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653B1 - 변속레버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변속레버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653B1
KR100895653B1 KR1020070096259A KR20070096259A KR100895653B1 KR 100895653 B1 KR100895653 B1 KR 100895653B1 KR 1020070096259 A KR1020070096259 A KR 1020070096259A KR 20070096259 A KR20070096259 A KR 20070096259A KR 100895653 B1 KR100895653 B1 KR 100895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guide roller
cable
button lock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746A (ko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6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6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모드에서 수동변속모드로 전환이 가능한 자동변속기에 적용되어 모드전환시 오작동을 방지하는 변속레버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변속레버(10)를 포함하는 레버노브(15)와, 자동변속모드에서 상기 레버노브(15)와 연동되며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24)을 구비한 레버케이블(20)과, 굴곡진 그루브면(51)을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된 그루브(50)와, 상기 수용공간(24)에 수용되어 상기 그루브면(51)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40)와, 상기 레버케이블(20)을 관통하고 상기 레버노브(15)에 일측이 접촉하며 상기 가이드롤러(40)의 하부와 접촉가능한 버튼록(30)을 포함하며, 수동변속모드에서만 상기 버튼록(30)이 상기 가이드롤러(40)와 접촉하여 상기 버튼록(30)이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고정된 가이드롤러(40)에 의해 상기 그루브(50)에 대한 상기 레버케이블(20)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자동변속기, 변속레버, 그루브, 버튼록.

Description

변속레버 잠금장치{SHIFR LEVER LOCK}
본 발명은 자동변속모드에서 수동변속모드로 전환이 가능한 자동변속기에 적용되어 모드전환시 오작동을 방지하는 변속레버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자동변속기는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일정한 패턴으로 변속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수동변속기를 사용하는 것보다 운전자가 변속을 위해 주의를 분산시키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수동변속기는 운전자의 운전경험에 따라 능동적으로 상황에 대처할 수 있고, 조작감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자동변속기에 이러한 수동변속기의 장점을 접목시킨 여러가지 기술들이 발전되었다.
이러한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의 주행모드인 'D'에서 수동변속이 가능한 변속모드 또는 스포츠모드로 전환시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변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자동변속모드는 변속레버가 상하 직선으로 움직인다. 수동변속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정거리를 측면으로 이동하여야 하고, 수동변속은 다시 변속레버를 직선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변속레버는 하부에 레버노브가 구비되어 있으며, 레버노브에 연동되어 변속레버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레버케이블(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레버케이블은 자동변속에서만 레버노브에 연동되어야 한다. 이는 자동변속을 위한 변속레버의 움직임 만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속레버가 수동변속중에 상하 직선운동을 하기 때문에, 이에 연동되는 레버케이블이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 차체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변속레버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에 따라 안정성과 신뢰성 있는 변속레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자동변속모드에서 수동변속모드로 전환이 가능한 자동변속기에 적 용되어 모드전환시 오작동을 방지하는 변속레버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변속레버(10)를 포함하는 레버노브(15)와, 자동변속모드에서 상기 레버노브(15)와 연동되며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24)을 구비한 레버케이블(20)과, 굴곡진 그루브면(51)을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된 그루브(50)와, 상기 수용공간(24)에 수용되어 상기 그루브면(51)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40)와, 상기 레버케이블(20)을 관통하고 상기 레버노브(15)에 일측이 접촉하며 상기 가이드롤러(40)의 하부와 접촉가능한 버튼록(30)을 포함하며,
수동변속모드에서만 상기 버튼록(30)이 상기 가이드롤러(40)와 접촉하여 상기 버튼록(30)이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고정된 가이드롤러(40)에 의해 상기 그루브(50)에 대한 상기 레버케이블(20)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롤러(40)는, 몸체(41)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롤러(42)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와 레버케이블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탄성체(4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버튼록(30)은,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34)와, 상기 레버케이블을 관통하여 상기 버튼록을 상기 레버케이블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며 양측에서 돌출된 결합팔들(31)과, 상기 결합팔들의 사이(32)에 수용되어 상기 버튼록과 레버케이블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탄성체(3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변속모드에서는 상기 레버노브(15)와 상기 레버케이블(20)이 밀착하여, 상기 레버노브(15)에 의해 상기 버튼록(30)이 상기 레버케이블(20)측으로 밀착하게 되고, 상기 오목부(34)에 상기 가이드롤러의 몸체(41)가 위치하여 가이드롤러(4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그루브(50)에 대한 상기 레버케이블(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모드에서는 상기 레버노브(15)와 상기 레버케이블(20)이 이격되어 위치하여, 상기 제2 탄성체(3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버튼록(30)이 상기 레버케이블(20)로부터 레버노브(15)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버튼록(30)의 상부면 예를 들어 걸림팔의 상부면이 상기 가이드롤러의 몸체(41)의 하부에 접촉하여 가이드롤러(40)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상기 그루브(50)에 대한 상기 레버케이블(30)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수동변속모드에서는 버튼록의 상부면이 가이드레일의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가이드롤러의 상하운동이 방지되고, 그루브면에 대한 레버케이블의 운동도 방지되는 효과를 가진다. 그에 따라 오작동에 의한 운전자의 의도하지 않은 레버케이블의 움직임이 방지되어 안정성과 신뢰성 있는 자동변속기 조립체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자동차 변속레버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도 2는 레버케이블과 버튼록 의 분해 사시도를, 도 3은 레버케이블과 버튼록의 결합 사시도를, 도 4는 레버케이블과 가이드롤러의 결합 측면도를, 도 5는 레버노브가 레버케이블에 밀착되었을 때의 가이드롤러와 버튼록의 결합 배치도를, 도 6은 레버노브가 레버케이블에 밀착되었을 때의 가이드롤러와 버튼록의 분해 배치도를, 도 7은 레버노브가 레버케이블에 이격되었을 때의 가이드롤러와 버튼록의 결합 배치도를, 도 8은 레버노브가 레버케이블에 이격되었을 때의 가이드롤러와 버튼록의 분해 배치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변속레버 잠금장치는 레버노브(15)와 레버케이블(20)과 그루브(50)와 가이드롤러(40)와 버튼록(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버노브(15)는 상부에 변속레버(10)와 연결되어 일체로 작동된다. 도 5와 도 7에 도시되듯이 하부에 있는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부에 있는 변속레버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레버케이블(20)은 레버노브에 연동되어 변속레버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다만, 자동변속모드에서만 상기 레버노브(15)와 연동된다. 또한 하부의 회전축(21)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하다.
상기 레버케이블(20)은 도 4에 도시되듯이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2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용공간에는 후술할 가이드롤러(40)가 수용된다. 한편 상기 레버케이블에는 두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할 버튼록(30)의 결합팔에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그루브(50)는 차체에 고정된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되듯이 굴곡진 그루브면(5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그루브면(51)은 톱니형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롤러(40)가 접촉하여 절도감을 생성한다.
상기 가이드롤러(40)는 상기 수용공간(24)에 수용되어 상기 그루브면(51)과 접촉하는 구성이다. 도 4에 도시되듯이 상기 가이드롤러(40)는 몸체(41)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롤러(42)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와 레버케이블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탄성체(4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41)는 박스형의 구성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탄성체가 수용되어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롤러(42)가 결합되는데,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롤러(42)는 상기 그루브면(51)과 결합하게 된다. 상기 레버케이블이 회동을 하게 되면, 상기 롤러를 포함한 몸체(41)는 상기 그루브면(51)의 굴곡진 부분을 지나면서 상기 제1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진동을 하게 된다.
상기 버튼록(3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케이블(20)을 관통하고 상기 레버노브(15)에 일측이 접촉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40)의 하부와 접촉가능하다.
상기 버튼록(30)은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34)와, 상기 레버케이블을 관통하여 상기 버튼록을 상기 레버케이블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며 양측에서 돌출된 결합팔들(31)과, 상기 결합팔들의 사이(32)에 수용되어 상기 버튼록과 레버케이블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탄성체(3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팔들(31)은 상기 버튼록의 양측에서 레버케이블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단부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상기 결합팔들이 상기 레버케이블의 관통공으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걸림턱이 양측에서 상기 레버케이블에 걸리게 되며, 다시 걸합팔을 레버케이블로부터 이탈시키려고 해도 걸림턱이 양측에서 상기 레버케이블에 걸리게 되어, 레버케이블로부터 버튼록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 탄성체는 도 2와 같이 상기 결합팔들의 사이(32)에 수용되어 상기 버튼록과 레버케이블 사이에 위치하는데, 상기 결합팔의 걸림턱이 레버케이블에 걸려 있기 때문에 제2 탄성체는 레버케이블과 버튼록에 의해 막히게 되어 완전히 이탈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수동변속모드에서만 상기 버튼록(30)이 상기 가이드롤러(40)와 접촉하여 상기 버튼록(30)이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고정된 가이드롤러(40)에 의해 상기 그루브(50)에 대한 상기 레버케이블(20)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면을 참고하여 각 상황별로 설명한다.
자동변속모드에서는 상기 레버노브(15)와 상기 레버케이블(20)이 밀착하여, 상기 레버노브(15)에 의해 상기 버튼록(30)이 상기 레버케이블(20)측으로 밀착하게 되고, 상기 오목부(34)에 상기 가이드롤러의 몸체(41)가 위치하여 가이드롤러(4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그루브(50)에 대한 상기 레버케이블(2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자동변속모드에서는 전술하였듯이 레버노브와 레버케이블이 같이 움직이게 된다. 그에 따라 레버노브와 레버케이블은 도 5와 같이 밀착되어 같이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레버노브에 일측을 접하고 있는 버튼록은 레버케이블측으로 밀리게 되어, 도 5와 같이 결합팔들이 레버케이블로부터 관통하여 많이 나오도록 위치된다.
이때 제2 탄성체는 최대한으로 압축되어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상기 버튼록에서 오목부(34)가 가이드롤러의 몸체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롤러는 자유롭게 상하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가이드롤러가 자유롭게 상하운동이 가능하면 그루브면에 대한 레버케이블의 운동도 가능해 진다.
한편 수동변속모드에서는 상기 레버노브(15)와 상기 레버케이블(20)이 이격되어 위치하여, 상기 제2 탄성체(3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버튼록(30)이 상기 레버케이블(20)로부터 레버노브(15)측으로 이동되고, 버튼록(30)의 상부면 예를 들어, 결합팔(31)의 상부면이 상기 가이드롤러의 몸체(41)의 하부에 접촉하여 가이드롤러(40)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상기 그루브(50)에 대한 상기 레버케이블(30)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되듯이 수동변속모드에서는 레버노브와 레버케이블을 별개로 작동된다. 즉, 레버노브가 레버케이블에 대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레버노브에 접하고 있는 버튼록은 제2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노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결합팔의 걸림턱이 레버케이블에 걸리기 때문에 이탈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2 탄성체는 압축이 풀리게 되며, 도 8과 같이 버튼록의 상부면이 가이드레일의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롤러가 상하운동을 하려면 버튼록의 상부면에 걸려서 운동이 방지된다. 그에 따라 가이드롤러의 롤러(42)는 그루브면(51)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 고정되어 이웃한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가이드롤러가 상하운동이 방지되면 그루브면에 대한 레버케이블의 운동도 방지된다. 그에 따라 운전자의 의도하지 않은 레버케이블의 움직임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상기 변속레버를 자동변속모드로 변속하게 되면, 레버노브와 레버케이블이 밀착하게 되어, 버튼록이 레버케이블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다시 가이드롤러가 자유롭게 상하운동함에 의해 해제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자동차 변속레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레버케이블과 버튼록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레버케이블과 버튼록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레버케이블과 가이드롤러의 결합 측면도.
도 5는 레버노브가 레버케이블에 밀착되었을 때의 가이드롤러와 버튼록의 결합 배치도.
도 6은 레버노브가 레버케이블에 밀착되었을 때의 가이드롤러와 버튼록의 분해 배치도.
도 7은 레버노브가 레버케이블에 이격되었을 때의 가이드롤러와 버튼록의 결합 배치도.
도 8은 레버노브가 레버케이블에 이격되었을 때의 가이드롤러와 버튼록의 분해 배치도.

Claims (5)

  1. 자동변속모드에서 수동변속모드로 전환이 가능한 자동변속기에 적용되어 모드전환시 오작동을 방지하는 변속레버 잠금장치에 있어서,
    변속레버를 포함하는 레버노브와,
    자동변속모드에서 상기 레버노브와 연동되며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레버케이블과,
    굴곡진 그루브면을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된 그루브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그루브면과 접촉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레버케이블을 관통하고 상기 레버노브에 일측이 접촉하며 상기 가이드롤러의 하부와 접촉가능한 버튼록을 포함하며,
    수동변속모드에서만 상기 버튼록이 상기 가이드롤러와 접촉하여 상기 버튼록이 상기 가이드롤러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고정된 가이드롤러에 의해 상기 그루브에 대한 상기 레버케이블의 움직임이 방지되는,
    변속레버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롤러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와 레버케이블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하는,
    변속레버 잠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버튼록은,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레버케이블을 관통하여 상기 버튼록을 상기 레버케이블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며 양측에서 돌출된 결합팔들과,
    상기 결합팔들의 사이에 수용되어 상기 버튼록과 레버케이블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변속레버 잠금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자동변속모드에서는 상기 레버노브와 상기 레버케이블이 밀착하여,
    상기 레버노브에 의해 상기 버튼록이 상기 레버케이블측으로 밀착하게 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가이드롤러의 몸체가 위치하여 가이드롤러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그루브에 대한 상기 레버케이블의 이동이 가능한,
    변속레버 잠금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수동변속모드에서는 상기 레버노브와 상기 레버케이블이 이격되어 위치하여,
    상기 제2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버튼록이 상기 레버케이블로부터 레버노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롤러의 몸체의 하부가 상기 버튼록의 상부면에 접촉하여 가이드롤러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상기 그루브에 대한 상기 레버케이블의 이동이 방지되는,
    변속레버 잠금장치.
KR1020070096259A 2007-09-21 2007-09-21 변속레버 잠금장치 KR100895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259A KR100895653B1 (ko) 2007-09-21 2007-09-21 변속레버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259A KR100895653B1 (ko) 2007-09-21 2007-09-21 변속레버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746A KR20090030746A (ko) 2009-03-25
KR100895653B1 true KR100895653B1 (ko) 2009-05-07

Family

ID=40696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259A KR100895653B1 (ko) 2007-09-21 2007-09-21 변속레버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6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099A (ko) * 1998-12-11 2000-07-05 정몽규 자동 변속레버의 시프트 록장치
JP2001191811A (ja) 1999-12-28 2001-07-17 Hyundai Motor Co Ltd デュアルモード変速レバーユニットのケーブルブロックロッキング装置
KR200393194Y1 (ko) 2005-05-24 2005-08-18 권주홍 태양전지를 이용한 일체형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099A (ko) * 1998-12-11 2000-07-05 정몽규 자동 변속레버의 시프트 록장치
JP2001191811A (ja) 1999-12-28 2001-07-17 Hyundai Motor Co Ltd デュアルモード変速レバーユニットのケーブルブロックロッキング装置
KR200393194Y1 (ko) 2005-05-24 2005-08-18 권주홍 태양전지를 이용한 일체형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746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520B1 (ko) 자동변속기 셀렉터 레버 쉬프트 록 장치
KR100285496B1 (ko) 자동변속기 셀렉터 레버 쉬프트 록 장치
US7992463B2 (en) Shifter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5319676B2 (ja) シフトキャリッジロック機構を備えた操作装置
US20030098218A1 (en) Shift lock device
US20120048050A1 (en) Shift lever device
US7291798B2 (en) Switch device
KR100320811B1 (ko) 시프트 로크 장치
JP2007069902A (ja) シフトロック組立体
JP4004855B2 (ja) 自動変速機操作装置のシフトロック機構
JP6267494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462114B1 (ko)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895653B1 (ko) 변속레버 잠금장치
US7444899B2 (en) Shift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vehicle
KR100892484B1 (ko) 변속기의 시프트 록 해제 장치
US20210102624A1 (en) Shifter mechanism with manual shift function
JP5232727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3984309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構造
KR100786541B1 (ko) 휠 레버형 차량용 테일 게이트 래치
KR20090058872A (ko) 자동차의 턴 시그널 스위치용 브라켓
US10871220B2 (en) Shifter mechanism with manual shift function
KR100931131B1 (ko) 게이트형 변속레버의 키 인터록장치
EP0823571A2 (en) Steering column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JP2023017406A (ja) 車両用操作装置
KR100490344B1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