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175B1 -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175B1
KR100894175B1 KR1020080058203A KR20080058203A KR100894175B1 KR 100894175 B1 KR100894175 B1 KR 100894175B1 KR 1020080058203 A KR1020080058203 A KR 1020080058203A KR 20080058203 A KR20080058203 A KR 20080058203A KR 100894175 B1 KR100894175 B1 KR 100894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rying
drying plate
moist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낙운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세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세원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세원산업
Priority to KR1020080058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175B1/ko
Priority to PCT/KR2009/003278 priority patent/WO2009154416A2/ko
Priority to JP2011514499A priority patent/JP2011524806A/ja
Priority to CN2009801324255A priority patent/CN102123957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01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the material moving down superimposed floors
    • F26B17/003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the material moving down superimposed floors with fixed floors provided with scr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0Energy recov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러지를 투입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슬러지를 외부로부터 본체 내부로 인입시키도록 본체 상부에 형성된 인풋과; 상기 인풋을 통하여 투입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슬러지를 체류시키면서 건조하기 위해 수직으로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건조판과; 상기 본체의 중심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중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판에 공급된 슬러지를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점차로 이동시키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이동구가 설치되며, 상기 각 건조판 상에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 스크래퍼와; 상기 이동구에 의해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이동된 슬러지를 하단으로 낙하시키기 위하여 상기 다단으로 설치되는 상하 건조판에 교대로 그 중앙부와 외연부에 각각 형성되는 낙하홈과; 열원으로부터 열풍관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각 건조판에 열을 공급하도록 각 건조판의 하단에 설치되는 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슬러지, 건조, 체류, 수분제거, 수취기

Description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LONG TERM SLUG DRYING MACHINE USING ONE AXIS}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러지의 체류 시간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초기 수분 제거 효율을 증대시킨 체류시간 증대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러지 건조장치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 슬러지의 흐름이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는 것으로 하나의 스크류 컨베이어를 통과하는 동안 건조과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받아 다시 반대편 방향으로 슬러지를 이송시켜 가면서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과정을 수차례 내지는 수십차례 이상 반복함으로써 슬러지를 건조시켜 가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의 가장 큰 특징은 수평이동과 하강 이동과정이 지속하여 반복적으로 진행된다는 것에 있고, 상기 슬러지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열풍을 공급할 경우에는 결국 다층으로 설치되어 있는 모든 스크류 컨베이어 전체에 각각 별도의 열풍 공급구를 형성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이러한 단점은 전열을 사용하거나 스팀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 하게 작용하여 각 측면으로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모든 스크류 컨베이어에 별도의 열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별도로 설치되도록 모든 설비가 각각의 스크류 컨베이어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치방법의 단점은 기본적으로 열을 회수하는 과정에 있어서 나타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스크류 컨베이어에 열을 공급하고 다시 열을 회수하는 과정에 일정부분 열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서, 각각의 스크류 컨베이어로부터 열을 사용한 이후에 다시 회수하여 가열하여 공급하기 위한 중간 과정에 열이 손실되는 문제가 있고, 전열을 이용하여 직접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를 가열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한번 가열된 열로 인하여 가열된 공기 및 증기가 함유하고 있는 열을 회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중앙 집중형으로 하여 한번 가열된 열을 다단계를 거쳐서 사용하고 종단에 슬러지 건조를 위해 사용한 열을 다시 회수할 때도 하나의 라인을 통해서 곧바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면 잔열 회수에 있어서 더욱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중앙집중형태의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안함에 있어 하나의 축상에 다단계로 슬러지를 건조시켜 가는 과정에 하나의 열원을 사용함에 있어 바람직하게는 열풍기의 고열로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고온의 열이 대기중의 공기보다 가벼워 위로 상승하는 특성과 고온 고압의 열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발생 되는 열을 지속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공급함으로써 슬러지를 원하는 바까지 건조시킬 수 있을 정도의 다단으로 설치된 판과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건조단계를 거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더불어 슬러지가 건조판에 체류하는 시간을 길게 늘려서 슬러지의 건조 효율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최초 수분을 제거하는 특징 또한 변화시키는데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하겠다.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러지의 체류 시간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초기 수분 제거 효율을 증대시킨 체류시간 증대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활 및 산업 폐기물의 하나인 슬러지의 건조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는 슬러지를 투입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슬러지를 외부로부터 본체 내부로 인입시키도록 본체 상부에 형성된 인풋과; 상기 인풋을 통하여 투입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슬러지를 체류시키면서 건조하기 위해 수직으로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건조판과; 상기 본체의 중심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중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판에 공급된 슬러지를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점차로 이동시키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이동구가 설치되며, 상기 각 건조판 상에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 스크래퍼와; 상기 이동구에 의해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이동된 슬러지를 하단으로 낙하시키기 위하여 상기 다단으로 설치되는 상하 건조판에 교대로 그 중앙부와 외연부에 각각 형성되는 낙하홈과; 열원으로부터 열풍관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각 건조판에 열을 공급하도록 각 건조판의 하단에 설치되는 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그 하단에는 건조판에 공급된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톱니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교반 스크래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풋과 건조판 사이에는 인풋을 통하여 투입된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제거기가 설치되되, 상기 수분제거기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좌우측에 설치되는 2개의 풀리와; 상기 2개의 풀리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투입된 슬러지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수분제거포; 상기 수분제거포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분제거포를 통과한 수분을 받아서 배출하기 위한 제1배수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분제거포에 일측에는 수분이 분리된 슬러지를 긁어서 떨어뜨리기 위한 판 형태의 이탈기가 설치되고, 상기 수분제거포의 상부에는 수분제거포 상에 공급된 슬러지로부터 수분이 분리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송풍하는 선풍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분제거포의 상부 양측에는 공급된 슬러지가 옆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넘침방지턱이 설치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열에 의하여 증발되는 증기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아웃풋과, 상기 아웃풋과 연결되어 아웃풋을 통해 인출되는 증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고 열풍만을 다시 열원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된 본 발명은 생활 및 산업 폐기물의 하나인 슬러지의 건조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교호형 슬러지 건조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슬러지를 투입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본체(1)가 형성되고, 슬러지를 외부로부터 인입하기 위하여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인풋(10)을 통해 본체(1) 내로 슬러지가 공급되게 된다.
상기 인풋(10)을 통하여 공급된 슬러지는 인풋 아래에 설치되는 웨어박스(11)로 공급되게 되는데, 상기 웨어박스로 공급된 슬러지는 웨어박스를 넘치게 되고, 웨어박스를 넘친 슬러지는 다시 수분제거기(29)로 공급되게 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상기 웨어박스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인풋(10)으로부터 수분 제거기(29)로 슬러지가 공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수분제거기(29)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좌우측에 설치되는 2개의 풀리(21, 22)와, 상기 2개의 풀리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투입된 슬러지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수분제거포(20)와, 상기 수분제거포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분제거포를 통과한 수분을 받아서 배출하기 위한 제1배수통(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수분제거기 하부에는 추가로 제2배수통(26) 및 제2배수구(27)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어박스를 넘친 슬러지는 수분제거포(20)로 공급되어 과도한 수분은 수분제거포를 통과하여 제1배수통(23)으로 떨어져 제1배수구(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상기 수분제거포(20)를 통과하지 못한 슬러지는 진행하여 판 형태의 이탈기(25)에 의하여 수분제거포(20)로부터 떨어져 하부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수분제거포(20)는 미세한 수분은 통과하고 굵은 슬러지는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천의 형태를 사용하거나 거름망 또는 철망의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추가로 상기 수분제거포 위에 선풍기(90)를 달아 동작시키게 되면 선풍기를 통해 발생한 바람이 수분제거포 위로부터 슬러지에 포함된 물을 밀어내는 역할을 수행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이 수분제거포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게 되므로 바람직한 구성이라 할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지게 설치된 수분제거포 윗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수분제거포에 남아있는 수분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효과적으로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구성이라 하겠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하부로 떨어진 슬러지는 다단으로 설치되는 건조판(33)에 전달되게 되는데, 상기 건조판(33)에 전달된 슬러지는 샤프트(4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동 스크래퍼(30)에 의하여 이동하게 되는 구조를 하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스크래퍼(30)의 경우 건조판(33)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시켜 일정부분의 슬러지를 남겨두고 이동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하부에 톱니(31)가 형성되어 있는 교반 스크래퍼(36)을 더 설치하여 건조판 위에 있는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하겠다.
이와 함께 상기 이동 스크래퍼(3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이동구(32)를 설치하여, 상기 이동구로 하여금 상하의 건조판에서 교대로 슬러지를 건조판의 중앙부와 외연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다단으로 설치되는 건조판에 설치되는 낙하홈(34)의 위치를 교대로 건조판의 중앙부 및 외연부에 설치하여 한 번은 건조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낙하홈으로 슬러지가 떨어지도록 하고 다음층에서는 건조판의 외연부에 형성된 낙하홈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건조판에 슬러지가 장시간 체류할 수 있도록 하면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본체(1)의 중심에 샤프트(40)를 설치하고, 상기 샤프트의 끝단에 제1베벨기어(41)와 제2베벨기어(42)를 설치하여 중앙모터(43)을 이용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중앙의 샤프트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는 이동 스크래퍼(30) 및 교반 스크래퍼(36)가 회전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교반 스크래퍼를 연결하지 않고 이동구(32)가 형성된 이동 스크래퍼(30) 만을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상기 이동 스크래퍼(30)의 하단에는 공급되는 슬러지를 받아 둘 수 있는 건조판(3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건조판은 중앙에 설치되는 샤프트(40)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건조판(33)의 하단에는 열을 공급하여 상기 건조판에 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열풍관(52)이 설치되고, 상기 건조판은 공급관(51)에 의하여 열원(50)과 연결되게 되며, 각 열풍관에는 밸브를 부착하여 선택적으로 열의 공급 및 차단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밸브의 개방량에 따라 상기 건조판에 제공되는 열을 조절하여 건조판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건조장치에 공급된 슬러지는 다단으로 설치되는 건조판의 낙하홈(34)을 통해 점차로 하단으로 이동하면서 건조되어 최종적으로는 스크류 컨베이어(80)로 공급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에 의하여 슬러지로부터 증발된 증기는 아웃풋(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외부로 배출된 증기는 수취기(70)를 통해 수분이 제거되고 다시 건조된 공기는 열원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건조장치에 설치되는 이동 스크래퍼에서 상단 내지 중간에 설치된 이동 스크래퍼의 바람직한 구조는 건조판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최하단에 있는 이동 스크래퍼의 경우 건조판과 최대한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 건조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으로 건조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여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분제거기(29)로서 수분제거를 위해 사용하는 수분 제거포(20)가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2개의 풀리(21, 22) 사이에 설치되어 수분제거포 위에 공급되는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구조를 하고 있으며, 상기 수분제거포(20)에 공급된 슬러지가 넘쳐서 외부로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분제거포의 양 측면에는 넘침방지턱(28)를 설치하여 슬러지가 외부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더불어, 상기 수분제거포(20)가 설치되는 2개의 풀리에 수분제거포가 연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슬러지를 이송하도록 설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건조장치의 이동 스크래퍼(30)과 교반 스크래퍼(36)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원형으로 설치되는 건조판(33) 위에서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이송 및 교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중앙에 설치된 샤프트(40)에 하나 이상의 이동 스크래퍼(30)가 설치되고, 저면에 톱니(31)가 형성된 교반 스크래퍼(36)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 스크래퍼(30)에는 일정 간격으로 경사진 이동구(32)를 설치하는데, 다단으로 설치되는 건조판에 있는 슬러지를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한번은 교대로 건조판의 중앙부로 이동시키고 다음번은 건조판의 외연부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경사를 두고 설치되며, 상기 다단으로 설치되는 건조판에는 교대로 한번은 건조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낙하홈(34)을 두어 슬러지를 낙하홈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낙하홈을 통해 슬러지가 떨어지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동구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이동구(32)에 구멍을 뚫고 이동 스크래퍼를 설치하기 위한 봉 내지는 파이프에 끼워서 설치한 후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여 용접하는 방법도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이동구(32)에 소정의 홈을 형성한 후 상기 봉 내지는 파이프에 끼워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후 용접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달성 가능한 기술이라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건조장치의 건조판의 중앙부에 낙하홈(34)이 형성된 것으로, 건조판에 설치되는 낙하홈(34)의 위치가 건조판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며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 스크래퍼(30)가 회전하게 되면 이동구(32)의 설치 방향에 따라 건조판 위에 있는 슬러지를 중앙부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건조판의 중앙부로 이동된 슬러지는 중앙부에 형성된 낙하홈(34)에 도달하여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하단에 톱니(31)가 설치되어 건조판 위에 있는 슬러지를 교반하기 위하여 교반 스크래퍼(36)을 더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건조장치의 건조판의 외연부에 낙하홈(34)이 형성된 것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스크래퍼가 회전하게 되면 이동구의 설치 방향에 따라 건조판의 슬러지를 중앙부로부터 외연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 건조판의 외연부에 형성된 낙하홈(34)에 도달한 슬러지는 하부로 떨어지는 구조를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4와 5에 도시된 건조판을 교대로 하여 다단으로 설치하며, 일단에서 건조판의 중앙부로 슬러지가 떨어지게 되며, 다음 단에서는 외연부에서 슬러지가 떨어지게 되므로 슬러지가 건조판에 체류하는 시간이 많아지게 됨으로써 슬러지의 건조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슬러지의 이동방향은 이동구의 설치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이동구의 설치각도는 슬러지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자유로운 슬러지의 건조 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비된 각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화하여 생산하게 될 경우 국 내외적으로 수입대체효과 및 수출효과에 있어서 큰 경제적 효과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되는바 크다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수분 제거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의 건조판 상에 설치되는 이동 스크래퍼와 교반 스크래퍼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의 건조판의 중앙부에 낙하홈이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의 건조판의 외연부에 낙하홈이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풋 11: 웨어박스
29: 수분제거기 20: 수분제거포
21, 22: 풀리 23: 제1배수통
24: 제1배수구 25: 이탈기
26: 제2배수통 27: 제2배수구
28: 넘침방지턱 30: 이동 스크래퍼
31: 톱니 32: 이동구
33: 건조판 34: 낙하홈
40: 샤프트 41: 제1베벨기어
42: 제2베벨기어 43: 중앙모터
50: 열원 51: 열풍관
52: 공급관 60: 아웃풋
70: 수취기 80: 스크류 컨베이어
90: 선풍기

Claims (6)

  1. 슬러지를 투입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와;
    슬러지를 외부로부터 본체 내부로 인입시키도록 본체 상부에 형성된 인풋(10)과;
    상기 인풋을 통하여 투입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슬러지를 체류시키면서 건조하기 위해 수직으로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건조판(33)과;
    상기 본체의 중심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중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40)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판에 공급된 슬러지를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점차로 이동시키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이동구(32)가 설치되며, 상기 각 건조판 상에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 스크래퍼(30)와;
    상기 이동구에 의해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이동된 슬러지를 하단으로 낙하시키기 위하여 상기 다단으로 설치되는 상하 건조판에 교대로 그 중앙부와 외연부에 각각 형성되는 낙하홈(34)과;
    열원(50)으로부터 열풍관(51)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각 건조판에 열을 공급하도록 각 건조판의 하단에 설치되는 공급관(5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의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그 하단에는 건조판에 공급된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톱니(31)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교반 스크래퍼(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의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풋과 건조판 사이에는 인풋을 통하여 투입된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제거기(29)가 설치되되, 상기 수분제거기(29)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좌우측에 설치되는 2개의 풀리(21, 22)와;
    상기 2개의 풀리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투입된 슬러지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수분제거포(20);
    상기 수분제거포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분제거포를 통과한 수분을 받아서 배출하기 위한 제1배수통(23);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의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포에 일측에는 수분이 분리된 슬러지를 긁어서 떨어뜨리기 위한 판 형태의 이탈기(25)가 설치되고, 상기 수분제거포의 상부에는 수분제거포 상에 공급된 슬러지로부터 수분이 분리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송풍하는 선풍기(9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의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포의 상부 양측에는 공급된 슬러지가 옆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넘침방지턱(28)이 설치되는 특징으로 하는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열에 의하여 증발되는 증기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아웃풋(60)과, 상기 아웃풋과 연결되어 아웃풋을 통해 인출되는 증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고 열풍만을 다시 열원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취기(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080058203A 2008-06-20 2008-06-20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KR100894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203A KR100894175B1 (ko) 2008-06-20 2008-06-20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PCT/KR2009/003278 WO2009154416A2 (ko) 2008-06-20 2009-06-18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JP2011514499A JP2011524806A (ja) 2008-06-20 2009-06-18 滞留時間を増大させた汚泥乾燥装置
CN2009801324255A CN102123957A (zh) 2008-06-20 2009-06-18 增加了滞留时间的污泥干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203A KR100894175B1 (ko) 2008-06-20 2008-06-20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175B1 true KR100894175B1 (ko) 2009-04-22

Family

ID=4075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203A KR100894175B1 (ko) 2008-06-20 2008-06-20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1524806A (ko)
KR (1) KR100894175B1 (ko)
CN (1) CN102123957A (ko)
WO (1) WO200915441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5105A (zh) * 2020-05-19 2020-09-08 上海国惠环保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污泥热值调理机
KR102384466B1 (ko) * 2021-05-18 2022-04-11 한국환경공단 슬러지 건조장치
KR20220076750A (ko) * 2020-12-01 2022-06-08 (유)정림 밀폐순환식 악취제거 열풍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5002B (zh) * 2012-10-17 2014-05-14 冯本剑 一种污泥干燥装置以及污泥处理系统
CN103913049B (zh) * 2013-01-04 2016-03-16 邹岳明 浆料或粉料的连续干燥系统
CN103913050B (zh) * 2013-01-04 2016-03-16 邹岳明 浆料或粉料的连续干燥机
CN103591780B (zh) * 2013-01-04 2015-11-18 邹岳明 浆料或粉料的连续干燥系统的干燥主机
CN103964671B (zh) * 2013-01-25 2015-12-09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污泥干化装置及利用该装置干化污泥的方法
CN106839739B (zh) * 2014-04-09 2019-10-15 江苏迪赛司自动化工程有限公司 用于化工残液处理的连续干燥系统的工作方法
CN107445446B (zh) * 2017-09-22 2019-03-26 西安吉利电子化工有限公司 一种塔板式干燥发酵装置
CN108658425B (zh) * 2018-06-12 2023-07-11 东莞理工学院 一种双回路污泥热泵干燥系统
CN109354373B (zh) * 2018-11-29 2021-07-13 浙江致远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用污泥处理装置
DE102018133070B4 (de) * 2018-12-20 2021-08-05 i +M GmbH & Co. KG Innovation und Management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Klärschlamm
CN112777910B (zh) * 2020-12-18 2023-03-21 大力(武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折板干化床及基于其的污泥干化器及废水处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025A (ko) * 1999-04-19 2000-01-15 이광희 하수오니건조장치
KR200210776Y1 (ko) * 2000-08-28 2001-01-15 유호근 슬러지 고형화장치
KR200324937Y1 (ko) * 2003-06-03 2003-09-02 주식회사 그린월드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장치
KR100822715B1 (ko) * 2007-04-04 2008-04-17 효진바이오뱅크(주) 혐기성 소화조의 교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025A (ko) * 1999-04-19 2000-01-15 이광희 하수오니건조장치
KR200210776Y1 (ko) * 2000-08-28 2001-01-15 유호근 슬러지 고형화장치
KR200324937Y1 (ko) * 2003-06-03 2003-09-02 주식회사 그린월드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장치
KR100822715B1 (ko) * 2007-04-04 2008-04-17 효진바이오뱅크(주) 혐기성 소화조의 교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5105A (zh) * 2020-05-19 2020-09-08 上海国惠环保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污泥热值调理机
KR20220076750A (ko) * 2020-12-01 2022-06-08 (유)정림 밀폐순환식 악취제거 열풍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 시스템
KR102472186B1 (ko) 2020-12-01 2022-11-29 (유)정림 밀폐순환식 악취제거 열풍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 시스템
KR102384466B1 (ko) * 2021-05-18 2022-04-11 한국환경공단 슬러지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24806A (ja) 2011-09-08
WO2009154416A2 (ko) 2009-12-23
CN102123957A (zh) 2011-07-13
WO2009154416A3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175B1 (ko)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
KR101070437B1 (ko) 중앙 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CN209113720U (zh) 一种污泥干化系统
KR101261822B1 (ko) 다공판 배플을 이용한 기액분리장치
CN106391289A (zh) 一种链条式去除轻物质装置
KR100859213B1 (ko) 중앙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KR101347301B1 (ko) 직접가열 열풍건조기
KR101908722B1 (ko) 수평 회전형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CN207904111U (zh) 一种废水污泥处理设备
KR101876342B1 (ko) 전기침투 탈수기용 습증기 배출 장치
KR102372159B1 (ko) 슬러지 이송구간 일치형 공기유동경로가 구비된 벨트식 슬러지 건조 장치
JP6165075B2 (ja) 沈降板装置、および沈降板の動作方法
KR20100065656A (ko) 슬러지 건조 장치
CN203980833U (zh) 一种兰炭干燥设备
KR100958724B1 (ko) 수직 회전 액상 폐수 건조장치
KR101152298B1 (ko) 정수슬러지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366666B1 (ko) 공업용 오/폐수 및 국물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방법 및 그 장치
KR100755938B1 (ko) 입상 디스크 건조기
RU2496727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ипечной грануляции шлака
KR200390469Y1 (ko)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30)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
KR20110064822A (ko) 슬러지 건조용 컨베이어
KR101897462B1 (ko) 다단형 슬러지 탈수장치
JP6645860B2 (ja) 燃焼プロセスの固形残渣を冷却するための方法
CN116197012B (zh) 一种分散式的多级水泥选粉机
CN104190529A (zh) Pet分离清洗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1