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436B1 -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436B1
KR101577436B1 KR1020150137548A KR20150137548A KR101577436B1 KR 101577436 B1 KR101577436 B1 KR 101577436B1 KR 1020150137548 A KR1020150137548 A KR 1020150137548A KR 20150137548 A KR20150137548 A KR 20150137548A KR 101577436 B1 KR101577436 B1 KR 101577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rotective cover
molding space
mol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갑을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갑을프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갑을프라스틱
Priority to KR102015013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29C45/2606Guiding or center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들의 성형공간에서 사출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상기 성형공간에서 자동으로 취출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가 사출성형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코어와 하부코어 및 상기 상부코어와 하부코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코어들을 가지며, 상기 상부코어를 고정하며 상기 성형공간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된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코어를 고정하며 상기 성형공간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된 하부금형 및 상기 중간코어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성형공간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된 중간금형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코어는, 주코어와, 상기 주코어 형성된 안내공에 수용되어 이동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며, 보호커버의 모리서부위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안내공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된 경사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상부금형의 이동시 상기 경사코어를 고정하는 고정핀이 구비된 고정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주코어에서 상기 경사코어를 취출하도록 된 경사코어가동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A injection molding apparatus of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over}
본 발명은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슬립 타입으로 형성된 이동통신용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도록 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들의 성형공간에서 사출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상기 성형공간에서 자동으로 취출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ㆍPDA(Personal Digital Assistant)ㆍ휴대용PC(Personal Computer)와 같이 슬립 타입으로 형성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장소와 시간에 거의 구애받지 않고 수신 및 네트워크 접속에 따른 무선통신에 의해 각종 컴퓨터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통신기기들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방식을 통하여 게임이나 동영상 등의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정보를 입력하는 디스플레이(LCD)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각종 전자부품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부품이 파손되거나 오작동이 발생하게 되고, LCD 및 버튼 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휴대시에 각종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는, 주로 가열에 의해 녹은 플라스틱 재료를 금형 속으로 사출시켜 고화(固化) 또는 경화(硬化)시켜 제조하는 사출성형을 통해 제공된다.
즉, 생산 속도가 빨라 대량생산을 통해 경제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와 관련된 사출성형장치의 하나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914655호(명칭: 착탈이 가능한 코어를 구비한 핸드폰 케이스용 사출 금형)가 있으며,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핸드폰 케이스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착탈이 가능한 복수의 제1코어가 구비된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착탈이 가능한 복수의 제1코어가 구비된 제2이동 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제2이동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며, 제1코어와 결합하여 캐비티 형성을 위한 복수의 제2코어가 구비된 제1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제2코어의 중심에 형성되어 캐비티 내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수지 사출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 또는 제2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제1코어의 후면에 형성된 테이퍼 핀과 결합하기 위한 테이퍼 핀 결합부가 형성된 제1지지대; 및 상기 제1코어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2지지대를 포함하는 착탈이 가능한 코어를 구비한 사출 금형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896152호(명칭: 보강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전면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성형공간인 캐비티 내에 인서트되는 보강플레이트를 홀딩하기 위한 흡입에어의 통로가 되는 에어흡입통로가 관통형성된 제1 사출금형; 상기 제1 사출금형과의 형합에 의해서 캐비티를 형성하고, 동작관통홀이 캐비티에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된 제2 사출금형; 및 상기 동작관통홀에 삽입되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유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흡입통로의 입구를 폐쇄하는 동작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출금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937189호(명칭: 사이드 날개홈용 금형 모듈을 갖는 폴더폰 힌지 하우징용 프레스 금형장치 및 이를 통해 형성된 폴더폰 힌지 하우징)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 상·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 상부금형 및 제1 하부금형 사이에 띠 형상의 가공소재를 이송시키면서 피어싱 펀치를 통해 구멍을 뚫고, 복수개의 하향 펀치를 통해 가공소재 두께를 늘리면서 컵형상의 폴더폰용 힌지를 성형하는 컵형상의 폴더폰 힌지용 금형모듈이 구성된 폴더폰 힌지 하우징용 프레스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더폰 힌지 하우징용 프레스 금형 장치는 제2 상·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상·하부 금형을 통해 형성된 컵형상의 폴더폰 힌지용 금형모듈 끝단쪽에 착탈식으로 나란히 결합되어 연결되고, 제2 상부금형 및 제2 하부금형 사이에 컵형상의 폴더폰용 힌지가 형성된 가공소재를 이송시키면서, 컵형상의 폴더폰용 힌지 상단 중앙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이 형성된 컵형상의 폴더폰용 힌지 바닥면에서 상단 방향으로 사각 형상의 사이드 날개홈이 서로 짝을 이루며 형성하는 사이드 날개홈용 금형 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프레스 금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1.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914655호 2.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896152 3.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937189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금형들의 성형공간에서 사출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상기 성형공간에서 자동으로 취출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가 사출성형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코어와 하부코어 및 상기 상부코어와 하부코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코어들을 가지며, 상기 상부코어를 고정하며 상기 성형공간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된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코어를 고정하며 상기 성형공간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된 하부금형 및 상기 중간코어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성형공간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된 중간금형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코어는, 주코어와, 상기 주코어에 형성된 안내공에 수용되어 이동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며, 보호커버의 모리서부위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안내공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된 경사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상부금형의 이동시 상기 경사코어를 고정하는 고정핀이 구비된 고정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주코어에서 상기 경사코어를 취출하도록 된 경사코어가동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안내공과 상기 경사코어는, 상기 주코어가 상기 성형공간에 대하여 이격되는 중에 상기 경사코어가 상기 보호커버에 대해 외측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끼움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경사코어가동수단은, 상기 상부금형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상기 성형공간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간범위를 가지는 안내공간과, 상기 안내공간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상기 성형공간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대면하게 배치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금형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금형에 형성된 압착공에 억지끼움결합하도록 된 가압링크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금형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금형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금형측방향으로 가압탄성력을 가지는 가압봉에 대면하여 지지되도록 된 지지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는, 상기 성형공간에서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이 완료되어 상기 상부금형이 상기 하부금형에 대하여 이격되는 중에,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되어 그 위치를 고수하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핀으로 연결된 상기 경사코어가 상기 주코어에서 취출되면서 상기 보호커버를 지지하여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이격된 사이공간상으로 취출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고 신속하게 로봇팔 등과 같은 별도의 미 도시된 자동배출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생산과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금형들의 성형공간에서 사출성형이 완료된 보호커버를 상기 성형공간에서 자동으로 취출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보호커버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에 적용되는 상부금형 및 중간금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에 적용되는 하부금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에 적용되는 상부코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에 적용되는 상부코어와 하부코어 및 중간코어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에 적용되는 상부코어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1)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가 사출성형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코어(21)와 하부코어(31) 및 상기 상부코어(21)와 하부코어(31)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코어(41)들을 가지며, 상기 성형공간에 사출물을 사출하여 원하는 형태로 보호커버를 제조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1)는, 상기 상부코어(21)를 고정하며 상기 성형공간 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된 상부금형(2)을 가진다.
즉, 상기 상부금형(2)을 왕복이동운동을 하면 상기 상부코어(21)가 상기 성형공간을 형성하거나 해체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부금형(2)에는, 상기 성형공간으로 사출물을 투입하도록 된 투입수단(5)이 구비되며, 상기 투입수단(5)은, 종래 공지된 일반적인 사출성형장치에 적용되는 공지된 기술의 구조가 채용되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1)는, 상기 하부코어(31)를 고정하며 상기 성형공간 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된 하부금형(3)을 가진다.
즉, 상기 하부금형(3)을 왕복이동운동을 하면 상기 하부코어(31)가 상기 성형공간을 형성하거나 해체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1)는, 상기 중간코어(41)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성형공간 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된 중간금형(4)들을 가진다.
즉 상기 중간금형(4)들의 왕복이동운동을 통해 상기 중간코어(41)들이 서로 근접하여 밀착하거나, 이격되어 분리됨으로써 상기 성형공간을 형성하거나 해체하게 된다.
상기에서 중간금형(4)은, 상기 상부금형(2)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하부금형(3)에 고정되며 경사면을 가지는 안내링크(32)가 관통되게 끼움 결합하며 경사면을 가지는 관통공(32)을 통해 결합하여 상기 상부금형(2)의 이동시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안내링크(32)와 관통공(42)의 경사면을 안내하면서 상기 성형공간으로의 근접 및 이격됨으로써, 상기 중간코어(41)들을 근접이 및 이격시키도록 되는 것을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중간코어(41)에는, 상기 하부금형(3)에 구비되며 경사면을 가지는 보조안내링크(33)의 경사면이 관통되면서 밀착되게 끼움결합하는 끼움공(411)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금형(4)의 이동시 동일방향으로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1)에서, 상기한 상부금형(2)과 하부금형(3)은, 각각 관통설치되는 가이드봉(11)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부금형(2)과 하부금형(3)들이 서로 근접 및 이격하도록 된 미 도시된 작동장치를 통해 근접 및 이격될 때, 정 위치에서 근접 및 이격되어 안정되게 사출성형동작을 구현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이러한 상부금형(2)과 하부금형(3)의 이동운동을 구현하는 미 도시된 상기 작동장치는, 종래 공지된 일반적인 사출성형장치에 적용되는 공지된 기술의 구조가 채용되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1)에서, 상기한 상부코어(21)는, 주코어(211)와 상기 주코어(211)에 형성된 안내공(212)에 수용되어 이동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며 보호커버(C)의 모리서부위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안내공(212)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된 경사코어(213)를 가진다.
즉, 상기 주코어(211)에 대하여 상기 경사코어(213)가 슬라이딩되게 끼움결합하여 상기 상부코어(21)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1)는, 상기 상부금형(2)의 이동시 상기 경사코어(213)를 고정하는 고정핀(611)이 구비된 고정플레이트(61)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주코어(211)에서 상기 경사코어(213)를 취출하도록 된 경사코어가동수단(6)을 가진다.
즉, 상기 상부금형(2)의 이동시 상기 경사코어(213)의 위치를 고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금형(2)과 동일방향으로 이동되는 주코어(211)의 안내공(212)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주코어(211)의 외부로 노출 또는 수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성형공간에서 성형된 보호커버(C)가 상기 경사코어(213)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주코어(211)와 분리된다.
이에 따라, 완성된 상기 보호커버(C)가 취출이 용이한 상태를 형성하게 되며, 별도의 미 도시된 로봇팔 등과 같은 별도의 미 도시된 자동배출장치를 통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생산과정의 자동화를 구현하게 된다.
상기에서 안내공(212)과 상기 경사코어(213)는, 상기 주코어(211)가 상기 성형공간에 대하여 이격되는 중에 상기 경사코어(213)가 상기 보호커버(C)에 대해 외측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여 상기 보호커버(C)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끼움결합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보호커버(C)가 상기 경사코어(213)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하부코어(31)에서 용이하게 분리된다.
상기에서 경사코어(213)는, 상기 보호커버(C)의 내측면의 4지점에서 각각 지지하도록 각각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1)에서, 상기한 경사코어가동수단(6)은, 상기 상부금형(2)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61)가 상기 성형공간 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간범위를 가지는 안내공간을 가진다.
즉, 상기한 안내공간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61)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금형(2)의 이동시 상기 안내공간의 상기 고정플레이트(61)의 이동범위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61)가 상기 경사코어(213)를 이동시키지 않고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경사코어가동수단(6)은, 상기 안내공간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61)를 상기 성형공간 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대면하게 배치되는 가압플레이트(62)를 가진다.
즉, 상기 가압플레이트(62)에 의해, 상기 상부금형(2)이 이동될 때 상기 고정플레이트(61)가 상부금형(2)과 동일하게 이동하지 않고 그 위치를 고수하도록 되어, 상기 주코어(211)가 이동할 때, 상기 경사코어(213)가 상기 주코어(211)의 안내공(212)에서 슬라이딩되면서 보호커버(C)를 지지하면서 보호커버(C)와 주코어(211)를 분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경사코어가동수단(6)은, 상기 가압플레이트(62)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금형(2)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금형(3)에 형성된 압착공(34)에 억지끼움결합하도록 된 가압링크(63)를 가진다.
즉, 상기 상부금형(2)과 하부금형(3)이 근접하여 밀착될 때, 상기 가압링크(63)의 종단이 상기 하부금형의 압착공(34)에 억지 끼움되어 고정되며, 상기 상부금형(2)이 이동되어 상기 하부금형(3)과 이격될 때, 상기 가압링크(63)가 상기 압착공(34)에 억지끼움되어 분리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가압플레이트(62)가 상기 상부금형(2)과 동일하게 이동되지 않고 그 위치를 고수하게 함으로써, 상기 고정플레이트(61)를 지지하여 상기 경사코어(213)가 주코어(211)와 동일하게 운동하지 않도록 하여 주코어(211)의 안내공(212)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가압링크(63)는, 상기 가압플레이트(62)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고정되며, 상기 압착공(34)에 억지 끼움되는 탄성재질의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진 끼움체로 이루어져, 상기 압착공(34)에 상기 끼움체가 탄성적으로 억지끼움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금형(2)이 이동될 때, 상기 안내공간상에서 상기 가압플레이트(62)의 운동범위에 위치하는 동안에는, 상기 압착공(34)에서 상기 가압링크(63)가 분리되지 않으며, 상기 안내공간상에서 상기 가압플레이트(63)가 운동범위에 벗어나 상기 상부금형(2)과 동일한 운동하는 중에는, 상기 압착공(34)에서 상기 가압링크(63)가 분리되어 상기 주코어(211)의 안내공(212)에서 상기 경사코어(213)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상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경사코어가동수단(6)은, 상기 고정플레이트(61)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금형(2)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금형(3)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금형(2) 측방향으로 가압탄성력을 가지는 가압봉(35)에 대면하여 지지되도록 된 지지링크(64)를 가진다.
즉, 상기 지지링크(64)가 의해 상기 가압봉(35)네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안내공간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64)가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성형공간 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코어(21)가 상기 하부코어(31) 및 중간코어(41)와 결합하여 성형공간을 형성할 때, 상기 주코어(211)의 외부로 경사코어(213)의 일부가 노출되어 성형공간을 훼손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1)를 통해 보호커버(C)를 사출성형하고자 할 경우에는, 미 도시된 작동장치를 통해, 도 13 및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2)과 하부금형(3)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장치의 구동으로 상기 상부금형(2)과 상기 하부금형(3)이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근접하여 밀착할 때, 상기 중간금형(4)들이 상기 안내링크(32)와 상기 보조안내링크(33)에 의해 상기 상부금형(2) 상에서 상기 성형공간 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중간코어(41)들을 서로 근접시켜 성형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봉(35)에 의해 상기 지지링크(64)가 지지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61)가 자유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안내공간에서 상부금형(2)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어 상기 경사코어(213)가 상기 주코어(211)의 안내공(212)에 수용되어 주코어(21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주코어(211)와 더불어 상부코어(21)를 안정적으로 형성하게 됨과 동시에 성형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링크(63)의 종단이 상기 하부금형(3)의 압착공(34)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2)과 하부금형(3)이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하여 성형공간을 형성하면, 상기 투입수단(5)을 통해 상기 성형공간으로 사출물을 투입하여 보호커버(C)를 사출성형한다.
그리고, 보호커버(C)의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작동수단을 통해 상기 상부금형(2)과 하부금형(3)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플레이트(62)는 상기 가압링크(63)가 상기 압착공(34)에 억지끼움되어 그 위치를 고수하면서 상기 고정플에이트(61)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e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코어(211)가 상기 상부금형(2)과 동일하게 이동운동할 때, 상기 경사코어(213)의 이동을 방지하여 상기 주코어(211)의 안내공(212)에서 상기 경사코어(213)가 상기 보호커버(C)를 지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딩되면서 노출되어 상기 주코어(211)에서 상기 보호커버(C)를 분리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코어(31)와 보호커버(C)를 분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코어(213)가 보호커버(C)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2)이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안내공간상에서 상기 가압플레이트(62)가 이동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상부금형(2)이 상기 가압플레이트(62)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가압링크(63)가 상기 압착공(34)에서 분리되면서, 상부금형(2)과 하부금형(3)이 완전히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금형(2)과 하부금형(3)이 완전 분리되면, 상기 경사코어(213)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보호커버(C)가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위치를 확보하게 되고, 로봇팔 등과 같은 별도의 미 도시된 자동배출장치를 통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하면 된다.
이와 같은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보호커버를 지속적으로 사출성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1)는, 상기 성형공간에서 보호커버(C)의 사출성형이 완료되어 상기 상부금형(2)이 상기 하부금형(3)에 대하여 이격되는 중에, 상기 가압플레이트(62)에 의해 가압되어 그 위치를 고수하는 상기 고정플레이트(61)와 고정핀(611)으로 연결된 상기 경사코어(213)가 상기 주코어(211)에서 취출되면서 상기 보호커버(C)를 지지하여 상기 상부금형(2)과 하부금형(3)의 이격된 사이공간 상으로 용이하게 취출하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사출성형장치 11 : 가이드봉
2 : 상부금형 21 : 상부코어
211 : 주코어 212 : 안내공
213 : 경사코어 3 : 하부금형
31 : 하부코어 32 : 안내링크
33 : 보조안내링크 34 : 압착공
35 : 가압봉 4 : 중간금형
41 : 중간코어 5 : 투입수단
6 : 경사코어가동수단 61 : 고정플레이트
611 : 고정핀 62 : 가압플레이트
63 : 가압링크 64 : 지지링크
C : 보호커버

Claims (3)

  1.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가 사출성형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코어와 하부코어 및 상기 상부코어와 하부코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코어들을 가지며, 상기 상부코어를 고정하며 상기 성형공간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된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코어를 고정하며 상기 성형공간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된 하부금형 및 상기 중간코어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성형공간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된 중간금형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코어는,
    주코어와, 상기 주코어에 형성된 안내공에 수용되어 이동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며 보호커버의 모리서부위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안내공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된 경사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금형의 이동시 상기 경사코어를 고정하는 고정핀이 구비된 고정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주코어에서 상기 경사코어를 취출하도록 된 경사코어가동수단이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공과 상기 경사코어는,
    상기 주코어가 상기 성형공간에 대하여 이격되는 중에 상기 경사코어가 상기 보호커버에 대해 외측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끼움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
  2.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가 사출성형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코어와 하부코어 및 상기 상부코어와 하부코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코어들을 가지며, 상기 상부코어를 고정하며 상기 성형공간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된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코어를 고정하며 상기 성형공간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된 하부금형 및 상기 중간코어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성형공간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도록 된 중간금형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코어는,
    주코어와, 상기 주코어에 형성된 안내공에 수용되어 이동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며 보호커버의 모리서부위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안내공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된 경사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금형의 이동시 상기 경사코어를 고정하는 고정핀이 구비된 고정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주코어에서 상기 경사코어를 취출하도록 된 경사코어가동수단이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코어가동수단은,
    상기 상부금형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상기 성형공간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간범위를 가지는 안내공간과;
    상기 안내공간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상기 성형공간으로 가압하도록 대면하게 배치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금형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금형에 형성된 압착공에 억지끼움결합하도록 된 가압링크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금형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금형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금형측방향으로 가압탄성력을 가지는 가압봉에 대면하여 지지되도록 된 지지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
  3. 삭제
KR1020150137548A 2015-09-30 2015-09-30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 KR101577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548A KR101577436B1 (ko) 2015-09-30 2015-09-30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548A KR101577436B1 (ko) 2015-09-30 2015-09-30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436B1 true KR101577436B1 (ko) 2015-12-14

Family

ID=5502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548A KR101577436B1 (ko) 2015-09-30 2015-09-30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4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4074A (zh) * 2019-03-23 2019-05-21 内蒙古科技大学 一种带有斜销侧抽芯机构的茶杯盖注塑模具
KR102131146B1 (ko) 2019-06-14 2020-07-07 제이씨텍(주) 중심 코어 이동형 사출금형 장치
KR20200143147A (ko) 2019-06-14 2020-12-23 제이씨텍(주) 중심 코어 고정형 사출금형 장치
WO2021141277A1 (ko) * 2020-01-09 2021-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용 다이아프램의 제조방법 및 사출금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5367A (ja) 2000-02-16 2001-08-21 Nissan Motor Co Ltd 射出成形装置
JP2007307846A (ja) 2006-05-22 2007-11-29 Sony Corp 筐体およびその成型方法、ならびに、金型
KR100897265B1 (ko) * 2007-11-28 2009-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5367A (ja) 2000-02-16 2001-08-21 Nissan Motor Co Ltd 射出成形装置
JP2007307846A (ja) 2006-05-22 2007-11-29 Sony Corp 筐体およびその成型方法、ならびに、金型
KR100897265B1 (ko) * 2007-11-28 2009-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4074A (zh) * 2019-03-23 2019-05-21 内蒙古科技大学 一种带有斜销侧抽芯机构的茶杯盖注塑模具
KR102131146B1 (ko) 2019-06-14 2020-07-07 제이씨텍(주) 중심 코어 이동형 사출금형 장치
KR20200143147A (ko) 2019-06-14 2020-12-23 제이씨텍(주) 중심 코어 고정형 사출금형 장치
WO2021141277A1 (ko) * 2020-01-09 2021-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용 다이아프램의 제조방법 및 사출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436B1 (ko) 휴대용 단말기 보호커버의 사출성형장치
US8142185B1 (en) Injection mold forming a product having a barbed structure
CN201333772Y (zh) 小型侧抽芯机构
CN105072225A (zh) 一种卡托及手机
CN105619713B (zh) 液态硅胶模内射出成型模具
KR101020957B1 (ko) 금형장치
US20130004608A1 (en) Injecting molding machine for metal component
US20130002105A1 (en) Bezel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CN105328874A (zh) 无需二次开模的注塑模具
CN108099124A (zh) 一种新型内缩抽芯模具
CN106426813B (zh) 一种带抽芯机构的注塑模具
CN108058342A (zh) 一种注塑机脱模机
CN212795751U (zh) 一种小型滑块斜向抽芯模具
CN210477678U (zh) 一种模具脱模结构
CN103660150A (zh) 一种滑块里进潜入胶口模具
CN107901360B (zh) 一种具有延时功能的自动顶出装置及具有其的模具
KR101813677B1 (ko) 사출 성형 장치
CN110549544B (zh) 模具内的碳纤板定位结构
CN220095401U (zh) 一种先抽针斜顶结构及其注塑成型模具
KR20170017246A (ko) 박육 제품용 사출금형장치
CN219820486U (zh) 一种塑料按键注塑模具
CN206926193U (zh) 注塑模具的内抽行位机构
KR102087617B1 (ko) 금형조립체
CN219838148U (zh) 一种具有水口去除功能的手机壳注塑模具
CN110370565B (zh) 一种混合斜抽机构以及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