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258A -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258A
KR20220057258A KR1020200142337A KR20200142337A KR20220057258A KR 20220057258 A KR20220057258 A KR 20220057258A KR 1020200142337 A KR1020200142337 A KR 1020200142337A KR 20200142337 A KR20200142337 A KR 20200142337A KR 20220057258 A KR20220057258 A KR 20220057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suction device
unit
c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4748B1 (ko
Inventor
이길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드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드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드비
Priority to KR1020200142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7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79Head-rests with additional features not related to head-rest positioning, e.g. heating or cooling devices or 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말차단 기능을 가지는 영유아용 차량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카시트; 상기 차량 카시트의 헤드부의 양측에서 위치한 좌우헤드레스트부(100); 상기 좌우헤드레스트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좌우헤드레스트부(100) 주위의 공기를 상기 좌우헤드레스트부(100)의 내부로 흡입시키는 공기 흡입부; 를 포함하는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를 제공하여, 탑승 어린이의 호흡기 주변의 공기가 직접 어린이의 호흡기로 흡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에 어린이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안전한 호흡이 가능한 강점이 발휘된다.

Description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A droplet suction device for a car-seat}
본 발명은 차량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흡기 주변의 공기가 직접 어린이의 호흡기로 흡입되지 못하도록 비말차단 기능을 가지는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감염병 방역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코로나19와 같은 호흡기 질환의 경우 주변 사람으로부터 외부로 발산되는 비말과 같은 감염원이 공기중에 포함되어 보이지 않는 감염 전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효과적인 감염 차단이 매우 곤란하다.
특히 어린이나 유아의 경우 성인에 비하여 감염원에 대한 위험감지 및 그에 대한 대처능력이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공기중의 감염원으로부터 자신을 스스로 보호하는 자가방역은 기대하기 어려운 일이다.
자가방역에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비말에 포함될 수 있는 감염원은 특히 밀페된 공간 내에서 더욱 감염의 위험성이 증폭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실내와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의 비말에 의한 감염원 전파는 탑승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탑승자가 어린이나 유아일 경우 그 위험성은 더욱 높다.
한편, 어린이나 유아의 경우 차량에 탑승할 때 성인과 달리 안전상 별도의 카시트에 탑승할 것이 권장되고 있다.
일반적인 차량용 카시트는 차량의 시트에 고정설치되는데, 종래의 카시트에 탑승한 어린이나 유아의 경우 공기 중에 포함되는 비말 등 감염원에 완전히 무방비 상태에 있다.
특히, 어린이에게 마스크를 착용시킨다 하더라도 이들은 갑갑함에 스스로 벗어버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굳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차량의 실내에 존재할지도 모를 공기중 감염원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에 차량에는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공기청정기능 혹은 공기청정기를 별도 구비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 차량 내부에 마련된 공기청정기는 공기중 감염원이 어린이나 유아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지는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카시트의 경우 이와 같은 차량 내부 공기중에 존재가능한 감염원에 대한 대책이 전무한 실정이었다.
JP 707772 B1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카시트에 있어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탑승 어린이의 호흡기 주변의 공기가 직접 어린이의 호흡기로 흡입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를 여과시켜 줌으로써 감염원으로부터 보다 안전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차량 카시트; 상기 차량 카시트의 헤드부의 양측에서 위치한 좌우헤드레스트부(100); 상기 좌우헤드레스트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좌우헤드레스트부(100) 주위의 공기를 상기 좌우헤드레스트부(100)의 내부로 흡입시키는 공기 흡입부; 를 포함하는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안내되는 호스부(400); 상기 호스부(400)에 연결된 펌프부(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펌프부(500)는 상기 차량의 트렁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 흡입부에는 착탈가능한 항균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차량 카시트에 앉은 사람의 얼굴위치보다 더 전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탑승 어린이의 호흡기 주변의 공기가 직접 어린이의 호흡기로 흡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에 어린이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안전한 호흡이 가능한 강점이 발휘된다.
둘째, 탑승공간 실내 공기 중 감염원을 여과시켜 줌으로써 보다 안전한 실내 공기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셋째, 헤드레스트부에 필터가 마련되기 때문에 비말이나 감염원이 걸러지므로 차량 내 공기청정 효과가 있다.
넷째, 필터는 헤드레스트부로부터 쉽게 착탈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오염된 필터의 용이한 교체를 통해 항상 청결한 카시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섯째, 헤드레스트부 내부에는 공기가 효과적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챔버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소용량의 펌프를 이용하더라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섯째, 차량 카시트에 탑승한 어린이로부터 발산된 비말이 주변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헤드레스트부로 곧바로 흡입되기 때문에 주변오염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라 기존의 카시트에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가 설치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라 기존의 카시트에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가 설치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라 기존의 카시트에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가 설치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라 기존의 카시트에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가 설치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설명에 앞서 방향성에 대하여 먼저 정의하기로 한다.
“전방”이라 함은 차량 자체에 기설치된 시트에 탑승한 탑승자가 올바르게 착석하였을 때 바라보는 방향을 가리키며, “후방”이라 함은 그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좌측”이라 함은 “전방”을 기준하여 왼쪽편을 가리키며, “우측”이라 함은 그 반대측을 가리킨다.
“주변공기”라 함은 차량 내부의 실내공간에서 좌우헤드레스트부(100)에 근접하여 있는 공기를 가리킨다.
“흡입공기”라 함은 “주변공기”가 좌우헤드레스트부(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이다.
“여과공기”라 함은 좌우헤드레스트부(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항균작용을 거친 공기를 가리킨다.
한편, “주변공기”는 공기중 비말과 같은 오염물질이 함유될 수 있고, 이는 전체 도면에서 좌우헤드레스트부(100) 주변에 작은 점들의 군집으로서 나타내어지고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할 공기 이송부의 역할은 “주변공기”가 좌우헤드레스트부(100)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된 “흡입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도록 이송력을 제공하며, 항균작용된 “여과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이송력까지 제공하는 일련의 공기 흐름의 동력원으로 이해하면 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는 기존의 카시트의 헤드레스트부에 추가설치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가 설치되는 카시트는 크게 좌우헤드레스트부(100), 등받이부(200), 착좌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우헤드레스트부(100)는 탑승자인 유아의 머리가 위치되는 부분이며, 등받이부(200)는 유아의 등부분이 지지되는 부분이고, 착좌부(300)는 유아의 엉덩이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등받이부(200)는 등받이시트부(201), 제1 밸트(202) 및 제3 밸트(203)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시트부(201)는 유아의 등부분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제1 밸트(202) 및 제3 밸트(203)는 일단이 등받이시트부(201)에 설치되고 있으며, 유아의 몸통부를 감싸 고정하도록 마련된다.
착좌부(300)는 착좌시트부(301) 및 제3 밸트(302)를 포함할 수 있다.
착좌시트부(301)는 유아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이며, 제3 밸트(302)는 착좌시트부(301)에 설치되어 있다.
제3 밸트(302)는 제1 밸트(202) 및 제3 밸트(203)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헤드레스트부(100)는 크게 중앙부(130) 및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좌우헤드레스트부(100)는 아동의 머리의 좌우를 지지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측면부를 가질 수 있다.
중앙부(130)는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차량의 시트면처럼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소정의 충격흡수가 가능하도록 푹신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측면부는 중앙부(130)의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돌출된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부는 중앙부(13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동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측면부에는 주변공기가 좌우헤드레스트부(10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전면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흡입부는 주변공기가 좌우헤드레스트부(10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전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흡입부는 차량 카시트에 앉은 사람의 얼굴위치보다 더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면부는 제1 전면부(111), 제2 전면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 중에서 우측 부분을 먼저 설명하면, 우측의 측면부는 제1 전면부(111), 제1 내측면부(112) 및 제1 외측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면부(111)는 매쉬그릴망과 같이 통공이 형성된 부분으로서 측면부의 전방 단부면을 이루고 있고, 주변공기가 좌우헤드레스트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비말이 섞인 주변공기가 제1 전면부(111)를 통해 좌우헤드레스트부(100) 내부로 유입이 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바꿔 말하면, 카시트에 탑승한 유아로부터 발산되는 비말이 주변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제1 전면부(111)를 통해 좌우헤드레스트부(100) 내부로 유입이 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제1 내측면부(112)는 유아의 머리를 지지해 줄 수 있는 내벽 부분이며, 제1 외측면부(113)는 측면부의 외벽을 이룬다.
한편, 측면부 중에서 좌측 부분을 설명하면, 좌측의 측면부는 제2 전면부(121), 제2 내측면부(122) 및 제2 외측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면부(121) 역시 매쉬그릴망과 같이 통공이 형성된 부분으로서 측면부의 전방 단부면을 이루고 있고, 주변공기가 좌우헤드레스트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부분이다.
마찬가지로 비말이 섞인 주변공기가 제2 전면부(121)를 통해 좌우헤드레스트부(100) 내부로 유입이 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주변공기가 제1 전면부(111), 제2 전면부(121)를 통해서 좌우헤드레스트부(100) 내부로 흡입되기 때문에 주변공기에 포함되는 비말 등 오염물질이 유아의 호흡기로 접근되는 일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다.
제2 내측면부(122)는 유아의 머리를 지지해 줄 수 있는 내벽 부분이며, 제2 외측면부(123)는 측면부의 외벽을 이룬다.
한편, 공기 이송부는 호스부(400) 및 펌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부(400)는 후술할 제1 호스부(401) 및 제2 호스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이송부는 좌우헤드레스트부(100)에 연결되어 좌우헤드레스트부(100)주위의 주변공기를 좌우헤드레스트부(100) 내부로 흡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에서는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호스부(400)는 좌우헤드레스트부(1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엄밀하게는 제1 호스부(401)는 좌우헤드레스트부(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호스부(400)는 항균부에 의해 항균작용된 여과공기가 안내되는 유로이다.
펌프부(500)는 호스부(400)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부(500)는 제2 호스부(402)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항균부는 좌우헤드레스트부(100)에 마련되어 좌우헤드레스트부(100)의 내부로 흡입된 흡입공기를 항균작용한다.
항균부는 좌우헤드레스트부(100)의 측면부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부는 제1 전면부(111) 및 제2 전면부(121)를 통해 흡입된 흡입공기를 항균작용시킨다.
이 때, 항균부는 비말을 포함하여 흡입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코로나바이러스 등 오염물질이 항균 작용에 의해 일정 부분 제거될 수 있게 된다.
항균부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호스부(400)를 따라서 이송되며 펌프부(500)에 의해 배출 가능하다.
한편, 펌프부(500)에는 여과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에 필터를 마련할 수 있다.
이 때, 펌프부(500)는 필터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에 의해 미세먼지나 코로나바이러스 등 오염물질이 제거된 클린상태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부(500)가 차량의 실내에 있더라도 여과공기에 의한 실내공기 재오염의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펌프부(500)는 여과공기를 카시트가 위치한 공간 이외의 제3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제3 공간은 차량의 트렁크일 수도 있고, 차량의 외부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펌프부(500)는 차량의 트렁크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한편, 펌프부(500)는 차량의 실외에 마련되어 여과공기를 차량 실외로 보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를 설명한다.
측면부에는 항균부가 슬라이딩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홈(124)은 제2 외측면부(123)에서 길고 좁게 절개된 채로 마련될 수 있다.
항균부(710)가 좌측 측면부에 형성된 장착홈(124)에 슬라이딩 삽입 가능하다.
장착홈(124)은 우측 측면부에도 마찬가지로 동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 다른 항균부(710)가 슬라이딩 삽입 설치 가능하다.
소정의 사용시간이 경과하면 항균부(710)는 용이하게 새것으로 교체 가능하다.
이 때, 항균부는 비말을 포함하여 흡입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코로나바이러스 등 오염물질이 항균 작용에 의해 일정 부분 제거될 수 있게 된다.
항균부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호스부(400)를 따라서 이송되며 펌프부(500)에 의해 배출 가능하다.
한편, 펌프부(500)에는 여과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에 필터를 마련할 수 있다.
이 때, 펌프부(500)는 필터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에 의해 미세먼지나 코로나바이러스 등 오염물질이 제거된 클린상태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부(500)가 차량의 실내에 있더라도 여과공기에 의한 실내공기 재오염의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펌프부(500)는 여과공기를 카시트가 위치한 공간 이외의 제3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제3 공간은 차량의 트렁크일 수도 있고, 차량의 외부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펌프부(500)는 차량의 트렁크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한편, 펌프부(500)는 차량의 실외에 마련되어 여과공기를 차량 실외로 보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를 설명한다.
측면부의 전면부에는 제1 벨크로부가 마련되고, 항균부에는 제1 벨크로부에 대응되는 제2 벨크로부가 마련되어 항균부가 전면부에 착탈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측 측면부의 전면에는 제2 밸크로부(121-1) 및 개구부(121-2)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에는 제2 밸크로부(121-1)가 마련된다.
개구부(121-2)는 제2 밸크로부(121-1)가 둘러싸는 영역에 형성된 채로 주변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이다.
한편, 항균부(720)는 제2 전면부(121)에 대응되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제1 밸크로부(721) 및 항균시트(722)를 포함할 수 있다.
항균시트(722)는 매쉬소재의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필터이다.
제1 밸크로부(721)는 항균시트(722)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된다.
제1 밸크로부(721)가 제2 밸크로부(121-1)에 밸크로로 탈부착이 가능하다.
우측 측면부에도 마찬가지로 또 다른 항균부(720)가 벨크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항균부(720)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오염정도를 육안으로 보다 쉽게 식별 가능하다.
따라서, 소정의 사용시간이 경과하면 항균부(720)를 용이하게 새것으로 교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항균부는 비말을 포함하여 흡입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코로나바이러스 등 오염물질이 항균 작용에 의해 일정 부분 제거될 수 있게 된다.
항균부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호스부(400)를 따라서 이송되며 펌프부(500)에 의해 배출 가능하다.
한편, 펌프부(500)에는 여과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에 필터를 마련할 수 있다.
이 때, 펌프부(500)는 필터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에 의해 미세먼지나 코로나바이러스 등 오염물질이 제거된 클린상태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부(500)가 차량의 실내에 있더라도 여과공기에 의한 실내공기 재오염의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펌프부(500)는 여과공기를 카시트가 위치한 공간 이외의 제3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제3 공간은 차량의 트렁크일 수도 있고, 차량의 외부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펌프부(500)는 차량의 트렁크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한편, 펌프부(500)는 차량의 실외에 마련되어 여과공기를 차량 실외로 보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를 설명한다.
챔버부(600)가 측면부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진채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챔버부(600)는 측면부의 전면부로부터 좌우헤드레스트부(100)의 후방으로 갈 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제1 부분(6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챔버부(600)는 폭이 최소인 부분인 제2 부분(602)에서 항균부에 의해 항균작용된 여과공기가 안내되는 호스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호스부(401)가 제2 부분(60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분(601)은 측면부의 전면부로부터 좌우헤드레스트부(100)의 후방으로 갈 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흡입공기는 전면부로부터 좌우헤드레스트부(100)의 후방으로 갈수록 유속이 증가된다.
따라서, 보다 작은 용량의 펌프부(500)로도 주변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항균부는 비말을 포함하여 흡입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코로나바이러스 등 오염물질이 항균 작용에 의해 일정 부분 제거될 수 있게 된다.
항균부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호스부(400)를 따라서 이송되며 펌프부(500)에 의해 배출 가능하다.
한편, 펌프부(500)에는 여과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에 필터를 마련할 수 있다.
이 때, 펌프부(500)는 필터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에 의해 미세먼지나 코로나바이러스 등 오염물질이 제거된 클린상태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부(500)가 차량의 실내에 있더라도 여과공기에 의한 실내공기 재오염의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펌프부(500)는 여과공기를 카시트가 위치한 공간 이외의 제3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제3 공간은 차량의 트렁크일 수도 있고, 차량의 외부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펌프부(500)는 차량의 트렁크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한편, 펌프부(500)는 차량의 실외에 마련되어 여과공기를 차량 실외로 보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는 측면부에 항균부와 필터를 동시에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제1 전면부(111) 및 제2 전면부(121)를 통해 흡입된 흡입공기가 펌프부(500)에 의해 호스부(400)를 따라 이송되어 배출될 때, 배출 공기는 클린 공기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 예에따른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의 측면부에는 주변공기를 아동의 머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팬은 측면부에서 전방을 향해서 송풍시킨다.
따라서, 주변공기에 포함되는 비말 등 오염물질이 유아의 호흡기로 접근되는 일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게 된다.
100 : 헤드레스트부
111 : 제1 전면부
112 : 제1 내측면부
113 : 제1 외측면부
121 : 제2 전면부
121-1 : 제2 밸크로부
121-2 : 개구부
122 : 제2 내측면부
123 : 제2 외측면부
124 : 장착홈
130 : 중앙부
200 : 등받이부
201 : 등받이시트부
202 : 제1 밸트
203 : 제2 밸트
300 : 착좌부
301 : 착좌시트부
302 : 제3 밸트
400 : 호스부
401 : 제1 호스부
402 : 제2 호스부
500 : 펌프부
600 : 챔버부
601 : 제1 부분
602 : 제2 부분
710, 720 : 항균부
721 : 제1 밸크로부
722 : 항균시트

Claims (5)

  1. 차량 카시트;
    상기 차량 카시트의 헤드부의 양측에서 위치한 좌우헤드레스트부;
    상기 좌우헤드레스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좌우헤드레스트부 주위의 공기를 상기 좌우헤드레스트부의 내부로 흡입시키는 공기 흡입부; 를 포함하는,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안내되는 호스부;
    상기 호스부에 연결된 펌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상기 차량의 트렁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에는 착탈가능한 항균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차량 카시트에 앉은 사람의 얼굴위치보다 더 전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
KR1020200142337A 2020-10-29 2020-10-29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 KR102464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337A KR102464748B1 (ko) 2020-10-29 2020-10-29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337A KR102464748B1 (ko) 2020-10-29 2020-10-29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258A true KR20220057258A (ko) 2022-05-09
KR102464748B1 KR102464748B1 (ko) 2022-11-09

Family

ID=81582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337A KR102464748B1 (ko) 2020-10-29 2020-10-29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74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72Y2 (ja) 1986-10-06 1995-03-0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用スライダ−の飾り引手
KR19980032510U (ko) * 1996-12-03 1998-09-05 박병재 자동차의 탈취 시트
JP2013147061A (ja) * 2012-01-17 2013-08-01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101821146B1 (ko) * 2017-06-23 2018-01-23 (주)키드림솔루션 통풍 기능을 갖는 유아 착좌용 시트
KR20180086014A (ko) * 2017-01-20 2018-07-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 시트 공조장치
KR102089551B1 (ko) * 2019-04-29 2020-03-16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공기 청정기가 내장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CN111741696A (zh) * 2018-07-05 2020-10-0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椅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72Y2 (ja) 1986-10-06 1995-03-0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用スライダ−の飾り引手
KR19980032510U (ko) * 1996-12-03 1998-09-05 박병재 자동차의 탈취 시트
JP2013147061A (ja) * 2012-01-17 2013-08-01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20180086014A (ko) * 2017-01-20 2018-07-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 시트 공조장치
KR101821146B1 (ko) * 2017-06-23 2018-01-23 (주)키드림솔루션 통풍 기능을 갖는 유아 착좌용 시트
CN111741696A (zh) * 2018-07-05 2020-10-0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椅子
KR102089551B1 (ko) * 2019-04-29 2020-03-16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공기 청정기가 내장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748B1 (ko)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9845B1 (ja) 感染抑制装置
US10029797B2 (en) Personal ventilation in an aircraft environment
CA3085021C (en) Filter mask
KR102117442B1 (ko) 팬이 구비된 마스크
KR102344686B1 (ko) 차량 실내용 안면 마스크
KR102177108B1 (ko) 스마트 마스크
US20210275841A1 (en) Filter mask
US2021037832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sonal protective respiratory device
US20080057854A1 (en) Patient isolation module and use thereof
KR20170126163A (ko) 방진마스크
CA2556140C (en) Patient isolation module and use thereof
KR102464748B1 (ko) 차량 내 방역용 비말 흡입장치
KR102393690B1 (ko) 재사용형 마스크
US20210274861A1 (en) Filter mask
KR20220000125U (ko) 미세 먼지 차단용 전면 마스크
KR102359502B1 (ko) 강제 흡배기 기능을 갖는 마스크
CN113815385A (zh) 车辆通风系统
CN211068814U (zh) 一种呼吸阀及口罩
US20210275840A1 (en) Filter mask
KR20040083183A (ko) 복합필터가 내장된 휴대용 마스크
KR20220145101A (ko) 살균기능을 갖는 플라즈마 페이스 쉴드
CN111418936A (zh) 通风装置、带有通风装置的口罩及其改造方法
CN115884888A (zh) 用于尤其在机动车内室中有针对性地排走微滴和/或微粒的装置、机动车以及操作这种装置的方法
KR102668847B1 (ko) 열차 객실 내 비말 차단 공조 시스템
CN212488662U (zh) 通风装置和带有通风装置的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