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501B1 - Psd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Psd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501B1
KR100896501B1 KR1020070060338A KR20070060338A KR100896501B1 KR 100896501 B1 KR100896501 B1 KR 100896501B1 KR 1020070060338 A KR1020070060338 A KR 1020070060338A KR 20070060338 A KR20070060338 A KR 20070060338A KR 100896501 B1 KR100896501 B1 KR 100896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d
information
control unit
signal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865A (ko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터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터기술
Priority to KR1020070060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501B1/ko
Publication of KR2008011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SD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동차에 마련된 차상 안테나가 상면에 위치한 경우에 활성화되어 역 종합 정보를 송신하는 발리스 태그와, 상기 발리스 태그로부터 역 종합 정보를 수신하여 PSD 개방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차상 PSD 제어부와, 상기 발리스 태그를 통해 상기 차상 PSD 제어부가 송신한 PSD 개방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지상 PSD 제어부와, 상기 지상 PSD 제어부가 수신한 PSD 개방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개별 PSD를 제어하여 PSD를 개방시키는 지상 PSD 종합 제어부를 포함하여 승객의 안전과 신속한 운행시간을 도모한다.
PSD, 전동차, 안전

Description

PSD 제어 시스템 {A system for controlling PSD}
도 1은 본 발명의 PSD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발리스 태그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제 1 인터페이스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의 전력 생성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도 2의 필터부의 주파수에 따른 필터링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의 신호 복조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7은 도 2의 신호 변조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상 PSD 제어부 110 : 차상 안테나
120 : 발리스 태그 130 : 지상 PSD 제어부
140 : PSD 종합 제어부 200 : 제 1 인터페이스부
210 : 전력 생성부 220 : 신호 복조부
230 : 제 2 인터페이스부 240 : 로직 제어부
250 : 시스템 클럭 발생부 260 : 메모리
270 : 신호 변조부
본 발명은 PSD(Platform Screen Door)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차와 지상 장치간의 고속통신으로 전송제어를 함으로서, 외부전파의 혼신 또는 간섭으로 인한 오동작이 발생하여 열차의 운행시각의 지연과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미흡한 부분을 해소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에는 전동차가 정차하는 역사에 승객의 안전 등을 위하여 PSD가 많이 설치되어 있고, 그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동차 내에 PSD의 제어에 관련되는 장치와 지상의 PSD 제어에 관련된 장치 간의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져야 고객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일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주파수들의 외부전파에 의하여, 전동차 내에 PSD의 제어에 관련된 장치와 지상의 PSD 제어에 관련된 장치 간의 통신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간섭 및 혼선의 영향은 고객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이는 전동차 내에 PSD의 제어에 관련된 장치와 지상의 PSD 제어에 관련된 장치 간의 통신이 사용주파수 범위에 있는 무선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더 심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혼신 또는 주파수 간섭으로 인하여 전동차 내의 PSD 제어부와 지상의 PSD 제어부 간의 제어 데이터가 불안정하거나 통신 불능상태에 빠져 정해진 시간안에 출입문 제어가 되지 않는 문제점을 제거하는 PSD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문제로 인하여 승객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안전에 문제가 발생한 소지가 많으며 또한 열차의 운행시간 지연으로 인하여 노선 전체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제거하는 PSD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PSD 제어 시스템은 전동차에 마련된 차상 안테나가 상면에 위치한 경우에 활성화되어 역 종합 정보를 송신하는 발리스 태그와, 상기 발리스 태그로부터 역 종합 정보를 수신하여 PSD 개방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차상 PSD 제어부와, 상기 발리스 태그를 통해 상기 차상 PSD 제어부가 송신한 PSD 개방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지상 PSD 제어부와, 상기 지상 PSD 제어부가 수신한 PSD 개방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개별 PSD를 제어하여 PSD를 개방시키는 지상 PSD 종합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PSD 제어 시스템은 개별 PSD의 개방 제어가 완료된 시점에 모든 PSD가 안전하게 열려있는지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PSD 종합 제어부와, 상기 PSD 종합 제어부가 송신한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송신하는 지상 PSD 제어부와, 상기 지상 PSD 제어부가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으로 송신하는 발리스 태그와, 상기 발리스 태그가 송신한 신호를 차상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모든 PSD가 안전하여 열려있는지의 상태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차상 PSD 제어부를 포함한 다.
본 발명의 PSD 제어 시스템은 PSD 폐쇄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차상 PSD 제어부와, 전동차에 마련된 차상 안테나를 통해 상기 차상 PSD 제어부가 송신한 PSD 폐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발리스 태그와, 상기 발리스 태그를 통해 상기 차상 PSD 제어부가 송신한 PSD 폐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지상 PSD 제어부와, 상기 지상 PSD 제어부가 수신한 PSD 개방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개별 PSD를 제어하여 PSD를 폐쇄시키는 지상 PSD 종합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PSD 제어 시스템은 개별 PSD의 폐쇄 제어가 완료된 시점에 모든 PSD가 안전하게 닫혀있는지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송신하는 PSD 종합 제어부와, 상기 PSD 종합 제어부가 송신한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송신하는 지상 PSD 제어부와, 상기 지상 PSD 제어부가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으로 송신하는 발리스 태그와, 상기 발리스 태그가 송신한 신호를 차상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모든 PSD가 안전하여 닫혀있는지의 상태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차상 PSD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발리스 태그는 차상 안테나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와, 지상 PSD 제어부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제 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 또는 제 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상기 발리스 태그가 사용할 수 있는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력 생성부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가 수신한 신호를 복조하는 신호 복조부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로 직 제어부와, 상기 로직 제어부가 동작하기 위한 동작 클럭을 제공하는 시스템 클럭 발생부와, 제 1 모드로 동작시 상기 차상 안테나에 전송해야 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를 변조하는 신호 변조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PSD 제어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PSD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PSD 제어 시스템은 차상 PSD 제어부(100), 차상 안테나(110), 발리스 태그(120), 지상 PSD 제어부(130), PSD 종합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차상 PSD 제어부(100)는 전동차가 플랫폼에 정차하면 열차가 플랫폼에 설치되어 있는 PSD의 위치와 오차범위 이내의 위치에 정착했는지 판단한다. 차상 PSD 제어부(100)는 상기 차상 안테나(1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그 전동차의 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차상 PSD 제어부(100)는 전동차가 PSD의 위치와 오차범위 이내의 위치에 정착한 경우에, 전동차가 정위치 정차를 하였다는 정보 및 PSD를 개방하라는 제어정보 등을 송신한다. 다만, 차상 PSD 제어부(100)가 PSD를 개방하라는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경우는 차상 PSD 제어부(100)가 차상 안테나(110)를 통해 현재 전동차가 정차한 역에 PSD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한한다.
차상 PSD 제어부(100)는 전동차가 PSD의 위치와 오차범위 이내의 위치에 정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차상의 운전자에게 위치에 관한 오류 정보가 통지되도록 제어한다.
차상 안테나(110)는 항시 텔레-파워링(tele-powering)을 지상으로 방사하고 있어, 전동차가 지상에 존재하는 발리스 태그(120)의 위에 위치하는 시점에 지상 안테나의 로직 회로가 활성화되어 지상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정보는 역종합 정보로 역정보, 위치정보, 출입문 방향 및 역에 PSD가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차상 안테나(110)는 상기 차상 PSD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받은 전동차가 정위치에 정차를 하였다는 정보 및 PSD를 개방하라는 제어정보를 송신한다.
발리스 태그(120)는 전동차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차상 안테나(110)가 위에 위치하는 시점에 활성화되어 상기 지상 PSD 제어부(13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차상 안테나(110)로, 상기 차상 안테나(11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지상 PSD 제어부(130)로 송신한다. 발리스 태그(120)가 차상 안테나(11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지상 PSD 제어부(130)로 송신하는 데 있어서, 직렬 고속통신을 이용한다. 발리스 태그(120)의 로직이 활성화되어 신호들이 송·수신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지상 PSD 제어부(130)는 상기 발리스 태그(120)로부터 수신한, 전동차가 정위치에 정차를 하였다는 정보 및 PSD를 개방하라는 제어정보 등을 PSD 종합 제어부(140)로 송신한다. 또한, 지상 PSD 제어부(130)는 상기 PSD 종합 제어부(140)로 송신한 정보에 대한 응답정보 등을 수신한다. 즉, 지상 PSD 제어부(130)는 PSD를 개방하라는 제어정보에 대하여 PSD 종합 제어부(140)로부터 모든 PSD가 안전하게 개방되었는지에 대한 응답정보를 수신한다.
PSD 종합 제어부(140)는 지상 PSD 제어부(130)로부터 전동차가 정위치에 정차를 하였다는 정보와 PSD를 개방하라는 제어정보를 입력받은 경우에 플랫폼에 설치되어 있는 개별 PSD를 제어하여 PSD를 개방한다. PSD 종합 제어부(140)는 각각의 개별 PSD의 제어가 완료한 시점에 모든 PSD가 안전하게 열려있는지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지상 PSD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상기 지상 PSD 제어부(130)로 전송한 PSD가 안전하게 열려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발리스 태그(120)에서 특정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주파수로 변조되어 차상 안테나(110)로 전송되고, 종국적으로 차상 PSD 제어부(100)의 부속장치의 모니터 화면에 상태가 표시된다.
모든 PSD가 개방이 된 이후에 차상 PSD 제어부(100)는 PSD 폐쇄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PSD 폐쇄신호는 상기의 PSD 개방신호가 차상 PSD 제어부(100)로부터 PSD 종합 제어부(140)로 송신되는 과정과 유사하게, 차상 안테나(110), 발리스 태그(120) 및 지상 PSD 제어부(130)를 통해 PSD 종합 제어부(140)로 송신된다.
PSD 종합 제어부(140)는 PSD 폐쇄신호를 수신하여 플랫폼에 설치되어 있는 개별 PSD를 제어하여 PSD를 폐쇄한다. PSD 종합 제어부(140)는 각각의 개별 PSD의 제어가 완료한 시점에 모든 PSD가 안전하게 폐쇄되었는지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지상 PSD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상기 지상 PSD 제어부(130)로 전송한 PSD가 안전하게 열려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발리스 태그(120)에서 특정 대역을 사용하는 무 선 주파수로 변조되어 차상 안테나(110)로 전송된다. 차상 PSD 제어장치는 차상 안테나(110)로부터 PSD 폐쇄에 대한 응답신호를 입력받아 단 하나의 PSD라도 닫힘 제어가 완료되지 않으면 전동차를 출발하지 않도록 인터록(interlock) 제어를 행한다.
이하에서는 발리스 태그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발리스 태그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리스 태그(120)는 제 1 인터페이스부(200), 전력 생성부(210), 신호 복조부(220), 제 2 인터페이스부(230), 로직 제어부(240), 시스템 클럭 발생부(250), 메모리(260) 및 신호 변조부(270)를 포함한다.
제 1 인터페이스부(200)는 발리스 태그와 차상 안테나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즉, 제 1 인터페이스부(200)는 차상 안테나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고, 발리스 태그가 지상 PSD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전송한다. 제 1 인터페이스부(200)는 무선으로 신호의 수신과 전송이라는 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로 구성된다. 제 1 인터페이스부(200)는 두 개의 루프를 하나의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동축 케이블은 내심이 신호 전달의 역할을 하고 내심을 싸고 있는 쉴드(Shield)는 내심의 신호를 외부로부터의 노이즈나 서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차폐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동축케이블의 내심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루프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그러므로 제 1 인터페이스부(200)는 동축케이블의 쉴드를 중간에서 절단하여 이 절단면을 통해 내심의 자속이 외부로 발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 1 인터페이스부(200)는 리키(leaky) 형태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의 제 1 인터페이스부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의 외심(300)인 쉴드를 중간에서 절단하게 되면 내심(310)에서 유기되는 자속은 외부로 발산되는 통로가 생기는 반면 쉴드에는 캐패시턴스가 형성된다. 절단면이 커지면 내심(310)의 자속은 더 많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으나, 캐패시턴스는 그 수치가 더욱 커지므로, 차상 안테나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캐리어주파수에 도달하기 전에 자체 공진이 발생하게 되어 안테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안테나는 내심(310)의 자속을 차상 안테나가 충분히 수신할 수 있고, 차상 안테나가 전송한 신호를 쉴드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8-10mm의 절단면을 안테나의 두 부분에 형성한다. 상기 절단된 개구부분이 캐패시턴스를 형성하기 때문에 부분의 길이를 조정하여 캐패시턴스를 미세 조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 1 인터페이스부는 원하는 주파수에서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절단면의 개수 및 그 길이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안테나가 신호를 최적으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전력 생성부(210)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200)가 수신한 신호를 발리스 태그가 사용할 수 있는 DC 전원으로 변환한다. 도 4는 도 2의 전력 생성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전력 생성부(210)는 매칭부(400), 필터부(410) 및 전파 정류부(420)를 포함한다.
필터부(410)는 제 1 인터페이스부가 수신한 신호에서 높은 주파수의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다만, 상기 필터부(410)는 일반적인 로우 패스 필터와 같이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이득이 감소하는 형태로 설계가 되는 것이 아닌 도 5와 같이, 필터 부(410)는 제 1 인터페이스부가 수신한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에서 최대전력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는 제 1 인터페이스부가 수신한 신호가 약하게 발리스 태그에 전달될 때 발리스 태그가 동작 가능한 충분한 전압을 얻을 수 있기 위해서이다.
전파 정류부(420)는 상기 필터부(410)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전파 정류한다. 즉, 전파 정류부(420)는 상기 필터부(410)에서 필터링된 교류 신호를 전파 정류하여 직류 신호로 변환한다. 전파 정류부(420)는 예를 들면, 다이오드와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항의 양단이 출력단인 구성 또는 다이오드와 캐패시터가 직렬도 연결되어 있고 상기 캐패시터의 양단이 출력단인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을 통해 교류 신호를 전파 정류할 수 있는 구성이면 가능하다.
매칭부(400)는 제 1 인터페이스부와 필터부(410)간의 전력전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임피던스(Impedence) 매칭을 이룬다.
신호 복조부(220)는 차상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특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이를 복조하여 로직 제어부(240)에 전달한다. 도 6은 도 2의 신호 복조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신호 복조부는 피크 검출부(600), 자동 가변 레퍼런스 생성부(610) 및 비교부(620)를 포함한다.
피크 검출부(600)는 상기 전력 생성부가 생성한 신호를 입력받아서 피크치를 검출한다. 피크 검출부(600)는 다이오드와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력 생성부에서 직류로 변환된 신호의 피크치를 검출한다.
자동 가변 레퍼런스 생성부(610)는 상기 피크 검출부(600)가 출력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신호에 비례하는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자동 가변 레퍼런스 생성부(610)는 입력받은 신호의 50%의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특정 크기의 신호가 입력되어도 해당되는 신호에 따라 가변되는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한다. 자동으로 가변되는 레퍼런스 생성부를 사용하는 이유는 100%뿐만 아니라 5%의 낮은 변조도를 갖는 신호를 복조할 수 있기 위함이다. 자동 가변 레퍼런스 생성부(610)는 기 설정되어 있는 비율에 따라서 입력받은 신호의 특정 비율의 신호를 생성한다.
비교부는 상기 피크 검출부(600)가 출력한 신호와 상기 자동 가변 레퍼런스 생성부(610)에서 생성된 신호를 비교한다. 상기의 신호 복조부는 ASK(Amplitude shift Keying) 복조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다만, 신호 복조부의 신호 복조 방식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로직 제어기는 상기 비교부(620)가 출력한 신호를 통해 제 1 인터페이스부가 수신한 신호에 특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정보를 제 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지상 PSD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지상 PSD 제어부로 전송되는 정보는 PSD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라는 정보 등을 포함한다.
로직 제어부(240)는 발리스 태그의 동작을 위한 제어를 한다. 즉, 로직 제어부(240)는 입력되는 전원이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것인지 혹은 지상 PSD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로직 제어부(240)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발리스 태그가 제 1 모드로 동작할지 또는 제 2 모드로 동작할지를 결정한다. 즉, 로직 제어부(240)는 제 1 인터페이스부(20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시스템 클럭 발생부(250)는 상기 로직 제어부(240)가 동작하기 위한 동기클럭을 제공한다. 시스템 클럭은 로직 제어부(240)의 동기클럭으로 사용되므로 안정도가 매우 높고, 소비전력이 낮아야 한다. 따라서 시스템 클럭 발생부(250)는 인버팅 레조내이터를 사용하여 로직 제어부(140)에 클럭을 공급한다.
메모리(260)는 발리스 태그가 제 1 모드로 동작시 차상 안테나로 전송해야 할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정보는 역 종합 정보인 역정보, 위치정보, 출입문 방향, PSD가 설치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260)는 2Kbit의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를 사용한다. 또한, 메모리(260)는 빠른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10MHz의 클럭속도를 갖는다.
제 2 인터페이스부(230)는 발리스 태그와 지상 PSD 제어부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상기 전력 생성부(290)는 제 2 인터페이스부(230)가 지상 PSD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수신하고, 로직 제어기의 구동전원을 생성하여 발리스 태그(120)가 제 2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신호 변조부(270)는 발리스 태그가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로 동작할 때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차상 안테나로 전송하기 위하여 변조한다. 도 7은 도 2의 신호 변조부(270)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350Km/h 이상의 고속이동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특정 정보의 상태변화에 따라 응답속도가 빠른 신호 변조부(270)를 구성함으로서 데이터 전송속도가 546KBPS 이상에서도 사용가능 하도록 하였다.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200)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영역은 주파수 발진기의 리액턴스로 작용한다. 또한, 제 1 인터페이스부(200)의 길이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리액턴스 보상용 코일(L1, L2)가 사용된다. 주파수 발진은 콜피츠 발진기(700)의 원리에 L/C 발진의 원리를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발진이 이루어진다. 또한, 신호 변조부(270)는 스위치(710)의 빠른 스위칭동작에 충분히 응답할 수 있는 빠른 응답시간을 가져야 한다. 4.2Mhz의 높은 캐리어를 사용하여 지상정보 전송장치가 564Kbps의 고속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PSD 제어 시스템은 전동차내의 PSD 제어부와 지상의 PSD 제어부 간의 제어 데이터가 불안정하거나 통신 불능상태에 빠져 정해진 시간안에 출입문 제어가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PSD 제어 시스템은 승객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안전에 문제가 발생한 소지가 많으며 또한 열차의 운행시간 지연으로 인하여 노선전체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개선한다.

Claims (10)

  1. 전동차에 마련된 차상 안테나가 상면에 위치한 경우에 활성화되어 역 종합 정보를 송신하는 발리스 태그와, 상기 발리스 태그로부터 역 종합 정보를 수신하여 PSD 개방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차상 PSD 제어부와, 상기 발리스 태그를 통해 상기 차상 PSD 제어부가 송신한 PSD 개방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지상 PSD 제어부 및 상기 지상 PSD 제어부가 수신한 PSD 개방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개별 PSD를 제어하여 PSD를 개방시키는 지상 PSD 종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PSD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리스 태그는;
    차상 안테나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
    지상 PSD 제어부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제 2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 또는 제 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상기 발리스 태그가 사용할 수 있는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력 생성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가 수신한 신호를 복조하는 신호 복조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로직 제어부;
    상기 로직 제어부가 동작하기 위한 동작 클럭을 제공하는 시스템 클럭 발생부;
    제 1 모드로 동작시 상기 차상 안테나에 전송해야 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를 변조하는 신호 변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SD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로직 제어부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가 수신한 신호에 특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신호를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SD 제어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신호 변조부가 변조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SD 제어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는 역 종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SD 제어 시스템.
KR1020070060338A 2007-06-20 2007-06-20 Psd 제어 시스템 KR100896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338A KR100896501B1 (ko) 2007-06-20 2007-06-20 Psd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338A KR100896501B1 (ko) 2007-06-20 2007-06-20 Psd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865A KR20080111865A (ko) 2008-12-24
KR100896501B1 true KR100896501B1 (ko) 2009-05-08

Family

ID=4036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338A KR100896501B1 (ko) 2007-06-20 2007-06-20 Psd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5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878B1 (ko) * 2021-03-11 2023-05-26 주식회사 우리기술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연동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837Y1 (ko) * 2001-06-25 2001-10-26 썬테크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고장감지장치
KR20020063766A (ko) * 2001-01-30 2002-08-05 김봉택 열차운행 종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86462B1 (ko) * 2006-01-20 2007-02-26 주식회사 로템 플랫폼 스크린 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766A (ko) * 2001-01-30 2002-08-05 김봉택 열차운행 종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47837Y1 (ko) * 2001-06-25 2001-10-26 썬테크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고장감지장치
KR100686462B1 (ko) * 2006-01-20 2007-02-26 주식회사 로템 플랫폼 스크린 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865A (ko)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5037B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ehicles
US8639395B2 (en) Conductive bodies
EP2284763B1 (en) Reader/writer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01366049B (zh) 射频识别设备系统
US5703573A (en) Transmitter-receiver for non-contact IC card system
JP5613278B2 (ja) 車両用ワイヤレス充電システム
KR20170048571A (ko) 정적 및 동적 공진 유도 무선 충전에서 이용하기 위한 근접장 전이중 데이터 링크
US9608698B2 (en) Wireless power and data transmission
US11336332B2 (en) Contactless communication repeater remote power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handle
JPH1025935A (ja) 電気錠システム
EP0665656A2 (en) Inductive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896501B1 (ko) Psd 제어 시스템
EP0576100B1 (en) Interference-resistant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with large detection distance
JP2000071975A (ja) ホームドア制御装置
JP3842142B2 (ja) 車上送受信装置
JP2015006842A (ja) 地上子
JP4053959B2 (ja) 定位置停止制御装置
JP2005104421A (ja) 情報伝送装置
US8159289B2 (en) Chip card having an adjustable demodulation unit
JPH1051352A (ja) 非接触通信システム
WO2024116837A1 (ja) 送電装置、受電装置、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送電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5750419B2 (ja) 無線給電による地上用スポット伝送装置
JP3655393B2 (ja) 車上情報伝送装置
JP2992728B2 (ja) 非接触通信システム
JPH0948348A (ja) 自動列車停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