방장치
JP439675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00088187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
KR100796359B1 (ko) 자동차용 공기 순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76876A (ko) 좌석 냉방을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
JP2009012550A (ja) 自動車用シート空調装置
JP4859768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100007431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시트 냉난방장치
KR2008000896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80086014A (ko) 차량 시트 공조장치
KR100642132B1 (ko)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WO2023139767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90036370A (ko) 자동차용 시트의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