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428A -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428A
KR20080066428A KR1020070003882A KR20070003882A KR20080066428A KR 20080066428 A KR20080066428 A KR 20080066428A KR 1020070003882 A KR1020070003882 A KR 1020070003882A KR 20070003882 A KR20070003882 A KR 20070003882A KR 20080066428 A KR20080066428 A KR 20080066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oor
air
connection duc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9188B1 (ko
Inventor
이대웅
최만수
권대복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188B1/ko
Publication of KR2008006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2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vehicle ventilation system, e.g. air-condition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의 쿠션부 및 등받이부 중 탑승자의 착석에 의해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쪽으로 공기를 많이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덕트의 분기지점에 상기 쿠션부 및 등받이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직접 작동하거나 또는 상기 쿠션부 및 등받이부측 하중의 차이에 의해 엑츄에이터로 작동하는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쿠션부와 등받이부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상기 쿠션부와 등받이부로 공급되는 풍량이 자동 조절되어 탑승자에게 균등한 바람을 공급하고 이에따라 시트공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프론트 공조장치(20)에서 토출되는 공기중 일부를 시트(101)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입구측은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와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출구측은 상기 시트의 쿠션부(101a) 및 등받이부(101b)와 연통하도록 분기되어 설치된 연결덕트(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110)의 분기지점에는,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로 공급되는 각각의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어(1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 및 등받이부(101b) 중 탑승자의 착석에 의해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쪽으로 공기를 많이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120)를 조절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 공조장치, 쿠션부, 등받이부, 연결덕트, 도어, 탄력수단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서 쿠션부에 더 많은 하중이 작용하여 압력차에 의해 도어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서 등받이부에 더 많은 하중이 작용하여 압력차에 의해 도어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서 도어 및 탄력수단이 연결덕트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프론트 공조장치 100: 시트 공조장치
101: 시트 101a: 쿠션부
101b: 등받이부 102: 통풍로
110: 연결덕트 111: 제1분기덕트
112: 제2분기덕트 120: 도어
121: 회전축 122: 플레이트
130: 탄력수단 131: 비틀림 스프링
132: 탄성링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의 쿠션부 및 등받이부 중 탑승자의 착석에 의해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쪽으로 공기를 많이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덕트의 분기지점에 상기 쿠션부 및 등받이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직접 작동하거나 또는 상기 쿠션부 및 등받이부측 하중의 차이에 의해 엑츄에이터로 작동하는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쿠션부와 등받이부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상기 쿠션부와 등받이부로 공급되는 풍량이 자동 조절되어 탑승자에게 균등한 바람을 공급하고 이에따라 시트공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송풍유니트를 통해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공조장치들은 보통 앞좌석의 공조를 위한 프론트 공조장치이며, 뒷좌석의 공조를 위한 리어 공조장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공조장치 중에는,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와 연계하여 프론트 공조장치로부터 차량의 앞좌석 시트측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바이패스하여 차량의 시트를 냉/난방시킴으로써, 탑승자의 등과 엉덩이를 쾌적하게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가 적용된 것도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데, 도 1은 이러한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의 일례(일본 공개특허 제1999-263116호(1999.09.28))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는, 프론트 공조장치(20)를 구성하는 공조케이스(21)로부터 차량 시트(10)까지 연결되는 연결덕트(30)와, 상기 연결덕트(30)에 설치되는 송풍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차량 시트(30)에는 탑승객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통풍로(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풍로(12)에 연결덕트(30)가 연결됨으로써, 송풍기(40)의 구동에 의하여 공조케이스(21)의 토출구로부터 연결덕트(30)를 통해 통풍로(12)쪽으로 공기를 효과적으로 송풍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는, 상기 연결덕트(30)를 통과한 공기가 출구측에서 분기되어 상기 시트(10)의 쿠션부(10a)와 등받이부(10b)쪽으로 가게 되지만, 이때 탑승자가 시트(10)에 착석한 경우, 시트(10)의 쿠션부(10a)와 등받이부(10b)가 받는 하중이 동일하지 않고 다를 경우에는 상기 쿠션부(10a)와 등받이부(10b)로 균등한 바람이 공급되지 않아 시트 공조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탑승자가 시트(10)에 착석하게 되면 상기 쿠션부(10a)와 등받이부(10b)쪽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만일 상기 쿠션부(10a)가 많은 하중을 받는다면, 상기 쿠션부(10a)내에 있는 통풍로(12)가 좁아지게 되고 압력이 많이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압력이 많이 걸리는 상기 쿠션부(10a)쪽 보다는 압력이 적게 걸리는 상기 등받이부(10b)쪽으로 많은 풍량이 공급되어 결국 탑승자의 엉덩이와 등쪽으로 균등한 바람이 토출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시트 공조성능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의 쿠션부 및 등받이부 중 탑승자의 착석에 의해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쪽으로 공기를 많이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덕트의 분기지점에 상기 쿠션부 및 등받이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직접 작동하거나 또는 상기 쿠션부 및 등받이부측 하중의 차이에 의해 엑츄에이터로 작동하는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쿠션부와 등받이부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상기 쿠션부와 등받이부로 공급되는 풍량이 자동 조절되어 탑승자에게 균등한 바람을 공급하고 이에따라 시트공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론트 공조장치에서 토출되는 공기중 일부를 시트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입구측은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와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출구측은 상기 시트의 쿠션부 및 등받이부와 연통하도록 분기되어 설치된 연결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의 분기지점에는, 상기 시트의 쿠션부와 등받이부로 공급되는 각각의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시트의 쿠션부 및 등받이부 중 탑승자의 착석에 의해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쪽으로 공기를 많이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를 조절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서 쿠션부에 더 많은 하중이 작용하여 압력차에 의해 도어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서 등받이부에 더 많은 하중이 작용하여 압력차에 의해 도어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서 도어 및 탄력수단이 연결덕트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프론트 공조장치(2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는 내부의 통로상에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증발기 및 히터코어;미도시)가 설치됨과 아울러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다수의 도어(미도시)들이 설치 된 공조케이스(미도시)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내,외기를 송풍하는 송풍유니트(미도시)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100)는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에서 토출된 공기 중 일부를 시트(101)측에 공급하는 장치이며, 이를 위해서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와 시트(101)측을 연결하는 연결덕트(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덕트(110)의 입구측은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데, 즉,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뒷좌석 공조를 위해 프론트 공조장치(20)에서 토출된 공기를 뒷좌석으로 송풍하는 콘솔덕트(미도시)상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결덕트(110)의 내부 또는 상기 시트(101)의 내부에 별도의 송풍기(미도시)를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에서 토출된 공기를 이용하지 않고 차량 실내공기를 직접 흡입하여 시트(101)측에 공급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덕트(110)내에 열전소자 모듈(미도시)을 설치하여 시트(101)측 냉난방을 별도로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덕트(110)의 출구측은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 및 등받이부(101b)와 연통하도록 분기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 및 등받이부(101b)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덕트(110)의 분기된 출구측에서 토출된 공기를 탑승자의 엉덩이와 등쪽으로 균일하게 송풍할 수 있도록 각각 복수개로 분할된 통풍로(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연결덕트(110)에서 상기 쿠션부(101a) 및 등받이 부(101b)로 분기되는 분기지점에,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로 공급되는 각각의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어(1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 및 등받이부(101b) 중 탑승자의 착석에 의해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쪽으로 공기를 많이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120)를 조절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도어(120)에 상기 연결덕트(110)내에서 상기 도어(120)의 위치를 항상 초기위치인 중립상태로 유지하도록 탄력을 제공하는 탄력수단(130)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 및 등받이부(101b)로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도어(120)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도어(120)는, 상기 연결덕트(110)에서 분기되어 상기 쿠션부(101a) 및 등받이부(101b)로 각각 독립적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회전 작동하면서 공기량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120)는 상기 탄력수단(130)에 의해 상기 연결덕트(110)내에서 항상 중간위치에 있을려고 하는 탄력을 받게 되며, 이렇게 상기 도어(120)가 중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쪽으로 동일 풍량이 공급된다.
한편, 탑승자가 상기 시트(101)에 착석할 경우에는, 상기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쪽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쿠션부(101a)와 등받이쪽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실제 탑승자에게 토출되는 공기의 양도 달라지게 된다. 이하, 도 3과 같이, 상기 쿠션부(101a)가 더 많은 하중을 받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쿠션부(101a)가 많은 하중을 받게되면, 상기 쿠션부(101a)내에 형성된 통풍로(102)가 좁아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덕트(110)에서 분기되어 상기 쿠션부(101a)와 연결된 제1분기덕트(111)측에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서 결국 탑승자의 엉덩이쪽으로 적은 풍량이 토출되게 된다.
반면, 상기 등받이부(101b)는 상기 쿠션부(101a) 보다 하중을 덜 받기 때문에 등받이부(101b)쪽으로 송풍되는 바람은 풍속이 빨라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덕트(110)에서 분기되어 상기 등받이부(101b)와 연결된 제2분기덕트(112)측에는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서 결국 탑승자의 등쪽으로 많은 풍량이 토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연결덕트(110)의 분기지점에 상기 탄력수단(130)으로 탄력지지되는 상기 도어(120)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도어(120)는 상기 압력이 높은 제1분기덕트(111)측과 압력이 낮은 제2분기덕트(112)측의 압력차에 의해 압력이 낮은 제2분기덕트(112)측으로 회전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120)는 상기 쿠션부(101a)를 향하는 제1분기덕트(111)쪽을 더 많이 개방하고 상기 등받이부(101b)를 향하는 제2분기덕트(112)쪽은 적게 개방하여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상기 쿠션부(101a)쪽으로 그만큼 많은 풍량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연결덕트(110)의 분기지점에서 상기 쿠션부(101a)를 향하는 제1분기덕트측과 등받이부(101b)를 향하는 제2분기덕트측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도어(120)가 작동하면서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상기 쿠션부(101a)쪽으로 그만큼 많은 량의 바람을 공급하고 상기 등받이쪽으로는 적은량의 바람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엉덩이와 등쪽으로 균등한 풍량이 토출되어 시트공조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120)는 상기 연결덕트(110)의 양 측벽(110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21)과, 상기 회전축(121)의 일측에 형성되는 평판형태의 플레이트(1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22)는 상기 연결덕트(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력수단(130)은, 도 5와 같이, 상기 회전축(121)의 적어도 일단부에 비틀림 스프링(131)을 삽입 설치하되, 상기 비틀림 스프링(131)의 일단부(131a)는 상기 회전축(121)에 고정하고, 타단부(131b)는 상기 연결덕트(110)의 측벽(110a)에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도어(120)는 상기 제1,2분기덕트(111)(112)의 압력차가 없을 때에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131)에 의해 항상 상기 제1,2분기덕트(111)(112)의 중간(중립)위치에 위치하도록 탄력지지되며, 상기 제1,2분기덕트(111)(112)의 압력차가 있을 경우에만 압력이 낮은 쪽으로 일정각도로 회전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력수단(130)의 다른 실시예로 도 6과 같이, 상기 회전축(121)의 적어도 일단부에 탄성재질의 탄성링(132)을 삽입 설치하되, 상기 탄성링(132)의 내주면은 상기 회전축(121)과 고정하고, 외주면은 상기 연결덕트(110)의 측벽(110a)과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링(132)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121)의 고정방법은 상기 탄 성링(132)과 회전축(121) 중 어느 하나에는 홈(132a)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홈(132a)에 삽입 결합되는 돌기(121a)를 형성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접착제 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링(132)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덕트(110)측의 고정방법은, 상기 탄성링(132)을 연결덕트(110)의 양측벽(110a)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링(132)과 연결덕트(110) 중 어느 하나에는 홈(110b)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홈(110b)에 삽입 결합되는 돌기(132b)를 형성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물론 접착제로 고정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링(132) 역시 앞서 설명한 비틀림 스프링(131)과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링(132)의 재질로는 고무 뿐만 아니라 탄성을 가진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시트(101)측에 하중감지센서(미도시)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하중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 및 등받이부(101b)측 하중의 차이에 의해 상기 도어(120)를 조절하는 엑츄에이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연결덕트(110)의 외측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 중 하중이 많이 작용하는 쪽으로 그 만큼 많은 풍량이 공급되도록 상기 도어(120)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120)는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 중 하중이 많이 작용하는 쪽을 향하는 상기 제1분기덕트(111) 또는 제2분 기덕트(112)를 그 만큼 많이 개방하도록 회전 작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100)는, 상기 연결덕트(110)의 분기지점에 압력차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도어(120)를 설치하고, 상기 도어(120)에는 항상 도어(120)를 중간(중립)위치로 탄력지지하는 탄력수단(130)을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연결덕트(110)를 통해 시트(101)측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덕트(110)에 분기되는 제1,2분기덕트(111)(112)를 통해 상기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쪽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쪽으로 각각 공급된 공기는 복수개의 통풍로(102)를 통해 탑승자의 엉덩이와 등쪽으로 토출되어 시트공조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탑승자가 상기 시트(101)에 착석한 상태에서는, 상기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쪽에 하중이 작용하게 되며, 만일 상기 쿠션부(101a)가 더 많은 하중을 받을 경우, 상기 쿠션부(101a)와 연결된 제1분기덕트(111)의 압력이 높아지고, 이때 상기 도어(120)는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상기 등받이부(101b)와 연결된 제2분기덕트(112)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도어(120)가 상기 제1,2분기덕트(111)(112)의 압력차에 의해 제2분기덕트(112)쪽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제1분기덕트(111)쪽을 많이 개방 하게 되면, 상기 제1분기덕트(111) 및 쿠션부(101a)쪽으로 그만큼 많은 풍량이 공급되고, 상기 제2분기덕트(112) 및 등받이부(101b)쪽으로는 상대적으로 적은 풍량이 공급된다.
따라서, 하중을 많이 받아 상기 쿠션부(101a)의 통풍로(102)가 좁아지더라도 상기 도어(120)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101b) 보다 상기 쿠션부(101a)로 상대적으로 많은 풍량이 공급되어, 최종적으로 탑승자의 엉덩이와 등쪽으로 균등한 풍량이 토출되게 된다.
아울러, 탑승자의 착석위치에 따른 하중에 따라 상기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로 공급되는 풍량이 상기 도어(120)에 의해 자동 조절되어 탑승자에게 균등한 바람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일예로 상기 쿠션부(101a)가 더 많은 하중을 받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도 4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101b)가 더 많은 하중을 받을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상기 쿠션부(101a)를 향하는 제1분기덕트(111)와 상기 등받이부(101b)를 향하는 제2분기덕트(112)내의 공기 압력차에 의해 상기 도어(120)가 조절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상기 하중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쿠션부(101a) 및 등받이부(101b)측 하중의 차이에 의해 상기 엑츄에이터로 상기 도어(120)를 직접 조절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의 쿠션부 및 등받이부 중 탑승자의 착 석에 의해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쪽으로 공기를 많이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덕트의 분기지점에 상기 쿠션부 및 등받이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직접 작동하거나 또는 상기 쿠션부 및 등받이부측 하중의 차이에 의해 엑츄에이터로 작동하는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쿠션부와 등받이부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상기 쿠션부와 등받이부로 공급되는 풍량이 자동 조절되어 탑승자에게 균등한 바람이 공급되고 이에따라 시트공조 성능이 향상된다.

Claims (6)

  1. 프론트 공조장치(20)에서 토출되는 공기중 일부를 시트(101)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입구측은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와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출구측은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 및 등받이부(101b)와 연통하도록 분기되어 설치된 연결덕트(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110)의 분기지점에는,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와 등받이부(101b)로 공급되는 각각의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어(1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 및 등받이부(101b) 중 탑승자의 착석에 의해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쪽으로 공기를 많이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120)를 조절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시트(101)측에 설치되는 하중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 및 등받이부(101b)측 하중의 차이에 의해 상기 도어(120)를 조절하는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도어(120)에 상기 연결덕트(110)내에서 상기 도어(120)의 위치를 항상 초기위치인 중립상태로 유지하도록 탄력을 제공하는 탄력수단(130)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시트(101)의 쿠션부(101a) 및 등받이부(101b)로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도어(120)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수단(130)은 상기 회전축(121)의 적어도 일단부에 비틀림 스프링(131)을 삽입 설치하되, 상기 비틀림 스프링(131)의 일단부(131a)는 상기 회전축(121)에 고정하고, 타단부(131b)는 상기 연결덕트(110)측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수단(130)은 상기 회전축(121)의 적어도 일단부에 탄성재질의 탄성링(132)을 삽입 설치하되, 상기 탄성링(132)의 내주면은 상기 회전축(121)과 고정하고, 외주면은 상기 연결덕트(110)측과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20)는,
    상기 연결덕트(110)의 양 측벽(110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21)과, 상기 회전축(121)의 일측에 형성되는 평판형태의 플레이트(1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20070003882A 2007-01-12 2007-01-12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1309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882A KR101309188B1 (ko) 2007-01-12 2007-01-12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882A KR101309188B1 (ko) 2007-01-12 2007-01-12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428A true KR20080066428A (ko) 2008-07-16
KR101309188B1 KR101309188B1 (ko) 2013-09-17

Family

ID=3982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882A KR101309188B1 (ko) 2007-01-12 2007-01-12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188B1 (ko)

Cited B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3460B2 (en) 2014-02-06 2016-08-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having a climate controlled seat utilizing a plenum volume and flexible hoses
KR20160105180A (ko) * 2015-02-27 2016-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통풍 베드 및 그 제어 방법
US9566888B2 (en) 2015-04-01 2017-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having extendable bolsters and thigh supports
US9649962B2 (en) 2013-01-24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and thigh support
US9707870B2 (en) 2013-01-24 2017-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9707873B2 (en) 2013-01-24 2017-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9713975B2 (en) 2015-03-31 2017-07-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having a blower mounted to the seatback against a plastic matrix
US9756408B2 (en) 2016-01-25 2017-09-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sound system
US9776543B2 (en) 2016-01-25 2017-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independent thigh supports
US9802521B2 (en) 2015-03-31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p Multilayer seat
US9802512B1 (en) 2016-04-12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rsion spring bushing
US9809131B2 (en) 2015-12-04 2017-1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hropomorphic pivotable upper seatback support
US9834166B1 (en) 2016-06-07 2017-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9845029B1 (en) 2016-06-06 2017-1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ive conformal seat with hybrid air/liquid cells
US9849817B2 (en) 2016-03-16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seat structure
US9889773B2 (en) 2016-04-04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hropomorphic upper seatback
US9902293B2 (en) 2013-01-24 2018-0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with optimized leg-splay angle
US9914378B1 (en) 2016-12-16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corative and functional upper seatback closeout assembly
US9994135B2 (en) 2016-03-30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thigh support
US10035442B2 (en) 2016-01-25 2018-07-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upper seatback module
US10046681B2 (en) 2016-04-12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mechanical thigh extension composite trim payout linkage system
US10046682B2 (en) 2015-08-03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ck cushion module for a vehicle seating assembly
US10046683B2 (en) 2014-01-23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spension seat back and cushion system having an inner suspension panel
US10052990B2 (en) 2016-01-25 2018-08-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tended seatback module head restraint attachment
US10065546B2 (en) 2014-04-02 2018-09-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manual independent thigh supports
US10081279B2 (en) 2016-04-12 2018-09-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thigh extension trim tensioning slider mechanism
US10166895B2 (en) 2016-06-09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comfort carrier
US10220737B2 (en) 2016-04-01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inematic back panel
US10239431B2 (en) 2016-09-02 2019-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oss-tube attachment hook features for modular assembly and support
US10279714B2 (en) 2016-08-26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climate control features
US10286818B2 (en) 2016-03-16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suspension seating assembly
US10286824B2 (en) 2016-08-24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reader plate load distribution
US10369905B2 (en) 2014-10-03 2019-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ned flexible support member and flexible suspension features for comfort carriers
US10377279B2 (en) 2016-06-09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ecking arm support feature
US10391910B2 (en) 2016-09-02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assembly cross-tube attachment tab designs and functions
US10479243B2 (en) 2017-12-05 2019-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channel thermocomfort foam pad
US10625646B2 (en) 2016-04-12 2020-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mechanical thigh extension composite trim payout linkage system
WO2022067916A1 (zh) * 2020-09-29 2022-04-07 深圳市俊佳豪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空调坐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2591A (ja) * 2001-07-27 2003-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度調節装置
JP2006069327A (ja) * 2004-09-01 2006-03-16 Nissan Motor Co Ltd 車両シート用空調装置

Cited B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3362B2 (en) 2013-01-24 2018-01-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9902293B2 (en) 2013-01-24 2018-0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with optimized leg-splay angle
US9873360B2 (en) 2013-01-24 2018-01-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9649962B2 (en) 2013-01-24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and thigh support
US9707870B2 (en) 2013-01-24 2017-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9707873B2 (en) 2013-01-24 2017-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10046683B2 (en) 2014-01-23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spension seat back and cushion system having an inner suspension panel
US9403460B2 (en) 2014-02-06 2016-08-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having a climate controlled seat utilizing a plenum volume and flexible hoses
US10065546B2 (en) 2014-04-02 2018-09-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manual independent thigh supports
US10369905B2 (en) 2014-10-03 2019-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ned flexible support member and flexible suspension features for comfort carriers
US11091005B2 (en) 2015-02-27 2021-08-17 Hyundai Motor Company Ventilation bed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179497B2 (en) 2015-02-27 2019-01-15 Hyundai Motor Company Ventilation bed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05180A (ko) * 2015-02-27 2016-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통풍 베드 및 그 제어 방법
US9802521B2 (en) 2015-03-31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p Multilayer seat
US9713975B2 (en) 2015-03-31 2017-07-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having a blower mounted to the seatback against a plastic matrix
US9566888B2 (en) 2015-04-01 2017-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having extendable bolsters and thigh supports
US10046682B2 (en) 2015-08-03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ck cushion module for a vehicle seating assembly
US10239419B2 (en) 2015-12-04 2019-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hropomorphic pivotable upper seatback support
US9809131B2 (en) 2015-12-04 2017-1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hropomorphic pivotable upper seatback support
US10035442B2 (en) 2016-01-25 2018-07-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upper seatback module
US9776543B2 (en) 2016-01-25 2017-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independent thigh supports
US10052990B2 (en) 2016-01-25 2018-08-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tended seatback module head restraint attachment
US9756408B2 (en) 2016-01-25 2017-09-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sound system
US9849817B2 (en) 2016-03-16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seat structure
US10286818B2 (en) 2016-03-16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suspension seating assembly
US9994135B2 (en) 2016-03-30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thigh support
US10220737B2 (en) 2016-04-01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inematic back panel
US9889773B2 (en) 2016-04-04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hropomorphic upper seatback
US10046681B2 (en) 2016-04-12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mechanical thigh extension composite trim payout linkage system
US10625646B2 (en) 2016-04-12 2020-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mechanical thigh extension composite trim payout linkage system
US10081279B2 (en) 2016-04-12 2018-09-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thigh extension trim tensioning slider mechanism
US9802512B1 (en) 2016-04-12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rsion spring bushing
US9845029B1 (en) 2016-06-06 2017-1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ive conformal seat with hybrid air/liquid cells
US9834166B1 (en) 2016-06-07 2017-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10166895B2 (en) 2016-06-09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comfort carrier
US10377279B2 (en) 2016-06-09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ecking arm support feature
US10286824B2 (en) 2016-08-24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reader plate load distribution
US10279714B2 (en) 2016-08-26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climate control features
US10239431B2 (en) 2016-09-02 2019-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oss-tube attachment hook features for modular assembly and support
US10391910B2 (en) 2016-09-02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assembly cross-tube attachment tab designs and functions
US9914378B1 (en) 2016-12-16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corative and functional upper seatback closeout assembly
US10479243B2 (en) 2017-12-05 2019-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channel thermocomfort foam pad
US10773618B2 (en) 2017-12-05 2020-09-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channel thermocomfort foam pad
WO2022067916A1 (zh) * 2020-09-29 2022-04-07 深圳市俊佳豪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空调坐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188B1 (ko)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188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0755951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JP4224939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9649907B2 (en) Vehicle air-conditioner
JP200028943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0203255A (ja) 自動車の空調装置
KR201300643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기토출 시스템
US20130252528A1 (en) Air-condition system for vehicle
KR101201301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JP2006168681A (ja) 車両用空調装置
CN109747373B (zh) 车辆用空调装置
JP3794132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H1178484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JP2020199990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JPH11263123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WO2008050985A1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3680442B2 (ja) 車両後席用空調装置
JP4075627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6143975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20090036370A (ko) 자동차용 시트의 공기조화장치
WO2018003307A1 (ja) シート送風装置
JP428563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8528348A (ja) 自動車空調装置
JP2008155716A (ja) 車両用空調装置及び空調制御装置
KR20180086014A (ko) 차량 시트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