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187A -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187A
KR20100088187A KR1020090007227A KR20090007227A KR20100088187A KR 20100088187 A KR20100088187 A KR 20100088187A KR 1020090007227 A KR1020090007227 A KR 1020090007227A KR 20090007227 A KR20090007227 A KR 20090007227A KR 20100088187 A KR20100088187 A KR 20100088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urtain
wind speed
un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욱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7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8187A/ko
Publication of KR20100088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5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ro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은 차량 실내의 천장부에 설치되며, 공조장치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앞좌석 및 뒷좌석 사이의 공간으로 토출시켜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에어 커튼 유닛과, 상기 에어 커튼 유닛의 토출 풍속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공조장치의 모드 중 상기 프론트 모드 시 토출되는 냉온기가 상기 에어 커튼에 의하여 차단되도록 상기 에어 커튼 유닛에서 토출되는 에어의 단수별 풍량 및 풍속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어 유닛은 프론트 모드 시 토출되는 냉온기의 풍량 및 풍속 단수에 따라 상기 에어 커튼 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에어의 최소 풍량 및 풍속 단수를 조절하여 에어 커튼에 의하여 앞좌석 영역으로부터 뒷좌석 영역으로 냉온기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에어 커튼 유닛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 커튼의 풍량 또는 풍속을 최소화하여 연비 향상에 의한 에너지 절감에 효율적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AIR CURTAIN SYSTEM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앞좌석 영역과 뒷좌석 영역 사이에 에어 커튼이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닛(Blower Unit)에 의해 차량 실내로 유입된 내외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유닛(Evaporator Unit)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 코어 유닛(Heater Core Unit)으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페이스 벤트(Face Vent) 및 플로어 벤트(Floor Ven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에는 차량 실내에 탑승하는 승객에게 보다 쾌적한 냉/난방을 공급하기 위하여 차량의 천장부에 에어 커튼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에어 커튼 유닛은 차량 실내의 앞좌석과 뒷좌석 사이에 에어 커튼이 형성되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에서 에어 커튼 유닛(15)은 차량(11) 실내의 앞좌석과 뒷좌석 사이의 천장부에 설치되며, 차량용 공조장치(14)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차량(11) 실내로 토출함으로써, 앞좌석과 뒷좌석 사이에 에어 커튼을 형성한다.
상기 에어 커튼은 앞좌석 영역(12)으로 공급된 냉온기가 뒷좌석 영역(13)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에어 커튼 유닛(15)은 승차 상태 판정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작동되는데, 상기 승차 상태 판정 수단은 앞좌석에 운전자 등이 승차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에어 커튼이 앞좌석과 뒷좌석 사이에 형성되면, 앞좌석 측(12)에서 뒷좌석 측(13)으로 냉온기가 유출 현상을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에어 커튼 유닛(15)은 일정한 양 및 세기의 에어 커튼, 즉 에어 커튼의 풍량 및 풍속을 일정하게 제공하므로, 앞좌석 측(12)으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 또는 풍속이 에어 커튼의 풍량보다 어느 정도 크거나 에어 커튼의 풍속보다 큰 경우에는 앞좌석 측(12)으로부터 뒷좌석 측(13)으로 냉온기가 유출되어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미비하게 된다.
즉, 에어 커튼의 풍량 및 풍속을 조절할 수 없어 앞좌석 측(12)으로 공급된 냉온기의 풍량 및 풍속에 따라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정한 풍량 및 풍속의 에어 커튼이 형성되므로, 상기 에어 커튼이 과도하게 풍량 및 풍속으로 에어를 취출하게 되면 소음 및 진동이 과다하게 되어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앞좌석 측으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 및 풍속에 따라 에어 커튼의 풍량 및 풍속을 조절할 수 있는 개선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은 차량 실내의 천장부에 설치되며, 공조장치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앞좌석 영역 및 뒷좌석 영역 사이의 공간으로 토출시켜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에어 커튼 유닛과, 상기 에어 커튼 유닛의 토출 풍속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공조장치의 모드 중 프론트 모드 시 토출되는 냉온기가 상기 에어 커튼에 의하여 상기 앞좌석 영역으로부터 뒷좌석 영역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에어 커튼 유닛에서 토출되는 에어의 단수별 풍량 및 풍속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에어 커튼 유닛의 풍량은 상기 프론트 모드 시 냉온기의 풍량 대비 7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제어 유닛은 프론트 모드 시 토출되는 냉온기의 풍량 및 풍속 단수에 따라 상기 에어 커 튼 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에어의 최소 풍량 및 풍속 단수를 조절하여 에어 커튼에 의하여 앞좌석 영역으로부터 뒷좌석 영역으로 냉온기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에어 커튼 유닛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 커튼의 풍량 또는 풍속을 최소화하여 연비 향상에 의한 에너지 절감에 효율적이다.
또한, 앞좌석 영역으로부터 뒷좌석 영역으로 냉온기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에어 커튼의 풍량 및 풍속의 최소화 설정에 의해 진동이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어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에어 커튼 유닛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은 차량(110)의 전방에 설치된 공조장치(120)와, 차량(110) 실내의 천장부에 설치된 에어 커튼 유닛(130) 및 상기 공조장치(120)의 제어 및 에어 커튼 유닛(130)의 토출 풍속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 커튼 유닛(130)은 상기 공조장치(120)로부터 공급받은 에어를 차량(110) 실내의 앞좌석 영역(111)과 뒷좌석 영역(112) 사이에 토출하여 상기 앞좌 석 영역(111)과 뒷좌석 영역(112) 사이에 에어 커튼(1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140)은 상기 에어 커튼 유닛(130)의 에어 토출 단수별 풍량 및 풍속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공조유닛(120)의 냉난방 모드 및 상기 냉난방 모드 시의 단수별 풍량 및 풍속과 연동되어 에어 커튼 유닛(130)의 단수별 풍량 및 풍속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유닛(140)은 상기 냉난방 모드가 프론트 모드이고, 상기 프론트 모드 시 벤트(미도시)로부터 토출되는 냉온기(160)의 풍량 및 풍속을 미리 측정하여 데이터화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 커튼 유닛(130)으로부터 토출되는 에어의 단수별 풍량 및 풍속에 따라 상기 프론트 모드 시의 단수별 토출되는 냉온기(160)가 상기 에어 커튼(150)에 의하여 앞좌석 영역(111)으로부터 뒷좌석 영역(112)으로 넘어가지 않는 에어 커튼 유닛(130)의 최소 단수를 미리 측정하여 데이터화한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제어 유닛(140)은 냉난방 모드가 상기 프론트 모드로 설정되고, 그때의 토출 단수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 유닛(140)에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에어 커튼 유닛(130)의 작동 조건을 상기 냉온기(160)가 상기 앞좌석 영역(111)에서 상기 뒷좌석 영역(112)으로 넘어가지 않는 최소의 단수로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모드 시의 단수별 풍속은 상기 에어 커튼 유닛(130)으로부터 토출된 에어와 프론트 모드 시 벤트로부터 토출된 냉온기(160)가 만나는 교차 지점에서 측정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은 감지 센서(170)에 의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170)는 별도의 감지 장치에 설치된 상태로 차량 개발 단계에서 상기 교차 지점에 대해 미리 측정할 수도 있고, 차량(110) 실내에 내장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프론트 모드 시의 단수별 풍속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유닛(140)에 감지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 센서(170)가 차량(110) 실내에 내장된 경우, 운전석이나 조수석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현재 시중에 출시된 모 차량을 이용한 프론트 모드의 단수별 풍량 대비 에어 커튼 유닛(130)의 단수별 풍량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프론트 모드 단수
1단 2단 3단 4단 5단 6단 7단 8단


에어커튼 단수
1단 52% 41% 31% 27% 24% 21% 19% 17%
2단 75% 59% 45% 38% 34% 29% 27% 24%
3단 95% 74% 57% 49% 43% 37% 34% 31%
4단 122% 96% 73% 63% 55% 48% 44% 40%
5단 148% 116% 89% 76% 67% 58% 53% 48%
6단 180% 141% 108% 92% 81% 71% 65% 59%
7단 188% 148% 113% 97% 85% 74% 68% 61%
상기 표 1에서 굵고 밑줄쳐진 부분이 프론트 모드의 각 단수별 풍량 대비 에어 커튼 유닛(130)의 각 단수별 풍량에서 냉온기(160)가 에어 커튼(150)에 의하여 앞좌석 영역(111)으로부터 뒷좌석 영역(112)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때의 풍량비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앞좌석 영역(111)으로부터 뒷좌석 영역(112)으로 냉온기(160)의 이동 차단을 위하여는 에어 커튼(150)의 풍량이 프론트 에이치브이에이씨(HVAC)로부터 토출되는 냉온기(160) 풍량의 약 70%를 넘는 최소 단수가 상기 제어 유닛(140)에 데이터화되어, 예컨대 프론트 모드의 토출 단수가 2단인 경우, 에어 커튼 유닛(130)의 단수는 최소 3단 이상이 되어야 에어 커튼(150)에 의하여 앞좌석 영역(111)으로부터 뒷좌석 영역(112)으로 넘어가는 냉온기(160)를 적절히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제어 유닛(140)은 프론트 모드 시 토출되는 냉온기(160)의 풍량 및 풍속 단수에 따라 상기 에어 커튼 유닛(130)으로부터 토출되는 에어의 최소 풍량 및 풍속 단수를 조절하여 에어 커튼(150)에 의하여 앞좌석 영역(111)으로부터 뒷좌석 영역(112)으로 냉온기(160)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에어 커튼 유닛(1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 커튼(150)의 풍량 및 풍속을 최소화하여 연비 향상에 의한 에너지 절감에 효율적이다.
또한, 앞좌석 영역(111)으로부터 뒷좌석 영역(112)으로 냉온기(160)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에어 커튼(150)의 풍량 및 풍속의 최소화 설정에 의해 진동이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어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에어 커튼 유닛(130)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차량 120... 공조장치
130... 에어 커튼 유닛 140... 제어 유닛
150... 에어 커튼 160... 냉온기

Claims (2)

  1. 차량(110) 실내의 천장부에 설치되며, 공조장치(120)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앞좌석 영역(111) 및 뒷좌석 영역(112)사이의 공간으로 토출시켜 에어 커튼(150)을 형성하는 에어 커튼 유닛(130)과, 상기 에어 커튼 유닛(130)의 토출 풍속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40)을 포함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140)은 상기 공조장치(120)의 모드 중 프론트 모드 시 토출되는 냉온기(160)가 상기 에어 커튼(150)에 의하여 상기 앞좌석 영역(111)으로부터 상기 뒷좌석 영역(112)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에어 커튼 유닛(130)에서 토출되는 에어의 단수별 풍량 및 풍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커튼 유닛(130)의 풍량은 상기 프론트 모드 시 냉온기(160)의 풍량 대비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
KR1020090007227A 2009-01-30 2009-01-30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 KR20100088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227A KR20100088187A (ko) 2009-01-30 2009-01-30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227A KR20100088187A (ko) 2009-01-30 2009-01-30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187A true KR20100088187A (ko) 2010-08-09

Family

ID=4275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227A KR20100088187A (ko) 2009-01-30 2009-01-30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81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9253A (zh) * 2016-08-31 2017-02-08 蒋红梅 一种汽车中的分隔机构
CN106379252A (zh) * 2016-08-31 2017-02-08 蒋红梅 一种改良结构的汽车
US11618300B2 (en) 2019-05-23 2023-04-04 Nio Technology (Anhui) Co., Ltd. Active air curtai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9253A (zh) * 2016-08-31 2017-02-08 蒋红梅 一种汽车中的分隔机构
CN106379252A (zh) * 2016-08-31 2017-02-08 蒋红梅 一种改良结构的汽车
US11618300B2 (en) 2019-05-23 2023-04-04 Nio Technology (Anhui) Co., Ltd. Active air curt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1577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090031742A1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9227482B2 (en) Airflow selecting mechanism for a vehicle cabi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0120312520A1 (en) Vehicle comfort system with efficient coordination of complementary thermal units
JP6370083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45147B1 (ko) 통합 독립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019776B2 (ja) 車両用空調装置
EP3144166B1 (en) Hvac module with anti-backflow control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9465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88187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
US11465465B2 (en) Air ventilation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90008007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648226B1 (ko) 차량 후석용 보조 냉난방장치
KR20100007431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시트 냉난방장치
KR10141884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89092A (ko) 차량의 후석 공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2965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7750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0897559B1 (ko) 좌석 냉방을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
JP2009090868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642132B1 (ko)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JP6393064B2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2161145A1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4013931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080236A (ko) 차량용 프론트 공기조화장치를 이용한 전석 개별 공기조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