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014A - 차량 시트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014A
KR20180086014A KR1020170009855A KR20170009855A KR20180086014A KR 20180086014 A KR20180086014 A KR 20180086014A KR 1020170009855 A KR1020170009855 A KR 1020170009855A KR 20170009855 A KR20170009855 A KR 20170009855A KR 20180086014 A KR20180086014 A KR 20180086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seat
sheet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훈
이성제
우상구
원종보
이동규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9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6014A/ko
Publication of KR20180086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42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with circulation of air through a layer inside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sucked from the sea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시트에 형성되는 시트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덕트는, 차량의 승객실의 공기를 상기 시트 덕트로 흡입하는 흡입구; 및 상기 시트 덕트의 공기를 상기 승객실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시트에 착석하는 승객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조풍이 승객에게 공급된 후 다시 상기 흡입구로 흡입됨에 따라, 속효성 향상 등 공조 성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객의 각 신체 부위별로 최적의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폐열이 승객실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냉방 및 난방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시트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CAR SEAT}
본 발명은, 차량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를 통해 그 시트에 착석하는 승객에게 공조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이하, 공조장치)는 공기의 온도, 습도 등의 조건을 그 장소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장치로서, 차량, 건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고, 특히 차량용 공조장치의 경우 차량의 승객실을 냉, 난방하거나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한편, 차량용 공조장치의 경우, 통상적으로 엔진의 열을 이용한 냉난방 유닛 및 송풍 유닛을 승객실의 전방 측에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써,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승객실에 송풍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기 차량과 같이 엔진의 열을 사용하지 않는 차량이 등장함에 따라 구조, 설치 위치 등이 상이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어 왔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14501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트를 통해 그 시트에 착석하는 승객에게 공조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시트 공조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145015호를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 시트 공조장치는,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 기구를 포함하고, 그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 기구의 증발기와 응축기를 시트의 하부에 장착하며, 증발기를 관류하는 냉풍을 시트의 내부로 송풍하여 시트에 착석하는 승객에게 냉풍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시트에 형성되는 시트 덕트는 그 시트 덕트의 입구가 상기 시트의 비착좌면(승객과 접촉되지 않는 면) 측에 형성되고, 그 시트 덕트의 출구가 상기 시트의 착좌면(승객과 접촉되는 면) 측에 형성된다.
한편, 폐열인 응축기를 관류한 온풍은 시트의 후방 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 시트 공조장치에 있어서는, 공조풍 중 일부만이 승객에게 공급될 뿐 공조풍 중 대부분이 승객실로 공급되고, 토출된 공조풍이 승객실을 순환한 후 그 차량 시트 공조장치로 재유입됨에 따라, 속효성이 저하되는 등 공조 성능 및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모든 시트 덕트의 출구로 토출되는 공조풍의 온도가 서로 동일하여, 승객의 각 신체 부위별로 최적의 온도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폐열이 승객실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냉방 모드에서, 응축기를 관류한 온풍이 승객실로 배출됨에 따라, 승객실 전체 온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냉방 모드에서, 응축기를 관류한 온풍이 시트 후방으로 배출됨에 따라, 후방 시트에 착석한 승객에게 의도치 않은 난방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방만 제공할 수 있을 뿐, 난방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145015호
따라서, 본 발명은, 공조 성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객의 각 신체 부위별로 최적의 온도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열이 승객실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방 및 난방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차량의 시트에 형성되는 시트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덕트는, 차량의 승객실의 공기를 상기 시트 덕트로 흡입하는 흡입구; 및 상기 시트 덕트의 공기를 상기 승객실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시트에 착석하는 승객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 안내되도록,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는 각각 승객을 향하여 일정 각도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타측에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1 돌출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제2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2 돌출부의 선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토출구 측을 향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 측을 향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에는 상기 흡입구의 개구 방향을 조절하는 제1 풍향 조절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에는 상기 토출구의 개구 방향을 조절하는 제2 풍향 조절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 덕트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온도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열전소자 또는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 기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시트에 장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복수의 부위로 구획되고, 상기 시트 덕트 및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각각 상기 복수의 부위마다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승객의 두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 백; 승객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 및 승객의 다리를 지지하는 레그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레스트에는 제1 시트 덕트 및 그 제1 시트 덕트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1 온도조절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 백에는 제2 시트 덕트 및 그 제2 시트 덕트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2 온도조절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 쿠션에는 제3 시트 덕트 및 그 제3 시트 덕트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3 온도조절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레그레스트에는 제4 시트 덕트 및 그 제4 시트 덕트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4 온도조절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시트 덕트의 흡입구, 상기 제2 시트 덕트의 흡입구, 상기 제3 시트 덕트의 흡입구 및 상기 제4 시트 덕트의 흡입구는 상기 시트에 착석하는 승객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시트 덕트의 토출구, 상기 제2 시트 덕트의 토출구, 상기 제3 시트 덕트의 토출구 및 상기 제4 시트 덕트의 토출구는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조절수단은 사전에 결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1 시트 덕트의 공기를 제1 온도로 조절하고, 상기 제2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시트 덕트의 공기를 제2 온도로 조절하고, 상기 제3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조건에 따라 상기 제3 시트 덕트의 공기를 제3 온도로 조절하며, 상기 제4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조건에 따라 상기 제4 시트 덕트의 공기를 제4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제4 온도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조절수단, 상기 제2 온도조절수단, 상기 제3 온도조절수단 및 상기 제4 온도조절수단은 제어유닛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시트 덕트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 측으로 송풍하는 송풍기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는 제어유닛에 의해 풍속 및 풍량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시트 공조장치는, 차량의 시트에 형성되는 시트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덕트는, 차량의 승객실의 공기를 상기 시트 덕트로 흡입하는 흡입구; 및 상기 시트 덕트의 공기를 상기 승객실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시트(100)에 착석하는 승객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조풍의 대부분이 승객에게 공급된 후 다시 상기 흡입구로 흡입됨에 따라, 속효성 향상 등 공조 성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덕트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온도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시트는 복수의 부위로 구획되고, 상기 복수의 부위에는 각각 서로 독립된 상기 시트 덕트 및 상기 온도조절수단이 형성됨에 따라, 각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조풍의 온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승객의 각 신체 부위별로 최적의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폐열을 차량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의 열전소자 또는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 기구로 형성됨에 따라, 폐열이 승객실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방 및 난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D-D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시트 공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D-D선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공조장치는, 차량의 시트(100)에 형성되는 시트 덕트(311, 312, 313, 314) 및 상기 시트 덕트(311, 312, 313, 314)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온도조절수단(321, 322, 323, 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덕트(311, 312, 313, 314)는 상기 시트(100)에 착석한 승객에게 공조풍을 공급하기 위해 그 시트(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 유로로서, 차량의 승객실의 공기를 후술할 열교환공간(311b, 312b, 313b, 314b)으로 흡입하는 흡입구(311a, 312a, 313a, 314a),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 314a)와 연통되고 상기 온도조절수단(321, 322, 323, 324)을 수용하여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 314a)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교환공간(311b, 312b, 313b, 314b) 및 상기 열교환공간(311b, 312b, 313b, 314b)과 연통되어 상기 열교환공간(311b, 312b, 313b, 314b)의 공기를 상기 승객실로 토출하는 토출구(311c, 312c, 313c, 314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 314a)와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 314c)는,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 314c)로 토출되는 공조풍이 상기 시트(100)에 착석하는 승객을 에워싸면서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 314a)로 안내되도록,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 314a)가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상기 시트(100)의 착좌면 측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 314c)가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타측에서 상기 시트(100)의 착좌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 314c)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 314a)로 효과적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 314a)와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 314c)는 각각 승객을 향하여 일정 각도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온도조절수단(321, 322, 323, 324)은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제1 부위에서 흡열 반응이 발생될 때 제2 부위에서 발열 반응이 발생되고, 상기 제1 부위에서 발열 반응이 발생될 때 상기 제2 부위에서 흡열 반응이 발생되는 열전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수단(321, 322, 323, 324)은 상기 시트(100)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시트(100)에 장착되어 그 시트(100)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부위가 상기 열교환공간(311b, 312b, 313b, 314b)에 노출되고, 상기 제2 부위가 차량의 외부 측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조절수단(321, 322, 323, 324)은 상기 제1 부위를 통해 상기 열교환공간(311b, 312b, 313b, 314b)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고, 이때 발생되는 폐열을 상기 제2 부위를 통해 상기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공간(311b, 312b, 313b, 314b)에는 상기 시트 덕트(311, 312, 313, 314) 내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 314a) 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 314c) 측으로 송풍하는 송풍기(331, 332, 333, 33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공조장치는 승객에게 최적의 온도를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100)는 복수의 부위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상기 시트(100)는, 승객의 두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110),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 백(seat back)(120), 승객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seat cushion)(130) 및 승객의 다리를 지지하는 레그레스트(legrest)(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 덕트(311, 312, 313, 314), 상기 온도조절수단(321, 322, 323, 324) 및 상기 송풍기(331, 332, 333, 334)는 각각 상기 복수의 부위마다 형성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레스트(110)에는 제1 시트 덕트(311), 그 제1 시트 덕트(311)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1 온도조절수단(321) 및 그 제1 시트 덕트(311)의 공기를 송풍하는 제1 송풍기(33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레스트(110)는, 그 헤드레스트(110)가 상기 승객을 감싸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상기 착좌면 측으로 돌출되는 헤드레스트 제1 돌출부(111) 및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타측에서 상기 착좌면 측으로 돌출되는 헤드레스트 제2 돌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시트 덕트(311)는, 상기 제1 시트 덕트의 토출구(이하, 제1 시트 덕트 토출구)(311c)로 토출되는 공조풍이 효과적으로 상기 승객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1 시트 덕트의 흡입구(이하, 제1 시트 덕트 흡입구)(311a)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 시트 덕트 흡입구(311a)가 상기 헤드레스트 제1 돌출부(111)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시트 덕트 토출구(311c)가 상기 헤드레스트 제2 돌출부(11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트 덕트(311)는, 상기 제1 시트 덕트 토출구(311c)로 토출되는 공조풍이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승객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1 시트 덕트 흡입구(311a)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 시트 덕트 흡입구(311a)가 상기 헤드레스트 제1 돌출부(111)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시트 덕트 토출구(311c)가 상기 헤드레스트 제2 돌출부(112)의 선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트 덕트(311)는, 상기 제1 시트 덕트 토출구(311c)로 토출되는 공조풍이 더욱 더 효과적으로 상기 승객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1 시트 덕트 흡입구(311a)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 시트 덕트 흡입구(311a)가 상기 제1 시트 덕트 토출구(311c) 측을 향해 경사지게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시트 덕트 토출구(311c)가 상기 제1 시트 덕트 흡입구(311a) 측을 향해 경사지게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조절수단(321)과 상기 제1 송풍기(331)는, 제어유닛(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 온도조절수단(321)이 상기 제1 시트 덕트(311)의 공기의 온도를 사전에 결정된 조건(예를 들어, 계절, 승객의 상태)에 따라 설정되는 제1 온도로 조절하고, 상기 제1 송풍기(331)가 상기 제1 시트 덕트(311)의 공기의 풍속과 풍량을 상기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제1 풍속과 제1 풍량으로 송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미도시)은 상기 제1 온도조절수단(321), 상기 제1 송풍기(331), 후술할 제2 온도조절수단(322), 후술할 제2 송풍기(332), 후술할 제3 온도조절수단(323), 후술할 제3 송풍기(333), 후술할 제4 온도조절수단(324) 및 후술할 제4 송풍기(334)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시트 백(120)에는 상기 제1 시트 덕트(311)와 독립된 제2 시트 덕트(312), 그 제2 시트 덕트(312)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2 온도조절수단(322) 및 그 제2 시트 덕트(312)의 공기를 송풍하는 제2 송풍기(33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 백(120)은, 그 시트 백(120)이 상기 승객을 감싸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상기 착좌면 측으로 돌출되는 시트 백 제1 돌출부(121) 및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타측에서 상기 착좌면 측으로 돌출되는 시트 백 제2 돌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시트 덕트(312)는, 상기 제2 시트 덕트의 토출구(이하, 제2 시트 덕트 토출구)(312c)로 토출되는 공조풍이 효과적으로 상기 승객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2 시트 덕트의 흡입구(이하, 제2 시트 덕트 흡입구)(312a)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2 시트 덕트 흡입구(312a)가 상기 시트 백 제1 돌출부(121)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시트 덕트 토출구(312c)가 상기 시트 백 제2 돌출부(12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시트 덕트(312)는, 상기 제2 시트 덕트 토출구(312c)로 토출되는 공조풍이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승객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2 시트 덕트 흡입구(312a)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2 시트 덕트 흡입구(312a)가 상기 시트 백 제1 돌출부(121)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시트 덕트 토출구(312c)가 상기 시트 백 제2 돌출부(122)의 선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시트 덕트(312)는, 상기 제2 시트 덕트 토출구(312c)로 토출되는 공조풍이 더욱 더 효과적으로 상기 승객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2 시트 덕트 흡입구(312a)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2 시트 덕트 흡입구(312a)가 상기 제2 시트 덕트 토출구(312c) 측을 향해 경사지게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시트 덕트 토출구(312c)가 상기 제2 시트 덕트 흡입구(312a) 측을 향해 경사지게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시트 덕트(312)는, 상기 제2 시트 덕트 토출구(312c)로 토출되는 공조풍이 훨씬 더 효과적으로 상기 승객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2 시트 덕트 흡입구(312a)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2 시트 덕트 흡입구(312a)와 상기 제2 시트 덕트 토출구(312c)의 개구 방향을 최적 상태로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시트 덕트(312)는 상기 제2 시트 덕트 흡입구(312a)의 개구 방향을 조절하는 제1 풍향 조절기(312d) 및 상기 제2 시트 덕트 토출구(312c)의 개구 방향을 조절하는 제2 풍향 조절기(312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풍향 조절기(312d)는, 상기 제2 시트 덕트 흡입구(312a)를 상기 제2 시트 덕트의 열교환공간(이하, 제2 시트 덕트 열교환공간)(312b)과 절곡 가능하게 연통시키는 제1 플렉시블 관 및 상기 제2 시트 덕트 흡입구(312a)의 개구 방향을 조절하는 제1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풍향 조절기(312e)는, 상기 제2 시트 덕트 토출구(312c)를 상기 제2 시트 덕트 열교환공간(312b)과 절곡 가능하게 연통시키는 제2 플렉시블 관 및 상기 제2 시트 덕트 토출구(312c)의 개구 방향을 조절하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온도조절수단(322)과 상기 제2 송풍기(332)는, 상기 제어유닛(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2 온도조절수단(322)이 상기 제2 시트 덕트(312)의 공기의 온도를 상기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제2 온도로 조절하고, 상기 제2 송풍기(332)가 상기 제2 시트 덕트(312)의 공기의 풍속과 풍량을 상기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제2 풍속과 제2 풍량으로 송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온도, 상기 제2 풍속 및 상기 제2 풍량은 상기 조건에서 상기 제1 온도, 상기 제1 풍속 및 상기 제1 풍량과 함께 설정되나, 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제1 온도와 상이한 온도이고, 상기 제2 풍속은 상기 제1 풍속과 상이한 풍속이며, 상기 제2 풍량은 상기 제1 풍량과 상이한 풍량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시트 쿠션(130)에는 상기 제1 시트 덕트(311) 및 상기 제2 시트 덕트(312)와 독립된 제3 시트 덕트(313), 그 제3 시트 덕트(313)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3 온도조절수단(323) 및 그 제3 시트 덕트(313)의 공기를 송풍하는 제3 송풍기(33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 쿠션(130)은, 그 시트 쿠션(130)이 상기 승객을 감싸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상기 착좌면 측으로 돌출되는 시트 쿠션 제1 돌출부(131) 및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타측에서 상기 착좌면 측으로 돌출되는 시트 쿠션 제2 돌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시트 덕트(313)는, 상기 제3 시트 덕트의 토출구(이하, 제3 시트 덕트 토출구)(313c)로 토출되는 공조풍이 효과적으로 상기 승객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3 시트 덕트의 흡입구(이하, 제3 시트 덕트흡입구)(313a)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3 시트 덕트 흡입구(313a)가 상기 시트 쿠션 제1 돌출부(131)에 형성되고, 상기 제3 시트 덕트 토출구(313c)가 상기 시트 쿠션 제2 돌출부(13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시트 덕트(313)는, 상기 제3 시트 덕트 토출구(313c)로 토출되는 공조풍이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승객을 에워싸면서 상기 제3 시트 덕트 흡입구(313a)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3 시트 덕트 흡입구(313a)가 상기 시트 쿠션 제1 돌출부(131)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시트 덕트 토출구(313c)가 상기 시트 쿠션 제2 돌출부(132)의 선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시트 덕트(313)는, 그 제3 시트 덕트(313)의 구조 단순화를 위해, 상기 제3 시트 덕트 흡입구(313a)와 상기 제3 시트 덕트 토출구(313c)가 각각 상방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시트 덕트 흡입구(313a)와 상기 제3 시트 덕트 토출구(313c)가 서로 마주보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시트 덕트 흡입구(313a)와 상기 제3 시트 덕트 토출구(313c)가 서로 마주보는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3 시트 덕트 토출구(313c)로 토출되는 공조풍이 상기 제3 시트 덕트 흡입구(313a)로 안내되는 효과가 감소되나, 상기 제3 시트 덕트 흡입구(313a)와 상기 제3 시트 덕트 토출구(313c)가 모두 착좌면 측에 형성되므로 여전히 상기 제3 시트 덕트 토출구(313c)로 토출되는 공조풍이 효과적으로 상기 제3 시트 덕트 흡입구(313a)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시트 덕트 토출구(312c)로부터 상기 제2 시트 덕트 흡입구(312a)로 순환되는 공조풍이 일종의 에어 커튼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3 시트 덕트 흡입구(313a)와 상기 제3 시트 덕트 토출구(313c)가 각각 상방을 향해 개구되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제3 시트 덕트 토출구(313c)에서 토출되는 공조풍의 대부분이 상기 에어커튼에 의해 상기 제3 시트 덕트 흡입구(313a)로 안내될 수 있다. 즉, 제3 시트 덕트 토출구(313c)에서 토출되는 공조풍이 상기 승객실로 분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3 온도조절수단(323)과 상기 제3 송풍기(333)는, 상기 제어유닛(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3 온도조절수단(323)이 상기 제3 시트 덕트(313)의 공기의 온도를 상기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제3 온도로 조절하고, 상기 제3 송풍기(333)가 상기 제3 시트 덕트(313)의 공기의 풍속과 풍량을 상기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제3 풍속과 제3 풍량으로 송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온도, 상기 제3 풍속 및 상기 제3 풍량은 상기 조건에서 상기 제1 내지 제2 온도, 상기 제1 내지 제2 풍속 및 상기 제1 내지 제2 풍량과 함께 설정되나, 상기 제3 온도는 상기 제1 온도 및 상기 제2 온도와 상이한 온도이고, 상기 제3 풍속은 상기 제1 풍속 및 상기 제2 풍속과 상이한 풍속이며, 상기 제3 풍량은 상기 제1 풍량 및 상기 제2 풍량과 상이한 풍량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레그레스트(140)에는 상기 제1 시트 덕트(311), 상기 제2 시트 덕트(312) 및 상기 제3 시트 덕트(313)와 독립된 제4 시트 덕트(314), 그 제4 시트 덕트(314)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4 온도조절수단(324) 및 그 제4 시트 덕트(314)의 공기를 송풍하는 제4 송풍기(33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그레스트(140)는 승객의 다리 움직임을 편히 하기 위해 별도의 돌출부를 구비하지 않고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4 시트 덕트의 흡입구(이하, 제4 시트 덕트 흡입구)(314a)와 상기 제4 시트 덕트의 토출구(이하, 제4 시트 덕트 토출구)(314c)는 평평한 착좌면에서 각각 전방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 시트 덕트 흡입구(314a)와 상기 제4 시트 덕트 토출구(314c)가 서로 마주보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 시트 덕트 흡입구(314a)와 상기 제4 시트 덕트 토출구(314c)가 돌출부의 선단부에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4 시트 덕트 토출구(314c)로 토출되는 공조풍이 상기 제4 시트 덕트 흡입구(314a)로 안내되는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4 시트 덕트 흡입구(314a)와 상기 제4 시트 덕트 토출구(314c)가 모두 착좌면 측에 형성되므로 그 효과 감소는 미미할 수 있다. 대신, 이 경우, 상기 제4 시트 덕트(314)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그 제4 시트 덕트(314)를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제4 온도조절수단(324)과 상기 제4 송풍기(334)는, 상기 제어유닛(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4 온도조절수단(324)이 상기 제4 시트 덕트(314)의 공기의 온도를 상기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제4 온도로 조절하고, 상기 제4 송풍기(334)가 상기 제4 시트 덕트(314)의 공기의 풍속과 풍량을 상기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제4 풍속과 제4 풍량으로 송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온도, 상기 제4 풍속 및 상기 제4 풍량은 상기 조건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온도, 상기 제1 내지 제3 풍속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풍량과 함께 설정되나, 상기 제4 온도는 상기 제1 온도, 상기 제2 온도 및 상기 제3 온도와 상이한 온도이고, 상기 제4 풍속은 상기 제1 풍속, 상기 제2 풍속 및 상기 제3 풍속과 상이한 풍속이며, 상기 제4 풍량은 상기 제1 풍량, 상기 제2 풍량 및 상기 제3 풍량과 상이한 풍량이다.
여기서, 승객의 두부 측이 다리 측보다 서늘하고 풍속이 낮으며 풍량이 적은 것이 쾌적함을 증가시키므로, 상기 제4 온도로부터 상기 제1 온도로 갈수록 온도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설정되고, 상기 제4 풍속으로부터 상기 제1 풍속으로 갈수록 풍속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설정되며, 상기 제4 풍량으로부터 상기 제1 풍량으로 갈수록 풍량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시트 덕트(311), 상기 제2 시트 덕트(312), 상기 제3 시트 덕트(313) 및 상기 제4 시트 덕트(314)는, 상기 제1 시트 덕트(311), 상기 제2 시트 덕트(312), 상기 제3 시트 덕트(313) 및 상기 제4 시트 덕트(314) 중 어느 하나로부터 토출되는 공조풍이 상기 제1 시트 덕트(311), 상기 제2 시트 덕트(312), 상기 제3 시트 덕트(313) 및 상기 제4 시트 덕트(314) 중 다른 하나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시트 덕트 흡입구(311a), 상기 제2 시트 덕트 흡입구(312a), 상기 제3 시트 덕트 흡입구(313a) 및 상기 제4 시트 덕트 흡입구(314a)가 모두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시트 덕트 토출구(311c), 상기 제2 시트 덕트 토출구(312c), 상기 제3 시트 덕트 토출구(313c) 및 상기 제4 시트 덕트 토출구(314c)가 모두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공조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차량 시트 공조장치가 작동되면, 상기 제어유닛(미도시)은 계절 상태(예를 들어, 봄, 여름, 가을, 겨울)나 승객의 상태(예를 들어, 운전, 휴식, 수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온도, 상기 제1 내지 제4 풍속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풍량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미도시)은 상기 제1 송풍기(331)가 상기 제1 시트 덕트(311)의 공기를 상기 제1 풍속 및 상기 제1 풍량으로 송풍하도록 그 제1 송풍기(331)를 운전하고, 상기 제1 온도조절수단(321)의 제1 부위가 상기 제1 시트 덕트(311)의 공기를 상기 제1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시키도록 그 제1 온도조절수단(321)을 운전할 수 있다. 이때, 폐열은 상기 제1 온도조절수단(321)의 제2 부위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시트 덕트 흡입구(311a)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되고 상기 제1 풍속 및 상기 제1 풍량으로 송풍되어 상기 제1 시트 덕트 토출구(311c)로 토출되고, 상기 제1 시트 덕트 토출구(311c)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승객의 두부를 에워싸면서 그 승객의 두부에 난방 또는 냉방을 제공한 뒤 상기 제1 시트 덕트 흡입구(311a)로 재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미도시)은 상기 제2 송풍기(332)가 상기 제2 시트 덕트(312)의 공기를 상기 제2 풍속 및 상기 제2 풍량으로 송풍하도록 그 제2 송풍기(332)를 운전하고, 상기 제2 온도조절수단(322)의 제1 부위가 상기 제2 시트 덕트(312)의 공기를 상기 제2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시키도록 그 제2 온도조절수단(322)을 운전할 수 있다. 이때, 폐열은 상기 제2 온도조절수단(322)의 제2 부위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2 시트 덕트 흡입구(312a)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2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되고 상기 제2 풍속 및 상기 제2 풍량으로 송풍되어 상기 제2 시트 덕트 토출구(312c)로 토출되고, 상기 제2 시트 덕트 토출구(312c)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승객의 가슴 부위를 에워싸면서 그 승객의 가슴 부위에 난방 또는 냉방을 제공한 뒤 상기 제2 시트 덕트 흡입구(312a)로 재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미도시)은 상기 제3 송풍기(333)가 상기 제3 시트 덕트(313)의 공기를 상기 제3 풍속 및 상기 제3 풍량으로 송풍하도록 그 제3 송풍기(333)를 운전하고, 상기 제3 온도조절수단(323)의 제1 부위가 상기 제3 시트 덕트(313)의 공기를 상기 제3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시키도록 그 제3 온도조절수단(323)을 운전할 수 있다. 이때, 폐열은 상기 제3 온도조절수단(323)의 제2 부위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3 시트 덕트 흡입구(313a)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3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되고 상기 제3 풍속 및 상기 제3 풍량으로 송풍되어 상기 제3 시트 덕트 토출구(313c)로 토출되고, 상기 제3 시트 덕트 토출구(313c)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승객의 허벅지 부위를 에워싸면서 그 승객의 허벅지 부위에 난방 또는 냉방을 제공한 뒤 상기 제3 시트 덕트 흡입구(313a)로 재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미도시)은 상기 제4 송풍기(334)가 상기 제4 시트 덕트(314)의 공기를 상기 제4 풍속 및 상기 제4 풍량으로 송풍하도록 그 제4 송풍기(334)를 운전하고, 상기 제4 온도조절수단(324)의 제1 부위가 상기 제4 시트 덕트(314)의 공기를 상기 제4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시키도록 그 제4 온도조절수단(324)을 운전할 수 있다. 이때, 폐열은 상기 제4 온도조절수단(324)의 제2 부위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4 시트 덕트 흡입구(314a)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4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되고 상기 제4 풍속 및 상기 제4 풍량으로 송풍되어 상기 제4 시트 덕트 토출구(314c)로 토출되고, 상기 제4 시트 덕트 토출구(314c)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승객의 종아리 부위를 에워싸면서 그 승객의 종아리 부위에 난방 또는 냉방을 제공한 뒤 상기 제4 시트 덕트 흡입구(314a)로 재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공조장치는,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 314a) 및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 314c)가 상기 시트(100)의 착좌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 314c)로부터 토출되는 공조풍이 승객을 에워싸며 난방 또는 냉방을 제공한 뒤 다시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 314a)로 흡입됨에 따라, 속효성 향상 등 공조 성능 및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시트 덕트(311), 상기 제2 시트 덕트(312) 및 제3 시트 덕트(313)와 같이,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가 제1 돌출부(111, 121, 131)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가 제2 돌출부(112, 122, 132)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로부터 토출되는 공조풍이 효과적으로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시트 덕트(311), 상기 제2 시트 덕트(312) 및 제3 시트 덕트(313)와 같이,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가 상기 제1 돌출부(111, 121, 131)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가 상기 제2 돌출부(112, 122, 132)의 선단부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로부터 토출되는 공조풍이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시트 덕트(311) 및 제2 시트 덕트(312)와 같이, 상기 흡입구(311a, 312a)와 상기 토출구(311c, 312c)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됨에 따라, 상기 토출구(311c, 312c)로부터 토출되는 공조풍이 더욱 더 효과적으로 상기 흡입구(311a, 312a)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시트 덕트(312)와 같이, 상기 흡입구(312a)의 개구 방향과 상기 토출구(312c)의 개구 방향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토출구(312c)로부터 토출되는 공조풍이 훨씬 효과적으로 상기 흡입구(312a)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100)의 부위별로 각각 서로 독립 제어되는 상기 제1 시트 덕트(311)와 상기 제1 온도조절수단(321), 상기 제2 시트 덕트(312)와 상기 제2 온도조절수단(322), 상기 제3 시트 덕트(313)와 상기 제3 온도조절수단(323) 및 상기 제4 시트 덕트(314)와 상기 제4 온도조절수단(324)을 포함함에 따라, 각 토출구(311c, 312c, 313c, 314c)로 토출되는 공조풍의 온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승객의 각 신체 부위별로 최적의 온도를 제공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100)의 부위별로 각각 서로 독립 제어되는 제1 송풍기(331), 상기 제2 송풍기(332), 상기 제3 송풍기(333) 및 상기 제4 송풍기(334)를 포함함에 따라, 각 토출구(311c, 312c, 313c, 314c)로 토출되는 공조풍의 풍속과 풍량을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승객의 각 신체 부위별로 최적의 풍속과 풍량을 제공하여 쾌적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수단(321, 322, 323, 324)은, 상기 제1 부위로 냉방을 제공할 때 상기 제2 부위를 통해 폐열(온열)을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제1 부위로 난방을 제공할 때 상기 제2 부위를 통해 폐열(냉열)을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냉방 및 난방을 제공하면서, 폐열이 승객실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의 유무, 개구 방향, 개구 방향의 조절 가능 여부 측면에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시트 덕트(311), 상기 제2 시트 덕트(312), 상기 제3 시트 덕트(313) 및 상기 제4 시트 덕트(314)는 서로 상이한 방식으로 형성되나, 상기 제1 시트 덕트(311), 상기 제2 시트 덕트(312), 상기 제3 덕트 및 상기 제4 덕트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공통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온도조절수단(321, 322, 323, 324)은 열전소자로 형성되나, 압축기, 응축기, 팽창수단 및 증발기를 갖는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 기구로도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 기구는 상기 시트(100)에 장착 가능하고, 폐열을 차량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100: 시트 110: 헤드레스트
111: 헤드레스트 제1 돌출부 112: 헤드레스트 제2 돌출부
120: 시트 백 121: 시트 백 제1 돌출부
122: 시트 백 제2 돌출부 130: 시트 쿠션
131: 시트 쿠션 제1 돌출부 132: 시트 쿠션 제2 돌출부
140: 레그레스트 311: 제1 시트 덕트
311a: 제1 시트 덕트 흡입구 311b: 제1 시트 덕트 열교환공간
311c: 제1 시트 덕트 토출구 312: 제2 시트 덕트
312a: 제2 시트 덕트 흡입구 312b: 제2 시트 덕트 열교환공간
312c: 제2 시트 덕트 토출구 312d: 제1 풍향 조절기
312e: 제2 풍향 조절기 313: 제3 시트 덕트
313a: 제3 시트 덕트 흡입구 313b: 제3 시트 덕트 열교환공간
313c: 제3 시트 덕트 토출구 314: 제4 시트 덕트
314a: 제4 시트 덕트 흡입구 314b: 제4 시트 덕트 열교환공간
314c: 제4 시트 덕트 토출구 321: 제1 온도조절수단
322: 제2 온도조절수단 323: 제3 온도조절수단
324: 제4 온도조절수단 331: 제1 송풍기
332: 제2 송풍기 333: 제3 송풍기
334: 제4 송풍기

Claims (17)

  1. 차량의 시트(100)에 형성되는 시트 덕트(311, 312, 313, 314);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덕트(311, 312, 313, 314)는,
    차량의 승객실의 공기를 상기 시트 덕트(311, 312, 313, 314)로 흡입하는 흡입구(311a, 312a, 313a, 314a); 및
    상기 시트 덕트(311, 312, 313, 314)의 공기를 상기 승객실로 토출하는 토출구(311c, 312c, 313c, 314c);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 314a)는 상기 시트(100)에 착석하는 승객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 314c)는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 314a)와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 314c)는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 314c)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 314a)로 흡입되게 형성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 314c)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 314a)로 안내되도록,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 314a)와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 314c)는 각각 승객을 향하여 일정 각도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00)는,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11, 121, 131); 및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타측에서 돌출되는 제2 돌출부(112, 122, 132);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는 상기 제1 돌출부(111, 121, 131)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는 제2 돌출부(112, 122, 132)에 형성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는 상기 제1 돌출부(111, 121, 131)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는 상기 제2 돌출부(112, 122, 132)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311a, 312a)는 상기 토출구(311c, 312c) 측을 향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311c, 312c)는 상기 흡입구(311a, 312a) 측을 향해 개구되게 형성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에는 상기 흡입구(312a)의 개구 방향을 조절하는 제1 풍향 조절기(312d)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에는 상기 토출구(312c)의 개구 방향을 조절하는 제2 풍향 조절기(312e)가 형성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덕트(311, 312, 313, 314)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온도조절수단(321, 322, 323, 324);을 더 포함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321, 322, 323, 324)은 열전소자 또는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 기구로 형성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321, 322, 323, 324)은 상기 시트(10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00)는 복수의 부위로 구획되고,
    상기 시트 덕트(311, 312, 313, 314) 및 상기 온도조절수단(321, 322, 323, 324)은 각각 상기 복수의 부위마다 형성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00)는,
    승객의 두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110);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 백(120);
    승객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130); 및
    승객의 다리를 지지하는 레그레스트(140);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레스트(110)에는 제1 시트 덕트(311) 및 그 제1 시트 덕트(311)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1 온도조절수단(321)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 백(120)에는 제2 시트 덕트(312) 및 그 제2 시트 덕트(312)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2 온도조절수단(322)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 쿠션(130)에는 제3 시트 덕트(313) 및 그 제3 시트 덕트(313)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3 온도조절수단(323)이 형성되며,
    상기 레그레스트(140)에는 제4 시트 덕트(314) 및 그 제4 시트 덕트(314)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제4 온도조절수단(324)이 형성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 덕트의 흡입구(311a), 상기 제2 시트 덕트의 흡입구(312a), 상기 제3 시트 덕트의 흡입구(313a) 및 상기 제4 시트 덕트의 흡입구(314a)는 상기 시트(100)에 착석하는 승객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시트 덕트의 토출구(311c), 상기 제2 시트 덕트의 토출구(312c), 상기 제3 시트 덕트의 토출구(313c) 및 상기 제4 시트 덕트의 토출구(314c)는 상기 승객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조절수단(321)은 사전에 결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1 시트 덕트(311)의 공기를 제1 온도로 조절하고,
    상기 제2 온도조절수단(322)은 상기 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시트 덕트(312)의 공기를 제2 온도로 조절하고,
    상기 제3 온도조절수단(323)은 상기 조건에 따라 상기 제3 시트 덕트(313)의 공기를 제3 온도로 조절하며,
    상기 제4 온도조절수단(324)은 상기 조건에 따라 상기 제4 시트 덕트(314)의 공기를 제4 온도로 조절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제4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조절수단(321), 상기 제2 온도조절수단(322), 상기 제3 온도조절수단(323) 및 상기 제4 온도조절수단(324)은 제어유닛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덕트(311, 312, 313, 314)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311a, 312a, 313a, 314a) 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311c, 312c, 313c, 314c) 측으로 송풍하는 송풍기(331, 332, 333, 334)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331, 332, 333, 334)는 제어유닛에 의해 풍속 및 풍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공조장치.
KR1020170009855A 2017-01-20 2017-01-20 차량 시트 공조장치 KR20180086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855A KR20180086014A (ko) 2017-01-20 2017-01-20 차량 시트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855A KR20180086014A (ko) 2017-01-20 2017-01-20 차량 시트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014A true KR20180086014A (ko) 2018-07-30

Family

ID=6304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855A KR20180086014A (ko) 2017-01-20 2017-01-20 차량 시트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60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258A (ko) *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토드비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5015A (ja) 2015-02-09 2016-08-12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ート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5015A (ja) 2015-02-09 2016-08-12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ート空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258A (ko) *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토드비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3777B2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KR100755951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JP422493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45139B1 (ko) 공조기 연동 시트 장치
JP200028943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9649907B2 (en) Vehicle air-conditioner
JP2001047848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KR20080066428A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EP1574369A1 (en) Rea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15199461A (ja) 車両用空調装置
JP7409095B2 (ja) 空調装置
JPS61263822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180086014A (ko) 차량 시트 공조장치
JP460921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20199990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KR101648226B1 (ko) 차량 후석용 보조 냉난방장치
WO2008050985A1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H1178484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JP4859768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1039149A (ja) 車両の空調装置
JP2003025826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90036370A (ko) 자동차용 시트의 공기조화장치
WO2023112631A1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2161145A1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JP2005052298A (ja) 座席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