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265B1 -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265B1
KR100897265B1 KR1020070122030A KR20070122030A KR100897265B1 KR 100897265 B1 KR100897265 B1 KR 100897265B1 KR 1020070122030 A KR1020070122030 A KR 1020070122030A KR 20070122030 A KR20070122030 A KR 20070122030A KR 100897265 B1 KR100897265 B1 KR 100897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vable
hook
fixed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2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2045/44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the movable undercut forming element for ejection of the moulded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의 상부 양측단의 언더컷부에 대응하여 실린더 구동에 의해 전후진하는 인서트 코어를 적용하여 제품 취출 시, 상기 범퍼의 상부 양측단 언더컷부가 간섭없이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70122030
사출금형, 언더컷부, 슬라이드 금형, 이형유닛

Description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METALLIC PATTERN DEVICE}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형판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금형을 구성하고, 고정형판과 가동형판 사이에는 상기 고정형판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금형의 이형작동을 일정구간 제한하는 별도의 이형유닛을 구성하여 제품의 언더컷부가 상기 슬라이드 금형과 간섭없이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射出成形)은 플라스틱의 성형가공법으로서, 열가소성수지(熱可塑性樹脂)를 성형하는 방법의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그 공정은 먼저 플라스틱에 안료(顔料), 안정제, 가소제, 충전제 등을 첨가한 컴파운드를 호퍼에 넣어둔다.
그리고 투입구 바로 앞에 가열실을 두어, 여기서 전열(電熱), 고압수증기 등으로 가열하고, 재료에 따라 알맞게 가열하여 플라스틱을 용융상태로 만든 후, 이것을 피스톤으로 투입구를 통해서 금형(金型) 속으로 사출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의 구성은 가동 설치판에 스페이스 블록을 통하여 설치되는 가동형판과 고정 설치판에 스페이스 블록을 통하여 설치되는 고정형판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형판과 가동 설치판 사이의 스페이스 블록 내부 공간부에는 가동밀판이 설치되고, 상기 가동밀판 상에는 상기 가동형판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이젝팅 핀이 설치된다.
이러한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의 작동은 상기 고정형판과 가동형판이 상호 합형된 상태로 제품이 사출 성형된 후, 상기 고정형판으로부터 가동형판이 이형되면, 이러한 상태로, 상기 가동밀판이 이젝팅 핀을 밀어 상기 가동형판으로부터 제품이 취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에 의하면, 제품에 언더컷부가 형성되는 경우, 취출 시, 간섭을 배제할 수 있어 사출된 제품의 취출이 용이하지 못하며, 심한 경우, 제품의 언더컷부가 찢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형판의 내부에 경사지게 구동하는 슬라이드 금형을 구성하고, 고정형판과 가동형판 사이에는 상기 고정형판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금형의 이형작동을 일정구간 제한하는 별도의 이형유닛을 구성하여 제품의 언더컷부가 상기 슬라이드 금형으로부터 간섭없이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는 가동 설치판에 스페이스 블록을 통하여 설치되는 가동형판과, 고정 설치판에 스페이스 블록을 통하여 설치되는 고정형판과, 상기 가동형판과 가동 설치판 사이의 스페이스 블록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가동밀판을 구성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사출 성형하는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판의 내부에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외단면 일측에는 사출 성형할 제품의 언더컷부를 성형하기 위한 언더컷 성형부를 형성하며, 내단면은 상기 가동밀판에 이젝팅 핀을 통하여 연결되는 슬라이드 금형; 상 기 가동형판의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드 금형의 언더컷 성형부에 대응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금형과 함께 제품의 언더컷부를 성형하는 언더컷 성형코어; 상기 고정형판과 고정 설치판 사이의 스페이스 블록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이젝팅 핀을 구비하는 고정밀판; 상기 고정형판과 가동형판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고정형판에 대한 가동형판의 이형작동에 따라 상기 가동밀판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고정형판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금형의 이형작동을 일정구간 제한하고, 상기 제품이 그 언더컷부가 간섭되지 않는 구간에서 고정형판에 취부된 상태로 이형작동을 유도하는 이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금형은 그 외단면이 상기 고정형판의 외단면과 함께 캐비티를 이루어 제품형상을 사출하도록 제품의 형상면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형유닛은 상기 고정형판과 가동형판 사이의 각 외측면에 대응하여 하나씩 구성하되, 상기 가동형판의 각 외측면에 고정 장착되며, 일측 외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가이드 빔; 상기 가동밀판의 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부 외면에는 후크 걸림턱을 구성하는 후크 연결빔; 상기 고정 설치판과 고정형판 사이의 스페이스 블록 외측면에 지지수단을 통하여 일단부가 설치되고, 타단부 내면에는 상기 후크 연결빔 상의 후크 걸림턱에 걸리도록 후크돌기가 구성되며, 상기 타단부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가이드 되어 상기 후크 걸림턱으로부터 후크돌기의 연결상태를 해제 또는 체결하는 가이드 핀이 구성되는 후크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그 상면 양단이 경사진 경사 가이드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후크빔의 일측을 힌지핀을 통하여 연결한 상태로, 상기 고정 설치판과 고정형판 사이의 스페이스 블록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하우징; 상기 지지하우징의 내부에 구성되며, 그 작동로드에는 지지블록을 설치하여 상기 후크빔의 일단부에 접촉 연결된 상태로 상기 후크빔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에 의하면, 가동형판의 내부에 경사지게 구동하는 슬라이드 금형을 구성하고, 고정형판과 가동형판 사이에는 상기 고정형판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금형의 이형작동을 일정구간 제한하는 별도의 이형유닛을 구성하여 제품의 언더컷부가 상기 슬라이드 금형으로부터 간섭없이 취출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에 적용되는 이형유닛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의 구성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설치판(1)에 스페이스 블록(S)을 통하여 가동형판(3)이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 설치판(5)에 스페이스 블록(S)을 통하여 고정형판(7)이 설치된다.
상기 가동형판(3)과 가동 설치판(1) 사이의 스페이스 블록(S) 내부 공간부에는 가동밀판(9)이 설치되고, 상기 가동밀판(9) 상에는 상기 가동형판(3)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이젝팅 핀(P)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형판(3)의 내부에는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하도록 슬라이드 금형(11)이 구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드 금형(11)은 그 외단면 일측에 사출 성형할 제품(10)의 언더컷부(UC)를 성형하기 위한 언더컷 성형부(13)를 형성하며, 그 내단면은 상기 가동밀판(9) 상의 이젝팅 핀(P)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밀판(9)에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동형판(3)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금형(11)의 언더컷 성형부(13)에 대응하여 언더컷 성형코어(15)가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금형(11)과 함께 제품(10)의 언더컷부(UC)를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금형(11)은 그 외단면이 상기 고정형판(7)의 외단면과 함께 캐비티를 이루어 제품형상을 사출하도록 제품(10)의 형상면(17)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형판(7)과 고정 설치판(5) 사이의 스페이스 블록(S) 내부 공간부에는 고정밀판(19)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밀판(19) 상에는 상기 고정형판(7)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이젝팅 핀(P)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고정형판(7)과 가동형판(3) 사이에는 그 각 외측면에 대응하여 하나씩의 이형유닛(EU)이 구성되는데, 상기 이형유닛(EU)은 상기 고정형판(7)에 대 한 가동형판(3)의 이형작동에 따라 상기 가동밀판(9)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고정형판(7)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금형(11)의 이형작동을 일정구간 제한하고, 제품(10)이 그 언더컷부(UC)가 간섭되지 않는 구간에서 고정형판(7)에 취부된 상태로 이형작동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형유닛(EU)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가동형판(3)의 각 외측면에 가이드 빔(21)이 고정 장착되며, 이 가이드 빔(21)의 일측 외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2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는 그 상면 양단이 경사진 경사 가이드 면(CF)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동밀판(9)의 단부에는 후크 연결빔(25)이 그 일단을 통하여 고정되고, 이 후크 연결빔(25)의 타단부 외면에는 후크 걸림턱(27)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 설치판(5)과 고정형판(7) 사이의 스페이스 블록(S) 외측면에는 지지수단(30)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수단(30)에는 후크빔(29)이 그 일단부를 통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30)은 지지하우징(31)과 지지실린더(33)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하우징(31)은 상기 후크빔(29)의 일단부 일측을 힌지핀(H)을 통하여 연결한 상태로, 상기 고정 설치판(5)과 고정형판(7) 사이의 스페이스 블록(S)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실린더(33)는 상기 지지하우징(31)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작동로드에는 지지블록(35)을 설치하여 상기 후크빔(29)의 일단부에 접촉 연결된 상태로 상기 후크빔(29)의 일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빔(29)의 타단부 내면에는 상기 후크 연결빔(25) 상의 후크 걸림턱(27)에 걸리도록 후크돌기(37)가 구성되며, 상기 후크빔(29)의 타단부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에 가이드 되어 상기 후크 걸림턱(27)으로부터 후크돌기(37)의 연결상태를 해제 또는 체결하는 가이드 핀(39)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의 작동을 도 3 내지 도 7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형판(7)과 가동형판(3)이 상호 합형된 상태로 제품(10)이 사출 성형된다.
이때, 상기 이형유닛(EU)은 상기 후크빔(29) 상의 후크돌기(37)가 후크 연결빔(25) 상의 후크 걸림턱(27)에 끼워진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형판(7)과 가동형판(3)의 내부에서 사출이 완료된 제품(10)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형판(7)으로부터 가동형판(3)이 이형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형판(7)에 대하여 가동형판(3)이 이형되는 과정에서, 일정구간까지는 상기 이형유닛(EU)의 후크빔(29)과 후크 연결빔(25)이 그 연결상태를 유지하여 가동밀판(9)을 이형유닛(EU)과 연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고정형판(7)에 대하여 가동형판(3)이 이형되면, 상기 이형유닛(EU)의 후크빔(29)은 후크 연결빔(25)을 그대로 연결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는 상기 가동형판(3)에 설치된 가이드 빔(21)의 가이드 플레이트(23)가 상기 후크빔(29) 상의 그 가이드 핀(39)을 그 경사 가이드 면(CF)을 따라 안내하기 전까지 유지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금형(11)은 그 언더컷 성형부(13)가 제품(10)의 언더컷부(UC)에서 내측으로 이동하여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형판(7)과 함께 이동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가동형판(3)이 계속적으로 이형 작동되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형유닛(EU)의 후크빔(29)은 그 가이드 핀(39)이 가이드 플레이트(23)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지지실린더(33)를 누르면서 회전하여 상기 후크 연결빔(25) 상의 후크 걸림턱(27)으로부터 상기 후크돌기(37)가 이탈된다.
그러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금형(11)은 더 이상 전진 이동하지 않게 되며, 고정형판(7)과 제품(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이때, 상기 제품(10)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형판(7)에 로딩된 상태가 되며, 고정밀판(19)이 전진하여 상기 고정형판(7)으로부터 제품(10)을 이젝팅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에 적용되는 이형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5)

  1. 가동 설치판에 스페이스 블록을 통하여 설치되는 가동형판과, 고정 설치판에 스페이스 블록을 통하여 설치되는 고정형판과, 상기 가동형판과 가동 설치판 사이의 스페이스 블록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가동밀판을 구성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사출 성형하는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판의 내부에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외단면 일측에는 사출 성형할 제품의 언더컷부를 성형하기 위한 언더컷 성형부를 형성하며, 내단면은 상기 가동밀판에 이젝팅 핀을 통하여 연결되는 슬라이드 금형;
    상기 가동형판의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드 금형의 언더컷 성형부에 대응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금형과 함께 제품의 언더컷부를 성형하는 언더컷 성형코어;
    상기 고정형판과 고정 설치판 사이의 스페이스 블록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이젝팅 핀을 구비하는 고정밀판;
    상기 고정형판과 가동형판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고정형판에 대한 가동형판의 이형작동에 따라 상기 가동밀판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고정형판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금형의 이형작동을 일정구간 제한하고, 상기 제품이 그 언더컷부가 간섭되지 않는 구간에서 고정형판에 취부된 상태로 이형작동을 유도하는 이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금형은
    그 외단면이 상기 고정형판의 외단면과 함께 캐비티를 이루어 제품형상을 사출하도록 제품의 형상면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유닛은
    상기 고정형판과 가동형판 사이의 각 외측면에 대응하여 하나씩 구성하되,
    상기 가동형판의 각 외측면에 고정 장착되며, 일측 외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가이드 빔;
    상기 가동밀판의 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부 외면에는 후크 걸림턱을 구성하는 후크 연결빔;
    상기 고정 설치판과 고정형판 사이의 스페이스 블록 외측면에 지지수단을 통하여 일단부가 설치되고, 타단부 내면에는 상기 후크 연결빔 상의 후크 걸림턱에 걸리도록 후크돌기가 구성되며, 상기 타단부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가이드 되어 상기 후크 걸림턱으로부터 후크돌기의 연결상태를 해제 또는 체결하는 가이드 핀이 구성되는 후크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그 상면 양단이 경사진 경사 가이드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후크빔의 일측을 힌지핀을 통하여 연결한 상태로, 상기 고정 설치판과 고정형판 사이의 스페이스 블록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하우징;
    상기 지지하우징의 내부에 구성되며, 그 작동로드에는 지지블록을 설치하여 상기 후크빔의 일단부에 접촉 연결된 상태로 상기 후크빔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KR1020070122030A 2007-11-28 2007-11-28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KR100897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030A KR100897265B1 (ko) 2007-11-28 2007-11-28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030A KR100897265B1 (ko) 2007-11-28 2007-11-28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265B1 true KR100897265B1 (ko) 2009-05-14

Family

ID=4086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030A KR100897265B1 (ko) 2007-11-28 2007-11-28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2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436B1 (ko) * 2015-09-30 2015-12-14 주식회사 갑을프라스틱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
CN106378905A (zh) * 2016-11-11 2017-02-08 广州友成机工有限公司 一种高效高精高质的注塑模具及其操作方法
KR102308020B1 (ko) 2021-03-10 2021-09-30 김숙자 오염방지 플레이트가 구비된 사출 금형 장치
CN113650246A (zh) * 2021-08-20 2021-11-16 江苏星科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具有内倒钩脱模机构的汽车车灯注塑模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1639A (ja) 2001-06-13 2002-12-18 Kyowa Kogyo Kk 成形金型の型開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4106220A (ja) 2002-09-13 2004-04-08 Honda Motor Co Ltd 射出成形金型
KR20070052033A (ko) * 2005-11-16 2007-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금형의 자동 이형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1639A (ja) 2001-06-13 2002-12-18 Kyowa Kogyo Kk 成形金型の型開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4106220A (ja) 2002-09-13 2004-04-08 Honda Motor Co Ltd 射出成形金型
KR20070052033A (ko) * 2005-11-16 2007-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금형의 자동 이형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436B1 (ko) * 2015-09-30 2015-12-14 주식회사 갑을프라스틱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
CN106378905A (zh) * 2016-11-11 2017-02-08 广州友成机工有限公司 一种高效高精高质的注塑模具及其操作方法
KR102308020B1 (ko) 2021-03-10 2021-09-30 김숙자 오염방지 플레이트가 구비된 사출 금형 장치
CN113650246A (zh) * 2021-08-20 2021-11-16 江苏星科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具有内倒钩脱模机构的汽车车灯注塑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1702B2 (en)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and compression molding method of resin molded product comprising fiber
KR100897265B1 (ko)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KR20090048093A (ko)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JP5515302B2 (ja) 金型装置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9113339A (ja) 微細形状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WO2007037136A1 (ja) 射出成形装置
JPH0376203B2 (ko)
US20220305711A1 (en) Mold
US2850766A (en) Injection mold assembly
KR101646640B1 (ko)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KR101537011B1 (ko) 탄성 재질의 언더컷성형링을 활용한 언더컷 성형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KR100962196B1 (ko) 범퍼커버용 사출금형장치
JP5619636B2 (ja) ダイレクト成形機
JP5943777B2 (ja) 繊維材料を含む複合成形品の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KR101156196B1 (ko) 사출 금형장치
JP2013000774A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KR101655987B1 (ko) 수축, 확장되는 다수의 언더컷성형코어를 갖는 사출금형
JP2008100403A (ja) 射出成形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JP2007190871A (ja) 射出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射出成形装置
JP2009039908A (ja) 射出成形装置
KR101567382B1 (ko) 언더컷성형링과 공기투입관을 활용한 언더컷 성형구조를 갖는 금형
JP2006007778A (ja) 射出成形装置のための閉鎖ユニット
JP6199346B2 (ja) 成形品の突き出しに特徴を有する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機
JPH0246369B2 (ko)
KR101602737B1 (ko) 언더컷성형링을 활용한 언더컷 성형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